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503A -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503A
KR20190078503A KR1020180164909A KR20180164909A KR20190078503A KR 20190078503 A KR20190078503 A KR 20190078503A KR 1020180164909 A KR1020180164909 A KR 1020180164909A KR 20180164909 A KR20180164909 A KR 20180164909A KR 20190078503 A KR20190078503 A KR 2019007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upport position
conveying
targ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부 신나카
가즈야 아리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7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보관부와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경로 상에, 지지 위치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이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본 발명은,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보관부와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서 참배 대상물을 반송(搬送)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하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235459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피수납물(1)이 수납된 수납 용기(2)를 복수 개 보관하는 보관부(A)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B)와, 보관부(A)와 참배부(B)에 형성된 지지 위치(D) 사이에서 수납 용기(2)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C)를 구비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수납 용기(2) 및 그것에 수납되는 피수납물(1)이 참배 대상물(이하, 단지 「대상물」이라고 함)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배경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낸 부호는, 참조하는 문헌의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보관 설비에 있어서는, 참배자가 참배에 방문했을 때, 원하는 수납 용기(2)가 반송 장치(C)에 의해 보관부(A)로부터 취출되어, 참배자가 기다리는 참배부(B)에 반송된다. 수납 용기(2)의 하나의 측면에는, 고인의 가명(家名), 고인의 가문, 고인이 좋아하는 말 등의 대상물과 관련된 정보(이하, 「표시 정보」라고 함)가 기록된 판형체(5)가 장착되어 있고, 참배자는, 참배부(B)의 지지 위치(D)에 반송된 수납 용기(2)의 판형체(5)에 기록된 표시 정보를 보면서 참배를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보관 설비에서는, 대상물에 있어서의 정해진 1개소에만 형성된 표시 정보를 참배자가 참배 중에 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참배자의 기호나 대상물의 구성에 따라서는, 참배부에 있어서 대상물을 보고자 하는 방향이 한 가지가 아닌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측면의 크기가 방향에 따라 상이한 다른 직육면체형 또는 이형의 수납 용기가 대상물인 경우에는, 대상물의 방향에 따라 시인(視認)할 수 있는 형상이나 정보가 상이하므로, 참배자에 따라서 원하는 방향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위패나 불상 등이어도 마찬가지로, 방향에 따라 시인할 수 있는 형상이나 정보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관 설비에서는, 참배자의 요망에 따라서,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방향을 상이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참배자의 요망에 따라서,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실현이 기대된다.
상기를 감안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특징 구성은,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로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경로 상에,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참배 대상물이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의 반송 중에, 참배 대상물이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전환부에 의해 방향의 전환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참배자가 매번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선택한 선택 방향으로, 참배 대상물이 지지 위치에 반송된다. 따라서, 참배자의 요청에 따라서,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 실시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3] 참배 대상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제1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제2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제1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제2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작업부의 평면도이다.
[도 9]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 다른 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사시도이다.
[도 11] 다른 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사용 태양(態樣)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다른 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사시도이다.
[도 13] 다른 형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사시도이다.
[도 14] 다른 형태에 관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 다른 형태에 관한 변경 장치를 구비한 참배 창부(窓部)에 있어서, 제1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다른 형태에 관한 변경 장치를 구비한 참배 창부에 있어서, 제2 시인 대상면이 참배부 측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실시형태인, 참배 대상물(1)[이하, 단지 「대상물(1)」이라고 함]의 보관 설비(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설비(100)는, 대상물(1)을 보관하는 보관부(21)를 복수 개 가지는 보관 선반(2)과, 참배자(V)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3)와, 보관부(21)와 참배부(3)에 형성된 지지 위치 P1 사이에서 대상물(1)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대상물(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수납 용기(11)와, 수납 용기(11)에 수납되는 피수납물(12)을 가지고 있다. 피수납물(12)은, 예를 들면 고인의 유품이나 사진 등의 고인과 인연이 있는 물품, 계절별 장식물 등, 각종 물품이다.
