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448A - 곡물 혼합물 - Google Patents

곡물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448A
KR20190045448A KR1020170138057A KR20170138057A KR20190045448A KR 20190045448 A KR20190045448 A KR 20190045448A KR 1020170138057 A KR1020170138057 A KR 1020170138057A KR 20170138057 A KR20170138057 A KR 20170138057A KR 20190045448 A KR20190045448 A KR 2019004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ice
parts
grain mixture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559B1 (ko
Inventor
김주신
Original Assignee
김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신 filed Critical 김주신
Priority to KR102017013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써, 발아현미 분말, 찰 보리 분말, 쌀눈 분말, 청차조 분말 및 귀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어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를 고르게 흡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누룽지에 뿌려서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곡물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하는 공정(S11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 내지 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 및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 혼합물{MIXTURE OF GRAINS}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써, 발아현미 분말, 찰 보리 분말, 쌀눈 분말, 청차조 분말, 귀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를 고르게 흡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누룽지에 뿌려서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곡물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현미(玄米)는 벼의 왕겨를 벗겨낸 상태로 도정되지 않은 쌀로 백미(白米)보다 비타민이나 식이섬유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이 낮기 때문에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나 미생물의 해가 적으며,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어 지방, 단백질, 비타민 B1과 B2가 풍부하다.
이러한 현미는 백미보다 많은 영양분과 장점을 갖고 있지만, 맛이 없고, 많은 영양분이 체내에서 소화 및 흡수가 잘 되지 않는 까닭에 잘 보급되지 않았다.
이에 먹기 간편하고 영양적으로 손실이 없으며, 체내에서 소화 및 흡수가 용이한 발아현미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65653호(이하 ‘선행문헌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4963호(이하 ‘선행문헌 2’)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 발명은 ‘발아현미 분말 제조방법 및 그 발아현미를 함유한 식품’으로 뿌리가 나지 않은 정도로 발아시킨 현미를 이용하여 건조 및 분말 공정 후 쌀가루와 혼합한 발아현미 분말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2 발명은 ‘삼색 현미를 이용한 삼색 발아현미 분말의 제조방법’으로 흑색, 홍색 및 녹색의 발아현미를 제조하여 건조 후 혼합하여 분말이 된 삼색 발아현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현미 분말은 발아현미를 고압, 고온에서 건조시켜 비타민 B가 파괴되어 영양분이 손실되며, 선행문헌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현미 분말은 수분함량이 13%로 미생물 또는 곰팡이로 인해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9371호(이하 ‘선행문헌 3’)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10294호(이하 ‘선행문헌 4’)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3 발명은 ‘발효곡물 선식의 제조방법’으로 발아현미에 밤, 곡물, 보조식재료를 혼합하고, 약초발효액으로 버무려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곡물 선식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4 발명은 ‘곡류 분말로 된 프리믹스 가루’로 용도에 따라 호화도 및 팽화도를 조정하여 곡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문헌 3과 4의 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분말은 고온 또는 열풍 건조로 인하여 수분이 많이 손실되어 원재료의 맛과 영양분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귀리 등의 곡물을 고온이 아닌 저온에서 제조하여 영양분 손실 없이 고르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누룽지에 뿌려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곡물 혼합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선행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65653호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4963호
(선행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9371호
(선행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1029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아현미만 이용한 곡물 혼합물에 부족한 영양 성분을 찰 보리 분말, 발아현미 분말, 쌀눈 분말, 청차조 분말, 귀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된 곡물 혼합물을 제공하여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감마오리자놀(γ-oryzanol), 옥타코사놀(Octacosanol), 리놀레산(linoleic acid), 미네랄, 식이섬유, 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을 더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곡물 혼합물은 분말로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및 취식 목적에 따라 점도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분말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바쁜 현대인의 식사용, 체중조절용, 환자용, 유아용, 간식용 등으로 간편하고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곡물 혼합물은 분말로 제조되어 저장성이 뛰어나 전쟁, 재해 등의 비상시에 비상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맛, 향, 색 및 선호도를 높여 관능이 우수하고, 소화흡수가 용이한 곡물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60부, 찰 보리 20~40부, 쌀눈 1~15부, 청차조 1~15부 및 귀리 5~25부가 포함된 곡물 혼합물로써, 곡물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이다.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의 입자 크기가 5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곡물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25~3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곡물 혼합물은 누룽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이섬유는 레반(leva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e), 베타글루칸(β-glucan), 화이버솔(FIBERSOL), 셀룰로스(cellulose),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 리그닌(lignin), 펙틴(pectin), 검(gum), 뮤실리지(mucilage),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알긴산(alginic acid), 한천(agar), 이눌린(inulin), 아라비아검(arabic gum),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구아검(guar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미료는 염분, 당분, 멸치 가루, 새우 가루, 해초 가루, 강황 가루, 버섯 가루, 다시마 가루, 가쓰오부시 가루, 소고기 가루, 후추 가루, 된장 가루, 고추 가루, 생강가루, 홍합 가루, 북어 가루, 계피 가루 또는 마늘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으로써,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하는 공정(S11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 및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60부, 