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40A -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40A
KR20190033740A KR1020170122263A KR20170122263A KR20190033740A KR 20190033740 A KR20190033740 A KR 20190033740A KR 1020170122263 A KR1020170122263 A KR 1020170122263A KR 20170122263 A KR20170122263 A KR 20170122263A KR 20190033740 A KR20190033740 A KR 2019003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teering
mounting groove
knuckl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희
Original Assignee
정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희 filed Critical 정남희
Priority to KR102017012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740A/ko
Publication of KR2019003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는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너클의 회전작동시 로워암이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너클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되,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로워암을 구성하는 스톱퍼 장착홈에는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장착되며, 외면에는 너클과 접촉하는 밀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는 로워암의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밀착부는 너클과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직선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너클과 접촉시 편심 마모를 방지하고 균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시기를 증가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Steering Stop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로워암과 너클 허브 휠 어셈블리가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연결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자동차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 승객, 화물, 등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의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이다.
그리고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로워암과 너클 허브 휠 어셈블리가 맞닿는 부분에는 너클의 회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는 일종의 소모품으로써, 스티어링 휠을 끝까지 조작할 때마다 너클의 맞닿으면서 완충 및 지지하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맞닿는 부분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충격을 분산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는 마찰로 인한 지름의 두께가 감소하면, 너클의 회전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가 휠 하우스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마찰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종래에는 소음 발생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를 교체하였으나 상기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의 손상으로 인한 소음을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로 상황에 따라 스티어링 스탑 리미터에 편마모가 발생하여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590호(2005.04.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워암의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밀착부는 너클과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직선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너클과 접촉시 편심 마모를 방지하고 균일하게 스톱퍼 장착홈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의 사이에 제 1 완충구와 제 2 완충구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장착하여 스톱포 장착홈에 마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는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너클의 회전작동시 로워암이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너클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되,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로워암을 구성하는 스톱퍼 장착홈에는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장착되며, 외면에는 너클과 접촉하는 밀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는 밀착 고정을 위해 반원형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중앙에 상·하부가 개방된 곡면 형상의 밀착홈이 형성되면서 양측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밀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의 사이에는 완충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스톱퍼 장착홈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이 장착되는 제 1 완충구; 상기 제 1 완충구의 외면에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완충 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 2 완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 장착홈에는 스티어링 스톱퍼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한 스티어링 스톱퍼의 압력이 증가시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에어백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는 로워암의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밀착부는 너클과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직선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너클과 접촉시 편심 마모를 방지하고 균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시기를 증가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의 사이에 제 1 완충구와 제 2 완충구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장착하여 스톱포 장착홈에 마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구성하는 압력 감지 센서와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를 구성하는 압력 감지 센서와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원발명인 스티어링 스톱퍼(100)는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너클의 회전작동시 로워암(200)이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어 너클의 회전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가 장착되는 로워암(200)에는 스톱퍼 장착홈(220)이 형성되는데, 그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는 로워암(200)을 구성하는 스톱퍼 장착홈(220)에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300)가 장착되고 외면에는 너클과 접촉하는 밀착부(4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는 억지 끼움이나 접착제를 통해 직접적으로 스톱퍼 장착홈(22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너클의 마찰과 충격에 따른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 스토퍼(100)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스톱퍼 장착홈(220)에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보조 브라켓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과 지지부(300)는 밀착 고정을 위해 반원형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400)는 중앙에 상·하부가 개방된 곡면 형상의 밀착홈(420)이 형성되면서 양측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밀착면(4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면(440)에는 스톱퍼 장착홈(220)과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 장착공(46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로워암(200)의 스톱퍼 장착홈(220)과 스티어링 스토퍼(100)의 지지부(300)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너클과 맞닿는 밀착부(400)를 직선 형상으로 확대시켜, 상기 말착부(400)를 통한 마찰 충격의 전달시 상기 스토퍼 장착홈(220)에 마찰 충격을 균일하게 전달함은 물론이고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가 편심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400)는 중앙 부분에 밀착홈(420)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너클의 접촉시 중앙부분에 마찰 충격이 집중되도록 하여 편심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과 지지부(300)의 사이에는 마찰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완충수단(5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과 지지부(300)는 완충수단(400)의 원활한 장착을 위하여 외면이 곡면 뿐만 아니라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직각 형상으로 스톱퍼 장착홈(220)과 지지부(300)가 형성되는 예를 든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500)은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510), 상기 지지부(300)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구멍(524)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522)이 장착되는 제 1 완충구(520), 상기 제 1 완충구(520)의 외면에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완충 스프링(540)이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홈(53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부(5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결합공(534)이 형성되는 제 2 완충구(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500)은 스톱퍼 장착홈(220)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 돌기부(510)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300)의 외면에는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522)이 구비된 제 1 완충구(520)를 장착하며, 상기 제 1 완충구(52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부(510)와 고정하면서도 완충 스프링(540)을 통해 마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제 2 완충구(530)를 장착하여, 너클과 마찰시 발생하는 충격을 제 1 완충구(520)의 격벽(522)과 제 2 완충구(530)의 완충 스프링(540)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쇄시켜,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에 전달되는 마찰 충격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톱퍼 장착홈(220)에는 스티어링 스톱퍼(10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센서(620)가 장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에어백(640)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640)은 공지된 에어백의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는 스톱퍼 장착홈(220)에 하나 이상의 압력 감지 센서(620)를 장착하여, 상기 지지부(300) 또는 제 2 완충구(530)와 압력 감지 센서(620)의 접촉에 따른 압력 측정시, 상기 압력 감지 센서(620)를 통한 압력 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스티어링 스톱퍼(100)의 마모를 확인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신호를 전달하고, 최저 설정 값이 되면, 양측에 위치한 에어백(640)이 작동하여 스톱퍼 장착홈(220)과 지지부(300)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너클의 마찰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어링 스톱퍼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톱퍼 장착홈(220)과 밀착 고정을 위해 반원형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00)와, 중앙에 상·하부가 개방된 곡면 형상의 밀착홈(420)이 형성되면서 양측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밀착면(440)이 형성되는 밀착부(400)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티어링 스톱퍼(10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100)를 로워암(200)의 스톱퍼 장착홈(220)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 통해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에 따른 너클이 스티어링 스톱퍼(100)의 밀착부(400)에 접촉하면, 상기 밀착부(400)는 너클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면서 마찰 충격을 흡수한 후 상기 지지부(300)로 마찰 충격을 전달하고, 상기 지지부(300)는 곡면 형상으로 통해 스톱퍼 장착홈(220)에 균등하게 전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200 : 로워암
220 : 스톱퍼 장착홈 300 : 지지부
400 : 밀착부 420 : 밀착홈
440 : 밀착면 460 : 체결구 장착홈
500 : 완충수단 510 : 고정 돌기부
520 : 제 1 완충구 522 : 격벽
524 : 구멍 530 : 제 2 완충구
532 : 스프링 장착홈 534 : 고정 결합공
540 : 완충 스프링 620 : 압력 감지 센서
640 : 에어백

