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983A -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 Google Patents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983A
KR20190090983A KR1020180009856A KR20180009856A KR20190090983A KR 20190090983 A KR20190090983 A KR 20190090983A KR 1020180009856 A KR1020180009856 A KR 1020180009856A KR 20180009856 A KR20180009856 A KR 20180009856A KR 20190090983 A KR20190090983 A KR 2019009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lower jaw
molars
cent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 히로미츠
Original Assignee
이료우호우징샤당 세이쇼우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료우호우징샤당 세이쇼우카이 filed Critical 이료우호우징샤당 세이쇼우카이
Priority to KR102018000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983A/ko
Publication of KR2019009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과제] 인상을 채득할 때, 환자에 대한 고통을 적게 하고,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을 적절히 채득한다.
[해결수단]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41)가 중앙부(11)와, 내측 벽부(212)와, 외측 벽부(31)를 구비하여, 외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내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중앙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12)과 외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32)과의 경계점인 외측 경계점(16)이, 중앙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12)과 내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22)과의 경계점인 내측 경계점(15)보다도, 중앙부의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외측 경계점 부근이나 외측 벽부의 단연부의 변이, 구강내의 아래턱 융기(101)나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의 표피에 닿는 일이 없어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인상을 높은 정밀도로 정확히 채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Impression tray for lower back teeth}
본 발명은,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통상 어금니라고 불리우고, 성인의 치아에 있어서는, 제3 뒤어금니, 제2 뒤어금니, 제1 뒤어금니, 제2 앞어금니를 의미하며, 소아의 치아에 있어서는 제2 아이 어금니, 제1 아이 어금니 등, 구강내의 입술쪽으로부터 구강 안쪽을 향하는 치열의 안쪽의 2~4 개의 치아를 덮는 길이로,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고 길이 방향으로 뻗은,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印象)을 뽑아 얻을(採得) 수 있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impression tray)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어금니는, 구강내의 치열, 턱의 골격 구조, 융기, 어금니의 형상, 치아의 방향, 길이, 너비 등의 치수의 차이에 기인한 개체의 차이가 크고, 천차만별이며, 3~5 종류의 기성품 인상 트레이로서 전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인상하는 것은 곤란하고, 기성품 인상 트레이의 치수나 형태로서는 치과 진료를 함에 있어서 만족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들 기성품의 인상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더구나, 아래턱 어금니를 치료하는 경우, 인상재를 인상 트레이에 넣은 후, 인상재가 아래 쪽을 향하도록 뒤집고 나서,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삽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삽입하여 위치를 잡을 경우, 인상재가 실린 인상 트레이가 시선상에 있어서, 시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어금니의 치열이 보이지 않는다. 그 위에, 위턱 어금니의 인상은, 인상재가 인상 트레이의 위에 실려 있기 때문에, 위턱 어금니로부터 인상 트레이를 조금 간격을 벌리면, 인상재에 형성된 인상을 직시할 수 있으나,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은, 시선상, 인상 트레이의 저면부가 인상재로 차단되어 전혀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손으로 더듬는 상태로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삽입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인상 채득을 정확하게 정밀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했던가 아닌가는, 치열 형이 완성된 후가 아니면 알 수 없고, 정밀도 좋게 인상을 채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재차 인상 채득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환자에게 재차 병원에 나올 것을 권하게 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다대한 손실이 된다.
결국, 경험과 직감에 의지하여, 눈짐작으로 어금니를 충분히 덮고 있다고 생각되는 위치까지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삽입하여 인상을 채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 채득을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종래의 인상 트레이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인상 트레이는, 플라스틱제이기 때문에 인상재(印象材)의 부상(浮上)이 일어나기 어렵게 하기 위해, 내벽의 단연부(端緣部)와 외벽의 단연부에 림(rim, 테두리)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인상재의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게 하기 위해, 바닥부로부터 내벽까지 연장되는 긴 구멍과 바닥부로부터 외벽까지 연장되는 긴 구멍을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인상 트레이의 요(凹)부에 인상재를 수용하고, 인상 채득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위턱과 아래턱을 연결하는 턱간 근육(顎間筋肉; 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협간 근육(頰間筋肉)이라고도 함]에, 아래턱 어금니(첨부 도면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62, 66, 67 해당)를 보면서, 어금니를 덮도록 눈짐작을 써서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손으로 더듬어 삽입하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상기 인상 트레이의 바닥부의 선단부와 내벽의 선단부의 결합 부분이라든가 인상 트레이의 바닥부의 선단부와 외벽의 선단부의 결합 부분이,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나 아래턱 융기(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에 해당)의 표피에 맞닿는다. 이렇게 맞닿는 것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특히, 강하게 맞닿으면 심한 고통을 준다)고 하는 과제의 존재와 문제점에 대하여는, 상기 특허문헌 1에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인상재 보지부가 내주벽부와 외주벽부에 더하여 어금니측의 단부를 인상재의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속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전체 턱 형의 위턱 치아 기성(旣成)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 트레이에 있어서는, 벽부의 결합 가장자리가 악제점막(顎堤粘膜)에 합치될 때 인상재 보지부의 내벽면 위턱 치아 및 턱받이 점막의 사이에 3mm 전후의 간격을 형성시킨다.
