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33A -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433A
KR20190031433A KR1020187031709A KR20187031709A KR20190031433A KR 20190031433 A KR20190031433 A KR 20190031433A KR 1020187031709 A KR1020187031709 A KR 1020187031709A KR 20187031709 A KR20187031709 A KR 20187031709A KR 20190031433 A KR20190031433 A KR 2019003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navigation
change amount
angle
initi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쉔 즈씽
Original Assignee
저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에는,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대상 내용의 조정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본 발명은 지능형 상호작용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장치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지능형 장치로서, 이는 V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상의 시각 및 청각 효과를 구현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몰입식 가상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가상 환경에 처한 것처럼 느껴지도록 유도하며, 또한 사용자와 가상 내용의 상호 연동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가상 환경에 몰입될 때, 가상 환경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와 가상 내용의 상호 연동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대상은 구현된 VR 장면 중 표시 페이지일 수 있고, 표시 페이지의 페이지 내용을 조정할 때, 가상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VR 장면을 구현할 수 있다. VR 장면에서, 상기 목표 대상에 대한 조정은 주로 VR 장치와 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가상 환경 중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에 대하여 조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VR 장면에서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현하기 비교적 복잡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에서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바, 주로 종래 가상현실 장치에서 수동으로 가상 내용을 조정하므로 비교적 복잡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상현실 장치 중 가상 내용의 조정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는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수직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평행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는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을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의 표시 수량을 통계하여, 대상 변화량으로 하며;
상기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으로부터 상기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까지의 이동 방향을 취득하여, 대상 변화 방향으로 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동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가상 현실 장치를 제공하는 바, 비휘발성 기억 장치와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수직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평행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는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의 표시 수량을 통계하여, 대상 변화량으로 하며;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으로부터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까지의 슬라이딩 방향을 취득하여, 대상 변화 방향으로 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동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내비게이션 구역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가상현실 장치에서 대상 내용을 표시할 때,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여, 상기 목표 대상에 대한 조정 준비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하는 바,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주로 사용자의 주시점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통하여 확인된다.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대응되는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한다.
도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도면이다.
도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대상 내용과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도면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대상 내용과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도면이다.
도5-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헤드웨어 VR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는 주로 가상현실 장치에 적용되고, 슬라이더를 통하여 가상현실 장치 중 내용을 조정하는 작업을 제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목표 대상에 하나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관련시키고, 또한 해당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한다. 사용자의 주시점이 해당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 변화할 때, 해당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여,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하고, 나아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또한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에 따라 목표 대상에 대한 내용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을 도시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몇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101: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한다.
VR 장치는 가상 환경의 몰입식 체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VR 장치는 VR 헬멧, VR 안경 등 장치일 수 있다. VR 장치는 가상 환경을 구현할 때, 여러가지 유형의 대상을 표시하여야 하는 바, 상기 목표 대상은 바로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에서 표시되는 임의의 유형의 대상이다.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 중 밝기, 소리, 출력 내용,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 또는 출력 내용 중 구역 내용 등일 수 있다.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통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페이지 전환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은 조정 동작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과 목표 대상은 일대일 대응 관계일 수 있는 바, 하나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하나의 목표 대상을 제어하여 상기 목표 대상을 상대로 조정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하나의 슬라이더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포인트가 상기 슬라이더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에 따라 분할하여, 각 구간의 슬라이더가 하나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목표 대상이 시계일 때, 상기 시계에 6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6개의 슬라이딩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목표 대상의 복수개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결정할 수도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소개한다.
102: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것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할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통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조정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 트리거되는 시각의 사용자 주시점 위치를 초기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하나의 충돌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충돌 박스가 위치하는 충돌 구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트리거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후,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후, 사용자는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머리가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내려다 보거나 올려다 보거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주시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 위치 변화할 때마다, 대응되는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위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의 주시점의 위치 또는 주시점이 정지로부터 이동으로 조정될 때의 주시점의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위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어느 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시선 이동을 중지할 때의 이동 종료 위치일 수도 있는 바, 즉, 사용자 주시점이 1회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은 시선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데, 이동 위치는 다음 회 이동의 초기 위치로 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주시점은 하기 방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두 눈 연결선의 중심점을 확인하며;
상기 중심점을 상기 VR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맵핑시켜, 취득한 맵핑점을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은 하나의 가상의 점일 수 있으며, 두 눈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은 실제로 존재하는 하나의 점일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VR 장치 중 두 광학 렌즈의 중심 위치에 하나의 레이저 발사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레이저 발사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시점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위치할 때, 해당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 사용자의 주시점이 위치하는 초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시점의 이동을 제어하여, 이동이 종료될 때, 해당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위치로부터 계속하여 다시 이동할 때, 해당 위동 위치는 새로운 초기 위치로 되며, 계속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조작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균일하게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하나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어느 한 내비게이션 구역에 위치할 때, 상응하게 해당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컨트롤(200)을 3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으로 분할하였는 바, 각각 내비게이션 구역(201), 내비게이션 구역(202) 및 내비게이션 구역(203)이고, 각 내비게이션 구역마다 하나의 대상 내용에 대응된다.
