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882A -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882A
KR20190009882A KR1020170091740A KR20170091740A KR20190009882A KR 20190009882 A KR20190009882 A KR 20190009882A KR 1020170091740 A KR1020170091740 A KR 1020170091740A KR 20170091740 A KR20170091740 A KR 20170091740A KR 20190009882 A KR20190009882 A KR 20190009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sensor
dispensing head
stag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446B1 (ko
Inventor
김성근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446B1/ko
Priority to CN201810311045.9A priority patent/CN109277254B/zh
Publication of KR2019000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83Flat jet coaters, i.e. apparatus in which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from the outlet as a cohesive flat jet in direction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싱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 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스테이지를 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스테이지에 배치된 패널에 슬릿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토출하는 디스펜싱 헤드, 디스펜싱 헤드를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디스펜싱 헤드를 Y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및 디스펜싱 헤드와 마주보는 스테이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디스펜싱 헤드의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펜싱 장치{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릿 노즐의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FPD)는 LCD 소자, OLED 소자 등의 표시소자가 포함된 표시패널에 강화유리나 아크릴판과 같은 커버패널을 합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합착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는 광시야각 확보를 위한 광학탄성수지(super view resin, SVR)가 개재된다.
이전에는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공기층을 두었으나, 근래 들어서는 광학탄성수지로 대체되는 추세에 있다. 광학탄성수지를 적용하면, 굴절률 조절기능으로 빛의 산란현상을 줄여 한층 향상된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보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탄성작용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학탄성수지는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합착공정에 앞서 수행되는 도포공정에 의하여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도포된다. 그리고, 광학탄성수지 도포공정에는 슬릿노즐(slit nozzle)을 갖는 도포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광학탄성수지 도포공정에서 도포 면(즉,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되는 패널의 일면)과 슬릿 노즐 사이의 높이 설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슬릿 노즐과 도포 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슬릿 노즐의 틸팅(tilting)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슬릿 노즐과 도포 면 사이의 높이를 틈새 게이지(thickness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토대로 슬릿 노즐과 도포 면 사이의 틸팅(즉, 슬릿 노즐의 수평도)을 조정하였다.
다만, 이 방법의 경우, 숙련자라고 할지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틈새 게이지가 슬릿 노즐과 도포 면 사이에 끼는 느낌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슬릿 노즐의 수평도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 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상기 패널에 슬릿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토출하는 디스펜싱 헤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및 상기 디스펜싱 헤드와 마주보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패널에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는 상기 슬릿 노즐과, 상기 슬릿 노즐에 상기 도포액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 노즐은, 하단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홈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조정 홈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 나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정 나사는 타원형이다.
상기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Z축 구동부가 상기 센서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1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2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평평한 돌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센서는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일 지점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타 지점과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알림 형태로 출력하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Z축 방향 높이가 설정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에 구비된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슬릿 노즐의 토출구가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할 때 설정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 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상기 패널에 슬릿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토출하는 디스펜싱 헤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 및 영점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싱 헤드와 마주보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고,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지그; 및 상기 센서와 함께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보조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1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2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센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중 일 영역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센서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 중 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보조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Z축 방향 높이가 설정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접촉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평평한 돌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는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보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일 지점은 상기 제2 보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타 지점과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디스펜싱 