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의 인상재 보지부가 주위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구성이기 때문에, 인상재가 인상재 보지부의 밖으로 누설되어 목구멍으로 흘러가는 등의 좋지 않은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상 채득시에는, 트레이의 인상재 보지부의 속벽부를 어금니에 씌워서, 뒷벽부를 중심으로 트레이를 앞으로 당기도록 하여 회전시켜서 인상 채득 작업을 하기 때문에, 위턱 치아 기성 트레이를 수평으로 하여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어서, 환자 부담이 한 층 경감된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트레이의 인상재 보지부의 속벽부를, 아래 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顎間筋肉; 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아지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과제의 존재 및 문제점에 대하여는, 상기 특허문헌에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둥근 모양을 한 둥근 가장자리를 형성한 인상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 인상 트레이는 본체의 변의 가장자리 전체 또는 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둥근 가장자리를 형성함으로써, 치형의 인상을 채득할 때, 자주 환자를 고통스럽게 해온 종래의 결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상 트레이 본체의 변 가장자리를,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과제의 존재와 문제점에 대하여는, 상기 특허문헌에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의 인상 트레이는, 오로지 본체부와 자루부(柄部)의 취부 부분에 자석이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고, 인상 채득을 정밀도 좋게 이루고, 석고형을 정확히 제작하는 등, 당업자인 치공기사, 치과의료기구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치공기술면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본 출원의 목적과 다르다.
또한, 특허문헌 5는 U 자형이기 때문에, 아래턱 전체 치열의 인상 채득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아래턱 융기(첨부 도면 도 8,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 해당)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첨부 도면 도 8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3 해당)의 구강내의 특유한 문제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므로, 구강의 안 쪽에 강하게 밀어 넣으면,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8,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에 맞닿아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면서, 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제3 뒤어금니(사랑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를 포함하는 전체 아래턱의 치아의 인상을 채득하는 결점이 생긴다.
이러한 특허문헌 4, 5의 U 자형의 인상 트레이는, 사용시에 구강의 크기나 치열의 배열에 맞춘 U 자형 인상 트레이의 대, 중, 소의 선택은 있더라도, 원심측 부분의 형상을 임의로 바꾸어, 특허문헌 4의 도 3에 기재된 형상이 다른 I 자형의 인상 트레이에 응용한다고 하는 발상에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것이다.
나아가, 특허문헌 6은, 「비교적 대용적의 인상 채득 재료가 비교적 이동하지 않는 영역을 만들고, 그에 따라 또한 인상 채득 재료의 다른 부분은 얇게 된다. - - - 인상이 전체로서 정밀하지 않게 된다.」(일본 특개소 60-145132호 188 페이지 상단 7~15줄의 기재)라고 하는 기재로부터, 인상 재료의 이동에 의해 이상이 정밀하지 않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것이고, 아래턱 융기(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 해당)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下顎枝頰筋稜, 턱뼈 가지 깨물근 능선)(첨부 도면 도 8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3 해당)의 존재하고 하는 특유한 사정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인상 트레이는, 그 도 2의 기재와 같이, 완만히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이지만, 중앙부(11)의 앞쪽 변(13)과 길게 좌측으로 커브된 외측 벽부(17)의 앞쪽 변과의 경계에 있는 외측 경계점(10)은, 그 중앙부(11)의 그 앞쪽 변(13)과 그 짧게 왼쪽으로 커브된 내측 벽부(16)의 앞쪽 변과의 경계에 있는 내측 경계점보다 앞 쪽(구강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 구강내의 협간 근육,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이나 아래턱 융기의 표피측)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외측 경계점(10)의 모서리는, 예리하게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어서, 특허문헌 7에 기재된 인상 트레이로 가장 안에 있는 치아의 인상을 얻기 위해,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협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에, 인상 트레이의 중앙부의 앞쪽 변을 맞닿게 하면, 외측 경계점(10)의 모서리는 예리하게 뾰족한 형상이므로, 그 모서리가 상기 구강내의 협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첨부 도면 도 8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3 해당)나 아래턱 융기[턱뼈 혀돌기(下顎隆起); 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 해당]의 표피에 찔려들어가서,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
따라서, 그와 반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상 트레이의 중앙부의 앞쪽 변이 협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 해당)에 맞닿기에 앞서서 정지시켜서 인상을 채득하면, 인상재 보지부의 위치 결정이 불안정하게 되고, 재치된 인상재가 가장 안쪽 치아를 충분히 덮어씌우지 못하는 부정확한 위치에서 인상을 채득하여, 인상재가 경화되기까지 인상 트레이를 위치 결정하여 보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정확하고 정밀도 높게 인상을 채득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3-20825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3-27522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 2001-20474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2014-21015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개 2013-180090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개1985-145132호 공보 특허문헌 7 미국 특허 제01323832호
상기 특허문헌 1의 트레이에서는,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 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과제의 존재와 문제점에 대하여는, 모두 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가 된다.
