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516A -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516A
KR20190047516A KR1020170141485A KR20170141485A KR20190047516A KR 20190047516 A KR20190047516 A KR 20190047516A KR 1020170141485 A KR1020170141485 A KR 1020170141485A KR 20170141485 A KR20170141485 A KR 20170141485A KR 20190047516 A KR20190047516 A KR 2019004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ystem
service
network
user terminal
specific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189B1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89B1/ko
Priority to CN201880013028.5A priority patent/CN110383897B/zh
Priority to PCT/KR2018/000413 priority patent/WO2019083095A1/ko
Priority to CN202210021264.XA priority patent/CN114142918A/zh
Priority to CN202210021974.2A priority patent/CN114143793A/zh
Publication of KR2019004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16A/ko
Priority to US16/517,757 priority patent/US113371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 중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일시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원 또는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체 데이터 사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각기 개별 커버리지 내 데이터 사용량 및 사용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과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송을 사용하며, 무선 전송 품질은 단말기 및 기지국 간의 무선 상태에 따라 시변하며, 무선 전송 품질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는 경우 서비스의 제공 자체가 불가능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현재 단말기가 접속 중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로 변경되어 해당 서비스를 단말기에 제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 품질 및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 특히, 긴급 통화, 재난 문자 등과 같이 중요도가 높은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의 상태, 망 상태 등과 무관하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 중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일시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원 또는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 과정;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 중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결정과정;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시스템 전환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수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등록을 수행하고, 특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 접속을 수행하여 시스템을 전환하며, 전환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 과정;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을 일반 모드로 유지하고,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설정과정;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특정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특정 서비스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발생 알림과정; 상기 특정 서비스 발생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모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모드 전환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모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수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 모두와 등록을 수행하고,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제어 및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며, 특정 서비스에 대한 모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해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타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요도가 높은 긴급 통화, 재난 문자, 음성 서비스 등의 서비스의 누락없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가 두 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동시에 등록 가능한 경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두 개의 시스템에 모두 연동하지 않고 하나의 시스템에만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의 전력 소모 및 특정 서비스에 대한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식별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단계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순서가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든 경우 일시적으로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산업,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GPP 표준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Evolved Packet System 또는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차세대 Next Generation 시스템)을 그 대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과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이 공존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접속기술을 연동함으로써 단말에 다중 연결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4G 시스템을 예로 들고,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5G 시스템 또는 NR(New Radio)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과 공존(co-exist)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과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공존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 예컨대 5 G 이동통신 시스템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기존의 네트워크 시스템 예컨대 4 G 이동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100)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UE 뿐만 아니라,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동장비(ME: Mobile Equipment),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1 기지국 장치(112), 제1 코어망 장치(11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제2 기지국 장치(122), 제2 코어망 장치(12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장치(112) 및 제2 기지국 장치(122)는 기지국(Base Station)일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기지국은 BS, NodeB(NB), eNodeB(eNB), gNodeB(gNB)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코어망 장치(114) 및 제2 코어망 장치(124)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각각의 코어망을 구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어망 장치(114)는 5 G 망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일 수 있다. 여기서, AMF는 RAN(Radio Access Network) CP(Control Plane) 인터페이스(예: N2)의 종단(termination)이자 NAS(Non-Access Stratum)의 종단이다. AMF는 등록관리(Registration Management), 연결관리(Connection Management), 접근가능성관리(Reachability Management), 이동성관리(Mobility Management), 액세스 인증(Access Authentication), 액세스 인가(Access Authorization)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AMF는 가상화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위의 기능들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물리적 노드(Physical Node)가 아닌 가상 노드(Virtualized Nod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망 장치(124)는 LTE 망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일 수 있다.