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002A -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002A
KR20190084002A KR1020190075721A KR20190075721A KR20190084002A KR 20190084002 A KR20190084002 A KR 20190084002A KR 1020190075721 A KR1020190075721 A KR 1020190075721A KR 20190075721 A KR20190075721 A KR 20190075721A KR 20190084002 A KR20190084002 A KR 2019008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vehicle
server system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002A/ko
Publication of KR2019008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002A/ko
Priority to US16/552,348 priority patent/US111028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로서,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이다.

Description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과 이용자 간 통신 상태를 확인 또는 예측하고, 확인 또는 예측된 통신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차량과 이용자 간의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 또는 라이드 쉐어링(Car/Ride Sharing)은 1대 혹은 다수의 차량을 여러 이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각 이용자가 필요한 시간에만 차량을 점유 및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시간에는 차량의 점유를 해제함으로써 차량 구입비, 차량 운영비, 차량 유지비 등을 절약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차량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한국등록특허 제1626494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상호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차량 설치 카쉐어링 통합 단말기와 카쉐어링 관제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626494호에 개시된 카쉐어링 통합 단말기는, 차량 주행 시 실시간 운영체제로 내비게이션을 연동시켜 차량 주행정보를 안내하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카쉐어링 관제서버와의 무선 통신으로 차량의 배터리 전압 및 비인가 탈거여부의 감시 정보, 차량 주행에 따른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를 카쉐어링 관제서버에 제공하고, 차량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카쉐어링 관제서버는, 인터넷 또는 모바일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의 카쉐어링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차량 조회 및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 가능한 차량 정보와 그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제시하고, 이용자에 의한 차량 예약 여부를 확인하여 그 예약 확인된 차량의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아울러 예약 확인된 차량 내에 탑재된 카쉐어링 통합 단말기로 해당 예약 정보를 무선 송신하며, 카쉐어링 통합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차량의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 이력 정보 및 초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 요금을 정산하고, 정산된 요금을 해당 이용자의 RF 카드를 통해 추후 일괄 청구하거나 즉시 결제 처리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 공유 방법에 의하면, 메인 서버인 카쉐어링 관제서버의 오작동 시 또는 이동 통신망 장애 시 이용자가 사용 가능한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서버 복구 또는 이동 통신망 복구 시까지 차량 공유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상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자가 차량 배정 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의 오작동 및 이동 통신망 장애 중에도 차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2649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의 원인이었던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자와 차량 간 이동 통신망 기반의 서버를 통한 통신만을 제공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배정 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의 오작동 또는 이동 통신망 장애 중에도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자와 차량 간에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의 오작동 또는 이동 통신망 장애 중에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직접 통신 연결이 이루어 지는 경우,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연결이 보장되는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다양한 상황 하에 상호 통신 연결을 보장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 장치 간에 이동 통신망 기반의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을 통한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드 외에, 이동 통신망 또는 서버 시스템 장애 시 사용자 단말과 차량 장치 간의 직접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드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 단말과 차량 장치 간의 통신의 연속성 및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로서,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의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와 연결되어 V2I(Vehicle to Infra) 프로토콜 및 V2N(Vehicle to Network)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ITS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TS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ITS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접한 RSU(RoadSide Unit)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보유한 이용자의 탑승 가능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 시스템과 연결된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의 로컬 디스크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차량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과금 정보를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장치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로서, 영상 및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의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와 연결되어 P2N(Pedestrian to Network)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ITS 통신부와, 상기 ITS 서버(5000)와 연결된 RSU(RoadSide Unit)와 연결되어 P2I(Pedestrian to Infra)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P2I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TS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ITS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장치가 인접한 RSU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 시스템과 연결된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의 로컬 디스크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차량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과금 정보를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 및 차량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수단과,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 및 차량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수단과,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시 차량 배정 후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배정 차량과 이용자 간에 통신이 지원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차량과 이용자 간 직접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시 다양한 상황 하에서도 직접 통신 연결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정 차량과 