103: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한다.
104: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한다.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고, 복수개의 대상 내용 사이는 조정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된 실제 내용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표시 밝기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소리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출력되는 소리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상기 내용 출력 후 표시되는 표시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내용 출력 후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표시 하위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 중 부분 구역 내용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내용 출력 후의 구역 표시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조정 조작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상응한 이동 위치를 취득하고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실시간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과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있고, 각각의 내비게이션 위치마다 상응한 대상 내용과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위치가 변화할 때, 대응되는 대상 내용에 대하여 상응한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은 상기 목표 대상의 현재 대상 내용에 대한 대상 변화 방향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재 대상 내용에 대한 앞으로의 변화, 뒤로의 변화 또는 크게 변화, 작게 변화 등이다. 앞으로의 변화일 때, 현재 표시 내용 앞에 배열된 표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뒤로의 변화일 때, 현재 표시 내용 뒤에 배열된 표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크게 변화일 때, 현재의 VR 장면의 표시 밝기, 표시 소리 등을 크게 조절할 수 있고, 작게 변화일 때, 현재의 VR 장면의 표시 밝기, 표시 소리 등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목표 대상의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각각 일대일로 대응될 때,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해당 초기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의 대상 내용 및 이동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초기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의 대상 내용까지의 내용 변화에 의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주시점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현재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 대상의 대상 내용에 대하여, 대상 변화량 및 페이지 전환 내용을 계산하고, 상응하게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여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이 동적으로 변하고, 이동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VR 장면에서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하여 목표 대상의 내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 변화할 때, 주시점이 위치하는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에 의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제어함으로써 대상 내용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내용 조정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의 밝기, 출력 내용,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 등일 수 있는 바, 아래 상기 목표 대상의 몇가지 가능한 실시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방식 1: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밝기 변화값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밝기 변화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밝기의 밝기 변화량 및 밝기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밝기 변화 방향 및 밝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표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동일한 목표 대상 조정 원리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에는 플레이 소리, 표시 칼라값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표시 밝기는 상기 VR 장면에 표시되는 페이지 내용의 밝기로서, 상기 표시 밝기를 위하여 표시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표시 컨트롤을 설치할 수 있으며, VR장치에 의해 사용자 주시점이 상기 표시 컨트롤을 주시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VR 장치의 밝기 조정을 가동시켜, 밝기 조정 방식을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방식 2: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페이지 전환 오프셋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페이지 전환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페이지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상기 페이지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출력 내용의 표시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표시 내용은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개의 표시 내용 사이는 페이지 전환을 통하여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은 현재 VR 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내용을 말하는 바,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 내용은 여러 장의 표시 그림일 수 있으며, 가상으로 표시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 그림을 연결 표시하여 표시 내용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VR 장면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 과정에서, 현재 각각의 표시 내용마다 모두 가상 장면을 구현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몰입식 VR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점은 표시되는 페이지 내용에서 수시로 변하여, 상응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상 변화량은 본 실시방식에서 페이지 전환 오프셋을 가리키되, 구체적으로는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크기를 가리키며, 상기 페이지 전환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페이지를 점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표시 내용이 풍경일 때, 사용자의 주시점이 현재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점차적으로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서, 풍경이 시선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하는 체험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방식 3: 상기 목표 대상이 VR 장치에서 출력하는 표시 내용 중 목표 물체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전환 개수가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상기 전환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하위 내용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상기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의 표시 하위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목표 물체는 복수개의 표시 하위 내용과 대응될 수 있고, 상응한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표시 하위 내용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환되는 수량은 상기 목표 물체의 전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페이지 중 목표 물체는 구체적으로 현재 VR 장면 중 임의의 물체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VR 장면이 구현된 가상 룸일 때, 상기 목표 물체는 구현된 가상 룸 중 하나의 시계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대상(301)이 하나의 시계일 때, 해당 목표 대상(301)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은 부동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시계 인터페이스이다. 목표 대상에 6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도3에서, 현재 표시된 것은 제2번째 대상 내용(3011)이다. 내비게이션 컨트롤(302)을 트리거하고, 사용자 주시점의 내비게이션 컨트롤(302)에서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대상 변화 방향이 뒤로 페이지 전환하는 것이고, 대상 변화량이 3이라고 가정하면, 목표 대상(301)을 제5번째 대상 내용(3012)으로 조정하는 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대상의 실시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는 바, 여러가지 실시방식의 표시는 VR 장면에서 제어할 수 있고, VR 장면에서 목표 대상에 대하여 제어하는 과정에서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이용하여 제어를 진행하여, 제어 과정이 더욱 간단해지고, 보다 용이해진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주시점이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머리 상/하 운동 또는 안구 상/하 회전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고, 머리 좌/우 운동 또는 안구 좌우 회전을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수직될 때, 머리 상/하 운동 또는 안구 상/하 회전을 통하여 주시점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때 사용자의 부각/앙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평행되면, 머리 좌/우 운동 또는 안구 좌우 회전을 통하여 주시점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때 수평선의 수직선을 바탕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오프셋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부각/앙각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오프셋 각도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수직될 때,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을 도시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몇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501: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한다.