특허문헌 2의 트레이에서는, 트레이의 인상재 보지부의 뒷벽부를 어금니에 씌워서, 뒷벽부의 중심에 트레이를 가깝게 당기도록 하여 회전시켜서 인상 채득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대문에, 위턱 치아 기성(旣成) 트레이를 수평으로 하여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고, 환자 부담이 한 층 경감되어 환자에 대한 고통을 개선하는 점에 있어서 일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의 트레이는, 전체 턱 형의 위턱 치아 기성 트레이로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트레이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없고, 턱 치아용의, 특히 어금니용 트레이로서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트레이는, 단지, 본체의 가장자리에 둥근 형의 둥근 가장자리를 형성했다는 것뿐으로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3의 트레이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없고, 턱 치아용의, 특히 어금니용 트레이로서는 적용할 수 없다.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 채득에 특유한, 환자에 대한 고통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트레이는, 본체부와 자루부(柄部)의 취부부에 자석이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만 오로지 설명하고 있고,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5는 U자형이기 때문에, 아래턱 전체 치열의 인상 채득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아래턱 융기(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에 해당)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첨부 도면 도 8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3에 해당)의 구강내의 특유한 문제점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강의 안으로 강하게 압입(押)하면,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아 환자에게 고통을 주면서 제1 뒤어금니(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67에 해당), 제2 뒤어금니(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66에 해당), 제3 뒤어금니(사랑니)(첨부 도면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62에 해당)를 포함하는 전체 아래턱의 치아의 인상 채득을 하게 되며,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6은, 인상 재료의 이동에 의해 인상이 정밀하지 못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턱 융기(첨부 도면 도 8, 도 9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1 해당)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첨부 도면 도 8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3에 해당)의 존재라고 하는 특유한 사정에 따라,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첨부 도면 도 9, 도 11에 기재된 도면 부호 102에 해당)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인상 트레이는, 그 도 2의 기재와 같이, 완만하게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이지만, 중앙부(11)의 앞쪽 변(13)과 길게 좌측으로 커브된 외측 벽부(17)의 앞쪽 변과의 경계에 있는 외측 경계점(10)은, 그 중앙부(11)의 앞쪽 변(13)과 짧게 좌측으로 커브된 내측 벽부(16)의 앞쪽 변과의 경계에 있는 내측 경계점보다 앞쪽(구강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 구강내의 턱간 근육,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이나 아래턱 융기의 표피측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외측 경계점의 모서리는, 예리하게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에, 그 인상 트레이의 중앙부의 앞쪽 변을 맞닿게 하면, 외측 경계점(10)의 모서리는, 예리하게 뾰족한 형상이기 때문에, 그 모서리가, 상기 구강내의 협간 근육,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이나 아래턱 융기의 표피를 찔러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에 맞닿게 하면(특히,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고 하는 아래턱 어금니 특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인상 채득 작업시에, 환자에게 주는 고통의 원인을 제거하고, 정밀도 높고 정확한 인상을 채득할 방법과, 그에 적합한, 어금니[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제3 뒤어금니(사랑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2개~4개분 정도의 길이로 내측에 약간 만곡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에 대하여 열심히 연구해 왔다.
즉, 사람의 좌측 아래턱에 나있는 좌측 치열군은, 입의 입술쪽에 있는 앞니쪽으로부터 구강내의 안으로 향해 완만하게 왼쪽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또한 인체의 우측 아래턱에 있는 우측 치열군은, 입술쪽에 있는 앞니쪽으로부터 구강내의 안으로 향해 완만하게 오른쪽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인상 트레이로 어금니쪽 치열의 가장 안쪽의 3개[사랑니가 있는 경우는 제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또는 사랑니가 발치되어 없는 경우는,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2), 제2 앞어금니(68)를 커버하는데는, 아래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인상재 보지부는,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완만한 커브를 그리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보지시키는 중앙부의 양 측부에 측벽부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잇몸의 내측에 위치시켜지는 내측 측벽부와 잇몸의 외측에 위치시켜지는 외측 측벽부를 비교하면, 면적이 내측 측벽부보다 외측 측벽부가 크게 되어 있다. 그런데도, 어금니에 인상 트레이를 세팅한 경우, 외측 측벽부의 앞쪽 변이 내측 측벽부의 앞쪽 변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사람의 아래턱 및 치열은, 도 8, 도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8은 아래턱부 전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이 솟아 있다. 도 9는 좌측 아래턱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사람의 어금니 3개[사랑니가 있는 경우에는, 제 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를 위에서 본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아래 턱뼈(100)의 중앙으로부터 내측에 치우친 위치에 어금니[제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3개가 늘어서 있다. 이 어금니 부분에 있어서, 잇몸 부분의 뼈에서는, 도 8, 도 9에 나타내듯이, 가장 안쪽 어금니인 제3 뒤어금니(62)의 외측 근방에는, 뼈인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이 있고, 그 표면은 표피, 얇은 살로 덮여 있고, 환자에 따라서는 그 근방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아래턱 융기(101)가 돋아나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어금니 3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인상 트레이를 세팅하면, 외측 측벽부의 앞족 변이 아래턱 융기(101)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을 덮고 있는 아래 턱뼈의 표피, 얇은 살과 접촉하고 구강에 닿아서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게 된다.
더구나, 아래턱의 가장 안쪽 어금니[제3 뒤어금니(62)]로부터 약간 안의 위치(102)로부터 위턱을 향해 턱간 근육(102)이 존재하고 있다. 이 턱간 근육(102)은, 도 10의 렌트겐 사진에, PL, PR로 나타나 있다. 이 때문에, 인상용 트레이의 손잡이부(17)를 잡고, 인상재를 재치시킨 인상재 보지부를 좌우의 아래 어금니의 방향으로 눈 짐작으로 삽입시켜서, 가장 안쪽 어금니로부터 약간 안의 위치에서 인상재 보지부의 선단부를, 턱간 근육(102)에 강하게 맞닿게 하면 환자는 고통을 호소한다.