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UE와 PDN 간 E2E(End to End) 연결을 위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타입에 따라 LTE 망 내 S-GW(Serving Gateway) 및 PGW(PDN Gateway)를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 중인 네트워크 시스템이 특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일시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원 또는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긴급 통화, 재난 문자, 음성 서비스 등의 서비스의 누락없이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품질 및 이동성, 서비스 가용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4 실시예를 통해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 서비스 노드(130) 등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DB(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1 기지국 장치(112), 제1 코어망 장치(11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제2 기지국 장치(122), 제2 코어망 장치(12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 접속할 때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을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과 단말 및 네트워크의 능력(Capability)에 대한 협상을 수행하고(S210),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 등록(Attach 또는 Registration)을 수행한다(S212).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과의 연결을 위해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등록 요청에 대한 등록 응답 허용(Attach 또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등록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처리된 후 해당 연결로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메시지를 교환하여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서비스 받기 위해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등록을 수행하면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의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능력(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수신할 서비스의 타입, 서비스 관련 세부정보 등을 교환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이 허용되는 경우,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제2 코어망 장치(124)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제공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제2 코어망 장치(124)로부터 해당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코어망 장치(124)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시스템 전환 관련정보를 제1 코어망 장치(114)로 미리 전달한다. 여기서, 시스템 전환 관련정보는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신호에 포함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임시 식별자, 보안 관련정보, QoS 관련정보, 특정 서비스를 위해 접속해야 할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제2 코어망 장치(124)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전환 관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시스템 전환 관련정보는 등록 응답 허용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등록 응답 허용 메시지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210 및 단계 S212에서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서비스의 발생/도착 알람 등의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DB(미도시)에 제2 코어망 장치(124)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 DB(미도시)에 제2 코어망 장치(124)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코어망 장치(124)의 주소를 가입자 정보 DB(미도시)로 전달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서비스 노드(130)로부터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고(S220, S230), 단말 및 망의 능력(Capability)을 고려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 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한다(S240).
구체적으로, 서비스 발생에 따른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노드(130)는 수신된 서비스 요청신호를 어떤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달할지를 서비스의 타입, 가입자의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DB(미도시)로 질의하고, 가입자 정보 DB(미도시)로부터 단계 S210 및 단계 S212에서 등록한 제2 코어망 장치(124)의 주소를 수신한다. 여기서, 가입자의 식별자는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하며, 서비스에 대해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노드(130)는 제2 코어망 장치(124)로 서비스의 타입, 가입자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2 코어망 장치(124)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1 코어망 장치(114)로 전달한다.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제공할지 여부를 단말 및 망의 능력(Capability)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여 통신을 재개한다(S25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즉,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RRC-IDLE 상태를 RRC-CONNECTED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NW-initiated Service Request)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한다(S260, S270).
구체적으로, 제1 코어망 장치(114)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기지국 장치(112)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제1 기지국 장치(112)는 수신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즉, 제1 코어망 장치(114)는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하라는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제1 기지국 장치(112)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스템 전환 명령은 가입자의 식별자, 서비스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시스템 전환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면서, 제1 기지국 장치(112)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RRC 연결을 해제(Release)하는 동작이 함께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시스템 전환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 장치(112)는 현재 자신과 인접한 제2 기지국 장치(122)에 대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가 시스템 전환을 위해 제2 기지국 장치(122)에 접속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관한 정보 예컨대, 주파수, Cell 식별자,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련정보 등을 시스템 전환이 동작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의 접속을 수행하고(S280),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S29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시스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제2 기지국 장치(122)로 접속하여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계 S270에서 획득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활용하여 제2 기지국 장치(122)로 접속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접속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 서비스 노드(130) 등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DB(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1 기지국 장치(112), 제1 코어망 장치(11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제2 기지국 장치(122), 제2 코어망 장치(12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 접속할 때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을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시켜 서비스를 제공한 후 시스템 복귀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복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단계 S310 내지 S350은 도 1의 단계 S210 내지 S25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시스템 복귀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한다(S360, S370).