이용자 간의 직접 통신을 통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에 의한 통신 속도 저하를 극복함으로써 차량 측에서는 이용자의 변경 사항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고 이용자도 차량 공유를 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정 차량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간의 통신 상태에 장애가 있는 중에도 과금에 필요한 히스토리 정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고, 통신 재개 후에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서버 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통신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과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1000), 사용자 단말(2000), 서버 시스템(3000), V2N(Vehicle to Network) 서버 및 복수개의 RSU(Road Side Unit)(4201, 4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및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를 구비한 차량(1000)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으며,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에서 매뉴얼 모드로 전환되거나 매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1000)은 주행 상황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에서 매뉴얼 모드로 전환되거나 매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상황은 차량 통신부(1100)에 의해 수신된 정보, 오브젝트 검출부(1400)에 의해 검출된 외부 오브젝트 정보 및 내비게이션부(1800)에 의해 획득된 내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차량(10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차량(1000)은 주행, 출차, 주차 동작을 제어하는 운행부(1700)의 제어에 따라 운행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0)이 매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차량(1000)은 운전자의 운전 조작부(150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운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0)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차량 통신부(1100), 차량 제어부(1200),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 오브젝트 검출부(1400), 운전 조작부(1500), 차량 구동부(1600), 운행부(1700), 내비게이션부(1800) 및 차량 저장부(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도 2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 통신부(110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서버 시스템(3000)으로부터 서버 신호를 수신하며, 서버 시스템(3000)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1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사용자 단말(2000)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1100)는, 무선 통신부(1110), V2X 통신부(1120) 및 ITS 통신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통신부(1100)는, 도 2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통신부(110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10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 또는 서버 시스템(3000)과 상호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사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무선 통신부(1110)는, 차량(10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특정 정보를 5G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정보는 자율 주행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관련 정보는, 차량의 주행 제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관련 정보는 차량 주변의 오브젝트를 지시하는 오브젝트 데이터, 맵 데이터(map data), 차량 상태 데이터, 차량 위치 데이터 및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driving plan dat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관련 정보는 자율 주행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입력된 목적지와 차량의 안정 등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5G 네트워크는 차량의 원격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5G 네트워크는 자율 주행 관련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5G 네트워크는 원격 제어와 관련된 정보(또는 신호)를 자율 주행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자율 주행 차량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신호일 수도 있고, 나아가 자율 주행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차량은, 5G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를 통해 주행 경로 상에서 선택된 구간별 보험과 위험 구간 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자율 주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V2X 통신부(1120)는, 무선 방식으로 RSU(Road Side Unit)(V2I: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또는 사용자 단말(2000)(V2P: Vehicle to Pedestrian)과 상호 신호를 송수신한다. V2X 통신부(112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사용자 단말(2000)과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1120)는,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V2X 통신부(1120)는, 공개키(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인증을 통하여 일 대 일(Direct) 연결을 수립한 사용자 단말(2000)과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증 및 연결의 상세한 절차에 관해서는 3GPP TS 23.303의 5.4.5.2절 (Establishment of secure layer-2 link over PC5)에 개시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또한, V2X 통신부(1120)는, 공개키 인증 후, eNB(evolved Node B)를 경유하여 간접적(Indirect)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0)과 LTE-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연결의 상세한 절차에 관해서는 3GPP TS 23.401에 제시된 SIPTO@LN(Selected IP Traffic Offload at Local Network)에 개시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통신부(1130)는,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5000)와 연결되어 V2I(Vehicle to Infra) 프로토콜 및 V2N(Vehicle to Network)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TS 통신부(1130)는,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부(113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제어부(12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서버 신호의 품질에 따라 서버 시스템(3000)과의 통신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차량 통신부(1100)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서버 시스템(3000)과 수초 이상 신호 송수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1200)는,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 통신부(11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를 통하여 제1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차량 통신부(1100)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이용자는 과금되는 이동 통신망(LTE, 5G 등)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통신 모드 대신 사용자 단말(2000)과의 직접 통신이 지원되는 제1 통신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LTE-Uu 인터페이스의 외부 인프라를 통한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접속 불가 상황인 경우 차량 통신부(1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LTE-Uu 인터페이스에서 PC5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ITS 통신부(1130)를 통하여 ITS 서버(50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0)이 