환자가 고통을 호소할 때, 치과 의사는 인상용 트레이를 다시 치아의 방향으로 누른다거나(押壓) 안쪽으로 삽입하거나 하는 것을 주저하고, 그 위치에서 삽입을 정지하여, 그 위치에서의 인상을 채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삽입 부분의 도중에서, 인상 채득을 해버리면, 어금니를 인상재가 완전히 덮고 있지 않은 상태나 누르기가 부족한 상태가 많고, 정밀도가 좋은, 정확한 인상 채득이 곤란하다.
요컨대, 인상 채득의 대상인 아래턱 어금니의 제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의 치열군과,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102)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턱 어금니의 국부적인 인상 채득시의 특유의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상 트레이는, 특허 문헌 7에 도시되어 있는 인상 트레이의 형상이 나타내듯이, 오로지 인상 트레이 제조상의 효율을 중시하여, 만곡되어 있는 치열에 맞추어 타원형 호의 초점, 중심과 인상 트레이의 외측 벽부의 단부를 잇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위에 인상 트레이의 양 단부를 절단한 형상으로서, 만곡된 외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내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내측 벽부의 길이가 외측 벽부의 길이보다 짧은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가,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가 등장한 때로부터 오늘날까지, 장기간에 걸쳐, 제조, 판매되어 공급되어 왔다. 치과 의사는, 아무런 의문, 문제 의식을 갖지 않고, 그것이 당연한 형상으로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즉, 종래의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는, 환자의 천차만별한 개인차를 갖는 골격, 구강내의 구조, 뼈 융기, 턱간 근육, 치열의 배치, 치아의 방향, 제3 뒤어금니의 유무 등, 인상 채득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어금니는 물론, 그 이외의 주위 상황에 의해 좌우된다고 하는 특유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현재 상태로는,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고, 눈 짐작으로 어금니를 충분히 덮고 있다고 생각되는 위치까지 인상 트레이를 구강내에 삽입하여 인상을 채득하고 있다. 그러나, 경험이 적은 치과 의사가 인상 채득을 정밀도 좋게 정확하게 하려고 하여, 인상 트레이를 위치 결정하기 쉬운 턱간 근육(102)에 강하게 맞닿게 해버려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어버린다.
특히, 치열이 나쁘고, 치아의 방향이 제각각이라든지, 뼈의 융기가 현저한 환자나, 좌우 한 쪽의 제3 뒤어금니가 이미 발치되어 제2 뒤어금니까지 밖에 없고, 다른 쪽의 어금니 치열은 제3 뒤어금니까지 있는 경우에, 좌우의 어금니 각각에 대하여, 몇 주간 후에 인상을 채득하여 치료하는 경우나, 동일 환자라고 하여, 구강내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 동일한 인상 트레이를 사용하여 인상 트레이의 손잡이 레버를 회전시켜서 인상을 채득하는 경우, 또는, 인상 재료가 경화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위치 결정을 하려고 서두르면, 결과적으로, 턱간 근육(102)에 강하게 맞닿게 한다거나, 아래턱 융기(101)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을 덮고 있는 아래 턱뼈의 표피와 인상 트레이를 강하게 맞닿게 해버려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하여, 가능한 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도록 인상 채득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인상재가 재치된 인상 트레이를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지 않는 범위의 턱간 근육(102)의 근처까지 삽입하여, 아래턱 융기(101) 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을 덮고 있는 아래 턱뼈의 표피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어금니의 위로부터 눌러 내려서, 고정시켜 보지하여, 인상 채득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다, 어금니에 대하여 인상 트레이를 정확히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없고, 인상 채득에 실패하여, 재차 인상 채득을 하여 인상 재료를 헛되게 해버린다든가, 석고 모형, 치아를 만든 후에 인상 채득에 실패한 것에 신경이 쓰이는 때에는, 환자에게 재차 인상 채득을 위해 환자에게 재차 내원을 요청하게 되어, 시간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부담을 주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이,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 채득에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인상을 채득하는 것과, 정확하게 정밀도를 중시하여 한 번에 인상을 채득하는 것과 같이, 이율배반적인, 모순된 과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인상 트레이의 현상과 그에 내포되어 있는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상을 채득할 때, 환자에 대한 고통을 적게 하고, 또한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을 정밀도 좋고, 정확하게 채득할 수 있는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상 트레이는, 어금니 2~4개분을 덮는 길이로,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길이 방향으로 뻗고, 사용 상태에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결하는 턱간 근육에 맞닿는 변(12, 12A)이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에 있고, 손잡이부(17)를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부(11)와,
상기 중앙부의 너비 방향의 측방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에 연이은 변(22, 22A)을 각각 가진 내측 벽부)21)와,
그 내측 벽부(21)와 마주 보게 상기 중앙부(11)의 너비 방향의 옆쪽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에 연이은 변(32, 32A)을 가지는 외측 벽부(31)가, 각각 다수의 구명을 구비하여, 아래턱 어금니의 치열을 따라 완만하게 만곡되어 인상재를 보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인상재 보지부(41)를 구비하여, 좌우 어느 한 쪽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을 채득(採得)하는데 이용되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에 있어서,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41)의 상기 외측 벽부(3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내측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중앙부(11)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과 상기 외측 벽부(31)의 양쪽 단연부의 변(32, 32A)과의 경계에 있는 양쪽의 외측 경계점(16, 16A)이, 상기 중앙부(11)의 두 단연부의 변(12, 12A)과 상기 내측 벽부(21)의 두 단연부의 상기 변(22, 22A)의 경계에 있는 양측의 내측 경계점(15, 15A)보다도,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중앙부(11)의 너비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여 내측 경계점(15)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변(12)의 중점(12E)과 내측 경계점(15A)과 외측 경계점(16A)을 잇는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에 대하여, 상기 외측 경계점(16)의 한 쪽과 상기 내측 경계점(15)의 한 쪽의 사이를 잇는 직선(L3)이 이루는 예각 각도가,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상 트레이는,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앞쪽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과,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외측 경계점(160을 잇는 