구체적으로, 제1 코어망 장치(114)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기지국 장치(112)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제1 기지국 장치(112)는 수신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즉, 제1 코어망 장치(114)는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하라는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제1 기지국 장치(112)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스템 전환 명령은 가입자의 식별자, 서비스 타입, 시스템 복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전환 명령에 포함된 시스템 복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시스템을 전환하여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 이후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복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특정 서비스의 수신을 완료한 이후 사용할 시스템의 우선순위(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우선적으로 머무를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복귀할지 등을 결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시스템 전환 이전의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복귀 여부를 결정할 시간(서비스 종료 즉시, 서비스 종료 후 일정 시간값 후, 복귀 안함 등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시스템 전환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면서, 제1 기지국 장치(112)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RRC 연결을 해제(Release)하는 동작이 함께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시스템 전환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 장치(112)는 현재 자신과 인접한 제2 기지국 장치(122)에 대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가 시스템 전환을 위해 제2 기지국 장치(122)에 접속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관한 정보 예컨대, 주파수, Cell 식별자,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련정보 등을 시스템 전환이 동작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의 접속을 수행하고(S280),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S39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시스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제2 기지국 장치(122)로 접속하여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계 S270에서 획득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활용하여 제2 기지국 장치(122)로 접속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접속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가 종료된 후 시스템 복귀 정보에 근거하여 복귀 시스템을 결정하고(S392), 결정된 복귀 시스템으로 재접속을 수행한다(S394).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계 S360 및 단계 S370에서 시스템 복귀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시스템 복귀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 이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복귀 정보에 시스템의 우선순위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할 시스템을 결정한다. 또한, 시스템 복귀 정보에 복귀 여부를 결정할 시간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조건에 따라 복귀 여부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 서비스 노드(130) 등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DB(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1 기지국 장치(112), 제1 코어망 장치(11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제2 기지국 장치(122), 제2 코어망 장치(12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Dual Registration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등록(Attach 또는 Registration)을 수행한다(S410, S42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모두에 등록을 수행하는 Dual Registration 상태로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등록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 각각에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동작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등록된 후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MICO(MICO: Mobile Initiated Communication Only)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S43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을 통해 일반 서비스를 수신하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서는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일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고,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특정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MICO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MICO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향링크로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절전 상태로 동작하며, 사용자 단말기(100)가 명시적으로 데이터 송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일반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을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단계 S43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MICO 모드로 전환하면서, 특정 서비스의 발생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다시 전환하기 위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특정 서비스의 형태를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과 미리 교환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서비스 노드(130)로부터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고(S440),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의 주소를 확인한 후(S450)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로 서비스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S460).
구체적으로, 서비스 발생에 따른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노드(130)는 서비스의 타입, 가입자의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관한 특정 서비스가 발생했음을 제2 코어망 장치(124)로 전달한다.
이후, 제2 코어망 장치(124)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이 공동으로 연동된 가입자 정보 DB(미도시)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재 등록된 제1 코어망 장치(114)의 주소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제2 코어망 장치(124)는 가입자 정보 DB(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1 코어망 장치(114)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발생 메시지를 제1 코어망 장치(114)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발생 메시지는 가입자에 대한 식별자, 서비스 타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여 통신을 재개한다(S47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즉,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RRC-IDLE 상태를 RRC-CONNECTED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특정 서비스의 발생에 관한 모드 전환 명령을 전송한다(S472).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연결이 재개되면, 제1 코어망 장치(114)는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MICO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해야 함을 알리기 위해 모드 전환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다(S48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Tracking Area Update, Attach 과정 등을 수행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 후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특정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MICO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고려하였으나, 사용자 단말기(100)이 유사한 절전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 서비스 노드(130) 등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110, 120)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DB(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제1 기지국 장치(112), 제1 코어망 장치(11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제2 기지국 장치(122), 제2 코어망 장치(124)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Dual Registration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에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환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의 단계 S510 내지 S560은 도 4의 단계 S410 내지 S46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 간의 페이징(Paging) 과정을 수행하면서(S570),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페이징을 위해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572, S574).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즉, 제1 코어망 장치(11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RRC-IDLE 상태를 RRC-CONNECTED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는 페이징을 위한 정보 외에,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수신해야 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S58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에 포함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수신해야 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해야 할 네트워크 시스템을 검색하는 과정 없이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의 정상 수신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의 일반 모드 전환에 대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의 추가 페이징 과정을 중지한다(S59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에 따라 페이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였음에 대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관한 페이징 동작을 중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블록 구성도이다.
