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876A -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 Google Patents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1876A KR20190021876A KR1020170107243A KR20170107243A KR20190021876A KR 20190021876 A KR20190021876 A KR 20190021876A KR 1020170107243 A KR1020170107243 A KR 1020170107243A KR 20170107243 A KR20170107243 A KR 20170107243A KR 20190021876 A KR20190021876 A KR 201900218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grafting
- tree
- root
- tree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646071 Prione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204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2799 Prunus av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8631 Conife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32456 Haplocarph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13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51 azo group Chemical group [*]N=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31 ginseng roo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8 hort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561 useful plant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대목과 중간대목을 접목한 후, 상기 중간대목에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를 접수하여 결실을 맺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으로써, 원대목과 중간대목을 접목하고, 중간대목에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의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접수하여 하나의 대목에서 2종 이상의 과실을 결실 맺을 수 있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해결과제로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대목과 중간대목을 접목한 후, 상기 중간대목에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를 접수하여 결실을 맺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이다.
접목이란 2개 이상의 식물을 외과적으로 하나로 융합하는 기술이다. 접목은, 일반적으로 나자 식물 {겉씨식물} , 피자 식물 {속씨식물} 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원예, 농학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접목은, 뿌리부를 구성하는 대목 {台木; stock} 과 지상부를 이루는 수목 {穗木; scion} 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우수한 능력을 모두 발휘시키는 식물체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접목의 목적 및 수법은 다방면에 걸친다.
예를 들면, 과수 전반의 가지변 {아조변이} 이나 신품종은, 접목에 의해서 클로닝 번식되는 일이 많다. 또, 가짓과나 박과를 비롯한 채소류에서는, 유용한 식물체의 뿌리계 시스템을 접목에 의해 이용함으로써 병해 내성 획득이나 과실 등의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이 달성되고 있다.
접목은, 모든 조합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계통 관계가 가까울수록 접목이 성립하기 쉽다고 여겨지고 있다.
접목은, 적어도 두 개의 식물체가 접목면을 거쳐서 이들 식물체가 살아 있는 상태를 갖고서 접목 성립이라 한다.
대체로, 동종 {同種} 간, 동속 {同屬} 간, 동과 {同科} 간의 순으로 접목이 성립되기 어려워지며, 예외적으로 특정 이과 {異科; different-family} 식물간의 접목이 보고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과 식물간에서는 접목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제10-0405042호의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과, 등록번호 제10-1441038호의 ‘두 줄기 재배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대목과 중간대목을 접목한 후, 상기 중간대목에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를 접수하여 결실을 맺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원대목과 중간대목을 접목하고, 중간대목에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의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접수하여 하나의 대목에서 2종 이상의 과실을 결실 맺을 수 있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해결과제로 하였다.
이를 해결코자 본 발명은 과실수를 접수로 하는 이중대목 접목방법에 있어서, 뿌리에서 10 ~ 15cm의 위치에 절단된 개복숭아 원대목을 준비하는 원대목준비단계와, 상기 원대목과 연결 시, 상부가 뿌리에서 30 ~ 80cm의 위치에 절단되고 하나 내지 두 개의 눈이 포함된 과실수 중간대목을 준비하는 중간대목준비단계와, 원대목에 중간대목을 접목하고 비닐을 이용하여 동여맨 후, 중간대목의 상부 절단부분은 촛농 또는 톱신페스트로 메우는 접목단계 및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를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선택하여 접수하는 접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을 제공하여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봄이 오는 4, 5월은 꽃으로 인해 눈이 즐겁고, 6 ~ 9월은 열매를 맺고 수확하며, 하나의 대목에서 2종 이상의 각기 다른 과실에 대한 결실을 맺을 수 있어 우수한 대목과 질 좋은 과일을 수확할 수 있고, 관상의 효과도 나타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의 원대목준비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의 원대목준비단계에서 칼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의 접목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으로 다종의 과실수가 접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의 원대목준비단계에서 칼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의 접목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중대목 접목방법으로 다종의 과실수가 접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인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개 복숭아 원대목에 2중 대목을 접붙이는 것으로써, 품질 좋은 과실수를 접수로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이중대목 접목방법을 살펴보면,
과실수를 접수로 하는 이중대목 접목방법에 있어서, 뿌리에서 10 ~ 15cm의 위치에 절단된 개복숭아 원대목(100)을 준비하는 원대목준비단계와, 상기 원대목(100)과 연결 시, 상부가 뿌리에서 30 ~ 80cm의 위치에 절단되고 하나 내지 두 개의 눈(210)이 포함된 과실수 중간대목(200)을 준비하는 중간대목준비단계와, 원대목(100)에 중간대목(200)을 접목하고 비닐(300)을 이용하여 동여맨 후, 중간대목(200)의 상부 절단부분(220)은 촛농 또는 톱신페스트로 메우는 접목단계 및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400)를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선택하여 접수하는 접수단계로 이루어진다.