직선(L4)이 만드는 각도(θ31)가 30도 내지 70도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금니 2~4개분을 덮는 길이로,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길이 방향으로 뻗은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의 외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내측 벽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중앙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과 외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과의 경계점인 외측 경계점이, 중앙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과 내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과의 경계점인 내측 경계점보다도, 중앙부의 길이 방향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또한 중앙부의 너비 방향의 중앙을 통하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 경계점의 한 쪽과 내측 경계점의 한 족의 사이를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60도의 각도이기 때문에, 인상 채득의 사용 상태에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 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에, 중앙부의 한 쪽의 변이나 내측 경계점 부근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도, 외측 경계점 부근이나 외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의 부분이, 환자의 개인차가 큰 제3 어금니와 아래턱 융기(101)와의 거리에 좌우되지 않고,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를 덮고 있는 구강내의 표피에 닿는다든가, 찌르지 않고, 인상을 채득할 때에 환자에 대한 고통을 적게 하고, 또한 경험이 적은 치과의사이더라도 인상 트레이를 마구 구강내에 진입시키지 않고, 중앙부의 한 족의 단연부가,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턱간 근육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시켜서, 아래턱 어금니의 표면을 인상 트레이가 확실히 덮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을 정밀도 좋게, 정확히 채득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인상 트레이가 가지고 있는 이율배반적인, 모순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앞쪽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과,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직선(L4)이 만드는 각도(θ31)가 30도 내지 70도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상 채득의 사용 상태에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결하는 턱간 근육에, 중앙부의 한 쪽의 변이나 내측 경계점 부근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도, 외측 경계점 부근이나 외측 벽부의 한 쪽의 단연부의 변 부분이, 아래턱 융기(101)나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를 덮고 있는 구강내의 표피에 접촉하지 않아서, 인상을 채득할 때, 환자에 대한 고통을 적게 하고, 또한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을 정밀도 좋게 정확히 채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환자의 좌측 아래턱에 적용하는 본 발명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환자의 우측 아래턱에 적용하는 본 발명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인상재를 충전하는 상태로 한 때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를 적용할 환자의 우측 아래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본 발명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본 발명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본 발명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 사람의 아래 턱뼈와 아래턱의 치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좌측 아래 턱뼈의 어금니(3개)와 본 발명에 의한 인상 트레이로 인상을 채득하는 상태의 가상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 사람의 치아를 정면으로부터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사람의 구강 하측 어금니를 정면으로부터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1 내지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제1 실시예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는 환자의 좌(우)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되는 상태로부터 평면에 있어서 역방향으로(예를 들어, 180도) 회전시켜서 환자의 우(좌)의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인상 트레이(10)는, 어금니 2~4개분[제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제2 앞어금니(68)]을 덮어씌우는 길이로 내측에 약간 만곡되게 길이 방향으로 뻗으며, 아래턱 어금니에 대하여 인상재를 사이에 두고 씌워지도록 위치되게 되는 중앙부(11)를 구비한다. 인상재로서는, 실리콘 러버 인상재(silicon rubber impression material), 알지네이트 인상재(alginate impression material), 산화아연 유게놀 인상재(zinc-oxide eugenol impression material), 폴리설파이드 러버 인상재(polysulfide rubber impression material), 모델링 콤파운드(modeling compound) 또는 임프레션 콤파운드(impression compoun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아래턱 어금니의 인상을 채득하는 작업을 위해, 아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람의 구강의 아래쪽 어금니를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 11의 사시도 및 도 4에 있어서 왼쪽 아래 어금니의 목구멍쪽을 앞쪽이라고 하고, 목구멍쪽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입술쪽을 뒤쪽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41)의 중앙부(11)는, 평면 형상이 대체로 4변형 형상을 가지며, 사용 상태에서 턱간 근육에, 상기 4변형 형상의 앞쪽 변(12)이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8, 도 9에 환자의 좌측 구강내의 아래턱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사시도에 있어서, 아래 턱뼈(100)는,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의 아래 부분의 근방 내측에 제2, 제3 뒤어금니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에 따라서는, 다시 아래턱 융기(101)가 이들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위 턱뼈와 아래 턱뼈는, 위 턱과 아래 턱을 연락하는 턱간 근육(61, 102)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부(66)로 되어 있다. 아래턱 어금니의 사랑니(제3 뒤어금니)(62)는,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에 가장 근접해 있다.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는, 예를 들어, 어금니 3개분[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3 뒤어금니(62),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또는 제3 뒤어금니, 즉 사랑니를 기히 발치하여 없을 때는, 제2 뒤어금니(66), 제1 뒤어금니(67), 제2 앞어금니(68)]의 인상을 채득하는 것으로서, 중앙부(11)의 길이는 어금니의 평면 형상이 3개에 마진을 더하여 어금니 4개분 정도(30mm~60mm)의 치수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너비는, 1개의 어금니의 너비에 마진을 더해서 어금니 2개분 정도(15mm~25mm)의 치수로 할 수 있다.