헤드에 구비된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Z축 구동부가 상기 센서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에 의하면,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슬릿 노즐의 수평도 및 영점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수평도 및 영점 조정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의 느낌이 아닌 센서를 이용하여 조정 작업이 수행되는바, 조정 작업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펜싱 헤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수평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수평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펜싱 헤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수평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는 단동기 타입일 수 있으며, 도포 공정 중 일부 공정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는 프레임(150), 레일(160), 스테이지(200), Y축 구동부(250), 디스펜싱 헤드(300), X축 구동부(350), Z축 구동부(400), 센서(도 5의 450, 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디스펜싱 장치(1)는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50)의 상부에는 레일(160) 및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0)의 하단에는 프레임(150)을 수직 방향(즉, Y축 방향(Y) 및 X축 방향(X)과 직교하는 Z축 방향(Z))으로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160)은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160)은 프레임(15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스테이지(200)의 양 측에 Y축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레일(160)은 프레임(150)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바, 스테이지(200)는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일(160)을 따라 스테이지(200)가 Y축 방향(Y)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레임이 X축 방향(X)으로 더 폭이 넓게 형성되고, 프레임의 양단에 레일이 구비되며, X축 구동부(350)를 Z축 방향(Z)으로 지지하는 X축 구동부 지지 기둥(325, 330)이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X축 구동부 지지 기둥(325, 330)이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한바, 디스펜싱 헤드(300)는 X축 방향(X), Y축 방향(Y), Z축 방향(Z) 모두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물론, 스테이지(200)는 프레임(15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일(160)을 따라 스테이지(200)가 Y축 방향(Y)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지(200)는 패널(미도시; 예를 들어,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200)의 상면에는 패널이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될 수 있고, 패널 상에 디스펜싱 헤드(300)에 의해 도포액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포액은 예를 들어, 레진(예를 들어, 광학탄성수지), 액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스테이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200a, 200b)로 분리되어 X축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테이지(20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지(200)가 2개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Y축 구동부(250)는 프레임(150)의 일측에 구비되고, 스테이지(200)를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Y축 구동부(250)는 Y축 방향(Y)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프레임(1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테이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Y축 구동부(250)가 스테이지(200)를 레일(160)을 따라 Y축 방향(Y)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바, 스테이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패널에 Y축 방향(Y)으로 도포액이 순차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300)는 스테이지(200)에 배치된 패널에 도포액을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싱 헤드(300)는 X축 구동부(350)를 통해 X축 방향(X; Y축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Z축 구동부(400)를 통해 Z축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한바, 스테이지(200)에 배치된 패널에 정확하게 도포액을 토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펜싱 헤드(300)는 패널에 도포액을 토출하는 슬릿 노즐(310)과 슬릿 노즐(310)에 도포액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도 4의 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 노즐(310)은, 하단(즉, 선단)에 X축 방향(X)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토출구(313)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토출구(313)는 슬릿 노즐(310)의 하단에 X축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패널의 도포 영역의 X축 방향(X)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 홈(316)에는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 나사(319)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정 나사(319)는 예를 들어, 타원형 나사일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나사(319)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가 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는, 디스펜싱 헤드(300)의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313)가 Z축 방향(Z)으로 이격된 평평한 기준면에 대해 평행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슬릿 노즐(310)은 Y축 방향(Y)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평평한 돌출 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바디(311)는 디스펜싱 헤드(300)의 수평도 측정시 이용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포액 공급부(320)는 도포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도 4의 324)와 저장 탱크(도 4의 324)에 저장된 도포액을 슬릿 노즐(310)에 정해진 압력으로 제공하는 정량공급펌프(322)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릿 노즐(31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X축 구동부(350)는 디스펜싱 헤드(300)를 Y축 방향(Y)과 직교하는 X축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구동부(350)는 하단에 설치된 X축 구동부 지지 기둥(325, 330)에 의해 Z축 방향(Z)으로 지지되고, Z축 구동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X축 구동부(350)는 Z축 구동부(400)를 X축 방향(X)으로 이동시킴으로써 Z축 구동부(400)와 연결된 디스펜싱 헤드(300)를 X축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Z축 구동부(400)는 디스펜싱 헤드(300)를 Y축 방향(Y) 및 X축 방향(X)과 직교하는 Z축 방향(Z)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Z축 구동부(400)는 X축 구동부(350)에 결합되고, Z축 구동부(400)에는 디스펜싱 헤드(300)가 Z축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Z축 구동부(400)는 디스펜싱 헤드(300)를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슬릿 노즐(도 3의 310)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센서(도 5의 