수납 용기(11)는, 내부에 피수납물(12)을 수납 가능하게 구성된 용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용기(11)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납 용기(11)는,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4개의 측벽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4개의 측벽부(110) 중, 작은 쪽의 하나의 측벽부(110)를 「제1 대상 벽부(111)」라고 하고, 큰 쪽의 하나의 측벽부(110)를 「제2 대상 벽부(112)」로 한다. 그리고, 제1 대상 벽부(111)의 외면을 「제1 시인 대상면(111a)」으로 하고, 제2 대상 벽부(112)의 외면을 「제2 시인 대상면(112a)」으로 한다. 또한, 제1 시인 대상면(111a)을 따르는 수평 방향을 「제1 수평 방향 H1」로 하고, 제2 시인 대상면(112a)을 따르는 수평 방향, 즉 제1 수평 방향 H1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제2 수평 방향 H2」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용기(11)는 용기 본체(11A)와, 용기 본체(11A)의 개구부(11Aa)를 막는 커버체(11B)를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11A) 및 커버체(11B)에는, 커버체(11B)가 용기 본체(11A)의 개구부(11Aa)를 막은 상태에서 양쪽을 고정하고, 또한 그 고정을 해제 가능한 록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11A)는, 상면에 개구부(11Aa)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11A)로부터 분리한 커버체(11B)에 의해 개구부(11Aa)가 막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11Aa)가, 예를 들면 제1 대상 벽부(111) 또는 제2 대상 벽부(112)가 아닌 측벽부(110)에 형성된 구성이어도 되고, 용기 본체(11A)와 커버체(11B)가 경첩 등의 회동 부재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대상 벽부(112)에는, 수납 용기(11)의 내부를 참배자(V)에게 시인시키기 위한 용기 창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 창부(113)는, 제2 대상 벽부(112)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에 걸쳐 관통하도록 형성된 용기 창 개구부(113a)와, 용기 창 개구부(113a)를 막도록 설치된, 유리 등의 용기용 투명 부재(113b)를 가지고 있다. 용기 창부(113)는, 제2 대상 벽부(112)의 가능한 한 넓은 범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제2 대상 벽부(112)의 전체를 용기 창부(113)로 해도 된다. 또한, 용기용 투명 부재(113b)가 설치되지 않고, 용기 창 개구부(113a)만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제1 대상 벽부(111)의 외면인 제1 시인 대상면(111a)에는, 대상물(1)과 관련된 정보(이하, 「표시 정보」라고 함)가 기록된 판형체(13)가 장착되어 있다. 표시 정보는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표현되고, 판형체(13)의 표면[판형체(13)가 제1 시인 대상면(111a)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에 조각이나 인쇄 등에 의해 기록된다. 표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고인의 가명, 고인의 가문, 고인이 좋아하는 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 정보는 고인의 가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체(13)는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유지부(14)는, 판형체(13)의 제1 수평 방향 H1의 양측 단부(端部)를 유지하는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와, 판형체(1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방 유지 부재(14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 및 하방 유지 부재(142)는, 수납 용기(11)의 용기 본체(1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 볼트 등에 의해 용기 본체(11A)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는, 판형체(13)의 제1 수평 방향 H1 및 제2 수평 방향 H2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판형체(13)의 제1 수평 방향 H1의 양측 단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방 유지 부재(142)는, 판형체(13)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판형체(13)는, 제1 시인 대상면(111a)의 형상을 따른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는, 판형체(13)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고, 그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측면 안내부(141a)와, 판형체(13)의 표면에 있어서의 제1 수평 방향 H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대향하고, 제1 수평 방향 H1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표면 안내부(14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방 유지 부재(142)는 판형체(13)의 하단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단면이 맞닿는 맞닿음부(142a)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판형체(13)를,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 사이의 공간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제1 시인 대상면(111a)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판형체(1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1 시인 대상면(111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 유지 부재(141)와 하방 유지 부재(14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용기(11)에는, 수납 용기(11)를 보관 선반(2)의 보관부(21) 등에 대하여 출납할 때, 후술하는 반송 장치(4)의 이송탑재(移載;transfer) 장치(41)의 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와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142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피걸어맞춤부(142b)는, 제1 시인 대상면(111a)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있어서 맞닿음부(14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보관 선반(2), 참배부(3) 및 반송 장치(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2)은 대상물(1)을 보관하는 보관부(21)를 복수 개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보관부(21)는 연직 방향으로 복수 단 배치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단에 있어서의 복수 개의 보관부(21)의 배열 방향을 「선반 폭 방향 X」로 하고, 선반 폭 방향 X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선반 깊이 방향 Y」로 한다. 또한,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르도록, 보관부(21)에 대상물(1)이 보관된다. 구체적으로는, 보관 선반(2)은 상하 방향 Z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주(22)과, 선반 깊이 방향 Y로 연장되는 복수의 완목(2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반 깊이 방향 Y로 늘어서는 한 쌍의 지주(22)에 완목(23)이 고정되고, 선반 폭 방향 X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완목(23)에 걸치도록 대상물(1)이 탑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반 깊이 방향 Y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한 쌍의 보관 선반(2)이 설치되어 있다.