중앙부(11)의 긴 변 2개중 하나는 내측 벽부(21)에 인접하는 경계(13)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부(11)에는, 경계(13)를 사이에 두고 직각 방향으로부터 약간 둔각으로 각도가 생기지 않도록 완만하게 절곡된 내측 벽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벽부(21)는, 평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 형상이고, 중앙부(11)의 앞쪽 변(12)에 연결되는 앞쪽 변(22)을 가지며, 중앙부(11)의 한 쪽[경계(13) 쪽]의 측방에 위치한다. 내측 벽부(21)의 높이는, 잇몸으로부터 어금니까지의 높이에 마진을 더한 18 mm ~ 20 mm 정도의 치수로 할 수 있다.
중앙부(11)의 긴 변 2개중 다른 하나는 외측 벽부(31)와의 경계(14)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부(11)에는, 경계(14)를 사이에 두고 직각 방향으로부터 약간 둔각으로 각도가 생기지 않도록 완만하게 절곡된 외측 벽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벽부(31)는, 평면 형상이 중앙부(11)쪽을 저변으로 하는 대략 받침대(臺) 형상이고, 중앙부(11)의 앞쪽 변(12)에 연결되는 앞쪽 변(32)을 가지며, 중앙부(11)를 사이에 두고(끼고) 내측 벽부(21)와 대향하는 쪽의 중앙부(11)의 측방에 위치한다. 외측 벽부(31)의 높이는, 상기 내측 벽부(21)의 높이와 같고, 잇몸으로부터 어금니까지의 높이에 마진을 더한 18 mm ~ 20 mm 정도의 치수로 할 수 있다.
중앙부(11)의 상기 앞쪽 변(12)과 내측 벽부(21)의 상기 앞쪽 변(22)의 내측 경계점(15)으로부터 내측 벽부(21)의 상기 앞쪽 변(22)은 그 단연부의 모서리(22E)를 향하여 뒤쪽으로 뻗어 있다. 또한, 중앙부(11)의 상기 앞쪽 변(12)과 외측 벽부(31)의 상기 앞쪽 변(32)의 경계점(16)으로부터, 외측 벽부(31)의 앞쪽 변(32)은 그 단연부의 모서리(32E)를 향하여 뒤쪽으로 뻗어 있다.
상기 중앙부(11)의 상기 앞쪽 변(12)과 상기 외측 벽부(31)의 앞쪽 변(32)의 경계점인 외측 경계점(16)이, 상기 중앙부(11)의 상기 앞쪽 변(12)과 상기 내측 벽부(21)의 앞쪽 변(22)의 경계점인 내측 경계점(15)으로부터 뒤쪽에 존재한다. 또한, 외측 벽부(3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내측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중앙부(11)의 양쪽의 단연부의 변(12, 12A)과 외측 벽부(31)의 양쪽의 단연부의 변(32, 32A)과의 경계에 있는 양쪽의 외측 경계점(16, 16A)이, 중앙부(11)의 양쪽의 단연부의 변(12, 12A)과 내측 벽부(21)의 양쪽의 단연부의 변(22, 22A)의 경계에 있는 양쪽의 내측 경계점(15, 15A)보다도, 중앙부(11)의 길이 방향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기 중앙부(11)의 앞쪽 변(12), 상기 내측 벽부(21)의 앞쪽 변(22) 및 상기 외측 벽부(31)의 앞쪽 변(32)은, 각각 앞쪽을 향하여 철(凸) 형상이고, 완만하게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은, 턱간 근육(61,102)및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에 맞닿은 때에 고통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1, 도 2의 형상과 달리 앞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내측 벽부(21)의 경계(13)와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외측 벽부(31)의 경계(14)가, 어금니의 잇몸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의 외주연부는, 환자의 치열의 곡선에 따라 치과의사가 인상 트레이를 그때마다 접거나, 구부리거나, 또는 인상 트레이의 제조시에 미리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선단에 둥근 가장자리(19)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에서는, 상기 중앙부(11)의 대략 중앙 위치에, 시술시에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7)가 지지되어 있다. 손잡이부(17)는, 상기 중앙부(11)의 대략 중앙 위치에, 예를 들어 리벳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7)는, 아래와 같이 평면에서 역방향으로(예를 들어, 180도 또는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는, 도 1의 상태에서는, 환자의 좌측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상태로부터 손잡이부를, 예를 들어, 180도 회전시켜서, 도 2의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환자의 우측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만곡된 중앙부(11)와 상기 내측 벽부(21)와 상기 외측 벽부(31)의, 각각의 앞쪽 변(12, 22, 32)과 반대쪽의 단연부에는, 상기 각각의 앞쪽 변(12, 22, 32)과 마찬가지로 변(12A, 22A, 32A)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된 중앙부(11)와 상기 내측 벽부(21)와 상기 외측 벽부(31)의 방향을, 예를 들어,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변(12A, 22A, 32A)의 부위를 현재 적용중인 아래턱의 좌우 어느 쪽의 반대쪽의 아래턱 어금니에 대해 적용한 경우, 상기 변(12A, 22A, 32A)이 상기 앞쪽 변(12, 22, 32)으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하면, 도 1의 상태에서 앞쪽 변(12, 22, 32)을 앞으로 하여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고, 좌측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평면에서 이러한 상태의 손잡이부(17)를, 예를 들어, 180도 회전시키고, 변(12A, 22A, 32A)을 앞으로 하여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여, 우측 아래턱 어금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는, 스텐레스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에 있어서는, 만곡된 상기 중앙부(11), 상기 내측 벽부(21), 상기 외측 벽부(31)는, 각각 다수의 구명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망(網)에 의해 구성되어, 망목(網目, 그물 눈)이 구명의 기능을 한다. 