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683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0683A KR20190070683A KR1020170171448A KR20170171448A KR20190070683A KR 20190070683 A KR20190070683 A KR 20190070683A KR 1020170171448 A KR1020170171448 A KR 1020170171448A KR 20170171448 A KR20170171448 A KR 20170171448A KR 20190070683 A KR20190070683 A KR 20190070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cture
- module
- learner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1—Assessment or evaluatio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들에게 소정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강의 콘텐츠를 구성하고 그러한 강의 콘텐츠를 학습자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contents of a le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lecture content for allowing a learner to learn a predetermined learning content, ≪ / RTI >
학습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강의 콘텐츠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Along with the growth of the market related to learning, there is a surge in the provision of lecture contents online.
이러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학습자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상당히 인기를 끌고 있고, 온라인 강의 콘텐츠 공급자들은 더 많은 회원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These online lecture contents are becoming very popular due to the advantage of easy accessibility for learners, and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ers are fiercely competing for more members.
따라서 강의 콘텐츠 공급자들 입장에서는 학습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강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 사업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이 되었고, 따라서 강의 콘텐츠 공급자들이 보다 쉽고 신속하게 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되었다.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content providers of the lecture to provide lecture conten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 promptly,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lecture content providers can create the lecture contents more easily and quickly .
그럼에도 종래에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는 여전히 강의 콘텐츠 공급자들의 니즈에 부합되는 정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service type still fails to provide a convenient interface that meets the needs of lecture contents providers.
즉, 강의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강의 콘텐츠 공급자들의 선택에 따라 강의 콘텐츠의 학습 흐름이 쉽고 신속하게 변경 또는 생성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방식은 여전히 그러한 효과를 달성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That is, in producing the lecture contents, the learning flow of the lecture contents must be changed or created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ecture contents providers.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is still not enough to achieve such effec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강의 콘텐츠가 쉽고 신속하게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that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lecture contents to be generated easily and quickly,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강의 등록자의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각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을 그 대응되는 학습 단계와 함께 하나의 강의 콘텐츠로 등록하는 강의 콘텐츠 등록부와; 학습자로부터 상기 강의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을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처리하는 학습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ecture content construction and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arning flow desig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step and a usable module display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are displayed together And a display control section for causing the selected learning module to be placed in the specific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whenever a lecture registrant is selected for any one of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Wow; A lecture contents registering unit for registering the learner modules arranged at each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learning step as one lecture contents when the learner's selection of the learner module is completed; And a learning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lecture in the order in which the lecture contents are registered in the lecture contents registration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단계에서의 강의 등록자의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각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을 그 대응되는 학습 단계와 함께 하나의 강의 콘텐츠로 등록하는 단계와; 학습자로부터 상기 단계에서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을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d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a lecture, comprising: a learning flow desig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step; a usable module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Areas are displayed together; Causing each selected learning module to be placed in a specific learning stage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whenever a lecture registrant for one of at least one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available module display area is selected; Registering the learning modules arranged in the respective stages of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learning steps as one lecture content when the learning module selection of the lecturer's registrant in the step is completed; And process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lecture in the order in which the learner is arranged in each learning step when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in the step from the learn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 콘텐츠 등록 페이지에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과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강의 등록자가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학습 모듈을 선택(터치, 클릭, 터치 드래그 이동 등)하는 것만으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그 선택된 학습 모듈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강의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and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lecture contents registration page, and the lecture registrant selects th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touch, Touch dragging, and the like), the selected learning module is placed in a specific learning stage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thereby providing considerable convenience in constructing the lecture contents.
특히, 학습 플로우를 설계함(학습 모듈의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으로의 배치)에 있어서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을 활용함으로써, 반복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한 강의 콘텐츠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위해 일정별로 각기 다른 학습 플로우에 따른 학습이 필요한 강의 콘텐츠도 쉽게 등록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Particularly, by using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in designing the learning flow (placement in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of the learning modu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petitive work, By allowing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to be easily registered in one lecture cont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gister lecture contents that require learning according to different learning flows for each schedule for learning efficiency.
더 나아가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 학습 모듈에는 음성 처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학습자의 피드백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음성 처리 루틴에 대해서 강의 등록자가 고민하지 않아도 되므로, 강의 생성 효율성성이 상당히 증대된다.Further, since each learning module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s organization and provision system includes a voice processing function, the lecture registrant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a separate voice processing routine for processing the learner's feedback, Significantly increased.
그리고 각 학습 모듈에는 모듈별 발화 케이스가 매칭되어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진행 중 발화 음성 신호에 대한 처리를 각 학습 모듈에 매칭된 모듈별 발화 케이스를 고려하여 판단하므로 발화한 내용에 대한 분석시 정확성과 신속성을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And each learning module is matched with the module-by-module speech case, so the processing of the speech signal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er is judged based on the module-by-module speech case matched to each learning module. Therefore, Can be greatly expanded.
또한 기존에 학습을 진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그 이후부터 학습이 이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불편 또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ast history of learn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r hassle of the learner by automatically following the learning from that point onward.
더 나아가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 단원과 관련된 푸시 메시지가 학습자의 통신 단말기에 수신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완료된 학습 내용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시각적 방식에 의한 복습에 의해 학습 효율이 증가하고, 단조로운 청각적 학습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으므로 학습 의욕 역시 고취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ush message related to the unit that has been learn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learner and the completed learning contents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And can stimulate learning motivation because they can escape from the monotonous auditory learning for a whi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강의 등록 페이지의 일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이 강의 등록자의 요청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이용을 처리하는 제어 흐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학습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학습 모듈을 취사선택 후 배치하여 새로운 강의 콘텐츠를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sion system of FIG. 1;
3 and 4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lecture registration page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ding system of Fig. 1,
FIG. 5 is a control flowchart for generating a lecture content at the request of a lecture registrant and processing usage of the generated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ing module provided by the contents composition and providing system of FIG. 1, and FIG.