찰 보리 20~40부, 쌀눈 1~15부, 청차조 1~15부 및 귀리 5~25부가 포함되어 혼합하는 공정(S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에서 곡물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2~7%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후에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식이섬유는 레반, 말토덱스트린, 베타글루칸, 화이버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펙틴, 검, 뮤실리지, 키틴, 키토산, 글루코만난, 알긴산, 한천, 이눌린, 아라비아검, 폴리덱스트로스, 구아검, 카라기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조미료는 염분, 당분, 멸치 가루, 새우 가루, 해초 가루, 강황 가루, 버섯 가루, 다시마 가루, 가쓰오부시 가루, 소고기 가루, 후추 가루, 된장 가루, 고추 가루, 생강가루, 홍합 가루, 북어 가루, 계피 가루 또는 마늘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아현미만 이용한 곡물 혼합물에 부족한 영양 성분을 발아현미 분말, 찰 보리 분말, 쌀눈 분말, 청차조 분말, 귀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된 곡물 혼합물을 제공하여 가바, 감마오리자놀, 옥타코사놀, 리놀레산, 미네랄, 식이섬유, 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이 분말로 제조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 누룽지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및 취식 목적에 따라 물, 우유, 두유 등을 이용하여 점도를 조절하여 식사용, 체중조절용, 환자용, 유아용, 간식용 등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간편하고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이 분말로 제조되어 저장성이 뛰어나 전쟁, 재해 등의 비상시에 비상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빵, 시리얼바, 사료, 미용팩(얼굴, 머리 등), 피부에 가볍게 문질러 각질을 제거하는 스킨케어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맛, 향, 색 및 선호도를 높여 관능이 우수하고, 소화흡수가 용이한 곡물 혼합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을 더 포함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 보리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볶은 찰 보리 분말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현미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현미 분말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현미와 발아현미 분말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차조의 사진이다.
도 9는 현미의 침치온도 및 침치시간에 따른 발아현미의 가바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S110 :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하는 공정
S120 :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
S130 :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
S140 :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
S150 :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
S160 :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60부, 찰 보리 20~40부, 쌀눈 1~15부, 청차조 1~15부 및 귀리 5~25부가 포함되어 혼합하는 공정
S161 :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곡물 혼합물에 혼합되는 공정
S165 : 곡물 혼합물과 누룽지를 섞는 공정
S170 :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혼합물의 함량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량부”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예 1>
1)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하는 공정(S11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써,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할 수 있다.
발아현미 및 찰 보리는 유기농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발아현미는 유기농 현미를 세척하고, 25~35℃의 물에 10~14시간 불린 후, 불린 현미를 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20~30℃, 80~90%의 습도를 유지하며 3~4시간에 한 번씩 물을 주어 72시간 자연발아 시킨 것으로 0.6mm 싹이 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4시간에 한 번씩 물을 주는 것은 현미를 발아시키는 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특유한 시큼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주는 것이며, 부드럽게 헹궈주어도 괜찮다.
또한, 찰 보리는 일반 보리에 비해 밥으로 사용될 경우, 찰지고 부드러우면서 섬유질의 함량이 높아 소화가 잘되어 사용하는 것이다.
쌀눈은 국내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쌀눈은 도정되어 나오는 일반 백미의 66%이상의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현미보다 식감이 부드럽고 소화가 쉽기 때문에 사용되며, 특히 쌀눈 3g에는 현미밥 30공기 분량의 쌀눈을 함유하고 있어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는데 도움이 되어 사용하는 것이다.
청차조 및 귀리는 무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청차조는 철분이 풍부해 빈혈 예방 및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며, 쌀에 부족한 식이섬유와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기력 회복에 도움이 되고, 몸의 열을 다스리고 위장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어 피부질환, 갈증, 식중독, 장염 등에 도움이 된다.
나아가, 청차조는 두뇌 발달 및 기억력 향상에 좋으며, 소화가 잘되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들이나 유아 이유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귀리는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장운동을 촉진시키며,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어 피를 맑게 하여 심혈관계 질환에 도움이 된다.
상기 준비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곡물 선별기를 이용하여 흙, 잔돌,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곡물 선별기는 스크린 선별기, 홈 선별기, 비중 선별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선별기 또는 비중 선별기를 이용하여 1차로 흙, 잔돌, 지푸라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철, 금속을 2차로 제거할 수 있다.
선별이 완료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정제수 또는 살균수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여, 3차로 곡물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2)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준비하는 공정(S110)을 거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의 물기를 제거한 후, 정제수 또는 살균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찜기에 투입하고, 50~70℃에서 20~40분 동안 찌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60℃에서 30분 동안 찌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수 또는 살균수의 양은 준비 공정(S110)을 거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 각각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150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저온에서 찌는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원재료의 맛을 지키기 위해 수분 손실이 최소화되는 저온 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약, 찜기의 온도가 70℃ 초과로 고온에서 찌는 공정이 수행될 경우,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 각각의 수분 손실이 최대화되어 원재료의 맛이 손실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 보관을 위해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찌는 공정이 필요한 것이며, 특히 발아현미는 더 이상 발아되지 않기 위해서 찌는 공정이 필요로 한 것이다.