보관 설비(100)는, 한 쌍의 보관 선반(2)의 주위를 둘러싸는 벽체(5)를 구비하고 있고, 벽체(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있어서 대상물(1)이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된다. 벽체(5)는, 참배자(V)가 참배를 행하는 위치인 참배 위치 P2와 지지 위치 P1을 칸막이하도록 참배부(3)에 배치된 칸막이벽(51)을 포함하고 있다. 칸막이벽(51)에는,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을 참배 위치 P2에 있는 참배자(V)가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참배 창부(6)가 설치되어 있다. 참배 창부(6)는, 칸막이벽(51)에 있어서의 지지 위치 P1에 지지된 대상물(1)이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참배부(3)에 있어서의 칸막이벽(51)의 참배 위치 P2 측에는, 참배자(V)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 장치(6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판독 장치(64)는, 예를 들면 참배자(V)가 가지는 ID 카드 등의 인식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 등으로 할 수 있다. 보관 설비(100)의 통괄 제어 장치(10)(도 9 참조)는, 제1 판독 장치(64)에 의해 판독된 참배자(V)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배자(V)와 관련된대상물(1)을 반송 장치(4)에 의해 지지 위치 P1에 반송하도록, 제2 제어 장치(10B)(도 9 참조)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반송 장치(4)가 상기 참배자(V)와 관련된 대상물(1)을 보관부(21)로부터 지지 위치 P1에 반송한다.
반송 장치(4)는 보관부(21)와 지지 위치 P1 사이에서 대상물(1)을 반송한다. 지지 위치 P1은 참배부(3)에 형성되고, 참배자(V)가 참배를 행할 때 대상물(1)이 지지되는 위치이다. 즉, 지지 위치 P1은, 대상물(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가장 참배부(3) 측의 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4)는 이송탑재 장치(41)와, 직선 반송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탑재 장치(41)는, 보관부(21)와의 사이에서 대상물(1)을 이송탑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41)는, 보관부(21)와의 사이에서 대상물(1)을 이송탑재하고, 또한 직선 반송부(42)와의 사이에서도 대상물(1)을 이송탑재한다. 이송탑재 장치(41)는, 선반 폭 방향 X를 따라 한 쌍의 보관 선반(2) 사이의 바닥면부에 설치된 주행 레일(411)과, 주행 레일(411)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주행체(412)와, 주행체(412)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마스트(413)와, 한 쌍의 마스트(413)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하는 승강체(414)와, 승강체(414)에 지지되고 대상물(1)이 탑재되는 탑재대(415)와, 출퇴(出退) 기구(416)를 구비하고 있다.
출퇴 기구(416)는, 대상물(1)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11)의 피걸어맞춤부(142b)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피걸어맞춤부(142b)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이송탑재 방향(선반 깊이 방향 Y)으로 출퇴 이동함으로써, 이송탑재 장치(41)와 보관부(21) 사이에서 대상물(1)을 이송탑재한다. 그러므로, 대상물(1)은, 피걸어맞춤부(142b)가 이송탑재 장치(41) 측을 향하도록 보관부(21)에 보관된다. 여기서는, 출퇴 기구(416)는 탑재대(41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41)는, 탑재대(415) 및 출퇴 기구(416)의 방향을, 승강체(414)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송탑재 장치(41)는, 보관부(21)에 이송탑재하는 경우의 대상물(1)의 방향이 적절한 방향으로 되도록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탑재 장치(4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상물(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포크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직선 반송부(42)는, 지지 위치 P1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서 대상물(1)을 반송한다. 직선 반송부(42)는,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드 레일(421)과, 슬라이드 레일(421)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부재(422)와, 슬라이드 부재(422)에 지지되고 대상물(1)이 탑재되는 한 쌍의 탑재 부재(42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탑재 부재(42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그 연장 방향이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를 따른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41)와 직선 반송부(42) 사이에서 대상물(1)이 이송탑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른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41)와 직선 반송부(42) 사이에서 대상물(1)이 이송탑재된다. 직선 반송부(42)는, 이송탑재 장치(41)와의 사이에서 대상물(1)의 이송탑재가 행해지는 위치와 지지 위치 P1 사이에서 대상물(1)을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르는 직선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한다.
