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259A - 모듈식 가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식 가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259A
KR20190016259A KR1020170100245A KR20170100245A KR20190016259A KR 20190016259 A KR20190016259 A KR 20190016259A KR 1020170100245 A KR1020170100245 A KR 1020170100245A KR 20170100245 A KR20170100245 A KR 20170100245A KR 20190016259 A KR20190016259 A KR 2019001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ipe
free end
length adjust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028B1 (ko
Inventor
김태혁
Original Assignee
김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혁 filed Critical 김태혁
Priority to KR102017010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0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모듈식 가구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측에 제1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는 제1 커넥터부재; 일 측에 제2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과 이격되어 상호간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커넥터부재;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재; 및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식 가구 조립체{MODULE TPE FURNITURE ASSEMBLY}
본 발명은 모듈식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식으로 제작 판매되어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가 원하는 가구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품을 모듈식으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DIY 가구(do it yourself furniture) 시장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DIY 가구는 이를 구성하는 상당수의 구성품이 가구 종류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가구에서 호환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동일하거나 일부 변경된 구성품 세트를 가지고 본인이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로 조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내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같은 모듈식 가구 구성품은 전문성이 결여된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여야 하고 구성품 상호간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조립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1)와 커넥터(2)를 사용하여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앵글을 제작할 때에 마지막에 조립하는 파이프(1´)는 커넥터(2)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만큼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5902호(2007.11.13, 모듈식 가구 조립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293호(2010.02.03, 조립식 구조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2개의 커넥터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한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측에 제1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는 제1 커넥터부재; 일 측에 제2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과 이격되어 상호간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커넥터부재;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재; 및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삽입되는 원통 영역; 상기 원통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 영역;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1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1 수나사 영역 사이에 다각기둥 형상의 제1 볼트헤드 영역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치합하는 암나사 영역; 및 상기 암나사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과 상기 가이드 영역 사이의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2 수나사 영역; 상기 제2 수나사 영역에서 연장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2 볼트헤드 영역; 및 상기 제2 볼트헤드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3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터드 볼트의 삽입 홀에 삽입되는 원통 영역; 상기 원통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 영역;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1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1 수나사 영역 사이에 다각 기둥 형상의 제1 볼트헤드 영역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에는, 상기 제3 수나사 영역과 치합하는 암나사 영역; 및 상기 암나사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과 상기 가이드 영역 사이의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커넥터부재에 길이조절부재를 깊게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부재와 제2 커넥터부재를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하고, 다음으로 길이조절부재를 제1 커넥터부재에서 일부 뽑아내면서 제2 커넥터부재에 나사 결합하고, 다음으로 이탈방지부재를 제1 커넥터부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파이프 영역 또는 제2 파이프 영역을 과도한 힘을 들여 구부리는 등 변형시키지 않고도 제1 커넥터부재와 제2 커넥터부재를 상호간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10)는 제1 커넥터부재(100), 제2 커넥터부재(200), 길이조절부재(300) 및 이탈방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재(100)는 일 측에 제1 파이프 영역(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에서 커넥터(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부재(100)의 타 측에도 도 1의 커넥터(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재(200)는 일 측에 제2 파이프 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에서 파이프(1)와 커넥터(2)가 일체로 결합되거나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부재(200)의 타 측에도 도 1의 커넥터(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영역(110)과 제2 파이프 영역(210)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영역(110)에서 