Claims (4)

  1.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너클의 회전작동시 로워암이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너클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스티어링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스톱퍼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로워암을 구성하는 스톱퍼 장착홈에는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장착되며, 외면에는 너클과 접촉하는 밀착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는 밀착 고정을 위해 반원형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중앙에 상·하부가 개방된 곡면 형상의 밀착홈이 형성되면서 양측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밀착면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홈과 지지부의 사이에는 완충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스톱퍼 장착홈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이 장착되는 제 1 완충구;
    상기 제 1 완충구의 외면에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완충 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 2 완충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홈에는 스티어링 스톱퍼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한 스티어링 스톱퍼의 압력이 증가시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에어백이 장착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KR1020170122263A 2017-09-22 2017-09-22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KR20190033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3A KR20190033740A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3A KR20190033740A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40A true KR20190033740A (ko) 2019-04-01

Family

ID=6610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63A KR20190033740A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7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19A (ko) 2021-05-14 2022-11-22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차량용 스티어링 스토퍼 가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90Y1 (ko) 2005-02-15 2005-05-06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의 최대 조향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90Y1 (ko) 2005-02-15 2005-05-06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차량의 최대 조향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19A (ko) 2021-05-14 2022-11-22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차량용 스티어링 스토퍼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0914A1 (en) Strut mount
JPH0315870Y2 (ko)
KR20190033740A (ko) 차량용 스티어링 스톱퍼
JP6484442B2 (ja) 空気ばね
CN107499301B (zh) 一种真空泵安装支架总成
KR20160050435A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JP2002120535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KR20170062878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1375495B1 (ko) 타이어 성능 최적화를 위한 가변 림
US10549595B2 (en) Strut assembly for vehicle
JP4080709B2 (ja) 防振装置
CN211314934U (zh) 减震器安装组件以及车辆
JPH09467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N217422022U (zh) 用于汽车ecu的减震装置和汽车ecu
KR102235838B1 (ko) 자동차용 토션빔 스프링 설치구조
JPS6313983Y2 (ko)
KR20100051420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JP4191576B2 (ja) 角速度検出装置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100820411B1 (ko) 차량의 마찰방지형 현가장치
JP201210661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0083111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9980065582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팅
KR200185453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KR100211345B1 (ko) 자동차의 스트럿 소음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