인접한 RSU(4202)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가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위와 같이 산출된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참조하여 차량(1000)이 사용자 단말(2000)과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사용자 단말(2000)이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사용자 단말(2000)에서 지원되는 V2P 통신의 최대 길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차량 통신부(1100),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 또는 차량 저장부(190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0)의 도착 예정 장소와 차량(1000) 간의 거리가 사용자 단말(2000)이 V2P 통신 가능한 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제1 통신 모드로 사용자 단말(20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 통신부(1100)가 탑재된 차량(1000)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2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0)을 보유한 이용자의 탑승 가능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의 V2X 통신부(1120)를 통하여 타 차량, 예를 들면, 앞서 주행하다 사고가 발생한 차량으로부터 안전 메시지(Safe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운행부(1700)에 의해 차량(1000)을 우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는, 차량(1000)과 차량 이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것으로, 이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차량 제어부(1200)로 전달하며, 차량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에게 차량(1000)이 보유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는, 입력부, 내부 카메라, 생체 감지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브젝트 검출부(1400)는, 차량(10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브젝트 정보를 차량 제어부(1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는 차량(10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 예를 들면, 차선, 타 차량, 보행자, 이륜차, 교통 신호,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부(1500)는, 매뉴얼 모드에 있어서 차량(1000) 운행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조향 입력부, 가속 입력부 및 브레이크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구동부(1600)는, 차량(1000) 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파워 트레인 구동부, 샤시 구동부, 도어/윈도우 구동부, 안전 장치 구동부, 램프 구동부 및 공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행부(1700)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차량(10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고, 주행부, 출차부 및 주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비게이션부(1800)는, 차량 제어부(1200)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80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800)는, 내장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외부 신호, 예를 들면, 차량 제어부(1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저장부(1900)는, 차량 제어부(1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량 저장부(1900)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각 부에 대한 기본 데이터, 통신 모드 전환 장치 각 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저장부(190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차량 저장부(1900)는 차량 제어부(120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저장부(1900)는, 차량 제어부(1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차량 제어부(1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0)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0)은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0) 측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단말 통신부(2100), 단말 제어부(2200),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 및 단말 저장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드 전환 장치는, 도 3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서버 시스템(3000)으로부터 서버 신호를 수신하며, 서버 시스템(3000)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0)는, 차량(10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1000)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차량(1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0)는, 무선 통신부, P2X(Pedestrian to Everything) 통신부 및 ITS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 통신부(2100)는,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통신부(210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는, GPS 모듈 또는 D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0) 또는 서버 시스템(3000)과 상호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사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로는, CDMA 시스템, FDMA 시스템, TDMA 시스템, OFDMA 시스템, SC-FDMA 시스템, MC-FDMA 시스템 등이 있다.
P2X 통신부는, 무선 방식으로 RSU(P2I), 차량(1000)(V2P)과 상호 신호를 송수신한다. P2X 통신부는, 인프라와의 통신(P2I), 차량과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P2X 통신부는,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P2X 통신부는, 공개키 인증을 통하여 일 대 일(Direct) 연결을 수립한 차량(1000)과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증 및 연결의 상세한 절차에 관해서는 3GPP TS 23.303의 5.4.5.2절 (Establishment of secure layer-2 link over PC5)에 개시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또한, P2X 통신부는, 공개키 인증 후, eNB(evolved Node B)를 경유하여 간접적(Indirect)으로 연결된 차량(1000)과 LTE-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연결의 상세한 절차에 관해서는 3GPP TS 23.401에 제시된 SIPTO@LN(Selected IP Traffic Offload at Local Network)에 개시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ITS 통신부는,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 서버(5000)와 연결되어 P2I(Pedestrian to Infra) 프로토콜 및 P2N(Pedestrian to Network)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TS 통신부는,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부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제어부(2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서버 신호의 품질에 따라 서버 시스템(3000)과의 통신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단말 통신부(2100)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서버 시스템(3000)과 수초 이상 신호 송수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2200)는,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 통신부(21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를 통하여 제1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단말 통신부(2100)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 사용자는 과금되는 이동 통신망(LTE, 5G 등)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통신 모드 대신 차량(1000)과의 직접 통신이 지원되는 제1 통신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LTE-Uu 인터페이스의 외부 인프라를 통한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접속 불가 상황인 경우 단말 