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10A -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10A
KR20190067010A KR1020170166964A KR20170166964A KR20190067010A KR 20190067010 A KR20190067010 A KR 20190067010A KR 1020170166964 A KR1020170166964 A KR 1020170166964A KR 20170166964 A KR20170166964 A KR 20170166964A KR 20190067010 A KR20190067010 A KR 2019006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water
unit
flat membra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016B1 (ko
Inventor
김창용
노종범
김세영
구건우
Original Assignee
김창용
김세영
구건우
노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김세영, 구건우, 노종범 filed Critical 김창용
Priority to KR102017016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01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425 priority patent/WO2019112340A1/ko
Publication of KR2019006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9Settling tank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오폐수의 찌꺼기,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처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연결유로에 의해 상기 고액분리기에 연결되어 미세물질을 여과하고 정제할 수 있는 미세물질 여과조를 포함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기는, 일측부에 오폐수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바닥면에는 침전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 1격실과 제 2격실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분리막부재; 상기 분리막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처리수가 이동하는 이동유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힌지부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는 개폐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물질 여과조는, 하부에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2슬러지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NON-DEGRADABLE SEWAGE AND WASTEWATER PRE-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 처리 장치로서 전기분해장치와 전기응집장치가 하나의 유닛에 병렬로 구성되며, 고속 고액분리기와 멤브레인 유닛이 구비된 미세물질 여과조를 결합시킴으로써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으며, 멤브레인 유닛의 역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오·폐수처리방식은 장치가 복잡하고 운전이 까다로워 유지관리 하는데에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동력비나 인건비등 유지관리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처리수 수질도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오·폐수처리법으로는 접촉산화법, 합병정화조, 고효율합병정화조 등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접촉산화법의 경우는 동력소모가 상대적으로 많고 높은 함수율의 폐슬러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처리수의 유기물농도가 높아 처리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오·폐수의 유입이 불규칙적이거나 1∼2주일간 유입되지 않고 공폭기되는 경우에는 핀플록현상이 일어나거나 미생물이 사멸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처리수의 수질이 악화될 뿐아니라 미생물식종을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합병정화조 및 고효율합병 정화조의 경우는 침전분리 및 유량조정기능을 개량한 접촉산화법을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탱크로 일체화하여 규모를 축소시킨 장점은 있으나, 이들 또 한 유지관리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동력비나 소음문제, 폐슬러지 처리문제 등으로 운전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452호 (2009.02.0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4076호 (2010.07.29)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797호 (2010.07.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편한 시스템 구성으로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전기분해장치와 전기응집장치가 병렬로 구성되며, 고속 고액분리기와 멤브레인 유닛이 구비된 미세물질 여과조를 결합시킴으로써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 유닛의 역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은, 전기 화학적으로 폐수 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전기응집장치, 상기 전기응집장치로부터 오염물이 처리된 처리수를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장치, 상기 전기응집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로부터 전처리된 처리수로부터 찌꺼기,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처리하는 고액분리기, 및 연결유로에 의해 상기 고액분리기에 연결되어 미세물질을 여과하고 정제할 수 있는 미세물질 여과조를 포함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기는, 일측부에 오폐수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바닥면에는 침전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 1격실과 제 2격실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분리막부재; 상기 분리막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처리수가 이동하는 이동유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힌지부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는 개폐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물질 여과조는, 하부에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2슬러지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부의 일단에는 상기 개폐덮개부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처리수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금속성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포집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석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여과수나 세정수가 충진될 수 있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여과수를 배출하거나 물탱크에 세정수를 충진하기 위한 출입구; 처리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 상기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물탱크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제 1유로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유로관; 