상기 머리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주시점이 상하 변화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수직된다.
502: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
503: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한다.
504: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한다.
505: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하기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한다.
506: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초기 위치를 통하여 초기 각도를 확인하고, 이동 위치를 통하여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초기 각도 및 종료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의 제어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간단한 계산을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대상의 내용 조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평행될 때,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을 도시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몇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601: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한다.
상기 머리 좌/우 운동에 따라 상기 주시점이 좌우 변화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수평선과 평행된다.
602: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
603: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한다.
604: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한다.
605: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606: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초기 위치를 통하여 초기 각도를 확인하고, 이동 위치를 통하여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초기 각도 및 종료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의 제어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간단한 계산을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대상의 내용 조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하기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양단은 각각 사용자 주시점 사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선분 간의 협각과 사용자 시선의 최대 스윙 각도에 대응되고, 상기 스윙 각도는 상하 스윙 각도 또는 좌우 스윙 각도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주시할 때,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은 사용자가 스윙하여 도달할 수 있는 최대 협각일 수 있다; 해당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고, 해당 비례값을 정수화(Integer-valued function) 후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로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선이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양단에 위치할 때 결정된 협각은 안정적인 상수이다. 각 페이지의 대상 내용은 순차적으로 페이지 전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변화 총량이 충분하게 클 때, 상기 협각 및 상기 변화 총량에 의하여 결정된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충분히 작다. 즉, 각 페이지의 대상 내용의 페이지 전환 시간이 충분히 작으므로,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응되는 목표 대상을 하나의 연속적으로 플레이되는 비디오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목표 대상이 하나의 TV일 때, 해당 TV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보다 많은 대상 내용 및 충분히 작은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내용이 연속적으로 조정될 때, 해당 TV가 비디오를 플레이하고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내비게이션 범위 및 상기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하여 각 페이지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뒤의 페이지 전환 페이지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여, 대상 내용의 조정을 신속히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VR 장면 내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역역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구조를 구성하며, 하나의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된다.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의 표시 수량을 통계하여, 대상 변화량으로 하며;
상기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으로부터 상기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까지의 이동 방향을 취득하여, 대상 변화 방향으로 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동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내비게이션 구역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각각 표시될 수 있고,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구역에 위치할 때, 대응되게 상기 대상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게 대상 내용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 현실 장치를 도시하며,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702)와 프로세서(701)가 포함되고, 비휘발성 기억 장치(702)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701)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의 표시 내용을 조정한다.