Figs. 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ew lecture content is constructed by selecting and arranging the learning module of Fig. 7 after cookin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any one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some claims of the claims for convenience include alphabets such as '(a)' for convenience, but these alphabets do not define the order of each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ntir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동 도면에서 학습자 이용 장치(200)는 소정의 강의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는 자가 이용 또는 조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고, 또는 댁내에 구비된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일명 AI(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In this figure, the learner-using
한편, 동 도면에서 강의 등록 장치(300)는 강의 등록자가 조작하여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에 소정의 학습용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컴퓨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동 1에 도시된 학습자 이용 장치(200)와 강의 등록 장치(300)는 일 예에 불과하고, 학습을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강의 등록을 위해 이용될 수 있기만 한다면, 각각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학습자 이용 장치(200) 또는 강의 등록 장치(300)에 해당할 수 있다.The
한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강의 등록자의 요청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고, 그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이하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이 학습 이용자에게 소정의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고 하는 것은 학습 이용 장치에 전송함을 의미하고, 강의 등록자에게 소정의 페이지를 제공한다는 것은 강의 등록 장치(300)에 전송함을 의미하고,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영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등록 및 제공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Hereinafter,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example of a functional block of the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표시 제어부(110),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 학습 처리부(130), 학습 지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cture composition and
우선, 표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나타내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과,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의 종류'들을 나타내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예를 들어 강의 등록 장치(300)로부터 강의 등록을 위한 페이지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과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이 함께 포함된 강의 등록 페이지(500)를 강의 등록 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page request for registering a lecture from the
여기서 '학습 단계'는 학습자가 강의 콘텐츠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그 학습 진행 순서에 해당하는 하는 것으로서, 학습자는 강의 등록자가 지정한 학습 단계에 맞춰 학습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강의 등록자에 의해 학습 단계가 지정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Here, the 'learning phase' corresponds to the learning progress sequence when the learner progresses the lecture contents, and the learner progresses the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phase designated by the lecture registrant. A concrete description in which the learning step is designated by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학습 모듈의 종류'는 강의 등록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학습 모듈의 전체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학습 모듈은 그 종류에 따라 특정 기능이 구현된 것인데, 여기서 특정 기능의 구현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ype of learning module' refers to all kinds of learning modules that can be selected by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and each learning module has a specific function implemented according to its type. Here, It can be done as an enemy.
예를 들어 강의 등록 페이지(500)의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는 각 학습 모듈들(보다 정확히는 각 학습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기호, 문자, 이미지, 아이콘 등에 해당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의 콘텐츠에 포함되고 해당 강의 콘텐츠가 학습자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각 학습 모듈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each learning module (more precisely, an identifier, a character, an image,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module) displayed in the available
이때 강의 등록자는 앞서 언급한 각 '학습 단계'에 특정 학습 모듈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강의 콘텐츠의 학습 흐름을 지정 또는 규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can designate or prescribe the learning flow of the lecture contents by arranging the specific learning module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learning phase'.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해 학습자에 의한 학습이 실제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각 학습 모듈이 별도의 학습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강의 등록자는 학습 콘텐츠를 먼저 등록한 후, 그 등록된 학습 콘텐츠를 특정 학습 모듈과 매칭시킴으로써, 해당 특정 학습 모듈에 의해 학습 콘텐츠가 처리(일 예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learning by the learner actually proceeds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the registered lecture, each learning module can process a separate learning content. To this end, the lecture registrant first registers the learning content, By matching with the module,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processed (reproduced as an example) by the specific learning module.
이처럼 강의 콘텐츠 생성을 위해 학습 모듈을 선택하고, 그 학습 모듈에 특정 학습 콘텐츠가 매칭되도록 하며, 그 학습 모듈을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시키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후술토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ocess of selecting a learning module for creating a lecture content, matching a specific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ing module, and arranging the learning module in a specific learning stag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specific examples.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반복 구간과 반복 횟수의 지정을 위한 별도의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이 앞서 설명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 및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더 나아가 표시 제어부(110)는 강의 등록자가 강의 콘텐츠에 포함시키고자 선택하는 학습 모듈에 대한 상세 설명을 나타내는 모듈 상세 설명 영역(530)이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이처럼 표시 제어부(110)에 의해 표시되는, 예를 들어 강의 등록 장치(300)에 표시되는 강의 등록 페이지(500)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An exampl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강의 등록 페이지(500)의 가장 상단에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이 배치되고, 그 아래에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과 모듈 상세 설명 영역(530)이 배치되었으며, 맨 아래에는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이 배치되었다.3, a learning
이러한 각 영역들의 강의 등록 페이지(500) 상에서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se areas on the
이처럼 표시 제어부(110)가 제공하는 강의 등록 페이지(500)의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는 강의 콘텐츠 구성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각종 학습 모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학습 모듈에는 기본 모듈로서, 재생 모듈, 묻고 답하기 모듈, 영어발음평가 모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기본 모듈을 활용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 모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모듈은 물론이고 각 응용 모듈 각각에는 음성 처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기본 모듈 및 응용 모듈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예는 후술토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vailable
한편, 표시 제어부(110)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lecture registrant is selected for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usable
예를 들어 도 3에는 학습 단계 중 스텝1에 '시작문구 모듈'이 배치되고, 스텝2에는 '강의 재생 모듈'이 배치되어 있으며, 마지막 스텝에는 '종료문구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or example,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start statement module' is placed in step 1 of the learning step, 'lecture playback module' is arranged in step 2, and 'end phrase module' is arranged in the last step have.
스텝2와 마지막 스텝 사이에는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가능한 모듈 영역에 도시된 각종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Between step 2 and the last step, at least one of various modules shown in a usable module area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ecturer.
이때 표시 제어부(110)는 강의 등록자가 요청하는 각 학습 모듈에 대한 설명을 모듈 상세 설명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등록자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고 있는 각 학습 모듈의 기능 등에 대한 설명을 터치 또는 클릭 등을 통해 요청할 수 있고, 이때 표시 제어부(110)는 그 요청받은 학습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모듈 상세 설명 영역(53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각 학습 모듈 내에 구비된 음성 처리 기능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 TTS(Text To Speech) 기능, STT(Speech To Text) 기능, 발음 인식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각 학습 모듈에는 모듈별 발화 케이스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voice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in each learning module may be at least one of a multimedia file playback function, a TTS (Text To Speech) function, a STT (Speech To Text) function, and a pronunciation recognition function. The ignition case may be matched.