및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제 2유로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기관은 그 내부가 벤츄리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멤브레인 유닛을 진동시키기 위하여 제 2유로관의 내부에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 2유로관 내벽 상하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는 편심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지그재그로 벤딩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을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수평이동장치;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을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수평이동장치; 및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와 제 2수평이동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들과 각각 연동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위치이동바; 및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상부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위치이동바; 및 상기 하부 위치이동바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하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와 제 2수평이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호간에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와 하부 위치이동바는 각각 멤브레인 평막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와 하부 위치이동바는 각각 멤브레인 평막 모듈에 접하여 설치되는 하나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액분리기 이전에, 전기 화학적으로 폐수 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전기응집장치; 및 상기 전기응집장치로부터 오염물이 처리된 처리수를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응집장치와 전기분해장치는 하나의 유닛에 두 개의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분해장치와 전기응집장치가 병렬로 구성된 처리부와, 고속 고액분리기와 멤브레인 유닛이 구비된 미세물질 여과조를 결합시킴으로써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적으로 고액분리기를 통해서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미세물질이 함유된 처리수를 멤브레인 유닛과 전자석을 통해서 제거함으로써,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물질 여과조의 멤브레인 유닛을 유지세정을 위하여 역세척을 할 때 산기관의 동작과 편심 회전체의 작동을 통해서 멤브레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고액분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미세물질 여과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미세물질 여과조에 사용되는 멤브레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액분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미세물질 여과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은 전기 화학적으로 폐수 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전기응집장치(400), 상기 전기응집장치(400)로부터 오염물이 처리된 처리수를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장치(500), 상기 전기응집장치(400)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500)로부터 전처리된 처리수로부터 찌꺼기,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처리하는 고액분리기(100), 및 상기 고액분리기(100)에 연결되어 미세물질을 여과하고 정제할 수 있는 미세물질 여과조(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응집장치(400)와 전기분해장치(500)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전처리장치이다. 상기 전기응집장치(400)의 전기응집 반응은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교환에 의해 이온성 물질의 염으로의 석출 및 floc의 성장을 가속화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고, 상기 전기분해장치(500)의 전기분해 반응은 폐수에 직류전원을 통전 시킬 때 발생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전기응집장치(400)는 오폐수 원수가 유입되어 충진되는 탱크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응집 제어패널, 및 상기 전기응집 제어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은 상황에 따라서 자동으로 반대의 극성으로 바뀔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응집물이 형성되거나, 응집물을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기응집장치(400)는 내부에 DC전원을 공급함으로써,
a) 전극표면에서의 전기화학 반응
b) 액상에서의 응집 형성
c) 응집물에서 용해성 콜로이달 오염물의 흡착 후 침전 혹은 부상에 의한 제거 등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물은 자연상태의 전기응집 화합물을 만들어 내며 알루미늄 혹은 철 산화전극은 다시 사용된다.
전극의 주요 화학 반응은
Al --> Al3 +(aq) + 3 e- (양극)
3H2O + 3 e- --> 3/2H2 + 3OH- (음극)
양극의 포텐션이 충분히 높다면 폐수 내에 존재하고 있는 유기화합물 및 염소이온의 직접 산화 같은 2차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2Cl- --> Cl2 + 2e-
생성된 염소는 유기화합물을 산화시킬 수 있고 전극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합니다. 또한, 음극은 높은 pH 값에서 수소가스 생성 중 수산화 이온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킵니다.
2Al + 6H2O + 2OH- --> 2Al(OH)4 - + 3H2
상기의 전극반응에 의해 생성된 Al3 +(aq) 및 OH- 이온은 다양한 이온들을 형성하게 됩니다. Al(OH)2 +, Al(OH)2 +, Al2(OH)2 4 +, Al(OH)4 -, Al6(OH)15 3 +, Al7(OH)17 4 +, Al8(OH)20 4+ , Al13O4(OH)24 7 + , Al13(OH)34 5 + 와 같이 형성된 이온들은 화합물의 침전역학에 의해 최종적으로 Al(OH)3 로 변환됩니다.
다른 한편으로 전기적으로 발생한 철 이온은 수산화 및 고분자형 이온들과 함께 pH의 범위에 따라 다양한 이온들을 형성하고 FeOH2 +, Fe(OH)2 +, Fe2(OH)2 4 +, Fe(OH)4 -, Fe(H2O)2 +, Fe(H2O)5OH2 +, Fe(H2O)4(OH)2 +, Fe(H2O)8(OH)2 4 +, Fe2(H2O)6(OH)4 4 + ㅇ와 같이 형성된 이온들은 최종적으로 Fe(OH)3로 변환됩니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장치(500)는 상기 전기응집장치(400)로부터 오염물질 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를 전기분해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전극(510, 520)이 설치되어 있다.
유기물질의 전기분해는 양극에서 산화되지만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수산화 이온이 전극표면에 흡착되어 유기물을 산화하는 직접산화와 염소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하이포아염소산 등의 중간산물에 의한 간접산화로 구분 할 수 있다.
① 직접산화
유기물질(R)은 산화성 양극에 흡착된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물 혹은 수소이온으로 분해된다.