통신부(2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LTE-Uu 인터페이스에서 PC5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ITS 통신부를 통하여 ITS 서버(5000)로부터 차량(1000)이 인접한 RSU(4202)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속성 정보에 따라 차량(1000)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가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차량(1000)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차량(1000)이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차량(1000)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차량(1000)에서 지원되는 V2P 통신의 최대 길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단말 통신부(2100),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 또는 단말 저장부(240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0)의 도착 예정 장소와 사용자 단말(2000) 간의 거리가 사용자 단말(2000)이 V2P 통신 가능한 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차량(1000)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차량(1000)으로부터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의해 단말 통신부(2100)를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제1 통신 모드로 차량(10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차량(100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단말 통신부(2100)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2000)의 위치 정보 및 차량(10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0)의 탑승 가능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ASICs, DSPs, DSPDs, PLDs, FPGA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는, 사용자 단말(2000)과 단말 이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것으로, 이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단말 제어부(2200)로 전달하며, 단말 제어부(2200)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에게 사용자 단말(2000)이 보유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는, 입력 모듈, 내부 카메라, 생체 감지부 및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는, 출력 모듈을 통하여 영상 및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0)는, 단말 제어부(2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말 저장부(2400)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각 부에 대한 기본 데이터, 통신 모드 전환 장치 각 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0)는 단말 제어부(220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사용자 단말(20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저장부(2400)는, 단말 제어부(2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단말 제어부(2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버 시스템(3000)은, 서버 통신부 및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 시스템(3000)은,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 통신부는, 차량 통신부(1100) 및 단말 통신부(2100)로 서버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000) 및 차량(20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차량 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가 지원되는 차량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배정하고, 차량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배정되는 경우, 서버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통신 모드 전환 방법은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단계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이 서버 시스템(3000)으로 차량 배정을 요청하면(S210, A)(차량배정요청), 서버 시스템(3000)은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차량 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310, B),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장착된 차량(1000)을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배정할 수 있다(서비스배정).
서버 시스템(3000)은 통신 모드 전환 장치가 장착된 차량(1000)이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배정됨에 따라, 차량(1000) 및 사용자 단말(2000)로 서버 신호를 송신한다(S320, B, C). 이 때, 서버 시스템(3000)은 차량(1000) 및 사용자 단말(2000)로 송신하는 서버 신호를 통하여 차량(1000)이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배정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3000)은 공개키를 생성하고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에 각각 개인키를 부여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서버 시스템(3000)으로부터 서버 신호를 수신하고(S110, C), 서버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서버 신호의 품질에 따라 통신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 때, 차량(1000)은 서버 시스템(3000)에 접속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서버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서버 신호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주기적으로 서버 시스템(3000)에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장애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접속재시도).
차량(1000)은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31, S132). 이 때,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31)(V2P통신). 차량(1000)은 공개키 인증 후 PC5 인터페이스에 의한 직접 연결을 시도할 수 있고, 직접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공개키 인증 후 LTE-Uu 인터페이스에 의한 간접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위치, 속도 등의 안전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1000)은 교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0)을 소지한 이용자의 최적의 탑승 장소 및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장소 및 시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사용자 단말(2000)의 이동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2000)을 소지한 이용자의 최적의 탑승 장소 및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산출 또는 갱신된 정보를 로컬 디스크(60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32).
차량(1000)은 사용자 단말(2000)을 소지한 이용자가 탑승하게 되면, 통신 모드 전환 동작을 종료하고, 이용자 탑승 전까지는 반복적으로 서버 신호 수신 동작 등 일련의 단계에 의해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40).
사용자 단말(2000)은 서버 시스템(3000)으로부터 서버 신호를 수신하고(S220), 서버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서버 신호의 품질에 따라 통신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 때, 사용자 단말(2000)은 서버 시스템(3000)에 접속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서버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서버 신호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주기적으로 서버 시스템(3000)에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장애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접속재시도).
사용자 단말(2000)은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241, S242). 이 때,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사용자 단말(2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차량(1000)과 V2P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241)(V2P통신).
