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832A -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 Google Patents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4832A KR20190094832A KR1020180014436A KR20180014436A KR20190094832A KR 20190094832 A KR20190094832 A KR 20190094832A KR 1020180014436 A KR1020180014436 A KR 1020180014436A KR 20180014436 A KR20180014436 A KR 20180014436A KR 20190094832 A KR20190094832 A KR 201900948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ner
- panel
- finishing
- osb board
- sid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적용되는 마감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출되는 표면은 미려(美麗)하면서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특히 각 변에 연결파이프를 삽입시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마감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panel applied to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exposed surface is beautiful and is easy to use as a finishing material of an inner wall, an outer wall,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in particular, inserts a connection pipe into each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finishing panel that can be easily fixed in a short tim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는 다양한 형태나 여러 가지 종류의 마감패널이 최종 시공된다. In general, the final or various types of finishing panels are constructed on the inner or outer walls of a building.
이러한 통상적인 마감패널은 내력벽 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둘레부에는 플랜지가 마련된 금속재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되는 단열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석고보드나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단열재가 석고보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석고보드가 수분 침투 등에 의해 쉽게 깨지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면서도 유지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가 스티로폼 등의 단열보드로 이루어질 경우, 화재시 단열재가 녹으면서 유독 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finishing panel is opened in the bearing wall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a metal case provided with a flange at its periphery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embedded in the case. At this time, the insulation is made of gypsum board or styrofoam. By the way,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made of gypsum board, since the gypsum board is easily broken by moisture infilt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is inconvenient even though structural strength is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heat insulator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board such as styrofoam,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toxic gas is generated while the heat insulator melts during fire.
상기와 같이 마감패널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708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에만 화강석(인조석)을 사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며, 내부면에는 우레탄폼을 충진하여 단열성을 유지하였으며 내부면에는 우레탄폼을 충진하여 단열성을 유지하였으며 내부면에는 칼라코팅된 강판을 사용하여 일체화시킨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or art for the finishing panel, a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001708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by using granite (artificial stone) only on the outer surface The desired color is selected, the inner surface is filled with urethane foam to maintain the heat insulation, the inner surface is filled with urethane foam to maintain the thermal insulation, and the inner surface has been proposed to integrate the technology using a color coated steel sheet.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796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이나 폐석을 이용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설치 후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부착된 자갈, 상기 자갈 틈에 산포되는 모래 및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재를 포함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7796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natural stone or waste ston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high strength and durability after installation Techniques such as finishing panels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using natural stones including a frame, gravel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rame, sand scattered in the gravel gap, and interior materials embedded therein have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25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마감패널을 끼움 결합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마감패널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post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092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by fitting the finishing panel, while the insu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itself, Techniques such as a double bonded finish panel and a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sound insulation, waterproofing, and condensation prevention effects.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395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철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외부패널이 접착제로 부착되었을 때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아연도철판의 상하단에 받침수단을 마련하여 외부패널이 지탱되도록 하되 상기 아연도철판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절곡선을 따라 "ㄷ" 자형으로 절취되고, 이 절취부가 펼쳐져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받침수단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건축용 기능성 복합패널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939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4'), the galvanized steel sheet so that the outer panel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alvanized steel sheet does not fall easily when attached with an adhesiv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means, the outer panel is supported, but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galvanized steel sheet, a part is cut along the bend in a "c" shape, and the cutout is extended to protrude, thereby support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ans. Techniques such as building functional composite panels that can be simplified have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각 마감패널 간에 연결작업이 상당히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또한, 선행기술문헌 2는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시공성이 떨어짐은 물론 각 마감패널 간에 연결을 위한 별도의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연결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또, 선행기술문헌 3은 연결 고정을 위한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또, 선행기술문헌 4는 상하로의 연결 작업은 용이하였으나, 좌우로의 연결작업은 그리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document 4 is easy to connect up and down, but the connection work to the left and right has a disadvantage that is not very efficient.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노출되는 표면은 미려(美麗)하면서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특히 각 변에 연결파이프를 삽입시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that the exposed surface is beautiful and easy to use as a finishing material of the inner wall, the outer wall or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s well as inserting a connection pipe in each side. It is to provide a finishing panel for buildings that can be easily fixed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외부 측에 위치하는 OSB 보드 및 표면패널이 단열패널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SB board and the surface panel located on the outer sid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마감패널이 맞닿는 모서리부분의 연결 고정작업이 더욱더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코너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ner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made simpler and easier connection fixing operation of the corner portion that the finishing panel abut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패널로서, 상기 마감패널은 소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내,외측 OSB 보드; 상기 내,외측 OSB 보드(Oriented strand board) 사이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각각의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충진홀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 상기 충진홀을 통하여 내,외측 OSB 보드와 측면 프레임의 내부에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외측 OSB 보드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조석이 부착되는 표면패널;을 포함한다. Specific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a finishing panel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on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the finishing panel is a pair of inner,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uter OSB board; A side frame including at least one filling hole formed in the middle and bent at least once on each sid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OSB boards; Insulation panel is formed by the flame-retardant foam urethane i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OSB board and the side frame through the filling hole; And a surface panel to which at least one artificial stone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uter OSB board.