R + MOx[OH]2 → CO2 + zH+ + ze- + MOx (MOx: 양극)
② 간접산화
간접산화로 제거되는 유기물질의 전기 화학반응은 전기 분해중 염소의 양극산화가 동시에 발생하며 하이포아 염소산이 전극표면에 형성된다.
음극에서 발생하는 수소에 의하여 수중의 유기물질이 환원되기도 하며 산화형 색소 등은 쉽게 환원되어 무색이 된다.
또한, 상기 고액분리기(100)와 미세물질 여과조(200)는 연결유로(15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유로(150)에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밸브(14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유로(150)는 상기 고액분리기(100)의 하단으로부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액분리기(100)는 일측부에 오폐수가 유입되는 입구부(111)를 구비하고 바닥면에는 침전슬러지(70)를 배출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배출구(113)를 구비하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그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분리막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부재(120)는 격벽 구조로서 고액분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본체(110)의 내부를 제 1격실(161)과 제 2격실(163)로 구획을 하고 있다. 상기 분리막부재(120)의 상부측에는 이동유로(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유로(125)는 상기 제 1격실(161)에서 1차적으로 슬러지들이 걸러진 처리수를 제 2격실(16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개폐덮개부(130)가 힌지부(133)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덮개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본체(110)의 후방벽이 전방벽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부(130)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부(130)의 일단에는 상기 개폐덮개부(13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3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35)는 상기 연결유로(15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135)가 상기 개폐덮개부(130)의 개방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를 열어주어서, 상기 제 2격실(163)에 충진되어 있던 처리수가 연결유로(150)를 경유하여 미세물질 여과조(200)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감지센서(135)가 상기 개폐덮개부(130)의 폐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0)를 닫아서, 상기 연결유로(15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렇게 연결유로(150)가 폐쇄되면, 상기 고액분리기(100) 내부에 오폐수 및 처리수가 충진되게 되고, 충진됨과 동시에 본체(110) 내부에 고압의 압력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제 1격실(161) 내부에 충진된 오폐수에서 물에 뜨는 불순물들과 같은 부상슬러지(80)는 상부로 부유하게 되고, 찌꺼기나 침전슬러지와 같은 것들은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결국, 부상슬러지(80)는 상기 개폐덮개부(130)를 밀고 올라가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침전슬러지(70)는 제 1슬러지배출구(11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액분리기(100)에서는 오폐수 중에서 부상슬러지(80)와 침전슬러지(70)가 1차로 제거될 수 있고, 큰 슬러지들이 제거된 미세물질은 처리수와 함께 미세물질 여과조(200)로 이송되어 2차로 여과됨으로써 정제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세물질 여과조(200)는 하부에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2슬러지 배출구(215)가 형성된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슬러지 배출구(215)는 슬러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진 바닥면에는 전자석(220)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220)은 처리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철과 같은 금속성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석(220)에 포집된 금속함유 슬러지들은 멤브레인 평막모듈의 역세척 시에 자성을 제거함으로써 멤브레인 평막모듈에서 탈리된 슬러지들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멤브레인 유닛(30)은 여과수나 세정수가 충진될 수 있는 물탱크(10) 및 상기 물탱크(10)에 저장된 여과수를 배출하거나 물탱크(10)에 세정수를 충진하기 위한 출입구(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유닛(30)은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이 상기 물탱크(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하측부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하측부에는 복수의 산기관(13)이 설치되는데, 상기 산기관(13)은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기관(13)은 제2유로관(15)에 설치되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멤브레인 유닛(30)으로 분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분출된 공기는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을 세척할 수도 있고, 동시에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수조의 물 용존 산소량을 유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산기관(13)은 그 내부 구조가 벤츄리관 구조(18)로 형성됨으로써, 물방울을 미세한 버블 형태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기관(13)이 설치된 제 2유로관(282)의 내부에는 다수의 진동부재(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250)가 제 2유로관(282)의 내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 2유로관(282)이 연결된 멤브레인유닛(30)이 진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멤브레인 평막모듈(31)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부재(250)는 제 2유로관(28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2유로관(282) 내벽 상하에 설치되는 베어링(253), 상기 베어링(253)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51)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는 편심회전체(255)를 포함한다.
따라서, 역세수가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해서 상기 편심회전체(255)가 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251)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편심회전체(255)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유로관(282)이 진동하게 되고, 그가 결합된 멤브레인 유닛(30)이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산기관(13)이나 상기 진동부재(250)는 멤브레인 유닛(30)이 정상적인 정화 및 여과 동작을 할 때에는 작동을 하지 않고, 멤브레인 평막모듈(3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척을 수행할 때에만 작동을 시키는 것이다.