반송 장치(4)에 의한 반송 경로 상에는,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대상물(1)이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대상물(1)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부(43)는, 직선 반송부(42)에 있어서의 한 쌍의 탑재 부재(423)를 슬라이드 부재(422)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를 가지고 있다. 즉,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가, 대상물(1)을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기구로서 직선 반송부(4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1)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11)의 제1 대상 벽부(111) 및 제2 대상 벽부(112) 중 어느 한쪽이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참배부(3) 측을 향하도록, 직선 반송부(42)에 배치된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에 의해 대상물(1)이 회전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시인 대상면(111a) 및 제2 시인 대상면(112a) 중 어느 한쪽이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참배 창부(6)와 대향하도록,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에 의해 대상물(1)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제1 시인 대상면(111a)을 참배부(3) 측에 향하게 하는 경우에는, 먼저,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르도록, 대상물(1)이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직선 반송부(42)에 이송탑재된다. 그리고,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부(3)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상물(1)은 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직선 반송부(42)에 의해 지지 위치 P1까지 반송된다. 대상물(1)이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직선 반송부(42)에 이송탑재되었을 때,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부(3) 측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부(3) 측을 향하도록, 대상물(1)이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에 의해 회전된 후에 지지 위치 P1까지 반송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 창부(6)와 대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제2 시인 대상면(112a)을 참배부(3) 측을 향하게 하는 경우에는, 먼저,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르도록, 대상물(1)이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직선 반송부(42)에 이송탑재된다. 다음에, 제2 시인 대상면(112a)이 참배부(3) 측을 향하도록, 대상물(1)이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대상물(1)은 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직선 반송부(42)에 의해 지지 위치 P1까지 반송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제2 시인 대상면(112a)이 참배 창부(6)와 대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보관 설비(100)에서는,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부(3) 측을 향할지, 제2 시인 대상면(112a)이 참배부(3) 측을 향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참배자(V)가, 참배 시에 판형체(13)의 표시 정보를 볼지, 수납 용기(11)의 내부 피수납물(12)을 볼지를 선택할 수 있다. 참배자(V)는,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참배부(3) 측을 향하는 방향과, 제2 시인 대상면(112a)이 참배부(3)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어느 한쪽을 선택 방향으로서 선택한다. 이 선택은, 참배자(V)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고, 매회 동일한 방향으로 대상물(1)이 지지 위치 P1에 반송되도록 해도 되고, 참배자(V)가 참배할 때마다 설정하고, 해당 설정 방향으로 대상물(1)이 지지 위치 P1에 반송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르도록, 이송탑재 장치(41)와 직선 반송부(42) 사이에서 대상물(1)의 이송탑재가 행해진다. 그러므로, 반송 장치(4)가 구비하는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와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의 2개의 회전 기구 중,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만이, 제1 시인 대상면(111a) 및 제2 시인 대상면(112a) 중 어느 한쪽을 지지 위치 P1에 있어서 참배부(3) 측에 향하게 하는 전환부(43)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가 전환부(43)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4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창부(6)는, 칸막이벽(51)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에 걸쳐 형성된 참배 창 개구부(61)와, 참배 창 개구부(61)를 막도록 설치된, 유리 등의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를 가지고 있다. 참배 창 개구부(61)는, 상정될 수 있는 가장 큰 시인 대상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배 창 개구부(61)는, 대상물(1)에 있어서의 가장 큰 시인 대상면인 제2 시인 대상면(112a)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창부(6)는,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의 크기에 따라서, 참배자(V)가 대상물(1)을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S)의 크기를 변경하는 변경 장치(6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경 장치(63)는, 광투과율을 조절 가능한 조광(調光) 부재(631)를 복수 개(본 예에서는 3개) 가지고 있다. 참배 창부(6)[참배 창용 투명 부재(62)]는, 복수 개(본 예에서는 3개)의 구분 영역(6S)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구분 영역(6S)의 각각에 조광 부재(631)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3개의 구분 영역(6S)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고, 중앙의 구분 영역(6S)은 제1 시인 대상면(111a)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된 조광 부재(631)가, 3개의 구분 영역(6S)의 각각의 전역을 덮도록,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의 내면(지지 위치 P1 측의 표면)에 붙여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트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된 조광 부재(631)가 한 쌍의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의해 협지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광 부재(631)로서는, 예를 들면 투과형 액정 패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 부재(631)는, 제1 제어 장치(10A)와 신호(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1 제어 장치(10A)에 의해 광투과율이 제어된다. 제1 제어 장치(10A)는 변경 장치(63)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 장치(10A)는,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의 크기에 따라서, 구분 영역(6S)마다 조광 부재(631)의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이 제1 시인 대상면(111a)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조광 부재(631) 중, 제1 시인 대상면(111a)이 대향하는 것이 투명하게 되고, 그 이외의 것이 광을 투과하지 않도록, 제1 제어 장치(10A)가 조광 부재(631)의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3개의 조광 부재(631) 중, 중앙의 구분 영역(6S)에 배치된 것이 투명하게 되고, 그 이외의 것이 광을 투과하지 않도록, 제1 제어 장치(10A)가 조광 부재(631)의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이 때, 중앙의 구분 영역(6S)이 시인 가능 영역(S)으로 된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이 제2 시인 대상면(112a)인 경우에는, 모든 조광 부재(631)가 투명하게 되도록, 제1 제어 장치(10A)가 조광 부재(631)의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이 때, 모든 구분 영역(6S)이 시인 가능 영역(S)으로 된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설비(100)는 작업부(7)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부(7)는 대상물(1)에 대한 각종 작업을 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작업부(7)는 참배부(3)와는 별도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부(7)에는, 수납 용기(11) 내부의 피수납물(12)의 교체 작업(이하, 단지 「교체 작업」이라고 함)을 행할 때 수납 용기(11)가 지지되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교체 작업이란, 수납 용기(11)의 내부에 피수납물(12)로서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거나 배치하는 작업이고, 신구 물품의 출납, 및 수납 용기(11)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의 위치 변경 등을 포함한다. 교체 작업은 참배자(V) 외에, 보관 설비(100)의 관리자, 유지보수 작업자 등에 의해 행해진다.