한편, 사용자 단말(2000)은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서버 시스템(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242).
사용자 단말(2000)은 이용자가 차량(1000)에 탑승하게 되면, 통신 모드 전환 동작을 종료하고, 이용자 탑승 전까지는 반복적으로 서버 신호 수신 동작 등 일련의 단계에 의해 서버 시스템(3000)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50).
서버 시스템(3000)은 차량(1000)이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서비스를 종료하고, 차량(1000)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까지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 필요한 서버 신호를 지속적으로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에 송신할 수 있다(S330).
차량(1000)은 사용자 단말(2000)이 이동한 경우(위치이동), ITS 서버(5000)로 인근 RSU(420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이 자노드로 속해있는 RSU(4202)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사용자 위치 조회).
ITS 서버(5000)는 복수개의 RSU(4201, 4202)를 관제할 수 있고(관제), 각 지역별로 서버를 두고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그룹핑). 각 지역 서버는 복수의 RSU를 보유할 수 있다.
ITS 서버(5000)는 복수개의 RSU(4201, 4202)의 관제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 단말(2000)의 인근 RSU(4202)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0)에 제공할 수 있다(사용자 인근 RSU 리턴).
한편, 사용자 단말(2000)은 ITS 서버(5000)로 인근 RSU(4201)를 통하여 차량(1000)이 자노드로 속해있는 RSU(4201)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차량위치조회).
차량(1000)은 ITS 서버(50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0)이 자노드로 속해있는 RSU(4202) 인근으로 이동하여(사용자 인접 RSU 이동) V2P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V2P 통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의 V2X 통신부(1120)를 통하여 타 차량, 예를 들면, 앞서 주행하다 사고가 발생한 차량으로부터 안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운행부(1700)에 의해 차량(1000)을 우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제어부(1200)는 무선 통신부(1110)를 통하여 차량(1000)이 우회된 정보를 서버 시스템(30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3000)은 차량(1000)이 우회된 정보를 서버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우회 경로로 진입한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 간의 거리가 V2P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접근함에 따라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차량 제어부(1200)에서 생성된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통신부(2100)를 V2P 프로토콜을 따르는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내비게이션부(1800), 위치 정보부 및 운행부(1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0)의 세부 위치, 도착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등의 탑승 정보를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서버 시스템(3000) 또는 단말 통신부(210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서버 시스템(3000)을 통하여 전송할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0)로 직접 전송할 정보를 이원화함으로써 서버 시스템(3000)과의 분산화에 따른 통신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부(1200)는 위치 정보를 V2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모드로 사용자 단말(2000)에 제공하고, 위치 정보를 제외한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서버 시스템(30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 제공함에 따라 서버 시스템(3000)과의 통신 사각 지대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 간의 V2P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 모드로 상호 교환되는 신호의 패킷 손실은 서버 시스템(3000)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 간의 V2P 프로토콜을 통하여 교환되는 패킷은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차량 통신부(1100) 중 무선 통신부(1110)를 통하여 서버 시스템(30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패킷은 차량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차량 저장부(1900)에 저장될 수 있고, 임의의 로컬 디스크(Local Disk)(6000), 예를 들면, TCU(Telematics Control Unit) 로컬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 또는 운전 조작부(15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을 소유한 이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 간의 V2P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3000)은 사용자 단말(2000)에 의한 차량의 최초 예약 시 배정된 차량(1000)의 탑승 장소 및 탑승 장소에 차량(1000)이 도착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3000)은 사용자 단말(2000)에 전송한 정보를 로컬 디스크(60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부(2200)는, 서버 시스템(3000)으로 차량(1000)을 배정받으면, 이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에 인접한 RSU(4202)에 전달할 수 있다. V2N 서버(4100)는, RSU(4202)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0)에 인접한 RSU(4201)를 통하여 차량 통신부(1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V2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방해할 수 있는 오브젝트, 예를 들면, 드론(Drone)을 피하는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0)을 소지한 이용자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0)을 소지한 이용자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이벤트 발생 구역, 예를 들면, 공사로 인한 도로 통제 구역을 우회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이동 위치 정보를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차량(1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2000)의 이동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 가능 시간 및 탑승 가능 위치에 관한 탑승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서버 시스템(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1000)과 사용자 단말(2000) 간의 거리가 V2P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접근함에 따라 탑승 가능 시간 및 탑승 가능 위치에 관한 탑승 정보를 재차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0) 또는 서버 시스템(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차량(1000) 또는 서버 시스템(3000)으로부터 갱신된 탑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을 소유한 이용자는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0)를 통하여 갱신된 탑승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에 따라 정확한 위치 및 시간에 차량(1000)에 탑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서버 시스템(3000) 장애 중에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과 ITS 서버(5000)가 상호 통신함으로써 처리되는 V2P 프로토콜 통신 연결 유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ITS 서버(5000)는 복수개의 RSU(4201, 4202)를 관제할 수 있다. 