예를 들어 각 학습 모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학습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데, 각 모듈별로 발화 케이스가 규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분석 및 처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learning module can be sequential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learning as described later, and the speech case is defined for each module, so that the analysis and processing of the user's voice can be processed more accurately and promptly.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학습 모듈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은 드래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Selection of a lecturer for a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10)는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학습 모듈에 대해 강의 등록자가 드래그 한 후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으로 이동시킨 후 릴리즈 한 경우, 그 학습 모듈이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 상의 특정 학습 단계(일 예로 릴리즈 한 위치에 해당하는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cture registrant moves to the learning
구체적인 예로써, 강의 등록자가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학습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하여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에 기 배치 및 표시되고 있던 스텝1과 스텝2 사이로 이동시킨 후 릴리즈 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새로 이동한 학습 모듈이 스텝2에 배치되고 기존에 스텝2에 있던 학습 모듈은 스텝3으로 이동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may drag any one of the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usable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강의 등록자가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에서 반복 구간 및 반복 횟수를 지정한 경우 그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에서 지정된 반복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에서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에 추가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gistrant designates the repeat section and the repeat count in the repeat section rule set
예를 들어 도 3에서 강의 등록자가 반복구간 Rule set 지정 영역에서 스텝2와 스텝3을 선택한 후 2회 반복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기존에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에 등록되어 있던 스텝2 및 스텝3의 학습 모듈이 2회 반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selects the step 2 and the step 3 in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in FIG. 3 and selects the repetition twice, the
구체적인 예로, 스텝2에 '강의 재생 모듈'이 배치되어 있고 스텝3에 '문제 풀기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예에서처럼 강의 등록자가 반복구간 Rule set 지정 영역에서 스텝2와 스텝3을 선택한 후 2회 반복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스텝4에 '강의 재생 모듈'이 배치되도록 하고, 스텝5에는 '문제 풀기 모듈'이 다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As a concrete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lecture regeneration module' is arranged in step 2 and the 'problem solving module' is arranged in step 3, the lecture registrant can perform step 2 and step 3 in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The
이는 반복되는 학습 모듈을 매번 드래그 하여 이동시키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s minimizes the inconvenience of dragging the repeated learning module each time.
특히 구간 선택시 구간 시작 스텝과 구간 종료 스텝만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selecting a section, only the section start step and the section end step are selected, thereby maximizing the user convenience.
예를 들어 앞선 예에서 강의 등록자가 반복구간 Rule set 지정 영역에서 스텝2와 스텝5를 선택한 후 2회 반복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스텝2, 스텝3, 스텝4, 스텝5의 학습 모듈이 반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selects the step 2 and the step 5 in the repeat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and then selects the repetition twice, the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강의 등록 페이지(500)의 일 영역에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551, 552)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강의 등록자가 이러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551, 55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경우, 해당 선택된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이 전환 표시되도록(즉, 기존의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 대신에 선택된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이 표시되도록) 하고, 각 학습 플로우별로 강의 등록자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그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이 표시된 예가 도 4에 도시되었다.An example in which the learning flow selection button is displayed is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강의 등록자는 Flow A(551)와 Flow B(552)를 각각 선택한 후, 해당 플로우별로 나타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학습 모듈을 드래그 및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4,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selects the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학습 콘텐츠 등록 페이지(미 도시함)를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여기서 학습 콘텐츠는 실제 학습자들이 배우게 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영어 강의인 경우 상황별 영어 대화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렇게 표시 제어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페이지를 통해 강의 등록자는 각종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데, 소정의 콘텐츠를 온라인상에서 등록하도록 하는 과정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lecture registrant can register various contents through pages displayed through the
더 나아가 표시 제어부(110)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에 배치된 각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등록된 학습 콘텐츠와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이에 따라 각 학습 콘텐츠와 학습 모듈이 서로 매칭되어 강의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Accordingly, each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ing module can b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학습 콘텐츠를 등록하고, 그 학습 콘텐츠와 매칭되어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각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cture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학습 콘텐츠 등록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학습 콘텐츠를 등록/저장하고, 각 학습 콘텐츠를 학습 모듈과 매칭시킨 후 하나의 강의 콘텐츠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cture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강의 등록자의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이때 각 학습 모듈과 기 등록된 학습 콘텐츠가 강의 등록자에 의해 매칭되어 있는 상태임)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각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콘텐츠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cture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각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모듈 명칭 등)을 그 대응되는 학습 단계와 함께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lecture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등록되는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학습 모듈은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른 학습 콘텐츠와 이미 매칭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registered lecture is already matched with the learning content selected by the lecturer's registrant.
즉, 강의 등록자는 특정 학습 모듈과 자신이 등록한 학습 콘텐츠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때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앞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학습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학습 콘텐츠와 매칭시켜 최종적으로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lecture registrant can link the specific learning module with the learning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
즉, 생성 및 등록되는 강의 콘텐츠는 실질적으로는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학습 콘텐츠,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학습 단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학습 모듈 및 그 배치 순서가 매칭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ent of the lecture to be generated and register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earning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r,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arranged in the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강의 등록자에 의해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는 강의 등록자에 의해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에 대한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모두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시켜 등록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are selected by a lecturer's registrant, the lecture
한편,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로부터 강의 콘텐츠 등록부(120)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
특히,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가 요청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을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각 학습 모듈 내에 구비된 음성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매칭된 학습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그 매칭된 학습 콘텐츠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여기서 각 학습 모듈 내에 구비된 음성 처리 기능에 의해 수행한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음성 신호를 송출하거나,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한 후 음성 신호로 생성 및 송출하거나,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발음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인식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erformance by the voice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in each learning module means that the multimedia contents are played back by using the multimedia file playback function and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or the multimedia contents are played using the TTS (Text To Speech) function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generating and sending out a voice signal after recognizing the character, converting the voice received from the learner into text by using the STT (Speech To Text) function, or recognizing the pronunciation of the learner using the pronunciation recognition function It can mean a process.
특히, 학습 처리부(130)는 각 학습 모듈 수행 중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 현재 시점에서 바로 진행되었거나 진행될 학습 모듈에 매칭된 모듈별 발화 케이스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it is necessary to process a speech signal input from a learner during the execution of each learning module, the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학습 모듈은 모듈별 발화 케이스와 매칭되어 있는데, 학습 처리부(130)는 현재 진행되었거나 바로 진행될 학습 모듈에 매칭된 발화 케이스를 추출하고, 현 시점에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그 추출한 발화 케이스와 비교하여 학습자가 말한 내용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each learning module is matched with a module-by-module speech case. The
즉, 모듈별 발화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간이 말하는 모든 종류의 내용과 비교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각 모듈별 발화 케이스가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학습 진행 중 상황에 따라 학습자에 발화할 내용을 현 시점에서 진행되었거나 바로 진행될 학습 모듈에 매칭된 발화 케이스와만 비교하면 되므로,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re is no module-specific speech case, the
또한,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로부터 요청받은 강의 콘텐츠에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기 설정된 일자별로 순차적으로 선정한 후 그 선정된 학습 플로우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are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requested by the learner, the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등록자가 Flow A 및 Flow B에서 학습 모듈을 배치하여 강의 콘텐츠로 등록하였고 강의 등록자가 2일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면,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로부터 해당 강의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첫째 날에는 Flow A에서 배치된 순서대로 학습 모듈을 수행하고, 둘째 날에는 Flow B에서 배치된 순서대로 학습 모듈을 수행하며, 셋째 날에는 다시 Flow A에서 배치된 순서대로, 넷째 날에는 다시 Flow B에서 배치된 순서대로 학습 모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f the registrant of a lecture places a learning module in Flow A and Flow B and registers it as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registrant sets 2 days, In the case of requesting contents, the learning module is executed in the order placed in Flow A on the first day, the learning module is executed in the order placed in Flow B on the second day, the learning module is executed in the order placed in Flow A again on the third day, In the day, the learning module can be executed in the order of placement in Flow B.