작업부(7)는, 대상물(1)이 탑재되는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와, 대상물(1)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11)의 커버체(11B)가 탑재되는 커버체 탑재대(7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는,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른 상태에서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에 대상물(1)이 탑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에 탑재된 대상물(1)의 위치가 작업용 지지 위치 P3이다. 대상물(1)은, 작업용 지지 위치 P3과 보관부(21) 사이에서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작업용 지지 위치 P3과 보관부(21) 사이에서 대상물(1)이 반송된다.
작업부(7)에 있어서 교체 작업이 행해질 때,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서 지지된 대상물(1)의 용기 개구부(11Aa)가 노출되도록 커버체(11B)가 열린다. 그리고, 용기 개구부(11Aa)를 통하여 교체 작업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1A)로부터 분리된 커버체(11B)는 커버체 탑재대(72)에 탑재된다. 커버체 탑재대(72)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선반 폭 방향 X, 선반 깊이 방향 Y 및 상하 방향 Z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체 탑재대(72)는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부(7)는, 외부로부터 구획된 작업실(7R)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실(7R)은, 사람이 작업부(7)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73)와, 출입구(73)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출입구 도어(74)와, 작업부(7)에 대하여 대상물(1)의 입출고를 행하기 위한 입출고구(75)과, 입출고구(75)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76)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고구(75)는 벽체(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서 지지된 대상물(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셔터(76)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과 이송탑재 장치(41) 사이에서 대상물(1)의 이송탑재가 행해질 때에만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셔터(76)의 동작은, 제2 제어 장치(10B)(도 9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실(7R)의 외측의 출입구 도어(74)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참배자(V)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2 판독 장치(7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판독 장치(77)는 제1 판독 장치(6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판독 장치(77)는, 예를 들면 참배자(V)[보관 설비(100)의 관리자나 유지보수 작업자 등도 포함함, 이하 동일]가 가지는 ID 카드 등의 인식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독 장치(77) 및 출입구 도어(74)는, 제3 제어 장치(10C)와 신호(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3 제어 장치(10C)는, 제2 판독 장치(77)에 의해 판독된 참배자(V)의 식별 정보를 통괄 제어 장치(10)에 보낸다. 통괄 제어 장치(10)는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참배자(V)와 관련된 대상물(1)을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반송하도록, 제2 제어 장치(10B)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반송 장치(4)가 상기 참배자(V)와 관련된 대상물(1)을 보관부(21)로부터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반송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참배자(V)가 자체의 식별 정보를 제2 판독 장치(77)에 판독시킴으로써 상기 참배자(V)와 관련된 대상물(1)이 보관부(21)로부터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반송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참배자(V)가 자체의 식별 정보를 제1 판독 장치(64)에 판독시킨 후에, 대상물(1)의 반송처(搬送處)를 지지 위치 P1 또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으로부터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참배부(3)나 작업부(7)로부터 떨어진 접수 등으로 대상물(1)을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반송하도록 제2 제어 장치(10B)에 지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3 제어 장치(10C)는, 제2 판독 장치(77)에 의해 판독된 참배자(V)의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등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출입구 도어(74)를 열어 작업실(7R)로의 입실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작업부(7)에 관계자 이외의 사람이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작업부(7)는, 작업실(7R)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9A)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 검지부(9A)는 제2 제어 장치(10B)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제어 장치(10B)는 사람 검지부(9A), 이송탑재 장치(41) 및 직선 반송부(42)와 신호(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제어 장치(10B)는, 사람 검지부(9A)에 의해 작업실(7R) 내에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 경우에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으로부터 보관부(21)로의 대상물(1)의 반송을 행하지 않도록 이송탑재 장치(41)를 제어한다. 즉, 작업실(7R)로부터 사람이 퇴출할 때까지는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대상물(1)이 작업부(7)로부터 반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람이 작업실(7R) 내로 들어가려고 할 때도,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대상물(1)이 작업부(7)에 반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상물(1)이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위치할 때까지 출입구 도어(74)를 개방하지 않도록, 통괄 제어 장치(10)를 통하여 제3 제어 장치(10C)에 지시한다.
