KR20190099793A -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9793A KR20190099793A KR1020180019699A KR20180019699A KR20190099793A KR 20190099793 A KR20190099793 A KR 20190099793A KR 1020180019699 A KR1020180019699 A KR 1020180019699A KR 20180019699 A KR20180019699 A KR 20180019699A KR 20190099793 A KR20190099793 A KR 201900997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astening
- length
- cradle
- des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착된 결착부에 부착된 다용도 책상;
상기 다용도 책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착된 결착부에 부착된 다용도 책상;
상기 다용도 책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위치의 전방에, 별도의 테블릿피씨, 노트북 및 커피나 음식물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자동창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2-0136142(2012.12.18)호가 가장 본 발명과 근접한 종래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8은 종래 발명에 따른 한 구성 예를 예시한 것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전방에 구성되는 대시보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대시보드(1)의 한 위치에 거치대(4)가 내장될 수 있는 수용실(5)을 구성하였다.
거치대(4)는 마치 자동차에 내장된 CD 기와 유사한 구성으로 만든다. 즉, 예를 들어 인출버튼을 누르면 인출되고 인출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들어가는 구조로 하거나, 인출은 자동으로 하되 삽입은 수동으로 할 수도 있다.
거치대(4)는 저면에 테이블(12)이 구성되고 그 위로 탄성체(14)가 설치되어 관절체(16)가 위에 지지된다. 그리고 관절체(16)는 후방은 안내구(18) 쪽에 연결되고 전방은 관절(15)에 연결되며, 관절(15)은 지지판(17)과 연결되며 지지판(17)은 그 하단부가 선단관절(13)과 연결된다. 선단관절(13)은 테이블(12)의 선단부에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거치대(4)를 인출하기 위해 인출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전방으로 거치대(4)가 밀려나오면서 탄성체(14)의 의해 접혀져 있던 관절체 (16)가 위로 솟아올라, 지지판(17)도 비스듬하게 세워진다. 그러면 지지판(17) 하단에서 돌출된 걸림턱(19)에 테블릿피씨를 올려 놓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반대로 거치대(4)를 밀어 넣을 경우에는 인출버튼을 한번 더 눌러 자동으로 들어가게 하거나 또는 돌출되어 나온 테이블(12)를 앞에서 강제로 가압하여 밀어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관절체(16)는 수용실(15)의 좁은 통로 공간으로 들어가면서 스프링 등의 탄성체(14)가 눌려지고, 그에 따라 관절(15)이 아래로 내려와 접힌다.
이때 안내구(18)와, 관절(15)과 선단관절(13) 부분이 모두 선회 가능한 선회축을 가지므로 접힘이 가능하다. 특히 접혀져 들어갈 때 안내구(18)는 레일(11)을 따라 진입되므로 관절(15)의 내려가는 작동을 도와 접혀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탄성수단(14)은 스프링 외 다른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의 에어 실린더로 구성하거나 다른 탄성체가 내장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매우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져서 시간이 지날수록 고장이 날 확률이 많아지고 번거로워서 상용화 되기 어려운 난점이 있다.
대시보드에 설치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다른 부품에 고장이 나거나 강도가 낮기때문에 자동차 사고시 또 다른 위험요소가 뒤따른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어왔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용도 책상을 의자의 목지지대의 하부로 걸고리로 걸어서 구성한 것이다.
본발명의 제2목적은 길이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다용도 책상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지지대로 구성되어있어 안전하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착된 결착부에 부착된 다용도 책상;
상기 다용도 책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의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길이를 조절할 수있도록 지지대본체와 길이조절지지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본체의 일단의 개방부는 제1레일수용홈부와 제2레일수용홈부로 구성되고, 지지대 본체의 수용홈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길이 조절지지대는 제1레일돌출부와 제2레일돌출부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원할하고 길이조절을 하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본체에는 길이방향의 홀을 구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길이조절지지대의 일단에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본체의 타단은 중공형관통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중공형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지지대의 타단에는 제1체결지지대를 구성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에 구성한 제1체결지지대수용부와 체결하되 지지대의 길이와 공간에 따라 상기 다용도 책상과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를 복수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착부는 결착수용부와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로 구성하되, 상기 결착수용부는 상기 지지대에 길이조절하며 삽입되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는 상기 다용도 책상의 제2체결지지대와 결합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착수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한 후에 볼트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측면부 또는 상부에 걸이부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의 공간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효과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용도 책상을 의자의 목지지대의 하부에 걸고리로 걸어서 구성한 것이다.
본발명의 제2의 효과는 간단한 방식으로 길이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다용도 책상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효과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지지대로 구성되어있어 안전하다.