자유 단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이프 영역(210)에서 자유 단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재(100)와 제2 커넥터부재(200)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자유 단과 제2 파이프 영역(210)의 자유 단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부재(100)와 제2 커넥터부재(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제1 커넥터부재(100)와 제2 커넥터부재(200)의 타 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영역에 동시에 결합되는 파이프 어셈블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파이프(1)와 커넥터(2)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00)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자유 단에 제1 파이프 영역(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모듈식 가구 조립체(1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게 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00)에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길이 방향으로 원통 영역(310), 가이드 영역(320), 제1 볼트헤드 영역(330) 및 제1 수나사 영역(340)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 영역(3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 영역(310)은 제1 파이프 영역(1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가져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자유 단을 통해 제1 파이프 영역(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영역(3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영역(320)은 원통 영역(3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볼트헤드 영역(330)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패너 등의 체결공구의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나사 영역(340)의 외주면에는 제2 파이프 영역(210)의 암나사(211)와 치합하는 수나사(341)가 형성됨으로써 길이조절부재(300)가 제2 파이프 영역(210)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00)는 길이조절부재(300)의 일단, 구체적으로 원통 영역(310)이 제1 파이프 영역(110)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00)에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길이 방향으로 암나사 영역(410) 및 스토퍼 영역(420)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 영역(410)의 내주면에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수나사(111)와 치합하는 암나사(411)가 형성됨으로써 이탈방지부재(400)가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스토퍼 영역(420)은 원통 영역(310)의 직경보다 작고 가이드 영역(32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가져 이탈방지부재(400)가 가이드 영역(32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파이프 영역(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이프 영역(110)과 길이조절부재(300)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영역(420)의 내경은 가이드 영역(32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10)와 비교하여 스터드 볼트(5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스터드 볼트(500)가 추가됨으로 인해 변경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조절부재(300)와 이탈방지부재(400)는 스터드 볼트(500)를 통해 제1 파이프 영역(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재(400)의 외경을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돌출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터드 볼트(500)에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수나사 영역(510), 제2 볼트헤드 영역(520) 및 제3 수나사 영역(530)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나사 영역(510)의 외주면에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암나사(113)와 치합하는 수나사(511)가 형성됨으로써 스터드 볼트(500)가 제1 파이프 영역(110)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파이프 영역(110)에는 수나사(111)가 아닌 암나사(113)가 형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10)와 차이가 있다.
제2 볼트헤드 영역(520)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패너 등의 체결공구의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수나사 영역(530)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재(400)의 암나사(411)와 치합하는 수나사(531)가 형성됨으로써 이탈방지부재(400)가 스터드 볼트(500)에 나사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재(400)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이 아닌 스터드 볼트(500)에 나사 결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10)와 차이가 있다.
스터드 볼트(500)에는 길이조절부재(300), 구체적으로 원통 영역(310)이 삽입되는 삽입 홀(54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홀(540)은 스터드 볼트(500)의 타단 면, 구체적으로 제3 수나사 영역(530)이 형성되는 단부 면에 스터드 볼트(50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재(300)는 제1 파이프 영역(110)이 아닌 스터드 볼트(500)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10)와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모듈식 가구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가구 조립체(20)와 비교하여 길이조절부재(300)와 스터드 볼트(500)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부재(300)의 일단 면에는 제1 요철(3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요철(311)은 스터드 볼트(500)의 타단 면에 형성되는 제2 요철(550)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00)는 제2 파이프 영역(210)의 자유 단에 제2 파이프 영역(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모듈식 가구 조립체(3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볼트헤드 영역(330)과 제1 수나사 영역(340) 사이에는 제2 파이프 영역(2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이프 영역(210)의 암나사(211)는 제1 수나사 영역(340)의 수나사(34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길이조절부재(300)는 제1 볼트헤드 영역(330)과 제1 수나사 영역(340)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 영역만큼 제2 파이프 영역(210) 내로 추가 삽입되었다가 추가 삽입된 길이만큼 인출되면서 제1 요철(311)이 제2 요철(550)과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제1 요철(31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요철(550)은 제1 요철(311)에 상응하는 크기의 원형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모듈식 가구 조립체 100: 제1 커넥터부재
