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190A - 건강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190A
KR20190010190A KR1020170092627A KR20170092627A KR20190010190A KR 20190010190 A KR20190010190 A KR 20190010190A KR 1020170092627 A KR1020170092627 A KR 1020170092627A KR 20170092627 A KR20170092627 A KR 20170092627A KR 20190010190 A KR20190010190 A KR 2019001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lth food
manufacturing
medicame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953B1 (ko
Inventor
이순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 씨 엔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 씨 엔 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 씨 엔 텍
Priority to KR102017009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은 복수의 약재를 달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기(氣)를 보호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며, 창백한 얼굴 및 나른한 몸을 개선시키는 제1 약재, 사람의 혈(血)을 보호하여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면서 어혈 및 울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제2 약재 및 상기 제1 약재와 상기 제2 약재가 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제의 각각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을 보완하는 제3 약재를 포함하는 조합약재를 준비하는 조합약재 준비단계;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재에 의해 사람의 기와 혈이 보호된 상태에서 사람에게 미리 선택된 영양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 및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달이는 달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A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oods and thereby functional foods}
본 발명은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약재를 달여 제조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약재와 더불어 한방생약 등이 함유된 기능성 건강식품등의 사용이 널리 알려져 있다.
더욱이, 현대와 같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록 기능성 건강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기능성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많은 건강식품이 널리 나와있으며 그 제조방법도 천연약재만으로 제조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방생약과 함께 복합적으로 제조하는 경우도 있고, 단순히 한방생약만으로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대부분 한방생약 중 하나의 추출액을 뽑아 그 추출액에 또 다른 성분의 추출액 등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건강식품의 경우, 그 제조방법에 따라 약재가 가지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고, 그르치게 할 수도 있다.
즉,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건강식품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약재들의 제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건강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은 사람의 기(氣)를 보호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며, 창백한 얼굴 및 나른한 몸을 개선시키는 제1 약재, 사람의 혈(血)을 보호하여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면서 어혈 및 울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제2 약재 및 상기 제1 약재와 상기 제2 약재가 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제의 각각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을 보완하는 제3 약재를 포함하는 조합약재를 준비하는 조합약재 준비단계;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재에 의해 사람의 기와 혈이 보호된 상태에서 사람에게 미리 선택된 영양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 및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달이는 달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약재들의 제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의 개략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서 해감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은 복수의 약재를 달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기(氣)를 보호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며, 창백한 얼굴 및 나른한 몸을 개선시키는 제1 약재, 사람의 혈(血)을 보호하여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면서 어혈 및 울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제2 약재 및 상기 제1 약재와 상기 제2 약재가 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제의 각각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을 보완하는 제3 약재를 포함하는 조합약재를 준비하는 조합약재 준비단계;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재에 의해 사람의 기와 혈이 보호된 상태에서 사람에게 미리 선택된 영양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 및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달이는 달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약재는 산삼 배양근, 백출, 백복령 및 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약재는 숙지황, 백작약, 계피 및 당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약재는 천궁 및 감초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보충재료는 미꾸라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달임단계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단계 후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단계 후 3차 가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가열단계는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가열하고, 상기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단계는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면서 가열할 수 있다.
또,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는 물과 맥반석을 수용하는 해감부에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해감하는 해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해감단계는 상기 해감부에 수용된 물에 대한 물 교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물 교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해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부는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일 수 있다.
또, 상기 해감단계는 해감에 사용될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에 물을 준비하는 물 준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 전, 상기 저장부에 물을 준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서 해감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은 복수의 약재를 조합하여 달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강식품 제조단계는 조합약재를 준비하는 조합약재 준비단계(S100),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S200),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달이는 달임단계(S300) 및 달여진 건강식품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합약재는 사람의 기(氣)를 보호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며 창백한 얼굴 및 나른한 몸을 개선시키는 제1 약재, 사람의 혈(血)을 보호하여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면서 어혈 및 울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제2 약재 및 상기 제1 약재와 상기 제2 약재가 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제의 각각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을 보완하는 제3 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약재는 산삼 배양근, 백출, 백복령 및 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산삼 배양근은 산삼이 가지는 효능과 거의 차이가 없으며, 면역력 증진과 피로회복, 기억력 개선, 혈행 개선,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백출은 비위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는 것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위장장애를 해소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백복령은 폐경, 비경, 심경, 신경, 방광경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호하고 가래를 삭히는 효과를 가져오며,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황기는 쉽게 피로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것에 유효하고 자궁출혈에도 이용되며 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약재는 숙지황, 백작약, 계피 및 당귀를 포함할 수 있다.