즉, 역세척을 위해서 상기 삼방밸브(285)를 양측으로 개방하여 제 1유로관(281)과 제 2유로관(282)으로 역세수가 공급된다. 제 1유로관(281)으로 공급된 역세수는 물탱크(10)를 경유하여 멤브레인 평막모듈(31)의 내부로 공급되어 멤브레임 모듈(31)의 미세공을 통과해 미세물질 여과조(200) 내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역세수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멤브레인 평막모듈(31)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유로관(282)로 공급된 역세수는 산기관(13)을 통해서 미세 버블 형태로 분출이되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진동부재(250)를 작동시켜서 멤브레인 유닛(30)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산기관(13)과 진동부재(250)를 통해서 2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을 지그재그로 벤딩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상부쪽에 제 1수평이동장치(40)가 설치되고,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하부쪽에 제 2수평이동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40)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상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위치이동바(41)와, 복수의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41)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상부지지로드(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41)는 한 쌍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이 상기 한 쌍의 작동바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 각각은 그들이 삽입된 상부 위치이동바(41)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며, 동시에 동일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수평이동장치(50)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하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위치이동바(51)와, 복수의 상기 하부 위치이동바(51)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하부지지로드(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위치이동바(51)는 한 쌍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이 상기 한 쌍의 작동바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31) 각각은 그들이 삽입된 하부 위치이동바(51)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며, 동시에 동일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40)와 제 2수평이동장치(50)는 각각 구동장치(23)에 연결되어 병진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40)와 제 2수평이동장치(50)는 상호간에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수평이동장치(40)가 구동장치(23)에 의해서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을 밀어서 위치시키면, 제 2수평이동장치(50)는 구동장치(23)에 의해서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을 잡아당겨서 위치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은 지그재그 형태로 벤딩되어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멤브레인 평막 모듈(31)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해서 구동장치(23)를 반대로 작동시켜서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40)과 제 2수평이동장치(50)의 상호간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물탱크 11: 출입구
13: 산기관 15: 공기유로
20: 지지프레임 30: 멤브레인 유닛
31: 멤브레인 평막 모듈 40: 제 1수평이동장치
41: 상부 위치이동바 43: 상부지지로드
50: 제 2수평이동장치 51: 하부 위치이동바
53: 하부지지로드 100: 고액분리기
110: 본체 111: 입구부
113: 제 1슬러지배출구 120: 분리막부재
125: 이동유로 130: 개폐덮개부
135: 감지센서 140: 솔레노이드밸브
150: 연결유로 200: 미세물질 여과조
210: 하우징 220: 전자석
250: 진동부재 251: 회전축
253: 베어링 255: 편심회전체

Claims (13)

  1. 전기 화학적으로 폐수 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전기응집장치, 상기 전기응집장치로부터 오염물이 처리된 처리수를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장치, 상기 전기응집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로부터 전처리된 처리수로부터 찌꺼기,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처리하는 고액분리기, 및 연결유로에 의해 상기 고액분리기에 연결되어 미세물질을 여과하고 정제할 수 있는 미세물질 여과조를 포함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기는,
    일측부에 오폐수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바닥면에는 침전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 1격실과 제 2격실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분리막부재;
    상기 분리막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처리수가 이동하는 이동유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힌지부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는 개폐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물질 여과조는,
    하부에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 2슬러지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부의 일단에는 상기 개폐덮개부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처리수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금속성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포집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석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여과수나 세정수가 충진될 수 있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여과수를 배출하거나 물탱크에 세정수를 충진하기 위한 출입구;
    처리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
    상기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물탱크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제 1유로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유로관; 및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제 2유로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그 내부가 벤츄리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유닛을 진동시키기 위하여 제 2유로관의 내부에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 2유로관 내벽 상하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는 편심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을 지그재그로 벤딩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을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수평이동장치;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을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수평이동장치; 및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와 제 2수평이동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들과 각각 연동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상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위치이동바; 및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상부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멤브레인 평막 모듈의 하부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위치이동바; 및