VR 장치는 가상 환경의 몰입식 체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VR 장치는 VR 헬멧, VR 안경 등 장치일 수 있다. VR 장치는 가상 환경을 구현할 때, 여러가지 유형의 대상을 표시하여야 하는 바, 상기 목표 대상은 바로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에 표시되는 임의의 유형의 대상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의 밝기, 소리, 출력 내용,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 또는 출력 내용 중 구역 내용 등일 수 있다.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되며,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통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페이지 전환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은 조정 동작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과 목표 대상은 일대일 대응 관계일 수 있는 바, 하나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하나의 목표 대상을 제어하여 상기 목표 대상을 상대로 조정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하나의 슬라이더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포인트가 상기 슬라이더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에 따라 분할하여, 각 구간의 슬라이더가 하나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목표 대상이 시계일 때, 상기 시계에 6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6개의 슬라이딩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목표 대상의 복수개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결정할 수도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소개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것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통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조정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 트리거되는 시각의 사용자 주시점 위치를 초기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하나의 충돌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충돌 박스가 위치하는 충돌 구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트리거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후,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된 후, 사용자는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머리의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내려다 보거나 올려다 보거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주시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 위치 변화할 때마다, 대응되는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위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의 주시점의 위치 또는 주시점이 정지로부터 이동으로 조정될 때의 주시점의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위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어느 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시선 이동을 중지할 때의 이동 종료 위치일 수도 있는 바, 즉, 사용자 주시점이 1회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은 시선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데, 이동 위치는 다음 회 이동의 초기 위치로 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01)는 하기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 주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두 눈 연결선의 중심점을 확인하며;
상기 중심점을 상기 VR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맵핑시켜, 취득한 맵핑점을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은 하나의 가상의 점일 수 있으며, 두 눈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은 실제로 존재하는 하나의 점일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VR 장치 중 두 광학 렌즈의 중심 위치에 하나의 레이저 발사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레이저 발사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시점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위치할 때, 해당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트리거될 때, 사용자의 주시점이 위치하는 초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시점 이동을 제어하여, 이동이 종료될 때, 해당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위치로부터 계속하여 다시 이동할 때, 해당 위동 위치는 새로운 초기 위치로 되며, 계속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조작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균일하게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하나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어느 한 내비게이션 구역에 위치할 때, 상응하게 해당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표시한다.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고, 복수개의 대상 내용 사이에는 조정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은 상기 목표 대상과 관련된 실제 내용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표시 밝기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소리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출력되는 소리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상기 내용 출력 후 표시되는 표시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내용 출력 후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표시 하위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 중 부분 구역 내용일 때, 상기 대상 내용은 내용 출력 후의 구역 표시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의 조정 조작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상응한 이동 위치를 취득하고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실시간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과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있고, 각각의 내비게이션 위치마다 상응한 대상 내용과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위치가 변화할 때, 대응되는 대상 내용에 대하여 상응한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은 상기 목표 대상의 현재 대상 내용에 대한 대상 변화 방향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재 대상 내용에 대한 앞으로의 변화, 뒤로의 변화 또는 크게 변화, 작게 변화 등이다. 앞으로의 변화일 때, 현재 표시 내용 앞에 배열된 표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뒤로의 변화일 때, 현재 표시 내용 뒤에 배열된 표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크게 변화일 때, 현재의 VR 장면의 표시 밝기, 표시 소리 등을 크게 조절할 수 있고, 작게 변화일 때, 현재의 VR 장면의 표시 밝기, 표시 소리 등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목표 대상의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각각 일대일로 대응될 때, 사용자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해당 초기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의 대상 내용 및 이동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초기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의 대상 내용까지의 내용 변화에 의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주시점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현재 위치가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구역 대상의 대상 내용에 대하여, 대상 변화량 및 페이지 전환 내용을 계산하고, 상응하게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여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이 동적으로 변하고, 이동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VR 장면에서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하여 목표 대상의 내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 변화할 때, 주시점이 위치하는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에 의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제어함으로써 대상 내용을 조정하도록 하여, 내용 조정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상기 VR 장치가 구현하는 가상 환경의 밝기, 출력 내용,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 등일 수 있는 바, 아래 상기 목표 대상의 몇가지 가능한 실시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방식1: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밝기 변화값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밝기 변화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밝기의 밝기 변화량 및 밝기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밝기 변화 방향 및 밝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표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목표 대상 조정 원리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에는 플레이 소리, 표시 칼라값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표시 