또한, 제2 제어 장치(10B)는 커버 장착 검지부(9B) 및 중량 검지부(9C)와 신호(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커버 장착 검지부(9B)는,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작업용 지지 위치 P3으로부터 보관부(21)에 대상물(1)을 반송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커버체(11B)가 용기 본체(11A)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제2 제어 장치(10B)는, 커버 장착 검지부(9B)에 의해 커버체(11B)가 용기 본체(11A)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보관부(21)로의 대상물(1)의 반송을 행하지 않도록 이송탑재 장치(41)를 제어한다. 커버 장착 검지부(9B)는, 예를 들면 대상물(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대상물(1)을 촬영 장치[후술하는 촬영 장치(8A)이어도 됨]에 의해 촬영하고, 용기 본체(11A)에 대한 커버체(11B)의 어긋남을 화상 인식에 의해 판정하는 화상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커버 장착 검지부(9B)는 대상물(1)의 반송 경로로 있어서, 반송면을 기준으로 한 커버체(11B)의 높이 등을 검지하는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반송 동작을 없애기 위해,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장착 검지부(9B)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설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또한, 중량 검지부(9C)는,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작업용 지지 위치 P3으로부터 보관부(21)에 대상물(1)을 반송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대상물(1)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중량 상한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제2 제어 장치(10B)는, 대상물(1)의 중량이 중량 상한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보관부(21)로의 대상물(1)의 반송을 행하지 않도록 이송탑재 장치(41)를 제어한다. 중량 검지부(9C)는, 예를 들면 대상물(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대상물(1)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반송 동작을 없애기 위해, 중량 검지부(9C)는 작업용 지지 위치 P3에 설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작업용 탑재 부재(71)와 바닥면 사이에 중량 검지부(9C)를 구성하는 센서 등이 배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관 설비(100)는 촬영 장치(8A)와 기억 장치(8B)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장치(8A) 및 기억 장치(8B)는, 제3 제어 장치(10C)와 신호(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촬영 장치(8A)는 수납 용기(11)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이고, 이송탑재 장치(41)에 의해 작업용 지지 위치 P3으로부터 보관부(21)에 대상물(1)을 반송하는 경로, 또는 작업부(7)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촬영 장치(8A)는 작업부(7)에 설치되어 있다. 기억 장치(8B)는 촬영 장치(8A)에 의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의 상황을 나타내는 촬영 시 정보와 관련지어 보존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촬영 시 정보는, 촬영 장치(8A)에 의한 촬영 일시, 작업부(7)에 있어서 교체 작업 등을 행한 참배자(V)의 식별 정보, 참배자(V)의 성명 등이다. 여기에서, 참배자(V)의 식별 정보는, 참배자(V)가 작업실(7R)에 입실할 때 제2 판독 장치(77)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이용된다. 참배자(V)의 성명 등은, 상기 참배자(V)의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장치(8A)에 의해 촬영한 화상 데이터는 제3 제어 장치(10C)에 보내지고, 제3 제어 장치(10C)에 있어서 촬영 시 정보와의 관련짓기가 행해져, 기억 장치(8B)에 기억된다. 기억 장치(8B)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통괄 제어 장치(10) 또는 이것에 접속된 컴퓨터 등의 조작 단말기에 의한 열람, 및 촬영 시 정보에 기초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후일, 수납 용기(11)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고 싶은 경우에도, 수납 용기(11)를 보관부(21)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1) 대상물(1)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납 용기(11)의 상면[커버체(11B)]에 상방 창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방 창부(115)는, 커버체(11B)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방 개구부(115a)와, 상방 개구부(115a)를 막도록 설치된, 유리 등의 상방 창용 투명 부재(115b)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나의 직사각형의 상방 창부(115)가, 수납 용기(11)의 커버체(11B)의 대략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방 창부(115)에 의하면, 수납 용기(11)의 내부에 광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상방에 설치된 조명 장치(116)에 의해 수납 용기(11)의 내부를 비추는 것에 의해, 제2 시인 대상면(112a)이 참배부(3) 측에 향하고 있는 경우에, 참배자(V)가 수납 용기(11)의 내부 피수납물(12)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직사각형의 상방 창부(115)가, 커버체(11B)의 제1 수평 방향 H1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제2 시인 대상면(112a)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원형의 상방 창부(115)가, 커버체(11B)의 제1 수평 방향 H1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제2 시인 대상면(112a)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방 창부(115)의 수, 배치 개소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방 창용 투명 부재(115b)가 설치되지 않고, 상방 개구부(115a)만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커버체(11B)가 설치되지 않고, 용기 본체(11A)의 개구부(11Aa)가 상방 개구부(115a)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탑재 부재(423)를 슬라이드 부재(422)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가 전환부(43)로서 기능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41)에 있어서의 탑재대(415)를 승강체(414)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가 전환부(43)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송탑재 장치(41)에 배치된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가, 대상물(1)을 회전 가능한 제2 회전 기구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직선 반송부(42)는, 대상물(1)의 제2 수평 방향 H2가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른 상태와, 대상물(1)의 제1 수평 방향 H1이 선반 깊이 방향 Y를 따른 상태의 양쪽에서, 대상물(1)을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양쪽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41)와의 사이에서 대상물(1)을 이송탑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이와 같은 직선 반송부(42)로서는, 예를 들면 이송탑재 장치(41)와의 사이의 대상물(1)의 이송탑재에 있어서 대상물(1)의 방향이 한정되지 않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직선 반송부(42)가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 등인 경우, 직선 반송부(42)의 도중, 또는 직선 반송부(42)의 상류측 단부 또는 하류측 단부에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432)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4)가 이송탑재 장치(41)와 직선 반송부(42)를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송 장치(4)가 이송탑재 장치(41)만을 가지고, 이송탑재 장치(41)가 대상물(1)을 지지 위치 P1에 