만약, 찜기의 온도가 50℃ 미만으로 찌는 공정이 수행될 경우,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 각각이 고르게 익지 않아 장기 보관 시에 곰팡이로 인해 썩게 되거나, 곡물이 발아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3)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을 거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이 수행될 수 있다.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방법은 고온 건조, 열풍 건조, 진공 동결 건조, 자연 건조 또는 저온 건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저온 건조 또는 진공 동결 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온 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저온 건조를 선택한 경우, 건조기에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각각 쟁반에 골고루 펴서 5~25℃에서 5~25시간 인공 건조기에서 건조되며, 바람직하게는 10~20℃에서 10~20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에서 15시간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저온 건조는 고온 건조 보다 곡물 혼합물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원재료의 맛과 향을 유지되며, 자연 건조 보다 위생적이며 짧은 건조 시간을 갖게 된다.
또한, 건조기의 온도가 5℃ 미만으로 건조가 수행될 경우,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 각각이 고르게 건조되지 않아 보관 시 곰팡이로 인해 썩게 되며, 건조기의 온도가 70℃ 초과로 건조가 수행될 경우, 곡물의 수분이 많이 손실되고 원재료의 맛과 향이 손실될 수 있다.
4)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을 거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각각 볶는 공정(S140)이 수행될 수 있다.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방법은 곡물 로스팅(roasting)기계를 이용하여 20~40℃에서 10~20분 볶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에서 15분 볶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양소 보존을 위해 저온에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볶는 것이다.
만약, 곡물 로스팅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볶을 경우, 불 조절이 어렵고 곡물을 젓는 방법과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곡물이 타게 되어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볶아 영양 성분이 증가된다.
발아현미를 볶은 경우, 식이섬유는 백미의 15배 함유되어 체중조절과 성인병 예방 및 소화에 도움이 되며, 칼슘은 현미의 5배, 비타민 B1은 현미의 10배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볶은 발아현미는 항산화 작용에 탁월한 폴리페놀(polyphenol), 세포 노화를 막는 비타민 E, 항당뇨, 항비만에 효과적인 가바(GABA, Gamma-AminoButyric Acid), 암을 억제하는 베타시스테롤(betasisterol), 비타민 B6, 리놀산,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다.
찰 보리를 볶은 경우, 식이섬유는 쌀의 50배, 고구마의 20배 함유되어 포만감이 생겨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베타글루칸은 쌀의 50배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와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당뇨나 비만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볶은 찰 보리는 비타민 C가 레몬의 2~3배가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B의 일종인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화합물(polyphenol compound)이 함유되어 있다.
쌀눈을 볶은 경우, 티아민(thiamin)과 비타민 E는 현미의 4배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볶은 쌀눈은 가바,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옥타코사놀(Octacosanol), 베타시스테롤, 알파토코페놀,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및 피부의 미백 작용이 우수한 감마오리자놀(γ-oryzanol), 라이신, 리놀레산, 미네랄,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A, C, D, B1, B2, B6이 함유되어 있다.
청차조를 볶은 경우, 일반 쌀보다 식이섬유, 철분,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귀리를 볶은 경우, 남성 호르몬을 활성화 시켜주는 아베나코사이드(avena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는 건조하는 공정(S130) 및 볶는 공정(S140)을 통해 곡물 각각의 수분함량이 1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2~7%,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범위 일 수 있다. 이는 미생물 안정성과 품질변화를 최소화 및 식감을 유지되는 것이다.
5)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을 거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이 수행될 수 있다.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분말 화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취식 용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곡물 혼합물이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는 떡과 같은 질감과 식감을 원할 경우 50~80mesh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저작 운동이 용이하지 않아 이유식 또는 미음 같은 질감과 식감을 원할 경우 80~240mesh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80mesh 미만으로 분쇄 될 경우,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유식 또는 미음을 원하는 영유아, 환자 등의 사용자가 이용하기 어렵다.
또 다른 일예로, 곡물 혼합물이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는 누룽지, 밥, 샐러드, 나물, 조미료 등에 뿌려서 섭취할 경우 240~300mesh로 제조될 수 있다.