이처럼 강의 콘텐츠 등록 페이지(500)에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과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강의 등록자가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520)에 포함된 학습 모듈을 선택(터치, 클릭, 터치 드래그 이동 등)하는 것만으로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의 특정 학습 단계에 그 선택된 학습 모듈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강의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한다.The learning
특히, 학습 플로우를 설계함(학습 모듈의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510)으로의 배치)에 있어서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540)을 활용함으로써, 반복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한 강의 콘텐츠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by utilizing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또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가 용이하게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위해 일정별로 각기 다른 학습 플로우에 따른 학습이 필요한 강의 콘텐츠도 쉽게 등록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Also, by allowing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to be easily registered in one lecture cont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gister lecture contents that require learning according to different learning flows for each schedule for learning efficiency.
특히, 학습 처리부(130)는 학습자로부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특정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그 특정 강의 콘텐츠에 따른 각 학습 단계별 음성 출력 신호를 해당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 learning request for a specific lecture content is received from a learner through a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e
구체적으로 학습 처리부(13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자로부터 학습 제어(특정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시작, 학습 정지, 학습 종료 등)를 위한 음성 신호 즉,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수신된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를 고려하여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발화 문구 정보에 대응되는 강의 콘텐츠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하여 결국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a speech signal for learning control (start of learning of a lecture content, stop of learning, termination of learning, or the like) is received from a learner through a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f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learner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speech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learner corresponds to the already registered speech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stage. The lectu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nformation are determined and the learning modules are executed in the order in which the learning modules a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determined lecture contents, Learning can be don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예를 들어 저장부(미 도시함)에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학습자의 음성 명령 즉, 학습 제어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발화 문구 정보와 학습자의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학습자의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에는 현재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는 물론이고, 학습이 시작되었다면 몇 번째 강의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 learner's voic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progress Her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level of the learner' includes not only whether the learning has been start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t present, but also how many lectures are being learned if the learning is started And the like.
이러한 '학습자의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는 현재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지금까지 학습이 이루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This 'learner's current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learning has been performed so far regardless of whether learning is currently perform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이 경우 상술한 발화 문구 정보는 학습자가 특정 강의를 선택하거나 호출하기 위한 학습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강의 선택 제어 문구, 특정 강의를 재생하기 위한 학습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재생 제어 문구, 재생되는 강의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학습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강의 정지 제어 문구, 강의 재생을 종료 즉, 학습을 종료하기 위한 학습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강의 종료 제어 문구, 강의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학습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강의 정보 확인 제어 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utterance phrase information includes a lecture selection control phrase corresponding to a learner's utterance for selecting or calling a specific lecture, a reproduction control phrase corresponding to a learner's utterance for reproducing a specific lecture, A lecture stop control phrase corresponding to a learner's utterance for stopping the lecture, a lecture completion control phrase corresponding to learner's utterance for ending lecture reproduction, a lecture corresponding to learner's utterance for confirming lecture-related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check control phrase.
따라서 학습 처리부(13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로부터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수신된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e
특히, 학습 진행 단계별로 학습자가 발화할 수 있는 종류가 다를 수 있는데, 학습 처리부(130)는 각 학습 진행 단계별 발화 문구(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종류가 매칭되어 있는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학습 진행 단계별로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발화 문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The
또한, 학습 처리부(13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각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행 이력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그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진행 이력을 참조하여 학습한 위치 이후부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 '기초 영어 회화 틀어줘'라고 발화하여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학습 처리부(130)는 그 학습 제어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기초 영어 회화'라는 강의 콘텐츠에 따른 강의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학습자가 그 이전에 '기초 영어 회화' 강의 콘텐츠를 일부분 학습한 적이 있다면 학습 처리부(130)는 그 학습한 이후부터의 강의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learner speaks 'Speech on basic English conversation' to a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nd receives a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the
이는 일종의 이어 듣기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에 의해 학습자는 자신이 이전에 학습하였던 내용을 별도로 찾지 않아도 되므로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is is a kind of eavesdropping function, which allows the learner to maximize learning efficiency because he or she does not have to search for the contents previously learned by him / herself.
예를 들어 학습 이력만을 보여주는 경우 학습자는 그러한 학습 이력을 확인한 후에 그 다음 학습 내용부터 재생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진행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학습자의 별다른 요청이 없더라도 학습이 중단되었던 부분부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자동 처리되므로, 학습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learning history is only shown, the learner can check the learning history and then reproduce the contents from the next learning contents. If the learning progress history exis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learner.