110: 제1 파이프 영역 111: 수나사
113: 암나사 200: 제2 커넥터부재
210: 제2 파이프 영역 211: 암나사
300: 길이조절부재 310: 원통 영역
311: 제1 요철 320: 가이드 영역
330: 제1 볼트헤드 영역 340: 제1 수나사 영역
341: 수나사 400: 이탈방지부재
410: 암나사 영역 411: 암나사
420: 스토퍼 영역 500: 스터드 볼트
510: 제2 수나사 영역 511: 수나사
520: 제2 볼트헤드 영역 530: 제3 수나사 영역
531: 수나사 540: 삽입 홀
550: 제2 요철

Claims (9)

  1. 일 측에 제1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는 제1 커넥터부재;
    일 측에 제2 파이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과 이격되어 상호간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커넥터부재;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절부재; 및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삽입되는 원통 영역;
    상기 원통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 영역;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1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1 수나사 영역 사이에 다각기둥 형상의 제1 볼트헤드 영역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치합하는 암나사 영역; 및
    상기 암나사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과 상기 가이드 영역 사이의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자유 단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에는,
    상기 제1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2 수나사 영역;
    상기 제2 수나사 영역에서 연장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2 볼트헤드 영역; 및
    상기 제2 볼트헤드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3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터드 볼트의 삽입 홀에 삽입되는 원통 영역;
    상기 원통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 영역;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이프 영역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치합하는 제1 수나사 영역이 차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1 수나사 영역 사이에 다각 기둥 형상의 제1 볼트헤드 영역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에는,
    상기 제3 수나사 영역과 치합하는 암나사 영역; 및
    상기 암나사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 영역과 상기 가이드 영역 사이의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가구 조립체.
KR1020170100245A 2017-08-08 2017-08-08 모듈식 가구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201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45A KR102013028B1 (ko) 2017-08-08 2017-08-08 모듈식 가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45A KR102013028B1 (ko) 2017-08-08 2017-08-08 모듈식 가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59A true KR20190016259A (ko) 2019-02-18
KR102013028B1 KR102013028B1 (ko) 2019-08-21

Family

ID=655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3028B1 (ko) 2017-08-08 2017-08-08 모듈식 가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0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405U (ko) * 1986-04-07 1987-10-15
JP3017706U (ja) * 1995-05-08 1995-11-07 永大化工株式会社 パイプ連結装置
KR100775902B1 (ko) 2006-04-27 2007-11-13 홍성진 모듈식 가구 조립체
KR20100011293A (ko)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JP2013064428A (ja) * 2011-09-16 2013-04-11 Jfe Steel Corp 鋼管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405U (ko) * 1986-04-07 1987-10-15
JP3017706U (ja) * 1995-05-08 1995-11-07 永大化工株式会社 パイプ連結装置
KR100775902B1 (ko) 2006-04-27 2007-11-13 홍성진 모듈식 가구 조립체
KR20100011293A (ko)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JP2013064428A (ja) * 2011-09-16 2013-04-11 Jfe Steel Corp 鋼管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028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577S1 (en) Pair of connectors for a light fixture system
USD913553S1 (en) Mountable light
USD913554S1 (en) Mountable light
USD940937S1 (en) Hand holdable light
USD615929S1 (en) In-line surge suppressor
USD940369S1 (en) Portable light having a movable head
US8832905B2 (en) Universal faucet handle structure
USD929161S1 (en) Shelf
USD940936S1 (en) Hand holdable light
USD919149S1 (en) Mountable light
US10352343B2 (en) Mounting fixture of a connection fixture
US9434065B2 (en) Set of display board and socket
CA2839653A1 (en) Connection fixture
MX2014009661A (es) Un dispositivo conector seguro, en particular para tuberias, un acoplador del extremo para tal dispositivo, y un metodo para fabricar una tuerca para el mismo.
US6726395B2 (en) Collapsible support rod with adjustable threaded joint
USD929214S1 (en) Straight conical set screw
US8444341B2 (en) Device for the forced locking of two elements oriented orthogonally to one another
KR20190016259A (ko) 모듈식 가구 조립체
KR102024919B1 (ko) 기둥 결합 구조
KR102207635B1 (ko)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170002800U (ko) 볼트너트의 이중피치 나사
US20140301773A1 (en) Coupling for Furniture Components
US20070194190A1 (en) Device to be fastened to a support which is provided with a threaded bolt
JP7186426B2 (ja) テーブル
KR101637991B1 (ko)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