직접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환부(43)로서 기능하는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431)가 이송탑재 장치(41)에 배치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변경 장치(63)가 복수 개의 조광 부재(631)와 제1 제어 장치(10A)를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5 및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창부(6)[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대하여 지지 위치 P1 측 및 참배 위치 P2 측 중 적어도 한쪽[도시한 예에서는,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대하여 참배 위치 P2 측(참배부(3) 측)]에 배치되고, 개구 영역(632A)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한 쌍의 개폐 부재(632)가, 복수 개의 조광 부재(631) 대신 설치되고, 시인 대상면의 크기에 따라서, 한 쌍의 개폐 부재(632)의 개구 영역(632A)의 크기가 제1 제어 장치(10A)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 쌍의 개폐 부재(632)의 각각은, 예를 들면 미닫이, 커튼 등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개폐 부재(632)는,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있어서의 참배 위치 P2 측의 표면을 따르는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나뉘여 배치되고, 서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미닫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이 제1 시인 대상면(111a)인 경우에는,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있어서의 제1 시인 대상면(111a)에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이 한 쌍의 개폐 부재(632)에 의해 덮히도록, 제1 제어 장치(10A)가 한 쌍의 개폐 부재(632)를 이동시킨다. 한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위치 P1에 있는 대상물(1)의 시인 대상면이 제2 시인 대상면(112a)인 경우에는, 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의 전체가 노출되도록, 제1 제어 장치(10A)가 한 쌍의 개폐 부재(632)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한 쌍의 개폐 부재(632)의 개구 영역(632A)이 시인 가능 영역(S)에 일치한다. 그리고, 1개의 개폐 부재(632)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개폐 부재(632)가 상하 방향 Z를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개폐 부재(632)로서는, 예를 들면 참배 창부(6)[참배 창용 투명 부재(62)]에 대하여 지지 위치 P1 측 및 참배 위치 P2 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된 도어체를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변경 장치(6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1)이 수납 용기(11)와 피수납물(12)을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상물(1)이 용기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위패, 불상 또는 솔도파여도 된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참배부(3)와는 별도로 작업부(7)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부(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사람 검지부(9A), 커버 장착 검지부(9B) 및 중량 검지부(9C)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 검지부(9A), 커버 장착 검지부(9B) 및 중량 검지부(9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되고, 사람 검지부(9A), 커버 장착 검지부(9B) 및 중량 검지부(9C)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2개가 설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8)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장치(8A) 및 기억 장치(8B)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촬영 장치(8A) 및 기억 장치(8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9)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각종 개변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로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경로 상에,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참배 대상물이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의 반송 중에, 참배 대상물이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전환부에 의해 방향의 전환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참배자가 매번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선택한 방향으로, 참배 대상물이 지지 위치에 반송된다. 따라서, 참배자의 요청에 따라서,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지지 위치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직선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참배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기구는, 상기 직선 반송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참배 대상물을, 직선 반송부에 의해 지지 위치까지 직선형으로 반송하면서 제1 회전 기구에 의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 위치에 있어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적절하게 참배 대상물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보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참배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제2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기구는, 상기 이송탑재 장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관부에 대하여 이송탑재 장치에 의한 참배 대상물의 입출고가 행해질 때, 제2 회전 기구에 의해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참배 대상물을 보관부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입출고할 수 있고, 또한 지지 위치에 있어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적절하게 참배 대상물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배 대상물은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가지고,
상기 수납 용기는, 제1 대상 벽부와 상기 제1 대상 벽부와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2 대상 벽부를 가지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대상 벽부 및 상기 제2 대상 벽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참배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수납 용기의 방향을 전환하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참배자의 요망에 따라서, 제1 대상 벽부 및 제2 대상 벽부 중 어느 한쪽을 지지 위치에 있어서 참배부 측에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대상 벽부 측과 제2 대상 벽부 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형상이나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도, 참배자는, 스스로가 요망하는 쪽의 대상 벽부를 시인 가능한 상태로 참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상 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참배 대상물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판형체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대상 벽부에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상기 참배자에게 시인시키기 위한 용기 창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대상 벽부 및 제2 대상 벽부 중 어디를 참배부 측에 향하게 할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참배 대상물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판형체를 시인 가능한 상태로 참배할 것인지, 용기 창부에서 수납 용기의 내부를 시인 가능한 상태로 참배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참배자는, 스스로가 요망하는 상태의 참배 대상물에 대하여 참배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용기의 상면에는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방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비추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대상 벽부가 참배부 측에 향하고 있는 경우에, 참배자에게 수납 용기의 내부 피수납물을 양호하게 시인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는,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와, 보관부와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한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보관 설비