밝기는 상기 VR 장면에 표시되는 페이지 내용의 밝기로서, 상기 표시 밝기를 위하여 표시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표시 컨트롤을 설치할 수 있으며, VR장치에 의해 사용자 주시점이 상기 표시 컨트롤을 주시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면, VR 장치의 밝기 조정을 가동시켜, 밝기 조정 방식을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방식2: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페이지 전환 오프셋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페이지 전환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페이지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상기 페이지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출력 내용의 표시 내용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은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개의 표시 내용 사이는 페이지 전환을 통하여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 조정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은 현재 VR 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내용을 말하는 바,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 내용은 여러 장의 표시 그림일 수 있으며, 가상으로 표시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 그림을 연결 표시하여 표시 내용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VR 장면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 과정에서, 현재 각각의 표시 내용마다 모두 가상 장면을 구현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몰입식 VR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점은 표시되는 페이지 내용에서 수시로 변하여, 상응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발생할 수 있다. 대상 변화량은 본 실시방식에서는 페이지 전환 오프셋을 가리키되, 구체적으로는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크기를 가리키며, 상기 페이지 전환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페이지를 점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표시 내용이 풍경일 때, 사용자의 주시점이 현재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점차적으로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서, 풍경이 시선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하는 체험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방식3: 상기 목표 대상이 VR 장치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전환 개수가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상기 전환 방향이 포함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하위 내용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상기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의 표시 하위 내용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물체는 복수개의 표시 하위 내용과 대응될 수 있고, 상응한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표시 하위 내용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환되는 수량은 상기 목표 물체의 전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페이지 중 목표 물체는 구체적으로 현재 VR 장면 중 임의의 물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대상의 실시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는 바, 여러가지 실시방식의 표시는 VR 장면에서 제어할 수 있고, VR 장면에서 목표 대상에 대하여 제어하는 과정에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이용하여 제어를 진행하여, 제어 과정이 더욱 간단해지고, 구현이 보다 용이해진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주시점이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머리 상하 운동 또는 안구 상/하 회전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고, 머리 좌/우 운동 또는 안구 좌우 회전을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수직될 때, 머리 상/하 운동 또는 안구 상/하 회전을 통하여 주시점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때 사용자의 부각/앙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평행되면, 머리 좌/우 운동 또는 안구 좌우 회전을 통하여 주시점의 위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때 수평선의 수직선을 바탕으로 좌/우 오프셋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부각/앙각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오프셋 각도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수평선에 수직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머리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주시점이 상하 변화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수직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초기 위치를 통하여 초기 각도를 확인하고, 이동 위치를 통하여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초기 각도 및 종료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의 제어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간단한 계산을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대상의 내용 조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수평선과 평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머리이 좌/우 운동에 따라 상기 주시점이 좌우 변화할 때,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상기 수평선과 평행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초기 위치를 통하여 초기 각도를 확인하고, 이동 위치를 통하여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초기 각도 및 종료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각도를 통하여 상응한 페이지 전환 각도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방안의 제어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동한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간단한 계산을 통하여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대상의 내용 조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양단은 각각 사용자 주시점 사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선분 간의 협각과 사용자 시선의 최대 스윙 각도에 대응되고, 상기 스윙 각도는 상하 스윙 각도 또는 좌우 스윙 각도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주시할 때,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은 사용자가 스윙하여 도달할 수 있는 최대의 협각일 수 있다; 해당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고, 해당 비례값을 정수화한 후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로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선이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양단에 위치할 때 결정된 협각은 안정적인 상수이다. 각 페이지의 대상 내용은 순차적으로 페이지 전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변화 총량이 충분하게 클 때, 상기 협각 및 상기 변화 총량에 의하여 결정된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충분히 작다. 즉, 각 페이지의 대상 내용의 페이지 전환 시간이 충분히 작으므로,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응되는 목표 대상을 하나의 연속적으로 플레이되는 비디오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목표 대상이 하나의 TV일 때, 해당 TV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보다 많은 대상 내용 및 충분히 작은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내용이 연속적으로 조정될 때, 해당 TV가 비디오를 플레이하고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내비게이션 범위 및 상기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하여 각 페이지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뒤의 페이지 전환 페이지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여, 대상 내용의 조정을 신속히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VR 장면 내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구조를 구성하며, 하나의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의 표시 수량을 통계하여, 대상 변화량으로 하며;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으로부터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까지의 슬라이딩 방향을 취득하여, 대상 변화 방향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의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동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내비게이션 구역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컨트롤에 대해 내비게이션 구역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각각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각각 표시될 수 있고, 주시점이 상기 내비게이션 구역에 위치할 때, 대응되게 상기 대상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게 대상 내용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현실 장치는 헤드웨어 VR 장치일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헤드웨어 VR 장치(800)의 내부 구성 구조도이다.