물론 학습자가 특정 학습 위치를 직접 지정한 경우에는 학습자의 선택을 따를 수도 있다.Of course, if a learner directly specifies a specific learning location, he / she may follow the learner's choice.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이전에 '기초 영어 회화'의 '제2강' 5분 30초까지 학습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 '기초 영어 회화 틀어줘'라고 한 경우 학습 처리부(130)는 자동으로 '기초 영어 회화'의 '제2강' 5분 30초 이후부터 학습이 진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학습자가 똑같은 상황(이전에 '기초 영어 회화'의 '제2강' 5분 30초까지 학습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 '기초 영어 회화 제3강 틀어줘'라고 한 경우 학습 처리부(130)는 비록 이전 학습 진행 이력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기초 영어 회화'의 '제3강'부터 학습이 진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learner has been learning until 5 minutes and 30 seconds of the 'second lecture' of 'basic English conversation', and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says 'play basic English conversation', the
한편, 학습 지원부(14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서 처리 가능한 발화 문구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발화 문구 리스트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발화 문구 리스트를 학습자에 대응되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학습 지원부(140)는 학습자가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을 시작하는 전에 또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던 중에 특정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발화 문구 정보 즉, 학습자가 음성으로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게 말해야 하는 문구 정보(발화 문구 정보)를 포함하는 발화 문구 리스트를 추출하여 학습자에 대응되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일 예로 도 1의 스마트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특히 학습 진행 단계별로 학습자가 발화할 수 있는 종류가 다를 수 있는데, 학습 지원부(140)는 각 학습 진행 단계별 발화 문구 정보를 포함하는 발화 문구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여기서 학습자에 대한 별도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서 학습 지원부(140)는 해당 통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통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는 각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전화번호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로그인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세션 정보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 separa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learner, the
또한 학습 지원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처리부(130)가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와 통신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그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학습 내용을 해당 학습자에 대응되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예를 들어 학습 처리부가 영어 콘텐츠 음성 출력을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로 송출하는 경우, 학습 지원부(140)는 그 영어 콘텐츠 음성 출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지문을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English content voice output to the voice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e
특히, 학습 지원부(14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경우, 그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응하는 복습용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earning progress for the predetermined unit is complet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e
여기서 '특정 단원'의 구분은 미리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서, 반드시 제1강, 제2강과 같은 방식으로 구분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division of 'specific un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own standards in advance, an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classif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이러한 복습용 푸시 메시지에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 진행이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특정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 식별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The review push message may include an Internet addres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nit for which learning progress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or an appl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이 경우 통신 단말기는 복습용 푸시 메시지를 표시하여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 선택시 그 복습용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특정 앱을 실행시킨 후 그 특정 앱으로 하여금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 진행이 완료된 내용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review push message to enable the learner to select the learner.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specific push message, th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view push message. You can ask for completed content.
이처럼 통신 단말기(특히 상술한 특정 앱)가 푸시 메시지에 따른 학습 내용 요청 신호를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면, 학습 지원부(140)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그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specific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ransmits the learning contents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push message to the lecture contents organization and providing system, the
이후, 통신 단말기는 학습 지원부(140)로부터 수신되는 학습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학습자는 방금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완료된 단원에 대한 텍스트 문서 등을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면서 복습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isplay the contents of learning received from the
이러한 푸시 메시지는 학습자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키고 학습 의욕을 고취하는 효과를 나타낸다.This push messag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learner 's learning efficiency and inspiring learning motivation.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특정 단원(일 예로 매 단원)에 대한 학습이 완료될 때마다 그 완료된 단원에 대한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등)를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게 되므로, 학습자는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청각으로만 진행하였던 학습 내용을 통신 단말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습 능률이 올라가게 되고, 또한 청각과 시각을 모두 동원한 학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 의욕이 고취되는 것이다.(Text, images, and the like) for the completed uni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each time the learning for the predetermined unit (for example, each unit) preset by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s completed. The learner visually confirms the learning contents which were only audibl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us the learning efficiency is raised. Further, learn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y using both the auditory and visual aspects, will b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이 강의 등록자의 요청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이용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structing a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a lecture registrant's request and processing the use of the generated lecture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등록 콘텐츠 등록 페이지를 강의 등록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1).First, the lecture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ding
이후,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강의 등록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를 등록 저장한다(단계 S3).Thereafter,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이후,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들의 리스트를 강의 등록자에게 제공하는데(단계 S5), 여기서 각 학습 모듈은 각각 음성 처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들이다.Thereafter,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이어서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그 복수 개의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일부를 순차 배치한 후(단계 S7), 그 순차 배치된 학습 모듈과 학습 콘텐츠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강의 등록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9).Subsequently, the lecture content organizing and providing
이후,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 각 순차 배치된 학습 모듈과 특정 강의 콘텐츠를 매칭시켜 전체적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 및 등록한다(단계 S11).Then,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이렇게 강의 콘텐츠가 생성 및 등록된 이후, 학습자로부터 해당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강의 콘텐츠 내 배치된 학습 모듈을 그 배치된 순서대로 음성 처리 기능에 의해 수행한다(단계 S13).After the lecture contents are generated and registered, if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from the learner,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강의 콘텐츠가 등록된다는 것을 전제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이 강의 콘텐츠의 등록을 위해 미리 구비하고 있는 각 학습 모듈의 일 예와 그러한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to FIG. 9, it is assumed that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우선,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모듈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an example of module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도 6은 기본 모듈에 해당하고, 도 7은 이러한 기본 모듈을 이용한 응용 모듈에 해당하는데, 먼저 기본 모듈을 살펴보면, 재생 모듈(도 6(a)), 묻고 답하기 모듈(도 6(b-1, b-2)), 영어 발음 평가 모듈(도 6(c))로 구분될 수 있다.6 (a), 6 (b-1), 6 (b) and 6 (b) show a basic module, and FIG. 7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module using such a basic module. b-2)), and an English pronunciation evaluation module (Fig. 6 (c)).
재생 모듈은 예를 들어 문제 들려주기, 동화 읽어주기, 강의 들려주기, 강의 시작/종료 알리기 등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지정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거나, 텍스트 파일을 읽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The playback module is used, for example, to play a specified voice file or to read a text file, which is used in, for example, playing a problem, reading a moving picture, giving a lecture, notifying a lecture start / end.
다음으로 묻고 답하기 모듈은 예를 들어 토익 문제풀기, 퀴즈 및 시험 문제 풀기, AI 스피커와 대화하기 등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학습자에게 질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모듈이고, 음성 파일을 재생하거나 텍스트 파일을 읽어서 학습자에게 질의하고, 학습자의 음성 답변을 STT를 통해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Answer and Answer module is used in, for example, solving TOEIC problems, solving quizzes and test questions, and talking with AI speakers. It is a module that helps students to ask questions, plays voice files or reads text files It queries the learne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e learner's voice answer through STT.
묻고 답하기 모듈에는 STT 처리를 함에 있어서 Rule-based형태를 이용하거나 또는 추론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Q & A module can be divided into a rule-based form for performing STT processing or a method for analyzing using an inference model.
마지막으로 영어발음평가 모듈은 예를 들어 발음 점수 확인 기능, 발음 피드백 기능, 발음 대결 기능 등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학습자 발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고, 음성 파일을 재생하거나 텍스트 파일을 읽어서 학습자에게 질의하고, 학습자의 음성 답변을 발음 인식 솔루션을 통해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nally, the English pronunciation evaluation module is used, for example, in the pronunciation score confirmation function, the pronunciation feedback function, the pronunciation confrontation function, and the like, and is a modul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nunciation of a learner. And recognizes the learner's voice answer through the pronunciation recognition solution.