    상기 하부 위치이동바들을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하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평이동장치와 제 2수평이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호간에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와 하부 위치이동바는 각각 멤브레인 평막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치이동바와 하부 위치이동바는 각각 멤브레인 평막 모듈에 접하여 설치되는 하나의 작동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기 이전에,
    전기 화학적으로 폐수 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전기응집장치; 및
    상기 전기응집장치로부터 오염물이 처리된 처리수를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전기분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응집장치와 전기분해장치는 하나의 유닛에 두 개의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KR1020170166964A 2017-12-06 2017-12-06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KR10206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64A KR102066016B1 (ko) 2017-12-06 2017-12-06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PCT/KR2018/015425 WO2019112340A1 (ko) 2017-12-06 2018-12-06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64A KR102066016B1 (ko) 2017-12-06 2017-12-06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10A true KR20190067010A (ko) 2019-06-14
KR102066016B1 KR102066016B1 (ko) 2020-01-14

Family

ID=6675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964A KR102066016B1 (ko) 2017-12-06 2017-12-06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6016B1 (ko)
WO (1) WO20191123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78B1 (ko) * 2021-09-14 2022-01-13 대양엔바이오 주식회사 슬러지 마그네타이트 DNB 사이클론콘(Cone)형 부착·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5947A (zh) * 2022-01-04 2022-04-05 山东三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发酵废水的硫酸根高效脱除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52B1 (ko) 2008-05-21 2009-02-06 (주)고려환경 오존접촉식 여과흡착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100941383B1 (ko) * 2009-07-28 2010-02-10 문제운 막분리형 모듈 및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KR100970797B1 (ko) 2009-09-04 2010-07-16 김창용 여과재 및 이를 적용한 여과장치
KR100974076B1 (ko)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20100120541A (ko) * 2009-05-06 2010-11-16 (주)옥센텍 슬러지 분리 및 정화 장치
KR101488283B1 (ko) * 2014-06-16 2015-01-30 주식회사 에코너지 전해응집 및 관형여과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KR101560245B1 (ko) * 2013-12-10 2015-10-1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습식 스크러버 폐세정수 처리장치
KR101681309B1 (ko) * 2014-11-07 2016-12-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응집 슬러지 고속 침전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52B1 (ko) 2008-05-21 2009-02-06 (주)고려환경 오존접촉식 여과흡착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100120541A (ko) * 2009-05-06 2010-11-16 (주)옥센텍 슬러지 분리 및 정화 장치
KR100941383B1 (ko) * 2009-07-28 2010-02-10 문제운 막분리형 모듈 및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KR100970797B1 (ko) 2009-09-04 2010-07-16 김창용 여과재 및 이를 적용한 여과장치
KR100974076B1 (ko)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101560245B1 (ko) * 2013-12-10 2015-10-1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습식 스크러버 폐세정수 처리장치
KR101488283B1 (ko) * 2014-06-16 2015-01-30 주식회사 에코너지 전해응집 및 관형여과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KR101681309B1 (ko) * 2014-11-07 2016-12-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응집 슬러지 고속 침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78B1 (ko) * 2021-09-14 2022-01-13 대양엔바이오 주식회사 슬러지 마그네타이트 DNB 사이클론콘(Cone)형 부착·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016B1 (ko) 2020-01-14
WO2019112340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4219C (en) Process for sewage water purification
JP5111757B2 (ja) 濾過ユニット
CN104797535A (zh) 电化学处理工业废水和饮用水的方法和装置
KR102066016B1 (ko)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JP2005007385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RU2687416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од бытового, питьевого и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100435002B1 (ko) 전해부상방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CN218709592U (zh) 一种污泥沉降设备及系统
CN217628003U (zh) 一种电泳涂装废水收集处理装置
CN113443758A (zh) 垃圾渗滤液全量化预处理装置、处理系统以及处理方法
CN210635861U (zh) 可多程氧化及多级分解的实验室废水处理设备
JP5283831B2 (ja) 下水処理施設及び下水処理方法
JP2000334462A (ja) 充填床式電気化学水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457957B1 (ko)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JP4099369B2 (ja) 排水処理装置
KR102163942B1 (ko) 다중전극관으로 전기분해하는 정수시스템
JP2006026506A (ja) 排水処理装置と生ゴミ処理システム及び油除去装置
KR20180102906A (ko) 전기응집장치
KR20180102908A (ko) 수처리용 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CN210150778U (zh) 一种电解沉淀池
JP2008207089A (ja) 汚水処理装置及び汚水処理方法
JP2006346511A (ja) 洗浄廃液の浄化装置
CN105540952A (zh) 紫脲酸废水处理工艺
KR101007893B1 (ko) 전기분해 및 중력여과 복합공정에 의한 난분해성폐수처리장치
CN115974325A (zh) 含铬废物化验检测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