해당 헤드웨어 VR 장치에는 표시유닛(801), 가상 이미지 광학유닛(802), 입력 조작유닛(803),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 통신유닛(805)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유닛(801)에는 표시 패널이 포함될 수 있고, 표시 패널은 헤드웨어 VR 장치(800) 상에서 사용자 얼굴을 향한 측표면에 설치되고, 하나의 전체적인 패널이거나 각각 사용자의 왼눈과 오른눈에 대응되는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전계 발광(EL)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또는 레티나 직접 표시 또는 유사한 레이저 스캔식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가상 이미지 광학유닛(802)은 확대 방식으로 표시유닛(801)이 표시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사용자가 확대된 가상 이미지로 표시된 이미지를 관찰하도록 한다. 표시유닛(801)에 출력되는 표시 이미지는 내용 재현 장치(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DVD 플레이어) 또는 스트림 미디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장면의 이미지 또는 외부 카메라(810)를 사용하여 촬영한 현실 장면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상 이미지 광학유닛(802)에는 렌즈부, 예를 들면 구면 렌즈, 비구면 렌즈, 프레넬 렌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 조작유닛(80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유닛재, 예를 들면 키패드, 버튼, 스위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기타 부재가 포함되고, 조작유닛재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유닛(807)으로 명령을 출력한다.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은 헤드웨어 VR 장치(8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에는 여러가지 유형의 센서가 포함되어 자체로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통신유닛(805)을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와치, 손목시계와 사용자가 착용한 기타 다기능 단말)를 통하여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는 사용자 머리의 위치 정보 및/또는 자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지자기 센서, 도플러 효과 센서, 적외선 센서, 무선 주파수 필드 강도 센서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 취득유닛(804)은 헤드웨어 VR 장치(8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 상태(사용자가 헤드웨어 VR 장치(8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사용자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정지, 걷기, 뛰기 및 이와 같은 여러가지 이동 상태, 손 또는 손가락 끝의 자세, 눈의 뜬 또는 감은 상태, 시선 방향, 동공 크기), 정신 상태(사용자가 표시된 이미지를 관찰하는데 몰두하고 있는지 여부 및 이와 같은 여러가지 상태) 내지 생리 상태를 취득한다.
통신유닛(805)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 처리, 변조와 복조 처리 및 통신 신호의 코딩과 디코딩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유닛(807)은 통신유닛(805)에 의해 외부 장치로 전송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예를 들면 이동 고화질 링크(MHL)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Wi-Fi, 블루투스 통신 또는 저전력 소모 블루투스 통신 및 IEEE802.11s 표준의 메시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유닛(805)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CDMA), 롱텀 에볼루션(LTE)과 유사한 표준 조작에 의한 셀룰러 무선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웨어 VR 장치(800)에는 저장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는 바, 저장유닛(806)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버(SSD) 등이 구비되는 대용량 저장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유닛(806)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여러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헤드웨어 VR 장치(800)를 사용하여 관람하는 내용은 저장유닛(806)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웨어 VR 장치(800)에는 제어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는 바, 제어유닛(807)에는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기타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유닛(807)은 저장유닛(806)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제어유닛(80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 기능과 조작을 위한 회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유닛(808)은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바, 예를 들면 제어유닛(807)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와 관련되는 이미지 품질을 교정 및 그 해상도를 표시유닛(801)의 스크린에 따른 해상도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후, 표시 구동유닛(809)이 순차적으로 표시유닛(801)의 각 행 화소를 선택하고, 또한 한 행씩 순차적으로 표시유닛(801)의 각 행 화소를 스캔하여, 신호 처리를 거친 이미지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화소 신호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웨어 VR 장치(800)에는 외부 카메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카메라(810)는 헤드웨어 VR 장치(800) 본체 앞 표면에 구비될 수 있고, 외부 카메라(81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외부 카메라(810)는 3차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거리 센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물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탐지하는 위치 민감 탐지기(PSD) 또는 기타 유형의 거리 센서는 외부 카메라(8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카메라(810)와 거리 센서는 헤드웨어 VR 장치(8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위치, 자세와 형상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조건 하에서 사용자는 외부 카메라(810)를 통하여 현실 장면을 직접 관찰하거나 미리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웨어 VR 장치(800)에는 음성 처리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는 바, 음성 처리유닛(811)은 제어유닛(807)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성 품질 교정 또는 음성 증폭 및 입력 음성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등을 실행할 수 있다. 그 후, 음성 입출력유닛(812)이 음성 처리 후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며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도8에서 점선 박스로 표시된 구조 또는 부재는 헤드웨어 VR 장치(8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외부 처리 시스템(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헤드웨어 VR 장치(800)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점선 박스로 표시된 구조 또는 부재는 헤드웨어 VR 장치(800) 내부 또는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구성에서, 컴퓨터 장치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CPU), 입/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메모리가 포함된다.