만곡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내측 벽부(21)와 상기 외측 벽부(31)에 의해 형성되는 요(凹)부를 인상재 보지부(41)(도 3)로 하여 인상재를 보지시켜서, 인상 채득 작업을 한 경우, 인상재가 상기 망목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에 고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7)를 치과의사 등이 잡고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를 치아로부터 당겨서 빼내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인상 채득후의 인상재를 형태가 무너지는 등으로 함이 없이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와 함께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멍은,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둥근 구명이나 장공을 조합시킨 구멍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에서는, 망목을 생략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11)에 그은 내측 경계점(15)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변(12)의 중점(12E)과 내측 경계점(15A)과 외측 경계점(16A)을 잇는 변(12A)의 중점(12F)을 이은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과 상기 내측 벽부(212)의 앞쪽 변(22)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그은 직선(L2)이 이루는 제1 예각 각도(θ11)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로 되게 수 있다. 또한, 망목을 생략한 도 6에 나타내듯이, 내측 경계점(15)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변(12)의 중점(12E)과 내측 경계점(15A)과 외측 경계점(16A)을 잇는 변(12)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과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내측 경계점(15)과 외측 경계점(16)의 사이를 잇는 직선L3)이 이루는 제2 예각 각도(θ21)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로 되게 수 있다.
또한, 망목을 생략한 도7의 도시와 같이,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앞쪽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실제로는, 만곡된 타원형 호의 중심선)(L1)과,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상기 중점(12E)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직선(L4)이 만드는 각도(θ31)가 30도 내지 70도의 범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10)를 이용하여, 만곡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내측 벽부(21)와 상기 외측 벽부(31)에 의해 형성되는 ?부를 인상재 보지부(41)(도 3)로 하여 인상재를 보지시킨다. 그 다음에, 이것을 뒤집어서 도 1의 상태로 하고, 앞쪽 변(12, 22, 32)측을 앞으로 하여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여, 인상 채득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때,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을 턱간 근육(61, 102)에 가볍게 맞닿게 하게 되지만, 앞쪽 변(12) 앞쪽 변(32) 사이의 외측 경계점(16)은, 내측 경계점(150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즉, 만곡된 외측 벽부(3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만곡된 내측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서, 중앙부(11)의 양 쪽의 단연부의 변(12, 12A)과 외측 벽부(31)의 양 쪽의 단연부의 변(32, 32A)과의 경계에 있는 양 쪽의 외측 경계점(16, 16A)이, 중앙부(11)의 2개의 단연부의 변(12, 12A)과 내측 벽부(21)의 2개의 단연부의 변(22, 22A)의 경계에 있는 양 쪽의 내측 경계점(15, 15A)보다도, 중앙부(11)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 8, 도 9의 인상 트레이의 삽입 위치 가상선으로 나타내듯이, 외측 벽부(31)의 앞쪽 변(32)이 도 4의 잇몸(63)과 볼살(64)의 연결부(65)나 도 9에 도시된 구강내의 아래턱 융기(101)나, 도 8에 도시된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103) 주변의 구강내의 표피에 맞닿지 않아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다.
또한, 내측 경계점(15)으로부터는 내측 벽부(21)의 앞쪽 변(22)이 연장되어 있어서, 내측 벽부(21)는 외측 벽부(31)에 비해 입안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있어서, 사랑니인 제3 뒤어금니(62)의 하부 내측의 잇몸보다 안에는, 내측 벽부(21)의 앞쪽 변(22)이 맞닿는 근육 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다. 그리하여,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을 턱간 근육(61, 102)에 맞닿게 한 때, 앞쪽 변(12)보다도 내측의 중앙부(11)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제3 뒤 어금니(62)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위치에 인상재를 보지시켜서 어금니(62)의 인상을 확실히 정밀도 좋게 채득할 수 있다.
