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25A -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3825A KR20190083825A KR1020180001737A KR20180001737A KR20190083825A KR 20190083825 A KR20190083825 A KR 20190083825A KR 1020180001737 A KR1020180001737 A KR 1020180001737A KR 20180001737 A KR20180001737 A KR 20180001737A KR 20190083825 A KR20190083825 A KR 20190083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upport rod
- clamp
- pipe
- earthquake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proof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upporting a structure using piping.
면진(免震)구조, 방진(防振)구조, 제진(制振)구조 등의 명칭은 구조물의 진동응답을 제어하는 구조형태를 총칭하는 용어로써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구조물의 진동제어 방법에는 여러 형태의 제어 수법이 있으며, 각종 진동원의 성질과 진동제어 수법에 따라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The names of seismic isolation structures,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s, and vibration suppression structures are widely used as terms collectively referring to structural forms that control the vibration response of a structure.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ntrol methods for vibration control of structures, and various terms are us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various vibration sources and vibration control method.
여기서 진동이란 지진이나 바람등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물의 진동 뿐 아니라, 기계진동, 교통진동등과 같이 구조물에 입력되는 여러 형태의 모든 진동을 말한다. 내진설계는 입력되는 지진동에 대하여 구조물이 미리 설정된 설계허용치 범위내에서 설계된다는 관점에서 볼때, 면진구조와 함께 수동적 제진구조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Here, vibration refers not only to vibration of a structure caused by an earthquake or wind, but also all kinds of vibrations of various types inputted to a structure such as mechanical vibration and traffic vibration.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tructure is designed within a predetermined allowable range of design, the seismic design belongs to the passive damp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seismic structure.
따라서 모든 내진설계 대상 구조물과 그 구성부재는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일정 강도(强度)가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요, 지진의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성(延性, Ductility)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Therefore, all structures subject to the earthquake-proof design and their constituent members should be provided with a certain strength to withstand the earthquake and ductility capable of flexibly responding to the earthquake shake .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및 아파트 등에는 전선과 고온 고압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배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들은 천장에 결합된 앵커볼트와, 앵커볼트의 하단에 결합된 브라켓 또는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412호(등록일자 : 2011년 08월 19일)는 내진 및 면진용 배관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Generally, large buildings and apartments are provided with pipelines for moving wires an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s. These pipes ar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n anchor bolt coupled to the ceiling and a bracket or tra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Among the conventional techniqu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9412 (registered on August 19, 2011)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pipe fixing device for earthquake-proof and fogging.
그런데, 이러한 브래킷 및 트레이는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 및 외부로부터 건물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배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피로 현상으로 앵커볼트가 파손되어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파손에 의해 누수, 누전, 폭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장치가 요구된다.However, in such brackets and trays, cracks may be generated in the piping due to the fluid flowing in the piping and shock or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building, or the anchor bolts may be broken due to the fatigue phenomenon. To prevent such damage,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leakage, short-circuit, explosion, fire, etc. In order to prevent this, an anti-vibration device for absorbing vibration and shock is required.
또한, 일반적으로 배관용 행거는 건축물의 배관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써 천장이나 벽면에 앵커볼트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파이프의 외면에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 배관용 행거는 지진 발생시 그 진동 및 충격을 파이프에 직접 전달하게 됨으로써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general, a hanger for plumbing is a device used to fix a pipe of a building, one end is fixed to an ceiling or a wall surface with an anchor bol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a pipe. However, the conventional hanger for piping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earthquake occurs, the vibration and shock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ipe, thereby causing breakage of the pip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과 구조물 사이에 각도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지지할 수 있는 내진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which can support an angle between a pipe and a structure freely.
또한, 완충부를 이용하여 구조물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Furth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from the structure by using the buffer.
또한, 배관 상 복수의 클램프 간의 비틀어짐을 최소화하여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내진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thquake-proof support which can strengthen a supporting force by minimizing a twist between a plurality of clamps on a pipe.
또한, 보조지지부를 이용하여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내진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which can enhance the supporting force by using the auxiliary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는,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클램프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클램프와 제1 방향으로 회동연결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와 동일축 상에서 제2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와 제3 방향으로 회동연결되고, 타측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including a clamp fixed by press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ipe, a support ro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sid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lamp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pivoting portion in the third direction and whose other end is fixed to the structure.