메모리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중 비영구성 기억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 형태, 예를 들면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또는 플래시 램(flash RAM)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시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는 영구성 및 비영구성, 이동 가능 및 이동 불가능 매체가 포함되고,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의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의 저장 매체의 예시에는 상 변환 램(PRAM), 정적 랜덤 엑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 기타 유형의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기억장치(ROM), 전기적 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시디롬(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저장매체,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성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기타 비전송 매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어 정의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일시적 매체(transitory media), 예를 들면 변조된 데이터 신호와 반송파가 포함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일부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 모듈을 지칭할 경우, 당업자들은 하드웨어 업체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동일한 모듈을 지칭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명칭의 차이를 모듈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하지 않고, 모듈의 기능 상의 차이를 구분을 위한 표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언급된 "포함은 개방적인 용어이기 때문에,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한다. "대체로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이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기술효과를 이룰 수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연결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임의의 직접 및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명세서에서 "하나의 제1 장치가 하나의 제2 장치에 연결되었다라고 기재될 경우, 제1 장치가 직접 상기 제2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기타 장치 또는 연결 수단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2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말한다. 명세서의 하기 기재는 본 출원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나, 상기 기재는 본 출원의 일반적인 원칙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용어 "포함하다, "포괄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인 포함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상품 또는 시스템이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상품 또는 시스템의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함을 표시한다. 추가적 한정이 없는 상황에서, 문구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상품 또는 시스템 중에 기타 동일한 요소가 더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출원의 몇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본문에 개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 하며, 기타 실시예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타 조합, 수정 및 환경에 사용될 수 있으며. 명세서에 기재된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계시 또는 관련 분야의 기술 또는 지식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한 수정 몇 변경은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모두 본 출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한 후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의 내용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수직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거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평행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VR 장면 내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는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구조를 구성하며, 하나의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는,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밝기 변화값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밝기 변화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밝기의 밝기 변화량 및 밝기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밝기 변화 방향 및 밝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표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페이지 전환 오프셋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페이지 전환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페이지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상기 페이지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출력 내용의 표시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VR 장치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전환 개수가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상기 전환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에는,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하위 내용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에는,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상기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의 표시 하위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비휘발성 기억 장치와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VR 장면에 목표 대상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컨트롤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주시점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수직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 또는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거나;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은 수평선에 평행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초기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위치를 주시하는 시선과 수평선의 수직선의 종료 각도를 확인하며;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에는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이 포함되고, 하나의 상기 목표 대상에는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상기 복수개의 대상 내용이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비게이션 구역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의 표시 수량을 통계하여, 대상 변화량으로 하며; 상기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으로부터 상기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구역까지의 이동 방향을 취득하여, 대상 변화 방향으로 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페이지 전환을 진행하여,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동 위치의 내비게이션 구역에 대응되는 대상 내용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각도와 상기 종료 각도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종료 각도에서 상기 초기 각도를 감산하여, 각도 차이값을 취득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의 플러스/마이너스 특성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각도 차이값과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의 비례값에 의하여 상기 대상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대상의 대상 내용의 변화 총량을 통계하며; 상기 사용자 주시점이 각각 상기 내비게이션 컨트롤의 제1단 및 제2단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단을 주시하는 시선 및 상기 제2단을 주시하는 시선 사이의 협각을 확인하며; 상기 협각과 상기 변화 총량의 비례값을 계산하여, 각각의 대상 내용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각도 역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밝기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밝기 