6) 각각 분말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을 거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혼합하는 공정(S160)이 수행될 수 있다.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60부, 찰 보리 20~40부, 쌀눈 1~15부, 청차조 1~15부 및 귀리 5~25부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아현미 35~55부, 찰 보리 25~35부, 쌀눈 2~10부, 청차조 2~10부 및 귀리 8~20부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말된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혼합하면 곡물 혼합물이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후에 곡물 혼합물과 누룽지를 섞는 공정(S16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누룽지는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가마솥에 밥을 할 때마다 솥의 밑바닥에 놓인 쌀이 눌어붙어 생긴 것으로 눌은밥라고도 불리었다. 이러한 누룽지는 주로 물을 부어 끓여서 숭늉을 만들거나, 말려서 과자처럼 먹거나, 군대에서는 일부 전투식량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누룽지는 과자 없던 시절 아이들의 주요 간식거리였으나, 최근에는 누룽지가 수분이 매우 적어 조금만 먹어도 뱃속에서 불어나기 때문에 포만감이 상당히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누룽지의 원료인 백미는 탄수화물을 주성분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하지만, 미네랄과 비타민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족한 영양 성분을 채우기 위해 최근에는 백미와 곡물을 섞어 곡물누룽지를 제조하여 시판되어오고 있다.
상기 곡물누룽지는 백미와 곡물을 섞어 누룽지로 제조하는 방식으로 곡물이 더욱 더 딱딱해져 치아가 상하거나, 소화 장애가 발생되며, 매번 직접 해먹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곡물 혼합물에 시판되는 누룽지, 직접 제조한 누룽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누룽지에 포함된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50부, 찰보리 30부, 쌀눈 5부, 청차조 5부 및 귀리 10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누룽지 50~250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0~200부, 더 바람직하게는 120~180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누룽지의 양을 가감하여 섭취할 수 있다.
상기 곡물 혼합물이 포함된 누룽지는 백미에 부족한 영양 성분을 채움과 동시에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딱딱한 곡물을 분말로 제조하여 치아가 상하거나, 소화 장애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곡물 혼합물이 포함된 누룽지는 곡물 혼합물이 저온공법으로 제조되어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다.
<실시예 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및/또는 <실시예 2>의 곡물 혼합물과 누룽지를 섞는 공정(S165) 후에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을 더 포함하여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가 더 포함된 곡물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1)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
상기 <실시예 1>의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및/또는 <실시예 2>의 곡물 혼합물과 누룽지를 섞는 공정(S165)을 거친 곡물 혼합물에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는 레반, 말토덱스트린, 베타글루칸, 화이버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펙틴, 검, 뮤실리지, 키틴, 키토산, 글루코만난, 알긴산, 한천, 이눌린, 아라비아검, 폴리덱스트로스, 구아검, 카라기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이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반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반은 주원료인 설탕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미생물 유래의 레반 합성효소인 레반수크라아제(levansucrase)를 첨가하여 고분자량의 레반을 생합성한 후, 한외 여과막(ultrafiltration system)을 통하여 저분자의 당류를 제거하고, 가온 멸균한 다음 건조시킨 분말형태의 고분자량의 레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곡물 혼합물의 배합 비는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이섬유가 1~15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12부, 더 바람직하게는 5~1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미료는 염분, 당분, 멸치 가루, 새우 가루, 해초 가루, 강황 가루, 버섯 가루, 다시마 가루, 가쓰오부시 가루, 소고기 가루, 후추 가루, 된장 가루, 고추 가루, 생강가루, 홍합 가루, 북어 가루, 계피 가루 또는 마늘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미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염분, 당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분은 천일염 또는 죽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분은 설탕, 올리고당, 솔비톨, 사카린 또는 자일리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설탕 또는 솔비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조미료를 포함하는 곡물 혼합물의 배합 비는 곡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미료가 1~3부 포함될 수 있다.
곡물 혼합물에 조미료가 3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나트륨 함량이 높아져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감과 맛이 저하된다.
더욱이, 식이섬유 및 조미료가 포함된 곡물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이섬유가 5부, 염분과 당분이 1:1로 섞인 조미료가 2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곡물 혼합물 주재료에 메밀을 더 포함하여 곡물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1)단계(S110) 내지 5)단계(S150)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밀을 더 포함하여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6)단계(S160) 공정에 분말된 메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메밀이 더 포함된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50부, 찰 보리 20~40부, 쌀눈 5~15부, 청차조 1~10부, 귀리 5~15부 및 메밀 1~10부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아현미 35~45부, 찰 보리 25~35부, 쌀눈 8~13부, 청차조 3~8부, 귀리 8~13부 및 메밀 3~8부 혼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발아현미 40부, 찰 보리 30부, 쌀눈 10부, 청차조 5부, 귀리 10부 및 메밀 5부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메밀은 국내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메밀은 전분과 지방질의 함량이 낮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숙취 해소와 뱃살 관리 및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메밀을 볶은 경우, 식이섬유와 필수 아미노산이 백미보다 많고, 비타민 B1과 B2가 쌀보다 3배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볶은 메밀은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뇌출혈을 예방하는 루틴(rutin),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항산화 작용 및 혈중 콜레스테롤이 저하되는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시스틴, 비타민,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에 누룽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50부, 찰 보리 30부, 쌀눈 5부, 청차조 5부 및 귀리 10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누룽지 50~250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0~200부, 더 바람직하게는 120~180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누룽지의 양을 가감하여 섭취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가 더 포함되어 누룽지에 혼합될 경우, 싱거운 누룽지에 간이 되어 식감과 맛이 증가된다.