숙지황은 간신을 자양하고 보익하며 혈을 기르고 골수를 매우는 효과가 있다.
백작약은 수렴작용과 해열작용을 가져오며 간의 제 기능 발휘를 보완하고 생리불순, 생리통 등에 효과를 가져온다.
계피는 허리와 무릎 연약증, 양기부족 등에 효과가 있다.
당귀는 보혈작용이 활발하게 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을 가져온다.
일례로, 상기 제3 약재는 황기 및 계피를 포함할 수 있다.
감초는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혈맥이 소통을 잘 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다른 약재의 독성을 조화시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여 다른 약재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흉부동통에 효과가 있다.
일례로, 상기 조합약재는 활성화산소를 제거하고 함암효과를 가지는 대추 및 면역력 증진, 담석 제거 등의 효과를 가지는 생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강은 찐 다음 말려 수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조합약재에 포함될 수 있다.
찐 생강은 찌기 전의 생강보다 쇼가올의 함유가 많아 생강의 효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조합약재 준비단계(S100)는 상기 제1 약재, 상기 제2 약재 및 상기 제3 약재를 미리 정해진 조합 비율로 조합하고, 이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S200)는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재에 의해 사람의 기와 혈이 보호된 상태에서 사람에게 미리 선택된 영양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영양보충재료는 고 단백질인 영양성분을 제공하는 미꾸라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달임단계(S300)는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달임단계(S300)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단계 후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단계 후 3차 가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가열단계는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고 소정의 양의 물을 가열부에 넣어 1차로 가열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1차 가열단계는 상기 가열부 상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가열부로부터 배출하지 않으면서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가열부는 고압이 되어 더욱 높은 온도 상태에서 달임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약재들이 포함하는 성분들이 더욱 많이 건강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2차 가열단계는 상기 1차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건강식품을 짠 다음 2차로 가열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1차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건강식품을 거름부를 통해 약재 및/또는 이물질을 거르고 짜서 상기 2차 가열단계에서 더 가열할 수 있다.
상기 3차 가열단계는 상기 2차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건강식품을 짠 다음 3차로 가열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단계는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증기가 배출되어 보다 진한 건강식품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S200)는 물과 맥반석(S)을 수용하는 해감부(100)에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해감하는 해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꾸라지는 이물질, 찌꺼기를 머금고 있으므로, 상기 해감단계에서 미꾸라지를 해감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감단계는 단순히 물에 미꾸라지를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맥반석(S)이 투입된 물에 미꾸라지를 해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맥반석(S)은 미꾸라지가 뱉는 세균, 이물질을 정화할뿐 아니라 세균 분해에 따른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미꾸라지가 보다 오래 살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맥반석(S)은 미네랄을 함유하여 미꾸라지가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중금석 제거 및 미꾸라지의 비린내를 제거하는 탈취효과도 가진다.
만약, 미꾸라지의 미린내를 탈취하지 못하는 경우, 이용자는 건강식품을 복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고자 맥반석(S)이 투입된 물에 미꾸라지를 해감할 수 있다.