변화값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밝기 변화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밝기의 밝기 변화량 및 밝기 변화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밝기 변화 방향 및 밝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표시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출력 내용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페이지 전환 오프셋이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페이지 전환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내용의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페이지 전환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지 전환 오프셋 및 상기 페이지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출력 내용의 표시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대상이 VR 장치 출력 내용 중 목표 물체이며; 상기 대상 변화량에는 전환 개수가 포함되며; 상기 대상 변화 방향에는 상기 전환 방향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대상 변화량 및 대상 변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표시 하위 내용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전환 방향을 확인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변화 방향 및 상기 대상 변화량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물체에 대응되는 전환 개수 및 상기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목표 물체의 표시 하위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87031709A 2017-08-16 2017-08-24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KR20190031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7024443 2017-08-16
CN201710702444.3A CN107479804A (zh) 2017-08-16 2017-08-16 虚拟现实设备及其内容调整方法
PCT/CN2017/098872 WO2019033446A1 (zh) 2017-08-16 2017-08-24 虚拟现实设备及其内容调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433A true KR20190031433A (ko) 2019-03-26

Family

ID=6060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709A KR20190031433A (ko) 2017-08-16 2017-08-24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29500A1 (ko)
EP (1) EP3671408B1 (ko)
JP (1) JP6720341B2 (ko)
KR (1) KR20190031433A (ko)
CN (1) CN107479804A (ko)
DK (1) DK3671408T3 (ko)
WO (1) WO2019033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9658B2 (en) * 2015-02-26 2018-05-01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holographic animations
US10338766B2 (en) 2017-09-06 2019-07-02 Realwear, Incorporated Audible and visual operational modes for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8211342A (zh) * 2018-01-19 2018-06-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角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8181993A (zh) * 2018-01-26 2018-06-19 成都科木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增强现实设备的场景绘制方法
US11210517B2 (en) * 2018-09-18 2021-12-28 TransRobotics, Inc. Technologies for acting based on object detection
EP3719532B1 (en) 2019-04-04 2022-12-28 Transrobotics, Inc. Technologies for acting based on object tracking
CN115113532A (zh) * 2021-03-18 2022-09-27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智能家电设备的设备监测方法及装置
CN116756045B (zh) * 2023-08-14 2023-10-31 海马云(天津)信息技术有限公司 应用测试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5944B1 (en) * 2004-10-05 2012-08-15 Sony France S.A. A content-management interface
JP4667111B2 (ja) * 2005-04-2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NZ560457A (en) * 2007-08-15 2010-02-26 William Bryan Woodard Image generation system
JP2014077814A (ja) * 2011-02-14 2014-05-01 Panasonic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824501B1 (ko) * 2011-05-19 2018-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082863B2 (en) * 2012-05-11 2018-09-25 Umoove Services Ltd. Gaze-based automatic scrolling
KR102062310B1 (ko) * 2013-01-04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헤드 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08048B2 (en) * 2013-06-08 2018-03-0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transparent mode and non-transparent mode in a head mounted display
JP6264871B2 (ja) * 2013-12-16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564714B2 (en) * 2014-05-09 2020-02-18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chanically-based eye signals for interacting with real and virtual objects
KR20160033376A (ko) * 2014-09-18 2016-03-28 (주)에프엑스기어 시선에 의해 제어되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제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6629528B2 (ja) * 2015-06-16 2020-01-15 株式会社ファイン 仮想現実表示システム、仮想現実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174005A1 (en) * 2015-11-30 2017-05-3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mixing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0175773B2 (en) * 2016-07-01 2019-01-08 Tactual Labs Co. Touch sensitive keyboard
CN106325505B (zh) * 2016-08-17 2019-11-05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视点跟踪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527722B (zh) * 2016-11-08 2019-05-1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现实中的交互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6445173A (zh) * 2016-11-25 2017-02-22 四川赞星科技有限公司 一种目标体状态转换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9500A1 (en) 2019-05-02
EP3671408A4 (en) 2020-10-07
EP3671408B1 (en) 2022-07-27
CN107479804A (zh) 2017-12-15
WO2019033446A1 (zh) 2019-02-21
JP2019536118A (ja) 2019-12-12
DK3671408T3 (da) 2022-09-12
JP6720341B2 (ja) 2020-07-08
EP3671408A1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1433A (ko) 가상현실 장치 및 그 내용 조정 방법
US11989842B2 (en) Head-mounted display with pass-through imaging
CN108292489B (zh) 信息处理装置和图像生成方法
KR102281026B1 (ko) 홀로그램 앵커링 및 동적 포지셔닝 기법
EP303568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430785B (zh) 用于显示三维对象的方法和系统
US10394319B2 (en)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and system therefor
US20160238852A1 (en) Head mounted display performing post render processing
TWI669635B (zh) 用於顯示彈幕的方法、裝置以及非揮發性電腦可讀儲存介質
JP6130478B1 (ja) 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CN104076512A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头部佩戴型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20220070485A (ko) 자동화된 비디오 캡처 및 합성 시스템
US1048267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object in 3D scene and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evice
CN112655202B (zh) 用于头戴式显示器的鱼眼镜头的减小带宽立体失真校正
JP736768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11287881B2 (en) Presenting images on a display device
CN106383577B (zh) 一种vr视频播放装置的场景控制实现方法及系统
US11187895B2 (en)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972719B1 (en) Head-mounted display having an image sensor array
CN107844197A (zh) 虚拟现实场景显示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