상기 <실시예 3>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상기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식이섬유가 5부 또는 조미료가 1~3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가 포함된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누룽지가 100~300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0~270부, 더 바람직하게는 150~250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누룽지의 양을 가감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조미료가 포함되어 곡물 혼합물보다 누룽지의 양이 1.5~2배 많은 것이 좋다.
<실시예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메밀이 더 포함되어 누룽지에 혼합될 경우, 메밀의 효능이 더 추가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누룽지가 된다.
<실시예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40부, 찰 보리 30부, 쌀눈 10부, 청차조 5부, 귀리 10부 및 메밀 5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누룽지 50~250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0~200부, 더 바람직하게는 120~180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누룽지의 양을 가감하여 섭취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을 이용하여 환자용, 유아용 또는 식사용으로 미음과 같은 식감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곡물 혼합물은 미음과 같은 식감으로 제조되기 위해서 분말의 입자가 80~240mesh로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미음으로 사용될 경우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40부, 찰 보리 30부, 쌀눈 10부, 청차조 10부 및 귀리 10부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나아가, 상기 곡물 혼합물에 메밀이 더 포함될 경우 곡물 혼합물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40부, 찰 보리 30부, 쌀눈 10부, 청차조 5부, 귀리 10부 및 메밀 5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곡물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물 300~700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400~550부, 더 바람직하게는 물 500~60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물은 바로 섭취가 가능하기 위해서 30~70℃의 온도의 따뜻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65℃, 더 바람직하게는 50~60℃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가운 물을 사용할 경우, 70~80℃의 온도에서 7~9분 끓이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용 또는 유아용의 죽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되며, 특히 뇌수막염이나 장염 등을 유발하는 엔테로박터 사카자키(Enterobacter sakazakii)균의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물과 곡물 혼합물이 혼합되어 곡물 혼합물 죽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물 이외에도 우유, 두유 또는 식물성 음료와 혼합하여 섭취해도 좋다.
상기 우유, 두유 또는 식물성 음료를 물 대신하여 사용할 경우 60~70℃로 데워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우유, 두유 또는 식물성 음료는 70℃ 이상으로 데울 경우 단백질이 파괴되어 떫고 비린 맛을 느낄 수 있으며, 60℃ 이하로 데울 경우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균과 같은 식중독균이 사멸되지 않아 식중독을 예방할 수 없다.
또한, 곡물 혼합물 죽에는 <실시예 3>에 사용된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곡물 혼합물 죽 100중량부 기준으로 식이섬유가 5~15부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0부 포함될 수 있고, 조미료는 1~3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곡물 혼합물 죽에는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5>에 사용된 누룽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곡물 혼합물 죽 100중량부 기준으로 누룽지가 50~200부, 바람직하게는 100~150부, 더 바람직하게는 100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후에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곡물 혼합물에 혼합되는 공정(S16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1)단계(S110) 내지 5)단계(S150)와 동일한 방법으로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7)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곡물 혼합물에 혼합되는 공정(S161)
상기 곡물 혼합물에 사용되는 단호박 또는 고구마는 찌는 공정, 건조 공정, 분쇄 공정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가공된 분말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호박은 씨가 제거된 것을 사용하며, 고구마는 밤고구마, 물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호박은 온도 20~40℃, 습도 65~75%에서 15~30분 찔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온도 25~35℃, 습도 68~72%에서 18~27분 찔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 30℃, 습도 70%에서 20~25분 찔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단호박을 찌는 공정은 자당 함량을 증대하기 위해서 찌는 온도 및 시간이 각각 20℃ 이상, 15분 이상에서 진행되는 것이며, 단호박 껍질이 누렇게 변하는 황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찌는 온도 및 시간이 각각 40℃ 이하, 30분 이하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고구마는 온도 50~80℃에서 10~30분 찔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온도 55~75℃에서 15~25분 찔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 60~70℃에서 17~22분 찔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고구마를 찌는 공정은 고구마에 들어 있는 전분이 분해되어 맥아당을 증대하기 위해서 베타아밀라아제(β-amylase) 효소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는 50~80℃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찌는 공정이 완료된 단호박 또는 고구마는 건조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건조 공정은 고온 건조, 열풍 건조, 진공 동결 건조, 자연 건조 또는 저온 건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저온 건조 또는 진공 동결 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온 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호박 또는 고구마를 쟁반에 골고루 펴서 5~25℃에서 5~25시간 인공 건조기에서 건조되며, 바람직하게는 10~20℃에서 10~20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에서 15시간 건조될 수 있다.
특히 저온에서 건조되는 것은 고온 건조보다 단호박 또는 고구마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원재료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연 건조보다 위생적이며 짧은 건조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건조기의 온도가 5℃ 미만으로 건조가 수행될 경우, 단호박 또는 고구마가 고르게 건조되지 않아 보관 시 곰팡이로 인해 썩게 되며, 건조기의 온도가 70℃ 초과로 건조가 수행될 경우, 단호박 또는 고구마의 수분이 많이 손실되며 원재료의 맛과 향이 손실될 수 있다.