상기 외측 OSB 보드에 단열패널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외측 OSB 보드를 통과하여 표면패널의 이면과 맞닿아 외측 OSB 보드와 표면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더 포함한다.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prevent foaming urethane foamed by forming a heat insulation panel in the outer OSB board to pass through the outer OSB board to abut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panel to prevent the outer OSB board and the surface panel is separated. Include.
상기 마감패널의 각 끝단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에 상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연결홈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A corner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closing panel by a connection pipe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on grooves formed in the side frame at the corne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는 각 마감패널의 각 끝단과 대응되는 각 면에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상기 연결파이프가 인입되는 각각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 상기 각 측 프레임의 외측 각 코너에 내측으로 코너 OSB 보드와 그 코너 OSB 보드의 표면에 인조석이 접착되는 코너 표시패널, 상기 코너 표시패널의 반대 측 내측 코너에 상기 각 측 프레임의 끝단과 연결되는 모서리 프레임, 상면과 밑면에 상기 인입홈의 깊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코너 결합홈이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주입홀에 의해 상기 측 프레임과 코너 OSB 보드 및 마감 플레이트의 내부에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코너 단열패널을 포함한다. The corner connecting members are bent at least once on each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end of each finishing panel, and each side frame having respective inlet grooves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pes are formed, and an outer angle of each side frame. A corner display panel to which artificial stone is bonded to a corner OSB board and a surface of the corner OSB board inward to a corner, a corner frame connected to an end of each side frame at an inner corner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orner display panel, a top and a bottom Flame-retardant foam urethane is foamed inside the side frame and the corner OSB board and the closing plate by a closing plate having a corner coupling groove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inlet groove and an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closing plate. And a corner insulation panel formed.
상기 코너 OSB 보드에 코너 단열패널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코너 OSB 보드를 통과하여 코너 표시패널의 이면과 맞닿아 그 코너 OSB 보드와 코너 표시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을 더 포함한다. A plurality of foamed urethane foamed by forming a corner insulation panel on the corner OSB board passes through the corner OSB board to abut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rner display panel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rner OSB board and the corner display panel. It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본 발명은 노출되는 표면은 미려(美麗)하면서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특히 각 변에 연결파이프를 삽입시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마감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각 마감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파이프가 골조 역할을 겸함에 따라 골조시공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며 경제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as a finishing material of the inner wall, outer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while the exposed surface is beautiful, and in particular, by inserting a connection pipe on each side, it is possible to simply connect and fix within a short time, each finishing panel Not only does not need a separate complicated structure for fixing the structure, as the connection pipe provided between each finishing panel serves as a skeleton role can be omitted frame construction, excellent workability and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또한, 외부 측에 위치하는 OSB 보드 및 표면패널이 단열패널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가짐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OSB board and the surface panel located on the outer side to be separated from the heat insulation panel, it has the effect of having a high reliability as well as a long service life.