복수개의 RSU(4201, 4202)는 ITS 서버(5000)와 I2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ITS 서버(5000)는 각 지역별로 서버를 두고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각 지역 서버는 복수의 RSU를 보유할 수 있다.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은 각 RSU(4201, 4202)의 자노드(Child Node)가 될 수 있다. 차량(1000)은 RSU(4201, 4202)와 V2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0)은 P2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각 노드, 즉,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은 RSU(4201, 4202)와의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이 있으며,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은 RSSI 값이 큰 RSU의 자노드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1000)은 ITS 서버(5000)로 인근 RSU(420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0)가 자노드로 속해있는 RSU(4202)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차량(1000)은 조회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0)가 자노드로 속해있는 RSU(4202)의 인근으로 이동하여 사용자 단말(2000)과의 V2P 프로토콜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서버 시스템(3000) 장애 중에 차량(1000)과 과금 서버(7000)가 상호 통신함으로써 처리되는 하차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서버 시스템(3000)은 도착지 정보를 로컬 디스크(60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착지 정보는 단말 저장부(2400) 또는 차량 저장부(1900)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 운행부(1700), 내비게이션부(1800), 차량 저장부(1900)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지점에 도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서버 시스템(3000)의 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0)는,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서버 시스템(3000)과 수초 이상 신호 송수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과금 서버(70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200)는, 단말 통신부(2100)를 통하여 수신된 서버 신호의 품질 또는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서버 시스템(3000)과 수초 이상 신호 송수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차량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과금 서버(70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차량(1000) 또는 사용자 단말(2000)이 과금 서버(7000)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 송수신 정보 히스토리는 로컬 디스크(6000), 단말 저장부(2400) 또는 차량 저장부(19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용자 하차 이후에 서버 시스템(3000)의 장애 상황이 종료하면, 로컬 디스크(6000), 단말 저장부(2400) 또는 차량 저장부(1900)에 저장된 정보는 서버 시스템(3000)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차량
1100: 차량 통신부
1200: 차량 제어부
1300: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0: 오브젝트 검출부
1500: 운전 조작부
1600: 차량 구동부
1700: 운행부
1800: 내비게이션부
1900: 차량 저장부
2000: 사용자 단말
2100: 단말 통신부
2200: 단말 제어부
2300: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0: 단말 저장부
3000: 서버 시스템
4100: V2N 서버
4201, 4202: RSU
5000: ITS 서버
6000: 로컬 디스크
7000: 과금 서버

Claims (16)

  1. 사용자 단말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 모드 전환 장치로서,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에 장애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와 연결되어 V2I(Vehicle to Infra) 프로토콜 및 V2N(Vehicle to Network)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ITS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TS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ITS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접한 RSU(RoadSide Unit)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보유한 이용자의 탑승 가능 장소 및 시간을 결정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과 연결된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의 로컬 디스크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차량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과금 정보를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8. 차량 장치 및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로서,
    영상 및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복수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가 선택된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드는,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PC5 인터페이스 및 LTE-Uu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V2P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와 연결되어 P2N(Pedestrian to Network)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ITS 통신부; 및
    상기 ITS 서버(5000)와 연결된 RSU(RoadSide Unit)와 연결되어 P2I(Pedestrian to Infra) 프로토콜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P2I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TS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ITS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장치가 인접한 RSU의 위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V2P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시스템과 연결된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의 로컬 디스크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상기 차량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과금 정보를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드 전환 장치.