이러한 기본 모듈은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응용 모듈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응용 모듈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basic module can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module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The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module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시작문구 모듈(도 7(a))은 수업의 시작과 강의에 대한 소개를 제공하고, 학습자 발화 명령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모듈이고, 종류문구 모듈(도 7(b))은 수업의 종료와 엔딩 노트를 제공하는 모듈이며, 강의재생 모듈(도 7(c))은 수업 콘텐츠를 재생하되, 학습자 발화명령어에 의해 재생될 수도 있는 모듈이다.7 (a)) is a module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arner's utterance command,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lecture and the start of the lecture, and the type phrase module (Fig. 7 (b) And a lecture reproducing module (Fig. 7 (c)) is a module that reproduces the lecture contents but may be reproduced by the learner utterance command.
다음으로, 문제풀기 모듈(도 7(d))은 객관식, 주관식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문제를 들려주고, 학습자의 답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듣고 따라하기 모듈(도 7(e))은 문장/단어 듣고 따라하기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문장 또는 단어를 학습자에게 들려주고 학습자 발화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예를 들어 70%이상 일치시 'Great', 40%이상 일치시 'Good')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대화하기 모듈(도 7(f))은 학습자가 문장을 듣고 이에 맞는 대화를 이어나가도록 하는 것으로서 학습자 발화에 맞게 rule-based 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자유대화하기 모듈(도 7(g))은 사용자 발화에 맞게 추론(NLP/NLU)하여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Next, the problem solving module (FIG. 7 (d)) provides a learner with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answers questions,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feedback to the learner's answer, (e)) is to listen to a sentence or a word and give a sentence or word to the learner and provide feedback on the learner's utterance (for example, 'Great' when more than 70% (Fig. 7 (f)), which allows a learner to listen to a sentence and continue conversation with the learner. The learner can continue conversation using rule-based data according to the learner's utterance And the free speech module (FIG. 7 (g)) provides a function to allow conversation to continue by inference (NLP / NLU) according to user utterance.
다음으로 발음점수 모듈(도 7(h))은 학습자에게 원어민 발음을 들려준 뒤 학습자에게 따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발화한 내용을 발음 인식 솔루션을 통해 평가를 하고, 최종 결과물로 발음에 대한 점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발음 교정 모듈(도 7(i)) 역시 학습자에게 원어민 발음을 들려준 뒤 학습자에게 따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발화한 내용을 발음 인식 솔루션을 통해 평가를 하고, 최종 결과물로 발음에 대한 평가 및 교정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며, 발음대결하기 모듈(도 7(j))은 발음 종합 점수를 이용한 학습자간 대결 모드(2인용)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학습자가 발화한 내용을 발음 인식 솔루션을 통해 평가를 한 후, 최종 결과물로 각각의 발음 점수와 승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Next, the pronunciation score module (FIG. 7 (h)) tells the learner the pronunciation of the native speaker and then follows the learner's pronunciation. The learner evaluates the learner's utterance through the pronunciation recognition solution, (Fig. 7 (i)) also allows the learner to listen to the native speaker and follow the learner. The learner evaluates the learner's utterance through the pronunciation recognition solution, (Fig. 7 (j)) provides a confrontation mode (for two persons) between learners using a pronunciation total score. The module for pronouncing pronunciation After the content is evaluated through the pronunciation recognition solution,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pronunciation score and the winner information as the final result is performed.
도 8 및 도 9는 이러한 각각의 학습 모듈 중에서 강의 등록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구성한 상태를 나타낸다.FIG. 8 and FIG. 9 show a state in which a lecture registrant arbitrarily selects one of these learning modules and constitutes one lecture content.
먼저 도 8은 일방적인 강의용 콘텐츠를 구성한 예로써, 시작문구 모듈, 강의재생 모듈, 종료문구 모듈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FIG. 8 shows an example of a one-sided lecture contents, in which a start phrase module, a lecture playback module, and an end phrase module are arranged in order.
즉, 도 8의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먼저 시작문구 모듈을 수행하여 시작문구가 학습자에게 들리도록 하고, 이후 강의재생 모듈을 수행하여 강의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며, 마지막으로 종류문구 모듈을 수행하여 강의가 종료되었음을 학습자에게 알리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learning is performed using the lecture contents of FIG. 8,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물론 여기서 각 학습 모듈(특히 강의재생 모듈)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일 예로 학습을 위한 음성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등)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학습 모듈 수행시 그 매칭된 학습 콘텐츠가 처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learning content (e.g., a speech file or a text file for learning) may be matched to each learning module (in particular, the lecture reproducing module)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processed.
도 9는 강의 콘텐츠에 문제 풀기 과정이 더 추가된 것으로서, 해당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먼저 시작문구 모듈을 수행하여 시작문구가 학습자에게 들리도록 하고, 이후 강의재생 모듈을 수행하여 강의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며, 문제풀기 모듈을 수행하여 학습자가 소정의 문제 풀이 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종류문구 모듈을 수행하여 강의가 종료되었음을 학습자에게 알리게 된다.FIG. 9 is a diagram further illustrating a problem solving process for the lecture contents. In the case where learning is performed using the lecture contents, the lecture content organizing and providing
상술한 바와 같이 강의 등록자는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각 음성 처리 기능이 구비된 각 학습 모듈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에 맞춰 순서대로 배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강의 콘텐츠 구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can shorten the lecture contents constitution time since the lecture registrant merely arranges the respective learning modules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voice processing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anner desired by them, as shown in Fig. 8 or Fig.
특히 각 모듈마다 음성 처리 기능이 구비됨은 물론이고, 각 모듈별 발화케이스가 매칭되어 있으므로, 학습자의 음성 피드백을 처리함에 있어서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each module has a speech processing function, and the speech cases for the respective modules are matched, accuracy and speed in processing learner's voice feedback can be improved.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강의 등록자가 강의 콘텐츠 생성을 위한 모든 과정을 직접하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강의 등록자가 다른 강의 등록자가 이미 등록한 강의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ecture registrant directly performs all the processes for creating lecture contents. However, the lecture registrant can utilize the lecture contents already registered by the registrant of another lecture.
예를 들어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이미 강의 콘텐츠가 생성 및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또 다른 강의 등록자(즉, 제2 강의 등록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의 구성을 제2 강의 등록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ecture contents have already been created and registered by the registrant of the first lecture,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registrant of another lecture (that is,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The constitution of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r's registrant can be provided to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구체적으로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보다 정확히는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응되는 각 학습 모듈 정보)이 그 강의 콘텐츠 내에서 배치된 순서대로 제2 강의 등록자가 조작하는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more precisely, learning modu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registrants of the first lecture are manipulated by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For example, a computer).