450, 460)는 디스펜싱 헤드(300)와 마주보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도 5의 450, 460)는 예를 들어, 변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도 5의 450, 460)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구비된바, Y축 구동부(250)에 의해 Y축 방향(Y)으로 이동하여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센서(450, 460)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제1 브라켓(500)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450)와,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제2 브라켓(510)을 통해 설치되고, 제1 센서(450)와 X축 방향(X)으로 이격된 제2 센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450)는 분리된 2개의 스테이지 중 제1 스테이지(200a)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센서(460)는 제2 스테이지(200b)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은 스테이지(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Z)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스테이지(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Z) 높이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는 각각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Z축 방향(Z)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450)에 의해 측정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일 지점은 제2 센서(460)에 의해 측정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타 지점과 X축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일 지점과 타 지점 각각의 Z축 방향(Z) 높이가 측정되는바,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 높이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는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로부터 각각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Z축 방향(Z)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즉, 슬릿 노즐(31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장치(1)는 분석 모듈로부터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알림 형태로 출력하는 알림 모듈(미도시) 또는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이 스피커인 경우 음성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진동 모듈인 경우 진동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음성 형태로 알림을 출력시, 단순한 경고음 뿐만 아니라 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화상으로 표시 모듈에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경우, 디스펜싱 헤드(즉, 슬릿 노즐(31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조정 나사(도 3의 319)의 필요 회전수 등에 대한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즉, 작업자)는 알림 형태 또는 화상 형태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조정 나사(도 3의 319)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펜싱 장치(1)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슬릿 노즐(310)의 영점 조절 작업은 추후 도포 작업시 패널과 슬릿 노즐(310) 사이의 Z축 방향(Z) 간격을 최적의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도포액을 토출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슬릿 노즐(310)의 영점 조절 작업시, 먼저, Y축 구동부(250)에 의해 스테이지(200)가 Y축 방향(Y)으로 이동되어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313) 바로 아래에 센서(450, 460)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Z축 구동부(400)가 센서(450, 460)의 상단을 기준으로 디스펜싱 헤드(300)를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슬릿 노즐(310)의 영점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슬릿 노즐(310)의 영점은,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가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할 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가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 결과가 전술한 분석 모듈로 제공되고, 분석 모듈은 접촉 결과를 분석하여 영점 설정 결과를 알림 모듈 또는 표시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알림 모듈 또는 표시 모듈을 통해 영점 설정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에 의하면, 센서(450, 460)를 이용하여 슬릿 노즐(310)의 수평도 및 영점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수평도 및 영점 조정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슬릿 노즐(310) 내부의 심(shim) 교체로 인해 슬릿 노즐(310)의 수평도 및 영점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간편하게 재조정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의 느낌이 아닌 센서(450, 460)를 이용하여 조정 작업이 수행되는바, 조정 작업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수평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디스펜싱 장치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는 자동기 타입일 수 있으며, 도포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의 디스펜싱 장치(2)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1)와 일부 구성요소 및 일부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는 프레임, 레일, 스테이지(200), Y축 구동부, 디스펜싱 헤드(300), X축 구동부, Z축 구동부, 센서(450, 460), 지그(700), 보조 센서(550, 56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프레임, 레일, Y축 구동부, X축 구동부, Z축 구동부는 도 1의 디스펜싱 장치(1)와 동일한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서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200) 상에는 지그(700)가 설치될 수 있고, 스테이지(200)의 일측에는 센서(450, 4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서(450, 460)는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 및 영점을 조정하기 위해 디스펜싱 헤드(300)와 마주보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서 센서(450, 460)가 구비되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은 도 1에서 센서가 구비되는 스테이지의 일측과 정반대편일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디스펜싱 헤드(300)의 위치가 도 1과 달리, 스테이지(200)를 가로질러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물론, 도 8의 센서(450, 460)는 도 1의 센서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센서(450, 460)가 전술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지그(700)는 스테이지(200) 상에 설치되고, Y축 방향(Y)으로 돌출된 돌출부(70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그(700)의 돌출부(705)의 상면에는 보조 센서(550, 560)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돌출부(70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센서(550, 560)는 센서(450, 460)와 함께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돌출부(705)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돌출부(705)가 스테이지(200)의 일측에서 Y축 방향(Y)으로 돌출된바, 보조 센서(550, 560)도 