건조 공정이 완료된 단호박 또는 고구마는 분쇄 공정이 진행된다.
단호박 또는 고구마의 분쇄 공정은 사용자의 취식 용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호박 또는 고구마의 분쇄는 실시예에 사용된 곡물 혼합물과 잘 혼합되기 위해서 50~300mesh로 제조 될 수 있다.
일예로, 떡과 같은 질감과 식감을 원할 경우 50~80mesh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저작 운동이 용이하지 않아 이유식 또는 미음 같은 질감과 식감을 원할 경우 80~240mesh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쇄 공정이 완료된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곡물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25~35중량%, 바람직하게는 27~32중량%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25중량% 이하일 경우 단호박 또는 고구마 자체의 단맛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나아가, 단호박 또는 고구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은 함량비율이 35중량% 이상일 경우 혈당을 증가시켜 당뇨병을 갖는 환자가 섭취하기 어렵다.
다른 예로,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누룽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곡물 혼합물 외의 공정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곡물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28~31중량%인 곡물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실시예 6>과 같이 환자용, 유아용 또는 식사용 등의 미음과 같은 식감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곡물 혼합물 외의 공정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곡물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30중량%인 곡물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의 영양성분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은 곡물 혼합물의 영양성분 결과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토대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곡물 혼합물의 열량은 120~125kcal로 평균 122kcal 나타내며, 탄수화물이 20~25g, 단백질 4~6g, 지방 1~3g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평균 22g, 5g, 2g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 혼합물은 포화지방 0g, 트랜스지방 0g, 콜레스테롤 0mg으로 다이어트용으로 섭취할 경우,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혼합물의 미생물 조사를 확인하였다.
미생물 조사는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미생물 시험법 중 세균수와 진균(眞菌)수의 시험법에 따라 실험하였으며, 곡물 혼합물의 수분함량 1%, 5%, 10%, 11% 및 12%로 변화를 주어 확인하였다.
세균수는 일반세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진균수는 효모 및 사상균수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2>는 곡물 혼합물의 미생물 실험 결과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토대로 살펴보면, 수분함량이 1%, 5%, 10%인 곡물 혼합물은 세균수 및 진균수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11%인 곡물 혼합물은 세균수가 1.5×103CFU/g, 진균수가 3×104CFU/g 발견되었으며, 12%인 곡물 혼합물은 세균수가 2.8×104CFU/g, 진균수가 2.4×106CFU/g 발견되었다.
이는 수분함량이 10% 이하로 제조되어야 저장성, 유통성 및 보관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의 현미 발아 시에 침지온도 및 침치시간에 따른 가바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현미의 가바함량은 현미 100g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침치온도는 0, 5, 10, 25, 35, 40℃로 조절하였으며, 침치시간은 0, 2, 4, 8 10, 12, 14시간별로 처리 후 동결 건조하여 가바를 정량하였다.
가바 정량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흡광도 값을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가바량을 구하였다.
도 9는 현미의 침치온도 및 침치시간에 따른 발아현미의 가바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토대로 살펴보면, 0℃에서 침지된 현미의 가바함량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1.5~1.85mg로 상승하고 있으며, 5℃에서 침지된 현미의 가바함량은 침지시간이 0~10시간에서 1.5~2.6mg로 상승하고, 10~12시간에 2.4mg로 하강 후 다시 14시간에 2.7mg로 상승하였다.
또한, 10℃에서 침지된 현미의 가바함량은 0~2시간에서 1.5mg이며, 2~4시간에서 2mg로 상승한 후에 4~14시간에서 1.9~2.1로 큰 차이가 없었다.
나아가, 25℃에서 침치된 현미의 가바함량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1.5~2.85mg로 상승하고 있으며, 35℃에서 침지된 현미의 가바함량 역시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1.5~3mg로 상승하였다. 40℃에서 침지된 현미의 가바함량은 침지 초기 시간인 0~2시간에서 2.7mg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그 후에는 2.9~3mg로 큰 차이가 없었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0℃에서 현미 발아 시 가바함량이 크게 상승되지 않으며, 5~10℃에서 발아 시 가바함량이 일정하지 않아 곡물혼합물에 사용될 경우 가바함량에 차이가 발생된다.