또, 마감패널이 맞닿는 모서리부분의 연결 고정작업이 더욱더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코너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마감패널의 모서리 부분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 고정함은 물론 구조물의 조립에 따른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orner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end panel contacting the finishing panel even more simply and easily, the corner part of the finishing panel also can be quickly fixed in a short time without any hassle or inconvenience, as well as the structure It also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completeness of th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마감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및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마감패널에 적용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disassembled and cutawa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rner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4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3;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마감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및 절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마감패널에 적용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disassembled and cutawa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rner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3, and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마감패널(1)은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에 단열을 목적으로 최 외측에 위치하도록 사용되는 마감재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a
본 발명은 노출되는 표면은 미려(美麗)하면서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특히 각 변에 연결파이프를 삽입시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as a finishing material of the inner wall, outer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while the exposed surface is beautiful,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imply connect and fix the connection pipe in each side in a short tim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감패널(1)은 소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한 쌍의 내,외측 OSB 보드(12)(14)와; 상기 내,외측 OSB 보드(12)(14) 사이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통상적인 사각파이프와 같은 연결파이프(P) 등을 삽입시켜 연결할 수 있는 각각의 연결홈(13A)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3A)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충진홀(13B)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13)과; 상기 충진홀(13B)을 통하여 내,외측 OSB 보드(12)(14)와 측면 프레임(13)의 내부에 통상적인 난연제가 포함되는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단열패널(16); 및 상기 외측 OSB 보드(14)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인조석이 통상적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표면패널(18);을 포함한다. The
내,외측 OSB 보드(12)(14)는 측면 프레임(13)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통상적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The inner and
측면 프레임(13)의 통상적인 포밍작업에 의해 다수 번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중간에 형성되는 연결홈(13A)의 양측에 다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내,외측 OSB 보드(12)(14)가 접착된다. 이때, 상기 측면 프레임은 각 측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하나로 제작되어 절곡 과정을 거쳐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홈은 연결하고자 하는 통상적인 사각파이프 등과 같은 연결파이프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파이프는 마감패널과 통상적인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t is formed by bending a number of times by the usual forming of the
아울러, 상기 측면 프레임(13)은 내,외측 OSB 보드(12)(14)의 각 변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 OSB 보드(12)(14)의 각 모서리에 통상적인 포밍작업과 절단 작업을 통하여, 절곡되기 전 상태에서 절곡 후 통상적인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 브래킷(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프레임은 모서리 브래킷을 제외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모서리 브래킷(13-1)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모서리 브래킷(13-1)은 내,외측 OSB 보드(12)(14)의 각 모서리를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연결파이프로의 연결 고정 또한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지는 역할도 겸한다. The corner bracket 13-1 serves to reinforce each corner of the inner and
단열패널(16)은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판 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높은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또한 경량으로 취급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혹여 불이 났을 경우에도 난연성의 성질에 의해 타지 않아, 유독가스 등을 배출하지 않는다. The
표시패널(18)은 인조석으로 통상적인 유리섬유와 석분 등을 포함하여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인조 대리석이나 혹은 석영, 장석, 운모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플레이트 형태로 가공된 화강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 또는 제작시 원하는 색상으로 제작 가능하여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미려할 수 있다.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중요한 하나의 기술적 구성은 상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연결홈은 마감패널을 연결파이프, 즉 통상적인 사각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연결홈 사이로 삽입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연결파이프는 통상적인 골조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Here, one important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nection groove formed in the side frame is connected by inserting the closing panel between the connection grooves using a connecting pipe, that is, a conventional square pipe, such as a vertically positioned connection The pipe also serves as a normal framework.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또한 각 마감패널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골조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통상적인 연결부재의 역할인 하중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also have a high response force to the load, which is a role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rame at the same time as connecting each finishing pan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에 따라 마감패널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파이프는 통상적인 골조와 같은 역할을 겸함으로써, 별도로 골조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생략하여 단시간 내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경제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nishing panel, the connection pipe plays the same role as a conventional frame, and can be constructed within a short time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constructing a separate frame, and also have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그리고 상기 각 연결파이프는 마감패널과 통상적인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마감패널은 바닥면과 통상적인 프레임과 앵커볼트 등에 의한 공지된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Each connecting pipe is fixed by a finishing panel and a conventional screw. In addition, the finishing panel is fixed by a known metho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usual frame and anchor bolts.