또한, 맥반석(S)은 미꾸라지의 체온은 높여 이물질을 뱉은 양을 많게 하고, 따라서, 해감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해감단계는 상기 해감부(100)에 수용된 물에 대한 물 교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200)로부터 감지된 상기 물 교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100)의 물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감부(100)의 물 교체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해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해감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을 교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물 교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감지된 상기 물 교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해감부(100)의 물 교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감단계는 해감에 사용될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300)에 물을 준비하는 물 준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300)는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될 물을 미리 저장하여 미꾸라지가 살아갈 수 있는 물의 온도, 산성 정도 등을 맞춰진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외부로부터 상기 해감부(100)로 곧 바로 물이 투입되는 경우, 계절에 따라 또는 물의 종류에 따라 물의 온도, 산성 정도 등은 달라지며,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된 미꾸라지는 물의 종류에 따라 해감이 충분히 되기 전에 죽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저장부(300)는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될 물을 미리 저장하여 미꾸라지가 잘 살수 있는 물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100)의 물 교체 전 상기 저장부(300)에 물을 준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감부(100)에 수용된 물을 버리기 전, 미리 상기 저장부(300)에 물을 투입하여 미꾸라지가 잘 살수 있는 물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기 해감단계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해감부(100)에는 맥반석(S) 및 물이 투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해감부(100)에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해감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미꾸라지가 해감되어 물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배출로(K1)를 개방하여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해감부(100)에 물과 이물질이 모두 배출된 다음,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이 연통로(K2)를 통해 상기 해감부(1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통로(K2)를 개방하고 상기 배출로(K1)를 폐쇄하여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0)의 물이 상기 해감부(100)로 이동된 후, 상기 제어부는 투입로(K3)를 개방하고 상기 연통로(K2)를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부(300)에 물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부(300)로, 상기 저장부(300)로부터 상기 해감부(100)로, 상기 해감부(100)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이동은 펌프와 같은 별개의 구동장치 필요 없이 물의 낙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에 대한 상기 물의 흐림 정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100)로부터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상기 저장부(300)에 물을 저장하도록 하여,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될 물이 미꾸라지가 잘 살아갈 수 있는 물로 변하도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1차로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된 물은 미꾸라지의 해감에 의해 시간이 흘러가며 탁도가 높아질 수 있다(L1).
1차로 투입된 물을 배출한 후 2차로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된 물은 상대적으로 1차로 투입된 물의 탁도보다 탁도의 기울기가 작을 수 있다(L2).
일례로, 1차로 투입된 물의 탁도가 A로 계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로(K1)를 개방하여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을 t2 시점에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t2 시점 이 전인 t1 시점에서, 상기 투입로(K3)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부(300)에 2차로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될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은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상기 저장부(300) 상에서 미꾸라지가 잘 살수 있는 물의 온도 및 환경으로 변할 수 있다.
일례로, 2차로 투입된 물의 탁도가 A로 계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로(K1)를 개방하여 상기 해감부(100)에 저장된 물을 t4 시점에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t4 시점 이 전인 t3 시점에서, 상기 투입로(K3)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부(300)에 3차로 상기 해감부(100)에 투입될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은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 상기 저장부(300) 상에서 미꾸라지가 잘 살수 있는 물의 온도 및 환경으로 변할 수 있다.