스테이지(200)의 일측에서 돌출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의 슬릿 노즐 수평도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센서(450, 460)는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제1 브라켓(500)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450)와, 스테이지(200)의 일측에 제2 브라켓(510)을 통해 설치되고, 제1 센서(450)와 X축 방향(즉, Y축 방향(Y) 및 Z축 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센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은 스테이지(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Z) 높이가 설정되고, 돌출부(705)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은 돌출부(705)의 하면과 접촉할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20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돌출부(705)의 하면이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과 동시에 접촉하는 경우,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의 각각의 상단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센서(550, 560)는 돌출부(705)의 상면 중 일 영역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센서(550)와, 돌출부(705)의 상면 중 타 영역에 설치되고, 제1 보조 센서(550)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보조 센서(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는 각각 슬릿 노즐(310)의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Z축 방향(Z)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보조 센서(550)에 의해 측정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일 지점은 제2 보조 센서(560)에 의해 측정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타 지점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 각각의 상단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일 지점과 타 지점 각각의 Z축 방향(Z) 높이가 측정되는바,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 높이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 각각의 상단이 돌출 바디(311)의 하면과 동시에 접촉하는지 여부(즉, 제1 및 제2 보조 센서(560, 561) 각각의 상단과 돌출 바디(311)의 하면 사이의 거리가 둘다 0이 되는지 여부)를 통해 슬릿 노즐(31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는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로부터 각각 돌출 바디(311)의 하면의 Z축 방향(Z)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1 보조 센서(550) 및 제2 보조 센서(56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즉, 슬릿 노즐(31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장치(2)는 분석 모듈로부터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알림 형태로 출력하는 알림 모듈(미도시) 또는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즉, 작업자)는 알림 형태 또는 화상 형태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슬릿 노즐(310)의 조정 홈에 결합된 조정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펜싱 헤드(300)의 Z축 방향(Z)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펜싱 장치(2)의 슬릿 노즐 영점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슬릿 노즐(310)의 영점 조절 작업시, 먼저, Y축 구동부에 의해 스테이지(200)가 Y축 방향(Y)으로 이동되어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313) 바로 아래에 센서(450, 460)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Z축 구동부가 센서(450, 460)의 상단을 기준으로 디스펜싱 헤드(300)를 Z축 방향(Z)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슬릿 노즐(310)의 영점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슬릿 노즐(310)의 영점은,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가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할 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슬릿 노즐(310)의 토출구가 제1 센서(450) 및 제2 센서(460)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 결과가 전술한 분석 모듈로 제공되고, 분석 모듈은 접촉 결과를 분석하여 영점 설정 결과를 알림 모듈 또는 표시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알림 모듈 또는 표시 모듈을 통해 영점 설정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에서는, 슬릿 노즐(310)의 영점 조절 작업시, 지그(도 9의 700) 및 보조 센서(도 9의 560, 561)를 제거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2)에 의하면, 자동기 타입의 디스펜싱 장치에서도, 센서(450, 460) 및 보조 센서(550, 560)를 이용하여 슬릿 노즐(310)의 수평도 및 영점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수평도 및 영점 조정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의 느낌이 아닌 센서(450, 460) 및 보조 센서(550, 560)를 이용하여 조정 작업이 수행되는바, 조정 작업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50: 프레임 160: 레일
200: 스테이지 250: Y축 구동부
300: 디스펜싱 헤드 350: X축 구동부
400: Z축 구동부 450: 제1 센서
460: 제2 센서 550: 제1 보조 센서
560: 제2 보조 센서 700: 지그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
    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상기 패널에 슬릿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토출하는 디스펜싱 헤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및
    상기 디스펜싱 헤드와 마주보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1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2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평평한 돌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센서는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일 지점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타 지점과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디스펜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알림 형태로 출력하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에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Z축 방향 높이가 설정되는
    디스펜싱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에 구비된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슬릿 노즐의 토출구가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에 동시에 접촉할 때 설정되는
    디스펜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패널에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는 상기 슬릿 노즐과,
    상기 슬릿 노즐에 상기 도포액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노즐은,
    하단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홈이 형성되는
    디스펜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조정 홈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 나사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나사는 타원형인
    디스펜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Z축 구동부가 상기 센서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조절되는
    디스펜싱 장치.