그리고 상기 외측 OSB 보드(14)에 단열패널(16)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외측 OSB 보드(14)를 통과하여 표면패널(18)의 이면과 맞닿아 외측 OSB 보드(14)와 표면패널(1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14A)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oamed urethane foamed by forming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외측 OSB 보드(14)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14A)은 단열패널(16)을 형성하기 위해 발포되는 우레탄이 상기 관통공(14A)으로 유입되면서 통상적인 핀 형태로 형성되면서 표면패널(18)의 이면으로 부착된다.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through
그로 인해 단열패널에 의해 외측 OSB 보드와 표면패널이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외측 OSB 보드는 물론 표시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높은 신뢰성 확보는 물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the outer OSB board and the surface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eat insulating panel,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of the external OSB board and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separated, thereby ensuring a high reliability and a long service life. .
한편, 상기 마감패널1()의 각 끝단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에 상기 측면 프레임(13)에 형성되는 연결홈(13A) 사이로 삽입되는 통상적인 사각파이프 등과 같은 연결파이프(P)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모서리 연결부재(2)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each end of the finishing panel 1 () is provided to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P), such as a conventional square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 (13A) formed in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는 본 발명의 마감패널과 함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In other words,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exclusively with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서리 연결부재(2)는 각 마감패널(1)의 각 끝단과 대응되는 각 면에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통상적인 사각파이프와 같은 연결파이프(P) 등이 인입되는 각각의 인입홈(22A)이 형성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22)과, 상기 각 측 프레임(22)의 외측 각 코너에 내측으로 코너 OSB 보드(23)와 그 코너 OSB 보드(23)의 표면에 통상적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전술한 인조석이 접착되는 코너 표시패널(24)과, 상기 코너 표시패널(24)의 반대 측 내측 코너에 상기 각 측 프레임(22)의 끝단과 연결되는 사각형 형태의 통상적인 모서리 프레임(26)과, 상면과 밑면에 상기 인입홈(22A)의 깊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한글 자음이 기억("ㄱ") 자 형태의 코너 결합홈(27A)이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27)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27)에 형성되는 주입홀(27B)에 의해 상기 측 프레임(22)과 코너 OSB 보드(23) 및 마감 플레이트(27)의 내부에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코너 단열패널(28)을 포함한다.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는 전술한 마감패널의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마감패널의 기술적 구성과 거의 대등소유한 구조를 가지나, 그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상 내측 코너에 형성되는 모서리 프레임은 마감패널의 내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는 코너 단열패널을 형성함과 아울러, 통상적인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연결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In other words, the corner connec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above-described finishing panel, which have a structu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panel, but are formed at the inner corner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edge frame serves to support the inner edge of the finishing panel. The finishing plate is formed to form a corner insulation panel, and to secure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conventional Hangul consonant ("a") shape.
또한, 상기 코너 OSB 보드(23)에 코너 단열패널(28)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코너 OSB 보드(23)를 통과하여 코너 표시패널(24)의 이면과 맞닿아 그 코너 OSB 보드(23)와 코너 표시패널(2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23A)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과공은 전술한 관통공과 동일한 역할을 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foamed urethane foamed by the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마감패널은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모서리 부분 또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마감패널과 셋트화 된 상태의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y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corner portion is also matched exactly, not only excellent workability, but also particularly has a condition of being set with the finishing panel.
아울러, 본 발명 마감패널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그 사이에 중간에 걸림턱이 형성된 통상적인 편 형태의 연결 고정구(C1)로 연결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직교되는 부분에는 통상적인 알파벳 티("T") 자 형태의 연결 고정구(C2)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is fixed with a connecting piece (C1) of the conventional one-piece form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cking jaw between them, the portion is orthogonal to the por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It is connected and fixed by a connecting fixture C2 in the form of a tee ("T").
이로써, 본 발명의 마감패널은 시공하는 과정에서 그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파이프가 골조와 같은 역할을 겸함에 따라 별도의 골조 없이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핸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경제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진다. As a result, the finish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without a separate frame as the connection pipe interposed therebetween acts as a fram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not only excellent construction, but also convenience of work enhancement. Economics also have excellent conditions.