일례로,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의 시간과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의 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로(K3)의 개방시점을 탁도의 기울기 및 탁도값 A를 기초로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로(K3)이 개방시점과 관련한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상기 센서부(200)는 탁도 센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센서부(200)는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해감부(100)에 미꾸라지를 투입하고, 물을 투입하기 전 상기 중량 센서를 통해 상기 해감부(100)의 중량을 측정하고, 1차 해감 후 물을 뺀 상기 해감부(100)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센서부(200)는 그 중량의 차이로 해감의 완성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S100: 조합약재 준비단계
S200: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
S300: 달임단계
S400: 포장단계

Claims (8)

  1. 복수의 약재를 달여 제조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람의 기(氣)를 보호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며, 창백한 얼굴 및 나른한 몸을 개선시키는 제1 약재, 사람의 혈(血)을 보호하여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면서 어혈 및 울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제2 약재 및 상기 제1 약재와 상기 제2 약재가 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제의 각각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을 보완하는 제3 약재를 포함하는 조합약재를 준비하는 조합약재 준비단계;
    상기 제1 약재 및 상기 제2 약재에 의해 사람의 기와 혈이 보호된 상태에서 사람에게 미리 선택된 영양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영양보충재료를 준비하는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 및
    상기 조합약재와 상기 영양보충재료를 혼합하여 달이는 달임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재는,
    산삼 배양근, 백출, 백복령 및 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약재는,
    숙지황, 백작약, 계피 및 당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약재는,
    천궁 및 감초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보충재료는,
    미꾸라지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임단계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단계 후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단계 후 3차 가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가열단계는,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가열하고,
    상기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단계는,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면서 가열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보충재료 준비단계는,
    물을 수용하는 해감부에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해감하는 해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감단계는,
    미꾸라지의 비린내를 없애도록 상기 해감부에 맥반석을 투입하여 해감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감단계는,
    상기 해감부에 수용된 물에 대한 물 교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물 교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를 구현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해감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인,
    건강식품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감단계는,
    해감에 사용될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에 물을 준비하는 물 준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흐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감부의 물 교체 전,
    상기 저장부에 물을 준비하도록 제어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20170092627A 2017-07-21 2017-07-21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198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27A KR101984953B1 (ko) 2017-07-21 2017-07-21 건강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27A KR101984953B1 (ko) 2017-07-21 2017-07-21 건강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90A true KR20190010190A (ko) 2019-01-30
KR101984953B1 KR101984953B1 (ko) 2019-06-03

Family

ID=6527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27A KR101984953B1 (ko) 2017-07-21 2017-07-21 건강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29A (ko) * 1997-10-24 1998-06-05 김해진 황토를 먹이로한 붕어의 사육방법 및 그 붕어엑기스 제조방법(breeding method of a crucian carp for feed yellow soil and thats anextract making method)
KR20010092020A (ko) * 2001-09-10 2001-10-24 박효경 녹용 대보 영양탕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4639A (ko) * 2004-03-23 2004-04-28 박세준 추어요리방법
KR20120070186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수족관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29A (ko) * 1997-10-24 1998-06-05 김해진 황토를 먹이로한 붕어의 사육방법 및 그 붕어엑기스 제조방법(breeding method of a crucian carp for feed yellow soil and thats anextract making method)
KR20010092020A (ko) * 2001-09-10 2001-10-24 박효경 녹용 대보 영양탕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4639A (ko) * 2004-03-23 2004-04-28 박세준 추어요리방법
KR20120070186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수족관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953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7838A (zh) 丝瓜络布鞋的制作方法
CN104257817B (zh) 一种用于清肠洗肠的中药制剂
KR20160050500A (ko)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26661A (zh) 一种养发芝麻糊及其制备方法
CN101306150A (zh) 一种安神镇静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031523A (zh) 一种祛风除湿、健脾温肾药酒基酒及其制备方法
KR101984953B1 (ko)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3933511A (zh) 一种杀菌治脚气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6135533A (zh) 一种适用于产后饮用的袋泡茶及其制备方法
CN107019723A (zh) 一种清热药浴组合物
CN106074859A (zh) 一种治疗白发的内服中药组合物
CN106107967A (zh) 幼颜养生粉及其制作工艺
KR101894990B1 (ko) 향미와 식감이 향상된 강장제 음료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04771564A (zh) 一种治疗痰火扰心型女性性欲亢进的中药组合物
CN104547548B (zh) 一种补肾壮阳的保健酒配方及其制备工艺
CN101406641B (zh) 一种治疗白癜风的复方药剂
CN104543105A (zh) 一种荷叶清肠排毒茶的配方及生产方法
CN107441139A (zh) 一种治疗慢性肾虚型腰腿痛的药物
CN107362301A (zh) 香苓开胃颗粒
CN106107271A (zh) 一种桑果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306432A (zh) 一种用于洗浴护肤的天然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552234A (zh) 一种螺旋藻通经活络药酒及其制备方法
CN104524062B (zh) 一种治疗汗脚的中药及其应用
CN106309618A (zh) 一种防止脱发促进生发的外用中成药剂
CN104524322A (zh) 一种牡丹花蕊前列腺袋泡茶及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