또한, 40℃에서 현미 발아 시 가바함량이 침지 초기 시간에 큰 폭으로 상승한 후, 장시간 침지할 경우 가바함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가바함량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침지온도는 25~35℃이며, 침지시간은 10~14시간에서 현미를 발아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찰 보리의 성분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찰 보리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백미를 사용하여 각각 100g 기준으로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은 찰 보리의 성분함량 결과이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을 토대로 살펴보면, 단백질은 찰 보리가 10.3g이며 백미가 6.6g로 찰 보리가 약 1.6배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지질은 찰 보리가 1.1g이며 백미가 0.4g로 찰 보리가 2.75배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섬유소는 찰 보리가 9.2g이며 백미가 0.96g로 찰 보리가 10배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탄수화물은 찰 보리와 백미가 각각 76.6g, 76.8g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곡물 혼합물에 찰 보리가 혼합될 경우, 백미보다 섬유소가 월등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오랜 시간동안 포만감이 유지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쌀눈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실험 군으로는 쌀눈(배아)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백미(배유)를 사용하여 각각 100g 기준으로 영양성분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4>는 쌀눈의 영양성분 결과이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를 토대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쌀눈이 백미에 비해 영양성분이 월등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비타민A, 감마오리자놀, 가바가 더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쌀눈은 아연 및 칼슘이 백미보다 약 5배, 철이 백미보다 약 7배 더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곡물 혼합물에 쌀눈이 혼합될 경우, 발아현미만을 넣었을 경우보다 가바 함량이 더 증가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청차조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하기 <표 5>는 청차조의 영양성분 결과이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5>를 토대로 살펴보면, 청차조 100g 기준으로 단백질이 9~11g로 평균 10g 포함되어 있으며, 지질이 4~6g로 평균 5g, 탄수화물이 68~71g로 평균 69.5g 포함되어 있다.
또한, 청차조 100g 기준으로 인이 329~333mg로 평균 331mg, 칼륨 417~421mg로 평균 419mg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청차조는 칼슘, 철분, 비타민B1, B2, 나이아신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곡물 혼합물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더 함유시켜 소화흡수를 촉진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귀리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하기 <표 6>은 귀리의 영양성분 결과이다.
<표 6>
Figure pat00006
<표 6>을 토대로 살펴보면, 귀리 100g 기준으로 단백질이 17~19g로 평균 18g 포함되어 있으며, 지질이 7~9g로 평균 8g, 탄수화물이 66~68g로 평균 67g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귀리 100g 기준으로 칼슘이 54~56mg로 평균 55mg, 철분이 4~6mg로 평균 5mg, 비타민B6이 0.4~0.6mg로 평균 0.5mg, 마그네슘이 179~181mg로 평균 180mg 포함되어 있다.
특히 귀리는 다양한 영양성분 중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뼈를 강하게 해주며, 신진대사를 자극하여 체지방이 빠르게 분해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8>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된 메밀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하기 <표 7>은 메밀의 영양성분 결과이다.
<표 7>
Figure pat00007
<표 7>을 토대로 살펴보면, 메밀 100g 기준으로 단백질이 13~14g로 평균 13.5g 포함되어 있으며, 지질이 2~4g 평균 3g, 탄수화물이 71~73g 평균 72g 포함되어 있다.
또한, 메밀 100g 기준으로 칼슘이 17~19mg로 평균 18mg, 비타민 B6이 1~1.4mg 평균 1.2mg, 마그네슘이 239~241mg로 평균 240mg 포함되어 있다.
특히 메밀은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신진대사를 자극하여 체지방을 빠르게 분해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9>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의 곡물 혼합물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25~50세의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맛, 향, 색 및 선호도를 5점 척도로 비교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맛, 향, 색 및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5점: 아주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아주 나쁨).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2단계인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에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것이 아닌 혼합하여 찌며, 나머지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3단계인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을 수행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4단계인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을 수행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5단계인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에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가 40mesh로 분말화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5단계인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에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가 350mesh로 분말화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곡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8>은 관능평가 결과이다.
<표 8>
Figure pat00008
<표 8>을 토대로 살펴보면, 실시예 2 및 실시예 5가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곡물 혼합물로만 이루어진 실시예 1 및 실시예 4와 비교하였을 때, 누룽지가 더 포함되어 식감, 포만감 및 고소한 맛 등이 풍부하여 가장 높은 점수로 측정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실시예 3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소화흡수에 용이하고, 조미료로 인하여 감칠맛을 느껴 2순위로 높은 점수가 측정되었고, 실시예 7은 단호박 또는 고구마가 혼합되어 자연스러운 단맛이 느껴 3순위로 높은 점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 곡물 맛이 조화롭지 못하고, 곡물 특유의 풋내가 느껴진다는 평이 있었으며,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곡물 특유의 풋내가 더 강하게 느껴진다는 평이 있었다.