더욱이, 노출되는 부분은 인조석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외관도 미려한 조건을 가진다. Moreover, the exposed part is formed by artificial stone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condition.
또한, 마감패널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모서리 연결부재에 의해 세트화된 형태로 시공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In addition, as it is constructed in a set form by the corner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finish panel also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ense of unity as a whole.
1 : 마감패널
12 : 내측 OSB 보드 13 : 측면 프레임
13-1 : 모서리 브래킷 13A : 연결 홈
13B : 충진홀 14 : 외측 OSB 보드
14A : 관통공 16 : 단열패널
18 : 표시패널
2 : 모서리 연결부재
22 : 측 프레임 22A : 인입홈
23 : 코너 OSB 보드 23A : 통과공
24 : 코너 표시패널 26 : 모서리 프레임
27 : 마감 플레이트 27A : 코너 결합홈
27B : 주입홀 28 : 코너 단열패널 1: Finishing panel
12: inside OSB board 13: side frame
13-1:
13B: Filling Hole 14: Outside OSB Board
14A: through hole 16: insulation panel
18: display panel
2: corner connecting member
22:
23:
24: corner display panel 26: corner frame
27: finishing
27B: injection hole 28: corner insulation panel
Claims (5)
상기 마감패널은 소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내,외측 OSB 보드;
상기 내,외측 OSB 보드(Oriented strand board) 사이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각각의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충진홀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
상기 충진홀을 통하여 내,외측 OSB 보드와 측면 프레임의 내부에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외측 OSB 보드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조석이 부착되는 표면패널;을 포함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 A finishing panel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on the inner wall, outer wall or ceiling of a building,
The finishing panel includes a pair of inner and outer OSB boards provided on both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ide frame including at least one filling hole formed in the middle and bent at least once on each sid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OSB boards;
Insulation panel is formed by the flame-retardant foam urethane i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OSB board and the side frame through the filling hole; And
And a surface panel to which at least one artificial stone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uter OSB board.
상기 외측 OSB 보드에 단열패널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외측 OSB 보드를 통과하여 표면패널의 이면과 맞닿아 외측 OSB 보드와 표면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prevent foaming urethane foamed by forming a heat insulation panel in the outer OSB board to pass through the outer OSB board to abut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panel to prevent the outer OSB board and the surface panel is separated. Building finish panel containing.
상기 마감패널의 각 끝단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에 상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연결홈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 The method of claim 1,
Building finishing panel further comprising a corner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to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on grooves formed in the side frame at each end of the finishing panel abut each other.
상기 모서리 연결부재는 각 마감패널의 각 끝단과 대응되는 각 면에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중간에 상기 연결파이프가 인입되는 각각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각각의 측 프레임, 상기 각 측 프레임의 외측 각 코너에 내측으로 코너 OSB 보드와 그 코너 OSB 보드의 표면에 인조석이 접착되는 코너 표시패널, 상기 코너 표시패널의 반대 측 내측 코너에 상기 각 측 프레임의 끝단과 연결되는 모서리 프레임, 상면과 밑면에 상기 인입홈의 깊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코너 결합홈이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주입홀에 의해 상기 측 프레임과 코너 OSB 보드 및 마감 플레이트의 내부에 난연성의 발포 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되는 코너 단열패널을 포함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 The method of claim 3,
The corner connecting members are bent at least once on each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end of each finishing panel, and each side frame having respective inlet grooves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pes are formed, and an outer angle of each side frame. A corner display panel to which artificial stone is bonded to a corner OSB board and a surface of the corner OSB board inward to a corner, a corner frame connected to an end of each side frame at an inner corner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orner display panel, a top and a bottom Flame-retardant foam urethane is foamed inside the side frame and the corner OSB board and the closing plate by a closing plate having a corner coupling groove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inlet groove and an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closing plate. Building finish panel comprising a corner insulation panel is formed.