10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11 중앙부
12、12A、22,22A,32,32A 앞쪽 변(邊)
12E, 12F 중점
13、14 경계
15 내측 경계점
16 외측 경계점
17 손잡이부
19 둥근 가장자리
21 내측 벽부
22E、32E 단연부의 모서리
31 외측 벽부
41 인상재 보지부
61 턱간 근육
62 어금니(제3 뒤어금니)(사랑니)
63 잇몸
64 볼살
65 연결부
66 어금니(제2 뒤어금니)
67 어금니(제1 뒤어금니)
68 제2 앞어금니
101 아래턱 융기
102 턱간 근육
103 아래턱 가지 협근 능선

Claims (2)

  1. 어금니 2~4개분을 덮는 길이로,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길이 방향으로 뻗고, 사용 상태에서 아래턱 어금니의 안쪽의 위턱 및 아래턱을 연결하는 턱간 근육에 맞닿는 변(12, 12A)이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에 있고, 손잡이부(17)를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부(11)와,
    상기 중앙부의 너비 방향의 측방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에 연이은 변(22, 22A)을 각각 가지는 내측 벽부(21)와,
    그 내측 벽부(21)와 마주보게 상기 중앙부(11)의 너비 방향의 옆쪽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에 연이은 변(32, 32A)을 가지는 외측 벽부(31)가, 각각 다수의 구명을 구비하여, 아래턱 어금니의 치열을 따라 완만하게 만곡되어 인상재를 보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인상재 보지부(41)를 구비하여, 좌우 어느 한 쪽의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을 채득하는데 이용되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에 있어서,
    만곡된 인상재 보지부(41)의 상기 외측 벽부(3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내측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중앙부(11)의 양쪽의 단연부의 상기 변(12, 12A)과 상기 외측 벽부(31)의 양쪽의 단연부의 변(32, 32A)과의 경계에 있는 양쪽의 외측 경계점(16, 16A)이, 상기 중앙부(11)의 두 단연부의 앞쪽 변(12, 12A)과 상기 내측 벽부(21)의 두 단연부의 상기 변(22, 22A)의 경계에 있는 양측의 내측 경계점(15, 15A)보다도, 상기 중앙부(11)의 길이 방향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중앙부(11)의 너비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여 내측 경계점(15)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변(12)의 중점(12E)과 내측 경계점(15A)과 외측 경계점(16A)을 잇는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L1)에 대하여, 상기 외측 경계점(16)의 한 쪽과 상기 내측 경계점(15)의 한 쪽의 사이를 잇는 직선(L3)이 이루는 예각 각도(θ21)가, 30도 내지 60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상기 중앙부(11)의 앞쪽 변(12A)의 중점(12F)을 잇는 직선(L1)과, 상기 중앙부(11)의 앞쪽 변(12)의 중점(12E)과 외측 경계점16)을 잇는 직선(L4)이 이루는 각도(θ31)가 30도 내지 70도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KR1020180009856A 2018-01-26 2018-01-26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KR20190090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56A KR20190090983A (ko) 2018-01-26 2018-01-26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56A KR20190090983A (ko) 2018-01-26 2018-01-26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83A true KR20190090983A (ko) 2019-08-05

Family

ID=6761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56A KR20190090983A (ko) 2018-01-26 2018-01-26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983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3832A (en) 1919-12-02 Touted statm parentoffice
JPS60145132A (ja) 1983-12-10 1985-07-31 ヨーゼフス、シユライネマーカース 歯列を有する人の顎用の印象トレイ
JP2001204744A (ja) 2000-01-25 2001-07-31 Shoji Kishigami 縁取りした印象トレー
JP2003275225A (ja) 2002-03-26 2003-09-30 Takeshi Kato 上顎歯牙既成トレー
JP2013180090A (ja) 2012-03-02 2013-09-12 Gc Corp 下顎用の印象用トレー
JP2013208258A (ja) 2012-03-30 2013-10-10 Gc Corp 局部用印象用トレー
JP2014210150A (ja) 2013-04-18 2014-11-13 中辻 勇志 磁石あるいは磁性体を利用した固定装置を具備する歯科印象用トレ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3832A (en) 1919-12-02 Touted statm parentoffice
JPS60145132A (ja) 1983-12-10 1985-07-31 ヨーゼフス、シユライネマーカース 歯列を有する人の顎用の印象トレイ
JP2001204744A (ja) 2000-01-25 2001-07-31 Shoji Kishigami 縁取りした印象トレー
JP2003275225A (ja) 2002-03-26 2003-09-30 Takeshi Kato 上顎歯牙既成トレー
JP2013180090A (ja) 2012-03-02 2013-09-12 Gc Corp 下顎用の印象用トレー
JP2013208258A (ja) 2012-03-30 2013-10-10 Gc Corp 局部用印象用トレー
JP2014210150A (ja) 2013-04-18 2014-11-13 中辻 勇志 磁石あるいは磁性体を利用した固定装置を具備する歯科印象用トレ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098B2 (ja) 下顎前突症のiii級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口腔用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137414B (zh) 确定目标牙列布局的方法和系统
EP3034034B1 (en) Trays for impression
KR20050004257A (ko)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EP3474771B1 (en) Methodology for the realization of an orthodontic function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ies
CN216167947U (zh) 埋伏牙牵引装置
Huggins et al. The eruption of lower third molars following the loss of lower second molars: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KR200493238Y1 (ko) 구강경유 갑상선 수술을 위한 안전 장치
Ruan et al. Comparison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based on implant superimposition
Camardella et al. Agreement in the determination of preformed wire shape templates on plaster models and customized digital arch form diagrams on digital models
KR20190090983A (ko) 아래턱 어금니용 인상 트레이
JP6268376B1 (ja) 下顎奥歯用印象トレー
RU2454180C1 (ru) Способ нахождения оси головки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пациента
RU2154440C1 (ru) Каппа для лечения парафункций жевательных мышц
TWI633875B (zh) 根尖切除手術導板製造方法、系統及電腦可讀取紀錄媒體
RU2727580C1 (ru) Способ мандибулярной анестезии
TWM398411U (en) Rectification implant positioning device
RU2719920C1 (ru) Способ ортопед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ей
US11596497B1 (en) Bite block with a needle alignment attachment system
RU1762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окклюзии челюстей
RU187360U1 (ru) Оттискная перфорированная ложка для нижней челюсти
TWM485707U (zh) 全口義齒之取模牙托結構
CN115645142A (zh) 数字化阻鼾器的制造方法及阻鼾器
BR202021015868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lima endodôntica de corpo unitário
US2091092A (en) Dental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