나아가,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 곡물 혼합물이 거칠어 식감은 좋으나 위가 불편하다는 평이 있었으며, 비교예 5는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 섭취 후 속은 편하였지만 포만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는 평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곡물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발아현미 분말, 찰 보리 분말, 쌀눈 분말, 청차조 분말, 귀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어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를 고르게 흡수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12)

  1.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 내지 60부, 찰 보리 20 내지 40부, 쌀눈 1 내지 15부, 청차조 1 내지 15부 및 귀리 5 내지 25부가 포함된, 곡물 혼합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물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2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곡물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단호박 또는 고구마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함량비율이 25 내지 3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룽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식이섬유는 레반(leva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e), 베타글루칸(β-glucan), 화이버솔(FIBERSOL), 셀룰로스(cellulose),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 리그닌(lignin), 펙틴(pectin), 검(gum), 뮤실리지(mucilage),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알긴산(alginic acid), 한천(agar), 이눌린(inulin), 아라비아검(arabic gum),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구아검(guar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조미료는 염분, 당분, 멸치 가루, 새우 가루, 해초 가루, 강황 가루, 버섯 가루, 다시마 가루, 가쓰오부시 가루, 소고기 가루, 후추 가루, 된장 가루, 고추 가루, 생강가루, 홍합 가루, 북어 가루, 계피 가루 또는 마늘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8.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인 발아현미, 찰 보리, 쌀눈, 청차조 및 귀리를 준비하는 공정(S11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찌는 공정(S12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볶는 공정(S140);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50 내지 300mesh로 각각 분말 화하는 공정(S150); 및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가 중량부로 분말된 발아현미 30 내지 60부, 찰 보리 20 내지 40부, 쌀눈 1 내지 15부, 청차조 1 내지 15부 및 귀리 5 내지 25부가 포함되어 혼합하는 공정(S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곡물 혼합물의 주재료를 각각 건조하는 공정(S130)에서 곡물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2 내지 7%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누룽지 공정 추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각각 분말 화된 주재료를 혼합하는 공정(S160) 후에 식이섬유 또는 조미료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섞는 공정(S17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식이섬유는 레반, 말토덱스트린, 베타글루칸, 화이버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펙틴, 검, 뮤실리지, 키틴, 키토산, 글루코만난, 알긴산, 한천, 이눌린, 아라비아검, 폴리덱스트로스, 구아검, 카라기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조미료는 염분, 당분, 멸치 가루, 새우 가루, 해초 가루, 강황 가루, 버섯 가루, 다시마 가루, 가쓰오부시 가루, 소고기 가루, 후추 가루, 된장 가루, 고추 가루, 생강가루, 홍합 가루, 북어 가루, 계피 가루 또는 마늘 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38057A 2017-10-24 2017-10-24 곡물 혼합물 Expired - Fee Related KR10201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057A KR102018559B1 (ko) 2017-10-24 2017-10-24 곡물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057A KR102018559B1 (ko) 2017-10-24 2017-10-24 곡물 혼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448A true KR20190045448A (ko) 2019-05-03
KR102018559B1 KR102018559B1 (ko) 2019-09-05

Family

ID=6658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05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8559B1 (ko) 2017-10-24 2017-10-24 곡물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6297A (zh) * 2020-09-30 2021-01-22 安徽康美达面业有限责任公司 一种降低面粉加工中粉尘产生量的小麦预处理工艺
KR20230070079A (ko) * 2021-11-11 2023-05-22 영농조합법인 농부의꿈 탄수화물 흡수 억제가 우수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80B1 (ko) * 2007-03-28 2008-07-04 한국식품연구원 과립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16620A (ko) * 2011-04-13 2012-10-23 한국식품연구원 쌀가루를 이용한 쌀미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8184A (ko) *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웰츄럴 검은콩 선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80B1 (ko) * 2007-03-28 2008-07-04 한국식품연구원 과립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16620A (ko) * 2011-04-13 2012-10-23 한국식품연구원 쌀가루를 이용한 쌀미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8184A (ko) *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웰츄럴 검은콩 선식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쌀눈 들어왔어요, /국산100%현미쌀눈~ | 기타 잡곡, 네이버 카페(2016.08.09.), 인터넷: <URL: https://cafe.naver.com/tlsxh/20603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6297A (zh) * 2020-09-30 2021-01-22 安徽康美达面业有限责任公司 一种降低面粉加工中粉尘产生量的小麦预处理工艺
KR20230070079A (ko) * 2021-11-11 2023-05-22 영농조합법인 농부의꿈 탄수화물 흡수 억제가 우수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559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7834B1 (ko) 컬러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가래떡
KR102060283B1 (ko) 기호성이 증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선식의 제조방법
KR102513975B1 (ko)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428862B1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6153A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6639B1 (ko) 현미껍질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559B1 (ko) 곡물 혼합물
KR20140013708A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142B1 (ko) 직화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화 핫도그
KR20120108112A (ko) 뽕잎과 스테비아가 함유된 송편 제조방법
CN111466527A (zh) 一种鸡蛋干及其制备方法
KR20170133934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기능성 누룽지 가공식품의 제조 방법
KR102681241B1 (ko) 해초누룽지 제조방법
KR102604235B1 (ko) 옥수수 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90042B1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539641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칼국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100474730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곡물 수프의 제조방법
KR100536139B1 (ko) 청국장 대용식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크의 제조방법
KR20210093479A (ko) 렉틴 프리 도사 반죽물 제조방법
KR100607915B1 (ko) 잣뽕잎수제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446739B1 (ko) 간편식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