또한, 상기 회동부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동하면서 나사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be screwed while rotating alo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rod.
또한,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comprise a buffer formed between the support rods to buffer the shock.
또한, 상기 배관에 상기 클램프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이웃하는 상기 클램프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when a plurality of the clamps are formed on the pipe, the spacer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adjacent clamps.
또한, 일측이 상기 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로드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ip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to rotate.
이에 따라, 배관과 구조물 사이에 각도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n angle between the pipe and the structure can be freely deformed and supported.
또한, 완충부를 이용하여 구조물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from the structure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buffer.
또한, 배관 상 복수의 클램프 간의 비틀어짐을 최소화하여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wis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s on the piping, thereby enhancing the supporting force.
또한, 보조지지부를 이용하여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ing force can be enhanced by using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가 설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변형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내진 지지대 중 회동부의 세부 구성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earthquake-proof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of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modified view of the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Fig. 2;
4 is a structural view of an anti-vibration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pivot portion of the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가 설치 예시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earthquake-proof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100)는 배관(10)과 구조물(2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한다. 이 경우, 배관(10)은 파이프와 같이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20)은 콘크리트, 시멘트, 철제 등으로 구성된 물체일 수 있다. 내진 지지대(100)는 배관(10)과 구조물(20)에 각각 고정되어 지진 등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내진 지지대(100)는 배관(10)과 구조물(20) 사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내진 지지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an earthqua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다.2 is a structural view of an earthquake-resistan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100)는 클램프(110), 지지로드(120), 회동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earthquake-
클램프(110)는 배관(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된다. 클램프(110)는 배관(1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110)는 볼트결합을 통해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클램프(110)의 일측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구명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로드(120)의 일측과 연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배관(10)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클램프(110)의 결합방식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The
지지로드(1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클램프(110)와 제1 방향으로 회동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지지로드(120)와 클램프(110)가 연결되어 회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지지로드(120)의 타측에는 회동부(130)가 결합된다. 지지로드(120)는 배관(10)과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로드(120)는 클램프(110)와 회동결합되어 기울기를 설치위치에 따라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지지로드(120)는 회동부(130)와의 결합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로드(120)는 복수의 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로드(120)는 회동부(130)와 회동결합을 통해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지지할 수 있다.The
회동부(130)는 지지로드(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지지로드(120)와 동일축 상에서 제2 방향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지지로드(120)와 회동부(130)가 연결되어 회동하는 방향으로, 동일축 상에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회동부(130)는 나사산이 형성된 홈이 내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로드(120)의 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동부(13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다. 회동부(130)의 타측에는 연결부(140)가 회동연결된다. 회동부(130)는 내진 지지대(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지지로드(120)의 길이를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130)는 지지로드(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하면서 그 전체 길이를 줄이거나 늘리도록 위치가 가변된다.The
연결부(140)는 일측이 회동부(130)와 제3 방향으로 회동연결된다. 여기서, 제3 방향은 연결부(140)와 회동부(130)가 회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연결부(140)의 타측은 구조물에 고정된다. 연결부(140)는 볼트를 통해 구조물에 고정된다. 연결부(140)는 설치위치에 따라 회동부(130)와의 회동각도가 다르게 조절된다. 연결부(140)는 구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고정되고, 구조물의 흔들림을 지지하도록 연결한다. 연결부(140)의 형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One end of the
도 3은 도 2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변형된 예시도이다.Fig. 3 is a modified view of the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따른 내진 지지대(100)는 완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50)는 지지로드(120) 사이에 형성되거나, 지지로드(120)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50)는 강철코어나 유압을 이용하여 지지로드(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150)의 완충소재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완충부(150)는 지지로드(120)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배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완충부(150)는 지지로드(120)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the vib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다.4 is a structural view of an anti-vibration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400)는 클램프(410), 지지로드(420), 회동부(430) 및 연결부(4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클램프(410), 지지로드(420) 및 연결부(440)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내진 지지대(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4, an earthquake-