또한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제2 강의 등록자의 요청에 따라 제1 강의 등록자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이후, 해당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 강의 등록자에 의해 새롭게 등록된 학습 콘텐츠와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 메뉴를 제공하고, 그 제2 강의 등록자의 선택에 따라서 앞서 순차적 배치된 학습 모듈(즉,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 강의 등록자에 의해 새롭게 등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학습 콘텐츠와 매칭시켜 새로운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도 수행한다.Also,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즉, 제2 강의 등록자는 자신이 처음부터 전 과정을 만들 필요 없이,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불러와서, 그 강의 콘텐츠 구성(즉,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순서 및 학습 진행시 구동되는 모듈 종류)은 그대로 두고서, 각 학습 모듈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만 다시 매칭시켜 새로운 자신의 강의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invites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registrant of the first lecture without having to mak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beginning, and determines the content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that is, , The content of the lecture can be constructed by matching only the learning contents matched to each learning module.
예를 들어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가 영어 강의 콘텐츠이고, 제2 강의 등록자가 등록하려고 하는 강의 콘텐츠가 중국어 강의 콘텐츠인 경우, 제2 강의 등록자는 제1 강의 등록자에 의해 등록된 영어 강의 콘텐츠를 불러와서, 그 강의 콘텐츠 구성은 그대로 두고, 각 학습 모듈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만 중국어로 다시 매칭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registrants of the first lecture are English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contents to be registered by the registrants of the lecture are the lecture contents of the Chinese lecture, The content of the lecture can be retrieved, and the content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can be maintained, and only the learning contents matched to each learning module can be matched back to Chinese.
물론 제2 강의 등록자는 제1 강의 등록자의 강의 콘텐츠에 배치된 학습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학습 모듈로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운 학습 모듈을 추가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modules arranged in the content of the lecturer of the first lecture to another learning module or add a new learning module.
이에 따라 제2 강의 등록자는 새로운 강의 콘텐츠를 생성 및 등록함에 있어서 상당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can shorten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creating and registering new lecture contents.
이처럼 다른 강의 등록자에 의해 강의 콘텐츠가 재활용되는 경우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그 재활용되는 강의 콘텐츠를 등록한 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lecture contents are recycled by the registrant of another lecture, the lecture contents organizing and providing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00)은 앞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제2 강의 등록자가 제1 강의 등록자가 등록한 강의 콘텐츠의 구성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강의 콘텐츠를 등록한 경우, 그 제1 강의 등록자에게 소정의 서비스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gistrant of the second lecture registers the content of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registrant of the first lecture and registers the new lecture contents, for example, the content construction and
여기서 제1 강의 등록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에는, 서비스 이용 요금 할인, 포인트 지급, 무료 쿠폰 발송 등 제1 강의 등록자에게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주는 다양한 형태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service benefits to be provided to the registrants of the first lecture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providing economic benefits,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registrants of the first lecture, such as a service charge rate discount, a point payment, and a free coupon dispatch.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or an applica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Her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d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Compact Disk).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executed on hardware such as a computer or a smart phone to perform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contents construction and provision system of the le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suc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
200 : 학습자 이용 장치 300 : 강의 등록 장치
110 : 표시 제어부 120 : 강의 콘텐츠 등록부
130 : 학습 처리부 140 : 학습 지원부100: Lecture contents composition and provision system
200: learner-using device 300: lecture registration device
110: display control unit 120: lecture content registration unit
130: learning processing unit 140: learning support unit
Claims (20)
(b)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의 강의 등록자의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와;
(d) 학습자로부터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a) causing a learning flow desig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step and an available module display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to be displayed together;
(b) arranging a selected learning module in a specific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whenever a lecture registrant is selected for any one of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Wow;
(c) registering a lecture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on a learning module disposed in each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when selection of a learner module of the lecturer in the step (b) is completed;
(d) if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in the step (c) from the learner,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각 학습 모듈은 모두 음성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학습자가 요청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을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각 학습 모듈 내에 구비된 음성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earning modules includes a voice function,
Wherein, in the step (d),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requested by the learner are perform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earning steps, using the voice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in each learning module A method of controlling a providing system.
상기 (a) 단계에서는 반복 구간과 반복 횟수의 지정을 위한 별도의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 및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에서 지정된 반복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상기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에서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에 추가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a), a separate repetition rule rule set designation area for designating a repetition period and a repetition number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and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In the step (b), at least one learning step included in the repeated section designated in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is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learning flow designation area for the repetition times specified in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roviding system.
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선택된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이 전환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각 학습 플로우별로 강의 등록자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그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강의 등록자에 의해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에 대한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시키며,
상기 (d) 단계에서는 학습자로부터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기 설정된 일자별로 순차적으로 선정한 후 그 선정된 학습 플로우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using the learning flow design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flow selection button to be displayed in a switching manner when there is a selection of the lecture registrant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learning flow selection buttons,
In the step (b), a learning module selected by a lecturer registrant for each learning flow is arranged in a specific learning step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flow design area,
In the step (c), when the learning module selection for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is completed by the registrant of the lecture, the plurality of learning flows are included in one lecture content,
In the step (d), if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a lecture content registered in the step (c) from a learner,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 are sequentially selected for each predetermined date, And the learning modules are execut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earning stag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학습 모듈에 대한 상기 강의 등록자의 드래그 및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으로의 이동에 따라 해당하는 학습 모듈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ule is moved to the specific learning stage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according to the drag of the lecturer and the movement to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for th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학습자로부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 제어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d2) 상기 (d1) 단계에서 수신된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d3) 상기 (d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발화 문구 정보에 대응되는 강의 콘텐츠를 판단하는 단계와;
(d4) 상기 (d3) 단계에서 판단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d)
(d1) receiving a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from the learner via a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d2) judging whether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learner received in the step (d1) corresponds to the already registered speech phras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stage;
(d3) judging a le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phrase information if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learner corresponds to the pre-registered speech phras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d2);
(d4) the learning modules are execut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lecture determined in the step (d3)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lecture.
(e)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서 처리 가능한 발화 문구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발화 문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추출한 발화 문구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 extracting a speech tag list including at least one speech tag phrase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step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f) transmitting the list of speech phrases extracted in the step (e) to a separat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경우, 그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응하는 복습용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따른 학습 내용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Generating a review push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pecific unit when the learning progress for the predetermined unit is complet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ush push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When a learning content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push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he learning contents for the specific unit in which the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s completed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re included in the content;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각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행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4) 단계에서는 상기 (d3) 단계에서 판단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행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그 학습한 위치 이후부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learning progress history of contents of each lecture i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Wherein, in the step (d4), if there is a learning progress history for the lecture contents determined in the step (d3), the learning is performed after the learned position.