  14.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
    패널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스테이지에 배치된 상기 패널에 슬릿 노즐을 통해 도포액을 토출하는 디스펜싱 헤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Y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 및 영점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싱 헤드와 마주보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고,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지그; 및
    상기 센서와 함께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보조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1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제2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센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중 일 영역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센서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 중 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센서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보조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Z축 방향 높이가 설정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디스펜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는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평평한 돌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는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보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일 지점은 상기 제2 보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타 지점과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디스펜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돌출 바디의 하면의 상기 Z축 방향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의 상기 Z축 방향의 수평도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펜싱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에 구비된 슬릿 노즐의 영점은,
    상기 Z축 구동부가 상기 센서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조절되는
    디스펜싱 장치.

KR1020170091740A 2017-07-19 2017-07-19 디스펜싱 장치 KR10264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0A KR102641446B1 (ko) 2017-07-19 2017-07-19 디스펜싱 장치
CN201810311045.9A CN109277254B (zh) 2017-07-19 2018-04-09 涂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0A KR102641446B1 (ko) 2017-07-19 2017-07-19 디스펜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82A true KR20190009882A (ko) 2019-01-30
KR102641446B1 KR102641446B1 (ko) 2024-02-28

Family

ID=6518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40A KR102641446B1 (ko) 2017-07-19 2017-07-19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1446B1 (ko)
CN (1) CN109277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8424A (zh) * 2020-04-03 2020-06-23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涂布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464A (ja) * 1999-11-04 2001-05-15 Toray Ind Inc 塗液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50053013A (ko) * 2003-12-01 2005-06-07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평행도 조정 기구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평행도 조정 방법
KR20060051365A (ko) * 2004-10-07 2006-05-19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70033279A (ko) * 2005-09-21 2007-03-26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20130105332A (ko) * 2012-03-12 2013-09-25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KR101387955B1 (ko) * 2013-04-05 2014-04-22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접착재 도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2855B2 (en) * 2003-05-30 2006-08-15 Avery Dennison Corporation Thermo-stable coating die design method and apparatus
JP4318714B2 (ja) * 2006-11-28 2009-08-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装置
JP2008194588A (ja) * 2007-02-09 2008-08-28 Chugai Ro Co Ltd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CN202778837U (zh) * 2012-07-27 2013-03-1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涂布装置
CN104874522A (zh) * 2015-05-27 2015-09-02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点胶机及点胶位置测定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464A (ja) * 1999-11-04 2001-05-15 Toray Ind Inc 塗液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50053013A (ko) * 2003-12-01 2005-06-07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평행도 조정 기구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평행도 조정 방법
KR20060051365A (ko) * 2004-10-07 2006-05-19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70033279A (ko) * 2005-09-21 2007-03-26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20130105332A (ko) * 2012-03-12 2013-09-25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KR101387955B1 (ko) * 2013-04-05 2014-04-22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접착재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77254B (zh) 2022-05-24
KR102641446B1 (ko) 2024-02-28
CN109277254A (zh)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683B1 (ko) 씰런트 디스펜서
US7307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ropping amount of liquid crystal
JP4824698B2 (ja) 液体塗布装置のノズル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液体塗布装置
KR100739310B1 (ko)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17528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US9733078B2 (en) Levelness detecting device and method, levelness adjusting device and method
CN110918388B (zh) 点胶装置及点胶方法
KR20180066935A (ko) 도포액 검사 기능이 구비된 디스펜서
US20070209454A1 (en) Method for inspecting a pattern of paste which a dispenser forms on a substrate
KR20190009882A (ko) 디스펜싱 장치
JP4668023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CN108393212B (zh) 分配装置
JP4866715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
KR101346782B1 (ko) 실런트 도포 상태에 근거한 액정 적하량 결정 방법
US8743375B2 (en) Parallelism meas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93687A (ko)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N219210466U (zh) 液滴排出装置
CN101676774B (zh) 一种用于显示密封胶图案的待查区域的方法
WO2021049320A1 (ja) 塗布器、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098415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JP7194152B2 (ja) 塗布器、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070118218A (ko)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200387980Y1 (ko) 액체도포용 노즐 팁의 바늘 검사장치
JP4532512B2 (ja) シーラント塗布状態に基づいた液晶滴下量決定方法
KR10110749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