[원대목준비단계]
본 발명에서는 개 복숭아 원대목을 사용하며, 상기 원대목의 뿌리에서 10 ~ 15cm의 위치에 절단된 것을 준비한다.
이때, 대목의 상부에는 칼집을 내는데, 본 발명에서는 V자 칼집을 내었다.
상기 개 복숭아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개 복숭아가 익어서 먹고 남은 씨앗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비닐하우스 안에 왕모래와 섞어서 땅 속에 저장하고 씨앗이 마르지 않고 얼지 않도록 수분을 유지하여 이듬해 봄까지 저장한 것을 가장 좋은 방법이며, 이듬해 종자에서 한 두 개 싹이 트는 것이 관찰되면 상을 만들어 파종하면 95% 이상 발아될 수 있다.
파종 후, 발아된 개 복숭아는 병충해에 강하며 다른 개체들과의 친화성이 뛰어나 원대목의 뿌리로서 손색이 없고, 최상의 효과를 낼 수 있음과 동시에 영양공급이 우수하다.
12월 중에 원대목으로 사용할 씨(종자)를 물에 불려서 1, 2월쯤 땅속에 묻어두고, 3월쯤 파종한 뒤, 새순이 자라나면 한해를 키우고 이듬해 4, 5월쯤 뿌리에서 10 ~ 15cm내에서 접붙이기를 실시한다.
[중간대목준비단계]
상기 원대목(100)과 연결 시, 상부가 뿌리에서 30 ~ 80cm의 위치에 절단되고 하나 내지 두 개의 눈(210)이 포함된 과실수 중간대목(200)을 준비한다.
상기 30 ~ 80cm의 위치는 통상적으로 눈(210)이 하나 내지 두 개가 위치되는 길이 임으로 상기한 길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겠다.
상기 중간대목(200)의 하부는 상기 원대목(100)의 칼집부분과 연결하기 위해 동일한 형상으로 다듬는다.
이때, 사용되는 중간대목(200)에는 복숭아나무(400a), 자두나무(400b), 살구나무(400c), 매실나무(400d), 앵두나무(400e) 중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접목단계]
원대목(100)에 중간대목(200)을 접목하고 비닐(300)을 이용하여 동여맨 후, 중간대목(200)의 상부 절단부분(220)은 촛농 또는 톱신페스트로 메운다.
상기 비닐(300)은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접목단계까지는 원대목(100)과 중간대목(200)을 이용하여 중심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접수단계]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400)를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선택하여 접수한다.
상기 접수단계에서는 접수 시기에 따라 꽂이접, 깎기접, 눈접 중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3, 4월에는 깎기접, 6월 ~ 9월에는 눈접으로 접수를 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원대목에 여러종의 품종을 접목하여 과실수 조경수로도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과실은 상기한 이중대목 접목방법으로 결실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봄이 오는 4, 5월은 꽃으로 인해 눈이 즐겁고, 6 ~ 9월은 열매를 맺고 수확하며, 하나의 대목에서 2종 이상의 각기 다른 과실에 대한 결실을 맺을 수 있어 우수한 대목과 질 좋은 과일을 수확할 수 있고, 관상의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100 : 원대목
200 : 중간대목 210 : 눈
300 : 비닐
400 : 과실수
200 : 중간대목 210 : 눈
300 : 비닐
400 : 과실수
Claims (4)
- 과실수를 접수로 하는 이중대목 접목방법에 있어서,
뿌리에서 10 ~ 15cm의 위치에 절단된 개복숭아 원대목(100)을 준비하는 원대목준비단계;
상기 원대목(100)과 연결 시, 상부가 뿌리에서 30 ~ 80cm의 위치에 절단되고 하나 내지 두 개의 눈(210)이 포함된 과실수 중간대목(200)을 준비하는 중간대목준비단계;
원대목(100)에 중간대목(200)을 접목하고 비닐(300)을 이용하여 동여맨 후, 중간대목(200)의 상부 절단부분(220)은 촛농 또는 톱신페스트로 메우는 접목단계;
사용자가 접수하려는 과실수(400)를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선택하여 접수하는 접수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대목(200)에는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매실나무, 앵두나무 중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단계에서는 과실수(400)의 종류 및 접수 시기에 따라 꽂이접, 깎기접, 눈접 중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