  13.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방법.
  14.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 및 차량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전환 방법.
  15.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수단;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서버 시스템 및 차량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수단;
    상기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망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여부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장치와 V2P(Vehicle to Pedestria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서버 시스템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차량 장치와 V2P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75721A 2019-06-25 2019-06-25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90084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21A KR20190084002A (ko) 2019-06-25 2019-06-25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US16/552,348 US11102833B2 (en) 2019-06-25 2019-08-27 Apparatu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21A KR20190084002A (ko) 2019-06-25 2019-06-25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002A true KR20190084002A (ko) 2019-07-15

Family

ID=6725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721A KR20190084002A (ko) 2019-06-25 2019-06-25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02833B2 (ko)
KR (1) KR201900840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92B1 (ko) * 2020-11-24 2021-06-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재난 발생 시 자율 대피 가능한 재난 취약 계층용 이동식 탑승 수단
WO2021150089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차량이 가상 v2x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30017121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통신 시스템에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4043766A1 (ko) * 2022-08-25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4285B2 (en) * 2018-11-13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EV2X mobility support for mode 3.5/RSU scheduled mode
CN113386797A (zh) * 2021-07-28 2021-09-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方法、装置、设备、介质和产品
WO2023022571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버가 제2 서버에게 서버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94B1 (ko) 2015-07-08 2016-06-02 (주)디지파츠 카쉐어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6132B2 (ja) * 2015-09-25 2020-04-2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Lte v2x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単位のリソースプール選択
US10560982B2 (en) * 2016-11-10 2020-02-11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ploy and control a node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US10755580B2 (en) * 2016-11-18 2020-08-25 Ford Motor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enable vehicle-to-vehicle guidance and tracking
US11019520B2 (en) * 2017-06-13 2021-05-25 Lg Electronics Inc. Mobile ITS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ITS station
US11064057B2 (en) * 2017-11-30 2021-07-13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transla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y messages
US11234204B2 (en) * 2019-02-12 2022-01-25 Intel Corporation Server selection for vehicle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94B1 (ko) 2015-07-08 2016-06-02 (주)디지파츠 카쉐어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89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차량이 가상 v2x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4692B1 (ko) * 2020-11-24 2021-06-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재난 발생 시 자율 대피 가능한 재난 취약 계층용 이동식 탑승 수단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30017121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통신 시스템에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4043766A1 (ko) * 2022-08-25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2833B2 (en) 2021-08-24
US20190387564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002A (ko)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US11663532B2 (en) Shared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shared vehicle management device
US9761136B2 (en) Methods and software for managing vehicle priority in a self-organizing traffic control system
JP7006187B2 (ja) 移動体、配車システム、サーバ、及び移動体の配車方法
CN111433826B (zh) 自动驾驶辅助系统及方法、服务器及服务器的控制方法
US20200346553A1 (en) Full-servic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185323B2 (en) System and method to reduce vehicle resource depletion risk
US11006258B2 (en) External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JP2007310790A (ja) 交通情報収集システム
WO2017107169A1 (zh) 导航系统中切换路侧导航单元的方法和设备
US20220333937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navigation service using vehicle sharing network, and device and system for same
CN114179822A (zh) 用于控制配备有自动化驾驶功能的车辆的操作的方法、计算机程序和设备
JP2019219845A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JP2014048297A (ja) 中央局を利用したルート計算方法
US11218853B2 (en) External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CN111862669B (zh) 自动驾驶车辆管理系统
US20200037129A1 (en) Fleet To Fleet Network
JP7312662B2 (ja) 配車システム、配車システムの配車方法及びサーバ
CN106781608B (zh) 获取离候车站点最近车辆的到站信息的方法和系统
CN111310962A (zh) 车辆、车机设备及其车机设备导航规划方法
JP7334637B2 (ja) 車載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20240067204A1 (en) Method for building an ad hoc virtual network and system
WO2022145378A1 (ja) 車両の走行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サーバ装置
CN114693030A (zh) 共享移动服务车辆调度系统、方法、服务器和介质
JP2022034208A (ja) 配車決定方法及び配車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