제1도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전체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2도는 하부지지대의 분해도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3도는 지지대 본체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a도는 길이조절지지대의 일면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b도는 길이조절지지대의 타면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5도는 지지대 본체와 길이조절지지대를 결합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6도는 지지대 본체와 길이조절지지대를 결합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제1볼트를 체결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7도는 다용도책상의 전면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8도는 다용도 책상의 이면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9도는 다용도 책상의 이면부와 하부지지대를 결합하기 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에 제1체결지지대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서 또 다른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에 제1체결지지대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2도는 제10도에서 보이는 것과 제2체결지지대와 제2체결지지대수용부와의 결합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3도는 결착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4도는 결착부와 볼트와 너트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5도는 결착부와 지지대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6도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에 걸이부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7도는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하단에 걸이부로 걸어서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8도는 배경기술에 대한 종래도이다.
제2도는 하부지지대의 분해도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3도는 지지대 본체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a도는 길이조절지지대의 일면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b도는 길이조절지지대의 타면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5도는 지지대 본체와 길이조절지지대를 결합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6도는 지지대 본체와 길이조절지지대를 결합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제1볼트를 체결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7도는 다용도책상의 전면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8도는 다용도 책상의 이면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9도는 다용도 책상의 이면부와 하부지지대를 결합하기 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에 제1체결지지대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서 또 다른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에 제1체결지지대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2도는 제10도에서 보이는 것과 제2체결지지대와 제2체결지지대수용부와의 결합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3도는 결착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4도는 결착부와 볼트와 너트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5도는 결착부와 지지대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6도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에 걸이부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7도는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하단에 걸이부로 걸어서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8도는 배경기술에 대한 종래도이다.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에 의하여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지지대(400);
상기 지지대(400)와 상기 지지대에 결착된 결착부(200)에 부착된 다용도 책상(300);
상기 다용도 책상(3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40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100);의 구성을 갖는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길이를 조절할 수있도록 지지대본체(110)와 길이 조절지지대(12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본체(110)의 일단의 개방부는 제1레일수용홈부(113)와 제2레일수용홈부(114)로 구성되고, 지지대 본체(110)의 제1레일수용홈부(113)와 제2레일수용홈부(114)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길이 조절지지대(120)는 제1레일돌출부(123)와 제2레일돌출부(124)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원할하고 길이조절을 하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본체(110)에는 길이방향의 홀(115)을 구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길이조절지지대(120)의 일단에는 고정부(122,130)를 구성하여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고정부는 제1볼트(130)와 제1너트(122)로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 본체와 길이조절대와의 결합고정을 위하여 상기 제1볼트가 길이조절시에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홀(115)를 구성하는 것이다.
2도는 지지대 본체(110)와 길이 조절지지대(120)와 제1볼트(130)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지지대본체(110)의 레일수용홈부(113,114)와 길이방향의 홀(115)를 보이는 것이다.
제4a도는 길이조절지지대의 제1레일돌출부(123)과 제2레일돌출부(124)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제1체결지지대(125)는 다용도책상의 하부에 제1체결지지대수용부(335,345)에 삽입되는 것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지지대본체(110)와 길이조절지지대(120)을 체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제1볼트(13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도 내지 제12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지지대본체(110)의 타단은 중공형관통홀(11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 (400)가 상기 중공형관통홀(112)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400)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지지대(120)의 타단에는 제1체결지지대(125)를 구성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300)의 하부에 구성한 제1체결지지대수용부(335,345)와 체결하되 지지대(400)의 길이와 공간에 따라 상기 다용도 책상(300)과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335,345)를 복수개 구성한다.
지지대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면서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의 335를 제1체결지지대 345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도가 있어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정정할 수 있다.
그와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지지대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면서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의 335,345에 수용할 수 있다.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335,345)와 결착수용부(3210 및 제2체결지지대수용부(220)는 미끄럼 마찰되면서 회전할 수 있어 다용도 책상의 경사방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제7도는 다용도 책상의 상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다용도 책상의 하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하부면에 하부지지대(100)의 제1체결지지대수용부에 하부지지대의 제1체결지지대(125)를 삽입하는 것을 보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하부지지대(100)의 지지대본체(110)에 구성된 중공형관통홀(112)에 지지대(400)를 삽입하고 다용도 책상(300)의 하부면에 삽입하기 전의 도이다.
제10도는 하부지지대(100)를 제1체결지지대(335)에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1도는 하부지지대(100)을 제1체결지지대(345)에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2도는 지지대(400)는 제2체결지지대(325)에 삽입하고 하부지지대는 제 1체결지지대(335)에 체결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3도 내지 제15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결착부(200)는 결착수용부(210)와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220)로 구성하되, 상기 결착수용부(210)는 상기 지지대(400)에 길이조절하며 삽입되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220)는 상기 다용도 책상(300)의 제2체결지지대(325)와 결합구성한다.