- 제 1항의 이중대목 접목방법으로 결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목 접목방법을 이용한 과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243A KR20190021876A (ko) | 2017-08-24 | 2017-08-24 |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243A KR20190021876A (ko) | 2017-08-24 | 2017-08-24 |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876A true KR20190021876A (ko) | 2019-03-06 |
Family
ID=6576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243A KR20190021876A (ko) | 2017-08-24 | 2017-08-24 |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2187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541A (zh) * | 2019-12-09 | 2020-06-02 | 江苏省农业科学院 | 一种桃实生苗节约化管理方法 |
CN111788989A (zh) * | 2020-05-18 | 2020-10-20 | 宁夏农林科学院种质资源研究所(宁夏设施农业工程技术研究中心) | 苹果林下套种大球盖菇的方法 |
CN113924874A (zh) * | 2021-11-05 | 2022-01-14 | 福建省林业科学研究院 | 一种野核桃根部嫁接方法 |
-
2017
- 2017-08-24 KR KR1020170107243A patent/KR201900218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541A (zh) * | 2019-12-09 | 2020-06-02 | 江苏省农业科学院 | 一种桃实生苗节约化管理方法 |
CN111788989A (zh) * | 2020-05-18 | 2020-10-20 | 宁夏农林科学院种质资源研究所(宁夏设施农业工程技术研究中心) | 苹果林下套种大球盖菇的方法 |
CN113924874A (zh) * | 2021-11-05 | 2022-01-14 | 福建省林业科学研究院 | 一种野核桃根部嫁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338670B2 (en) | Methods for providing height enhanced grafted plants and products thereof | |
WO2012062672A1 (en) | Grafting method and grafted plants obtained thereof | |
KR20190021876A (ko) | 과실수 이중대목 접목방법과 그 과실 | |
KR20170096398A (ko) | 흑노호 대목을 이용한 오미자 무성번식 방법 | |
JP6043117B2 (ja) | 新規トマト多本仕立接木苗及びその作成方法 | |
JP2002262665A (ja) | ブルーベリーの接ぎ挿しによる増殖方法 | |
KR100807867B1 (ko) | 아보카도재배를 위한 아보카도와 참나무과의 접목방법 | |
JP2006025779A (ja) | 数種類の果実が実る野菜苗。 | |
KR20170052652A (ko) | 접목된 칼리브라코아 및 이의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
JP2003070357A (ja) | ツツジ科スノキ属シャシャンボを台木としたブルーベリーの接ぎ木繁殖方法 | |
KR20150029162A (ko) | 구상나무의 이종간 접목기술을 이용한 무성증식방법 | |
Gao et al. | Growing tomatoes in the home garden | |
CN109105200B (zh) | 一种主干具有龟背状、双色干皮的观赏型木本植物培养方法 | |
JP2002335760A (ja) | オウトウの花芽の沢山付いた太枝接木法 | |
Li et al. | Prunus salicina ‘Crown’, a yellow-fruited Chinese plum | |
KR20110098335A (ko) | 노란색 황금귤나무의 번식방법 | |
Muakrong et al. | ‘Kamphaeng Saen 1’,‘Kamphaeng Saen 2’, and ‘Kamphaeng Saen 3’: New ornamental Jatropha cultivars derived through an interspecific cross | |
Beccaro et al. | Nursery techniques | |
Celik | Blueberry culture in Turkey, today and in the future | |
McGuigan et al. | Propagation of Quercus phillyreoides by stem cuttings | |
KR101490313B1 (ko) | 소나무 접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소나무 묘목 | |
Darrow et al. | Some unusual opportunities in plant breeding | |
Mulatu et al. | Bamboo Species Introduced in Ethiopia | |
KR100365490B1 (ko) | 조경용 수양겹벚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 |
Subedi et al. | Research notes on vegetative propagation of Chiuri (Diploknema butyracea (Roxb.) HJ L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