1 : 참배 대상물
11 : 수납 용기
111 : 제1 대상 벽부
111a : 제1 시인 대상면(시인 대상면)
112 : 제2 대상 벽부
112a : 제2 시인 대상면(시인 대상면)
113 : 용기 창부
12 : 피수납물
13 : 판형체
21 : 보관부
3 : 참배부
4 : 반송 장치
41 : 이송탑재 장치
42 : 직선 반송부
43 : 전환부
431 : 이송탑재용 회전 기구(제2 회전 기구)
432 : 직선 반송용 회전 기구(제1 회전 기구)
51 : 칸막이벽
6 : 참배 창부
63 : 변경 장치
7 : 작업부
10A : 제1 제어 장치(제어 장치)
P1 : 지지 위치
P2 : 참배 위치
P3 : 작업용 지지 위치
V : 참배자
H1 : 제1 수평 방향
H2 : 제2 수평 방향
X : 선반 폭 방향
Y : 선반 깊이 방향

Claims (6)

  1. 참배 대상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 개의 보관부;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부; 및
    상기 보관부와 상기 참배부에 형성된 지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搬送)하는 반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경로 상에,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참배 대상물이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참배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지지 위치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반송하는 직선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참배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기구는, 상기 직선 반송부에 배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보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참배 대상물을 이송탑재(移載;transfer)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참배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제2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기구는, 상기 이송탑재 장치에 배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배 대상물은,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가지고,
    상기 수납 용기는, 제1 대상 벽부와 상기 제1 대상 벽부와는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제2 대상 벽부를 가지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대상 벽부 및 상기 제2 대상 벽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참배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수납 용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 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참배 대상물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판형체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대상 벽부에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상기 참배자에게 시인(視認)시키기 위한 용기 창부(窓部)가 설치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용기의 상면에는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방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를 비추는,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1020180164909A 2017-12-26 2018-12-19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20190078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9942A JP7003643B2 (ja) 2017-12-26 2017-12-26 参拝対象物の保管設備
JPJP-P-2017-249942 201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503A true KR20190078503A (ko) 2019-07-04

Family

ID=6694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09A KR20190078503A (ko) 2017-12-26 2018-12-19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4266B2 (ko)
JP (1) JP7003643B2 (ko)
KR (1) KR20190078503A (ko)
CN (1) CN109958319A (ko)
TW (1) TWI778177B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242B2 (ja) * 1994-07-31 1998-10-30 株式会社フジタック 骨壺用厨子
JP3332137B2 (ja) * 1996-06-13 2002-10-07 株式会社ダイフク 納骨保管装置
JP2976335B2 (ja) * 1997-06-26 1999-11-10 光洋自動機株式会社 立体祭壇装置
ZA200203813B (en) * 2001-09-18 2003-01-02 Kloppers Sydney Christoffel A tomb.
JP2002235459A (ja) 2001-11-28 2002-08-23 Hiroshi Inoue 納骨収納容器の搬送装置
EP2019800B8 (en) * 2006-05-02 2011-10-12 Munroe Chirnomas Automated store for selling articles
TWM342395U (en) * 2008-04-11 2008-10-11 Huan-Ran Huang Sliding door structure for urn cabinet
TWM433165U (en) * 2011-05-27 2012-07-11 Xi Fang Improved tower case body structure
CN204192153U (zh) * 2014-11-17 2015-03-11 西南大学 一种增强现实的透明液晶展示柜
CN204908766U (zh) * 2015-08-26 2015-12-30 深圳市龙祥卓越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透明液晶显示屏的展示柜
CN206562014U (zh) * 2017-01-22 2017-10-17 敦煌印刷(深圳)有限公司 一种带有旋转展示台的展示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8171A (zh) 2019-07-16
US10724266B2 (en) 2020-07-28
JP7003643B2 (ja) 2022-02-10
JP2019116725A (ja) 2019-07-18
CN109958319A (zh) 2019-07-02
TWI778177B (zh) 2022-09-21
US20190194969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505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CN111942787B (zh) 一种自助杂货存取的终端及其内移动杂货箱的装置
CN110633704A (zh) 货架及货架管理系统
KR20190078504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20190078503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20180107740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20180107739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JP4244530B2 (ja) 小物物品モニタ
KR100221044B1 (ko) 납골보관장치
JP7373396B2 (ja) 検体容器下降装置
KR20180107747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JP2008210002A (ja) 受渡装置
JP2022036419A (ja) データ取得システム
JP2021107780A (ja) 検体容器の取出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H01146090A (ja) 自動貸金庫システム
JPH0539105A (ja) 気密収納室に対する物品の自動搬入搬出装置
JPS61169594A (ja) 自動貸金庫における金庫ケ−ス出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