상기 결착수용부(210)는 상기 지지대(400)와 결합한 후에 제2볼트(250)와 제2너트(255)로 고정하는 것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지지대(400)의 측면부 또는 상부에 걸이부(600)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의 공간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대시보드 4: 거치대 5:수용실 11:레일
12: 테이블 13: 선단관절 14: 탄성체 15: 관절
16: 관절체 17: 지지판 18: 안내구 19: 걸림턱
100:하부지지대 110:지지대본체 112:중공형 관통홀
113:제1레일수용홈부 114:제2레일수용홈부 115:길이방향의 홀
120:길이 조절지지대 122:제1너트 123:제1레일돌출부
124:제2레일돌출부 125:제1체결지지대 130:제1볼트
200:결착부 210:결착수용부 220:제2체결지지대수용부
230:육각나사홈부 250:제2볼트 255:제2너트
300:다용도책상 325:제2체결지지대 335,345:제1체결지지대수용부 400:지지대 500: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600:걸이부
12: 테이블 13: 선단관절 14: 탄성체 15: 관절
16: 관절체 17: 지지판 18: 안내구 19: 걸림턱
100:하부지지대 110:지지대본체 112:중공형 관통홀
113:제1레일수용홈부 114:제2레일수용홈부 115:길이방향의 홀
120:길이 조절지지대 122:제1너트 123:제1레일돌출부
124:제2레일돌출부 125:제1체결지지대 130:제1볼트
200:결착부 210:결착수용부 220:제2체결지지대수용부
230:육각나사홈부 250:제2볼트 255:제2너트
300:다용도책상 325:제2체결지지대 335,345:제1체결지지대수용부 400:지지대 500: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600:걸이부
Claims (8)
-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착된 결착부에 부착된 다용도 책상;
상기 다용도 책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본체와 길이 조절지지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본체의 일단의 개방부는 제1레일수용홈부와 제2레일수용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 본체의 제1레일수용홈부와 제2레일수용홈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길이 조절지지대는 제1레일돌출부와 제2레일돌출부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원할하게 길이조절을 하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본체에는 길이방향의 홀을 구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길이조절지지대의 일단에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본체의 타단은 중공형관통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중공형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지지대의 타단에는 제1체결지지대를 구성하여 상기 다용도 책상의 하부에 구성한 제1체결지지대수용부와 체결하되 지지대의 길이와 공간에 따라 상기 다용도 책상과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체결지지대 수용부를 복수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결착수용부와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로 구성하되, 상기 결착수용부는 상기 지지대에 길이조절하며 삽입되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체결지지대 수용부는 상기 다용도 책상의 제2체결지지대와 결합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한 후에 볼트너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측면부 또는 상부에 걸이부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의 공간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9699A KR20190099793A (ko) | 2018-02-20 | 2018-02-20 |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9699A KR20190099793A (ko) | 2018-02-20 | 2018-02-20 |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9793A true KR20190099793A (ko) | 2019-08-28 |
Family
ID=6777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9699A KR20190099793A (ko) | 2018-02-20 | 2018-02-20 |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9793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867Y1 (ko) | 2004-02-20 | 2005-01-15 | 박균덕 | 자동차용 보조테이블 |
KR100792568B1 (ko) | 2006-08-21 | 2008-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다목적 거치대 |
KR20120136142A (ko) | 2011-06-08 | 2012-12-18 | 이상수 | 자동차용 테블릿피씨 거치대 |
-
2018
- 2018-02-20 KR KR1020180019699A patent/KR2019009979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867Y1 (ko) | 2004-02-20 | 2005-01-15 | 박균덕 | 자동차용 보조테이블 |
KR100792568B1 (ko) | 2006-08-21 | 2008-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다목적 거치대 |
KR20120136142A (ko) | 2011-06-08 | 2012-12-18 | 이상수 | 자동차용 테블릿피씨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39096A (en) | Seat cushion and tray assembly | |
US9669740B2 (en) | Vehicle having interchangeably storable and mountable stowable folding seat and center console | |
US7281762B1 (en) | Portable platforms and methods of use | |
US4961388A (en) | Closet ironing table | |
US9987958B2 (en) | Quick disconnect headrest | |
US6250680B1 (en) | Passenger safety belt restraint arrangement | |
KR20190099793A (ko) | 자동차용 다용도 거치대 | |
US20070085403A1 (en) |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ight and angle armrest | |
KR101454923B1 (ko) | 자동차용 시트백 테이블장치 | |
US20060027716A1 (en) | Fitting for connecting plates, particularly shelves or trays | |
JP2005289080A (ja) | 乗り物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 |
US9738190B2 (en) |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 |
US941983A (en) | Vehicle-seat. | |
CN110920475B (zh) | 用于商用车辆车厢的汽车座椅 | |
CN208855536U (zh) | 娱乐支撑系统 | |
US9840176B1 (en) | Seat with integrated foldable table | |
CN208036055U (zh) | 杯托总成和汽车 | |
CN203974608U (zh) | 儿童约束装置 | |
KR200371867Y1 (ko) | 자동차용 보조테이블 | |
US872410A (en) | Buggy-seat attachment. | |
CN210554381U (zh) | 一种座椅背板杯托 | |
US20210229574A1 (en) | Vehicle seat slide attachment | |
CN211592344U (zh) | 汽车用桌板 | |
JP2013094289A (ja) | 椅子 | |
JP2582292Y2 (ja) |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