상기 코너 OSB 보드에 코너 단열패널 형성에 따른 발포 형성되는 발포 우레탄이 상기 코너 OSB 보드를 통과하여 코너 표시패널의 이면과 맞닿아 그 코너 OSB 보드와 코너 표시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foamed urethane foamed by forming a corner insulation panel on the corner OSB board passes through the corner OSB board to abut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rner display panel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rner OSB board and the corner display panel. Finishing panel for buildings further comprising a through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436A KR102101272B1 (en) | 2018-02-06 | 2018-02-06 |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436A KR102101272B1 (en) | 2018-02-06 | 2018-02-06 |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832A true KR20190094832A (en) | 2019-08-14 |
KR102101272B1 KR102101272B1 (en) | 2020-04-16 |
Family
ID=6762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436A KR102101272B1 (en) | 2018-02-06 | 2018-02-06 |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127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215B1 (en) * | 2023-04-24 | 2024-09-20 |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 Wall panels for fire-resistant partition structures with fire-resistanc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9053A (en) * | 1997-11-27 | 1999-06-15 | Ig Tech Res Inc | Construction panel |
KR20000017084U (en) | 1999-02-12 | 2000-09-25 | 김기배 | Polyurethane panel |
KR20050033131A (en) * | 2003-10-06 | 2005-04-12 |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ior and exterior sandwich panel filled cellular concrete |
KR100777962B1 (en) | 2006-10-13 | 2007-11-21 | 송정환 | finishing panel manufactured by native rock for inner or outer wall of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30045987A (en) * | 2011-10-27 | 2013-05-07 | 문근환 | Wall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
KR101593953B1 (en) | 2015-09-18 | 2016-02-17 | 주식회사 다원에스엠피 | Building functional composite panel |
KR101709253B1 (en) | 2015-04-21 | 2017-02-23 | 홍훈희 | 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
2018
- 2018-02-06 KR KR1020180014436A patent/KR10210127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9053A (en) * | 1997-11-27 | 1999-06-15 | Ig Tech Res Inc | Construction panel |
KR20000017084U (en) | 1999-02-12 | 2000-09-25 | 김기배 | Polyurethane panel |
KR20050033131A (en) * | 2003-10-06 | 2005-04-12 |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ior and exterior sandwich panel filled cellular concrete |
KR100777962B1 (en) | 2006-10-13 | 2007-11-21 | 송정환 | finishing panel manufactured by native rock for inner or outer wall of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30045987A (en) * | 2011-10-27 | 2013-05-07 | 문근환 | Wall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
KR101709253B1 (en) | 2015-04-21 | 2017-02-23 | 홍훈희 | 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KR101593953B1 (en) | 2015-09-18 | 2016-02-17 | 주식회사 다원에스엠피 | Building functional composite pane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215B1 (en) * | 2023-04-24 | 2024-09-20 |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 Wall panels for fire-resistant partition structures with fire-resist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1272B1 (en) | 2020-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9319B1 (en) | Non-combustible exterior wall panel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07021B1 (en) | Light wight stone insulation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outer wall ornamental | |
JP5608017B2 (en) | Wooden pillar | |
CN108824648B (en) | Space modularized house | |
CN105102092A (en) |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 |
KR102039324B1 (en) | Fireproof parti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6463321B2 (en) | Panel unit and curtain wall provided with the same | |
US20080236086A1 (en) | Cavity Wall | |
KR100604411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artition with cavity wall using composition panels | |
CN104769195A (en) | Combined wall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01272B1 (en) |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s | |
KR100435045B1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Wall | |
CN214461591U (en) | Assembled peripheral wall panel of steel structural framework | |
KR20080059710A (en) | The assembling structure of refractory panel | |
CN203795671U (en) | Wall | |
JP2015001053A (en) | Fastening method of outdoor installation object | |
KR100555320B1 (en) | The open joint outer wall panel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5303722B2 (en) | Ceiling panel fixing device | |
KR200421529Y1 (en) | Prefabricated of Unit Cabin the Whole Construction | |
JP6353304B2 (en) | building | |
KR102535615B1 (en) | the improved outer pannel installing structure | |
KR20040016234A (en) | Insulating panel Fixing Fraim for Building | |
JP6043072B2 (en) | Seismic insulation insulation structure | |
KR20230133457A (en) | Art wall structure with uniform illuminance | |
CN207794294U (en) | A kind of right-angle array pane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