회동부(43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로드(420)의 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동하면서 나사결합한다. 회동부(430)는 일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지지로드(420)의 나사산을 따라 결합된다. 회동부(430)의 절곡된 양측면에는 연결부(440)가 회동결합된다. 회동부(430)는 지지로드(42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가 가변된다. 회동부(430)의 절곡된 양측면의 길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The
한편, 도 4에 따른 내진 지지대(400)는 상기 배관에 상기 클램프(41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이웃하는 클램프(410)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450)는 복수의 와이어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450)는 기 설정된 비틀림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페이서(450)는 복수의 클램프(410) 사이에 형성되어 간격을 유지하면서, 클램프(4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페이서(450) 자체의 비틀림 강도를 통해 이웃하는 클램프(410)가 배관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기 설정된 힘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는 구조물이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클램프(4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여 지지력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4 may further include a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내진 지지대 중 회동부의 세부 구성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nti-vibration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a rotation unit of the anti-vibration support according to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지대(500)는 클램프(510), 지지로드(520), 회동부(530), 연결부(540) 및 보조지지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클램프(510), 지지로드(520) 및 연결부(540)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내진 지지대(200)의 설명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서 (a)와 (b)는 회동부(530)에 의해 연결부(540)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5 and 6, an earthquake-
회동부(530)는 연결부(540)와 회동결합을 한다. 이 경우, 회동부(530)와 연결부(540)의 접합면에는 결합치(530-1)이 형성된다. 결합치(530-1)는 연결부(54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부(530)는 몸체부(531), 제1 지지핀(532), 제1 탄성체(533), 제1 고정나사(534), 제2 지지핀(535), 제2 탄성체(536) 및 제2 고정나사(537)를 포함한다. 몸체부(531)는 내측에 지지로드(520)를 관통하여 연결부(540) 측에 형성된다. 내측에 이격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1 지지핀(532), 제1 탄성체(533), 제2 지지핀(535) 및 제2 탄성체(536)를 수용한다. 몸체부(531)는 제1 외주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연결부(540)의 각도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turning
제1 지지핀(532)은 '|'자 형 막대핀으로, 지지로드(5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 탄성체(533)를 통해 몸체부(531)로부터 연결부(540)로 탄성지지된다. 제1 지지핀(532)은 제1 고정나사(534)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핀(535)은 '|'자 형 막대핀으로, 지지로드(5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 탄성체(536)를 통해 몸체부(531)로부터 연결부(540)로 탄성지지된다. 제2 지지핀(535)은 제2 고정나사(537)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핀(532)과 제2 지지핀(535)은 서로 상보적인 음직임을 갖는다. 예를 들이만큼 몸체부(531) 내측으로 압축되어 제2 탄성체(536)를 가압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나사(537)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540)와 지지로드(520)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보조지지부(550)는 일측이 배관(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로드(520)와 연결되어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보조지지부(550)는 배관(10)과 지지로드(52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지지부(550)의 일측에는 보조클램프(551)가 형성되어 배관(10)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보조클램프(551)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부(550)의 타측에는 연결링(552)이 형성되어 지지로드(52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연결링(552)의 내경은 지지로드(52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부(550)는 보조클램프(551) 및 연결링(552)과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로드(520) 외에 보조지지부(550)에 의해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a descrip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내진 지지대
110 : 클램프
120 : 지지로드
130 : 회동부
140 : 연결부
150 : 완충부
400 : 내진 지지대
410 : 클램프
420 : 지지로드
430 : 회동부
440 : 연결부
450 : 스페이서
500 : 내진 지지대
510 : 클램프
520 : 지지로드
530 : 회동부
530-1 : 결합치
531 : 몸체부
532 : 제1 지지핀
533 : 제1 탄성체
534 : 제1 고정나사
535 : 제2 지지핀
536 : 제2 탄성체
537 : 제2 고정나사
540 : 연결부
550 : 보조지지부
551 : 보조클램프
552 : 연결링100: Seismic support
110: Clamp
120: support rod
130:
140:
150: buffer
400: Seismic support
410: Clamp
420: support rod
430:
440:
450: Spacer
500: Seismic support
510: Clamp
520: support rod
530:
530-1: Coupling value
531:
532: first support pin
533: first elastic body
534: first fixing screw
535: second support pin
536: Second elastic body
537: Second set screw
540: Connection
550: auxiliary support
551: Auxiliary clamp
552: connecting ring
Claims (5)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클램프와 제1 방향으로 회동연결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와 동일축 상에서 제2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및
일측이 상기 회동부와 제3 방향으로 회동연결되고, 타측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진 지지대.A clamp fixed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upport ro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sid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lamp in a first direction;
A rotat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rod and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same axis as the support rod;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side pivotally connected to the pivot portion in a third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tructure.