단말 장치(600)는 송수신부(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1100)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610)는 신호를 송수신하여 다른 네트워크 기능 노드들, 제1 기지국 장치 및 제2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620)는 제1 네트워크 장치(110)와의 등록을 수행한다. 특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에 대한 시스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62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과 접속을 수행하여 시스템을 전환하고, 전환된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기 획득한 시스템 복귀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특정 서비스의 수신이 종료된 후 시스템 복귀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110)으로 재접속하거나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20)는 제1 네트워크 장치(110) 및 제2 네트워크 장치(120) 모두와 등록을 수행한 경우,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110)는 일반 모드로 제어하고,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 장치(120)는 MICO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제어한다.
특정 서비스에 대한 모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620)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의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내지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 분야에 적용되어,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해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타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원을 활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제1 네트워크 시스템 112: 제1 기지국 장치
114: 제1 코어망 장치
120: 제2 네트워크 시스템 122: 제2 기지국 장치
124: 제2 코어망 장치
610, 710, 810: 송수신부 620, 720, 820: 제어부

Claims (15)

  1.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 과정;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 중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결정과정;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시스템 전환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수신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간에 단말 및 망의 능력(Capability)에 대한 협상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결정과정은,
    단말 및 망의 능력(Capability)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여 통신을 재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은 가입자 식별자 및 서비스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 내에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가 추가로 포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수신과정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제공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복귀하거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복귀 시스템을 결정하는 시스템 복귀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복귀 과정은,
    상기 시스템 전환 명령에 포함된 시스템 복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기 복귀 시스템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등록을 수행하고, 특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 접속을 수행하여 시스템을 전환하며, 전환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9.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 과정;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을 일반 모드로 유지하고,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MICO(Mobile Initiated Communication Only)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설정과정;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특정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특정 서비스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발생 알림과정;
    상기 특정 서비스 발생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모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모드 전환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모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수신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과정은,
    상기 특정 서비스의 요청 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MICO 모드 또는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특정 서비스의 타입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과 미리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발생 알림과정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특정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이 공동으로 연동된 데이터베이스(가입자 정보 DB)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여 통신을 재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모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입자 식별자 및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수신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즉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재개 요청신호의 정상 수신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반 모드 전환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의 추가 페이징을 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 모두와 등록을 수행하고, 일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제어 및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를 MICO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제어하며, 특정 서비스에 대한 모드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을 상기 MICO 모드 또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2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170141485A 2017-10-27 2017-10-27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3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85A KR102031189B1 (ko) 2017-10-27 2017-10-27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201880013028.5A CN110383897B (zh) 2017-10-27 2018-01-09 在异构网络系统中提供服务的方法和设备
PCT/KR2018/000413 WO2019083095A1 (ko) 2017-10-27 2018-01-09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202210021264.XA CN114142918A (zh) 2017-10-27 2018-01-09 在异构网络系统中提供服务的方法
CN202210021974.2A CN114143793A (zh) 2017-10-27 2018-01-09 在异构网络系统中提供服务的系统和接收服务的终端设备
US16/517,757 US11337174B2 (en) 2017-10-27 2019-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85A KR102031189B1 (ko) 2017-10-27 2017-10-27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47A Division KR102006150B1 (ko) 2018-12-21 2018-12-21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16A true KR20190047516A (ko) 2019-05-08
KR102031189B1 KR102031189B1 (ko) 2019-10-11

Family