상기 강의 등록자의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는 강의 콘텐츠 등록부와;
학습자로부터 상기 강의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학습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A learning flow desig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step and a usable module display area including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are displayed together, and one of at least on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A learning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lassify the selected learning module into a specific learning stage of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A lecture contents registering unit for registering lecture contents including information on learning modules arranged in each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when the learning module selection of the lecturer's registrant is completed;
When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 contents registration unit from the learner, each learning module is performed in the order in which the learning modules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learning step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And a learning processing unit.
상기 각 학습 모듈은 모두 음성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 처리부는 상기 학습자가 요청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을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각 학습 모듈 내에 구비된 음성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each of the learning modules includes a voice function,
Wherein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performs a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requested by the learner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each learning step by using a voice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in each learning module .
상기 표시 제어부는 반복 구간과 반복 횟수의 지정을 위한 별도의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 및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에서 지정된 반복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계를 상기 반복 구간 룰 셋 지정 영역에서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에 추가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causes the learning-flow design area and the usable-module display area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a separate repeat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for designating the repeat section and the repeat number, Wherein at least one learning step included in the section is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learning flow designation area by a repetition number specified in the repeated section rule set designation area.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강의 등록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선택된 학습 플로우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이 전환 표시되도록 하고, 각 학습 플로우별로 강의 등록자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 모듈이 그 대응되는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강의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강의 등록자에 의해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에 대한 학습 모듈 선택이 완료된 경우 해당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하나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시키며,
상기 학습 처리부는 학습자로부터 상기 강의 콘텐츠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학습 플로우를 기 설정된 일자별로 순차적으로 선정한 후 그 선정된 학습 플로우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auses the learning flow design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flow selection button to be switched and displaye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learning flow selection buttons is selected by the lecturer, The learning module selected by the learning module designating module is arranged in the specific learning stage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flow design area,
Wherein the lecture content registr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in a lecture content when the lecture registrant selects a learning module for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Wherein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sequentially selects a plurality of learning flows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ate when there is a learning request for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ed by the lecture contents registering unit from the learner, Wherein each learning module is performed in the order in which the learning modules are arrang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 모듈 표시 영역에 포함된 학습 모듈에 대한 상기 강의 등록자의 드래그 및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으로의 이동에 따라 해당하는 학습 모듈이 상기 학습 플로우 설계 영역의 특정 학습 단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cause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ule to be placed in the specific learning step of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f the lecturer and the movement to the learning flow design area for the learning module included in the usable module display area The content of the lecture and the content of the lecture.
상기 학습 처리부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수신된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를 고려하여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학습자의 학습 제어 음성 신호가 기 등록된 발화 문구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발화 문구 정보에 대응되는 강의 콘텐츠를 판단하며, 해당 판단된 강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학습 모듈이 각 학습 단계에 배치된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earner via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received learner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speech phrase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stage And if the learning control speech signal of the learner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speech information, the lectu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information are determined,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learning modules included in the determined lecture contents Wherein each learning module is executed in the order in which the learning modules are arranged in each learning stage, so that learning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s performed.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현재의 학습 진행 단계에서 처리 가능한 발화 문구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발화 문구 리스트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발화 문구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학습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8. The method of claim 17,
A learning support section for extracting a list of speech phrases including at least one speech tag phrase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stag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peech tag list to a separat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경우, 그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응하는 복습용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따른 학습 내용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 진행이 완료된 특정 단원에 대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learning support unit generates a review push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pecific unit and transmits the review push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when the learning progress for the preset specific unit is complet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network speaker, When the learning contents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push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he learning contents for the specific unit whose learning progress is complet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network speaker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A system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a content of a lecture characterized by:
상기 학습 처리부는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각 강의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행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학습 진행 이력을 참조하여 그 학습한 위치 이후부터 상기 음성 인식 네트워크 스피커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earning processing unit stores a learning progress history of contents of each lecture i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nd refers to the learning progress history so that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network speaker after the learned position The content of the lecture and the content of the le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448A KR20190070683A (en) | 2017-12-13 | 2017-12-13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448A KR20190070683A (en) | 2017-12-13 | 2017-12-13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683A true KR20190070683A (en) | 2019-06-21 |
Family
ID=6705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1448A KR20190070683A (en) | 2017-12-13 | 2017-12-13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068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4189B1 (en) * | 2019-07-11 | 2020-07-15 | 주식회사 아들과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ook cont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
KR20210158781A (en) * | 2020-06-24 | 2021-12-31 | 주식회사 하이 |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daily tasks for ADHD childrendaily task performing support apparatus for ADHD children and method theref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0718A (en) | 2002-02-26 | 2003-09-02 | 주식회사 에이앤에스 | Tools for Making Internet Lecture and Method for Internet Lecture |
-
2017
- 2017-12-13 KR KR1020170171448A patent/KR20190070683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0718A (en) | 2002-02-26 | 2003-09-02 | 주식회사 에이앤에스 | Tools for Making Internet Lecture and Method for Internet Lec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4189B1 (en) * | 2019-07-11 | 2020-07-15 | 주식회사 아들과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ook cont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
KR20210158781A (en) * | 2020-06-24 | 2021-12-31 | 주식회사 하이 |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daily tasks for ADHD childrendaily task performing support apparatus for ADHD children and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75890A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 |
WO2019174072A1 (en) | Intelligent robot based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20140315163A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 |
WO2007062529A1 (en) | Inter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 |
CN109389873B (en) | Computer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system | |
US20060216685A1 (en) | Interactive speech enabled flash card method and system | |
KR100954498B1 (en) |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 |
Komatani et al. | User modeling in spoken dialogue systems to generate flexible guidance | |
JP5586754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 |
McBride | Podcast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 |
CN109147434A (en) | Teaching method and device | |
KR2019007068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
JP6166831B1 (en) | Word learning support device, word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word learning support method | |
KR2019007068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 |
KR20200086616A (en) |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 |
KR102534275B1 (en)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
KR10061389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earning progres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dia | |
KR20120027647A (en) |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200086611A (en) |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 |
CN110444065A (en) | Aid reading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smart machine | |
KR20200094060A (en) |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 |
KR100884826B1 (en) | Repeatable studying apparatus using page index, system and mehtod | |
KR20020024828A (en) | Language study method by interactive conversation on Internet | |
JP2019045575A (en) | Language learning device,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language learning program | |
KR20190049263A (en) | Class assistive method for consecutive interpretation class learn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