상기 회동부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동하면서 나사결합하는 내진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voting portion,
Sectional shape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screwed while rotating alo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rod.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ushion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upport rods and cushioning the impact.
상기 배관에 상기 클램프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이웃하는 상기 클램프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내진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pacers for maintaining a spacing between adjacent clamps when the clamp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pipes.
일측이 상기 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로드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ip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and rota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737A KR20190083825A (en) | 2018-01-05 | 2018-01-05 |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737A KR20190083825A (en) | 2018-01-05 | 2018-01-05 |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825A true KR20190083825A (en) | 2019-07-15 |
Family
ID=6725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1737A KR20190083825A (en) | 2018-01-05 | 2018-01-05 |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382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88290A (en) * | 2020-03-30 | 2020-06-16 | 江苏百德特种合金有限公司 | Special-shaped seamless steel tube with high bending and compression strength |
KR102184342B1 (en) * | 2019-12-30 | 2020-11-30 | 이양운 |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seismic vibration |
WO2022050463A1 (en) * | 2020-09-03 | 2022-03-10 | 이양운 | One-touch rebar coupler |
CN114593277A (en) * | 2022-04-11 | 2022-06-07 | 唐强 | Building pipeline strutting arrangement with antidetonation function |
-
2018
- 2018-01-05 KR KR1020180001737A patent/KR20190083825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4342B1 (en) * | 2019-12-30 | 2020-11-30 | 이양운 |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seismic vibration |
CN111288290A (en) * | 2020-03-30 | 2020-06-16 | 江苏百德特种合金有限公司 | Special-shaped seamless steel tube with high bending and compression strength |
WO2022050463A1 (en) * | 2020-09-03 | 2022-03-10 | 이양운 | One-touch rebar coupler |
CN114593277A (en) * | 2022-04-11 | 2022-06-07 | 唐强 | Building pipeline strutting arrangement with antidetonation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3825A (en) | Seismic supporting apparatus | |
KR101712803B1 (en) | Hanger Apparatus For Ceiling Which is Designed For Earthquake-resistant | |
KR200485852Y1 (en) | Device for protection of vibration | |
KR101751963B1 (en) | Seismic Pipe Support Using Turnbuckle Withstanding Compressive Force | |
KR101759163B1 (en) | Vibration endurable cable tray structure | |
KR200491747Y1 (en) | Pipe support apparatus for anti-vibration with easy to control length | |
KR102074452B1 (en) | Aseismatic reinforcing device of building machine equipment and fire fighting equipment pipe | |
JP2009036281A (en) | Vibration-proof structure for pipe-supporting bracket | |
JP2011520047A (en) | Grouting double tube energy absorbing member | |
KR20160000677U (en) | Pipe supporting device for earthquake-proof having rubber | |
CN108413133A (en) | A kind of antidetonation suspension and support based on variable rate spring vibration damping | |
KR101942265B1 (en) | Earthquake Resistant Supporting Stand for Piping | |
KR200488211Y1 (en) | Pipe support apparatus with vibroisolating function | |
KR101781433B1 (en) | Base isolated connecting unit for ceiling equipment | |
KR101932030B1 (en) | Seismic restraint of gas piping | |
KR101997050B1 (en) | Improved pipe support structure | |
KR101942180B1 (en) | Pipe hanger for earthquake-proof | |
CN108221669B (en) | Built-in cable vibration damper | |
CN209278639U (en) | A kind of antidetonation suspension and support based on variable rate spring vibration damping | |
KR20170133860A (en) | The pipe hanger for earthquake-proof | |
JP7203368B2 (en) | ceiling damping system | |
KR20190009587A (en) | Building attachment unit and Seismic bracing device containing the same | |
KR20190133898A (en) | Four-way clamping device for piping | |
KR102360113B1 (en) | Anti-shake brace of branch pipe | |
KR102616647B1 (en) | Calculated bol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