ID=6624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485A KR102031189B1 (ko) 2017-10-27 2017-10-27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7174B2 (ko)
KR (1) KR102031189B1 (ko)
CN (3) CN114142918A (ko)
WO (1) WO201908309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157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30081883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장치 및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64956B (zh) * 2006-04-28 201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长期演进网络的用户设备在相异系统间的切换方法
CN1960362A (zh) * 2006-08-08 2007-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利用频道切换的时间实现特殊服务广播的方法
CN101640915A (zh) * 2008-07-30 2010-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入支持多输入多输出技术系统的方法及装置
KR101075964B1 (ko)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CN101800960B (zh) * 2009-02-10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紧急业务会话的切换方法及紧急业务系统
US8923244B2 (en) * 2009-08-12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advertising handoff
US20110171924A1 (en) * 2010-01-12 2011-07-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lective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Emergency Services in Home Cells
US8902853B2 (en) 2011-05-27 2014-12-0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aintaining service priority for mobile devices during network handoffs
WO2012165893A2 (ko) * 2011-06-03 2012-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9414268B2 (en) 2011-10-14 2016-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2783494B1 (en) 2011-11-23 2018-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eographically redundant and multiple eatf nodes
CN103906158A (zh) 2012-12-28 2014-07-0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从2g/3g网络返回lte网络的方法
KR102027930B1 (ko) * 2013-03-27 2019-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20658B1 (ko) * 2014-04-11 2021-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1599937B1 (ko) 2014-07-16 2016-03-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N106576278B (zh) 2015-06-30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srvcc能力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17026978A1 (en) * 2015-08-13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Offload of volte call to wifi in a network supporting srvcc
WO2017028288A1 (zh) * 2015-08-20 2017-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接入方法、通信装置、无线终端及系统
US10305644B2 (en) * 2015-10-30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a measurement ga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44639B2 (en) * 2016-04-21 2021-06-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aware handover type determination
US20170374608A1 (en) * 2016-06-28 2017-1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access discovery
EP3481109A4 (en) * 2016-07-05 2020-01-01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CONTROL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R EQUIPMENT
US10084700B1 (en) * 2016-09-27 2018-09-2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essage routing
WO2018065936A1 (en) * 2016-10-07 2018-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pport of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in next generation (5g) networks
EP3571866B1 (en) * 2017-01-23 2021-1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ing user equipment roaming status changes in a radio access network
EP4109968A1 (en) * 2017-03-20 2022-1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communications-system handover
US10499307B2 (en) * 2017-03-27 2019-12-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ata relay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157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30081883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장치 및 이기종 망간 데이터 트래픽 접속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83897A (zh) 2019-10-25
CN110383897B (zh) 2022-01-28
KR102031189B1 (ko) 2019-10-11
CN114143793A (zh) 2022-03-04
US11337174B2 (en) 2022-05-17
US20190342850A1 (en) 2019-11-07
WO2019083095A1 (ko) 2019-05-02
CN114142918A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9773B2 (ja) 無線端末及びその方法
US11653296B2 (en) Isolated network slice selection
EP2987373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CN105898895B (zh) 移动通讯装置及释放连线或资源的方法
US10624057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WO2018128020A1 (ja) 基地局及び無線端末並びにこれらの方法
CN107431999B (zh) 用于寻呼的装置和方法
CN10967306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0356705B2 (en) Method for location area update in multi-rat environ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ging information
US11412565B2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10884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10022203A1 (en) Method for deactivating user plane connection and network entity for controlling user plane connection deactivation in network
WO2022067643A1 (zh) 一种小区选择方法、寻呼方法及装置
US20190380088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control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4013810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制御方法
EP35920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ower consumption parameter
US1028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EP28902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KR102006150B1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31189B1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21088061A1 (zh) 通信方法及装置
KR102076985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0052465A (ko) 페이징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21088060A1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23187616A1 (en) Locally rejected and locally allowed network slice messaging and device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