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284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284A
KR20190009284A KR1020187031011A KR20187031011A KR20190009284A KR 20190009284 A KR20190009284 A KR 20190009284A KR 1020187031011 A KR1020187031011 A KR 1020187031011A KR 20187031011 A KR20187031011 A KR 20187031011A KR 20190009284 A KR20190009284 A KR 2019000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housing
cup
ignition means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히로오카
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9000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60R2021/272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using a fluid fuel gas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판과 바닥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위벽부를 갖는 외각 하우징과,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과,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가 상기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바닥판에 맞닿고,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상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대향하고, 상기 하단부면이 상기 연소실에 면하고 있고,
추가로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상기 통상 필터의 사이에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커버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통상 필터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부에서 외측으로부터 덮이고,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장치에 사용하는 가스 발생기에는, 가스 발생원으로서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 가스 발생기의 작동시, 하우징 내에서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하여, 연소 잔사(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가 하우징의 천장판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천장판이 매우 높은 온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에어백은 팽창하여 승객을 보호한 후에 수축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전개 후에 수축한 에어백이 접촉하면, 용융하여 발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하우징 천장판이 지나치게 뜨거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 6,234,521 B1의 발명은, 가스 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7의 가스 발생기 하우징(463) 내에는, 점화기(464)와 그에 의해 착화, 연소되는 가스 발생제(466) 및 통상(筒狀)의 쿨런트/필터(467)가 배치되고, 연소실(484) 상에는 플레이트 부재(491)가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 부재(491)는, 원형부(492)와 그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축 방향으로 신장된 통 벽부(493)를 포함하며, 필터의 위치 결정과, 쿨런트/필터(467)와 디퓨저 셸(461)의 원판부(478) 사이의 간극을 막는 기능을 갖고 있다.
US 8,714,091 B2의 발명은, 하우징(10) 내부에 점화 수단실(30)을 형성하는 컵상 용기(31)가 배치되고, 그의 외측이 연소실(40)이 되고, 연소실(40)의 상측에 환상 필터(70)를 배치한 가스 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US 8,585,086 B2의 발명은, 필터(50)와 디퓨저(11)의 천장판(11a) 사이에, 원판부(62)와 환상 벽부(64)를 가진 제1 지지 부재(60)를 배치하고 있다. 원판부(60)에는 연통 구멍이 있으며, 작동시에 연소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압력차에 의해 제1 지지 부재(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이하, 「제1 양태」라 한다)는, 천장판과 바닥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위벽부를 갖는 외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외각 하우징 내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과,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 수단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연소실이, 상기 외각 하우징 내의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상기 통상 필터를 제외한 공간이고,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이,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며, 상기 외각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상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하단부면이 상기 연소실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추가로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상기 통상 필터의 사이에 컵상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 상기 통상 필터 및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통상 필터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부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이고,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이하, 「제2 양태」라 한다)는, 천장판과 바닥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위벽부를 갖는 외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외각 하우징 내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과,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 수단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이,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며, 상기 외각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상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하단부면이 상기 연소실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추가로 원판상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상 커버 부재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에 맞닿아,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것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커버 부재가 상이한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와는 커버 부재가 상이한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US 6,234,521 B1에 있어서 연소 가스는 연소실(48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필터(467)를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 부재(491)의 통벽부(493)의 길이는 저절로 한정된다.
US 8,714,091 B2에서는, 작동시에는 압력에 의해 천장판(12)이 변형되고, 필터도 천장판(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변형된다는 점에서, 필터(70)의 하면(72) 뿐만 아니라 내주면(74)도 가스의 유입면이 된다. 그 때문에, 작동시에 연소 잔사가 천장판의 내면(컵상 용기(31)의 바닥판(33)으로 숨겨져 있었던 곳)에 부착되기 쉬워진다는 점은 개량의 여지가 있다.
US 8,585,086 B2에 있어서, 연소 가스는 필터(50)를 통과하지만, 일부는 연통 구멍(66)으로부터 천장판(11a)에 접촉하기 쉬워, 이 점을 개량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작동시 및 작동 후의 하우징 천장판으로의 연소 잔사의 부착을 억제하고, 천장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외각 하우징은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셸과 클로져 셸이 접촉 부분에서 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각 하우징은,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인 것이다.
연소실에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화 수단은,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전기식 점화기, 또는 상기 전기식 점화기와 전화약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화기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착화부를 포함하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통해 금속제의 컬러와 일체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화기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와 마찬가지로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은, 개구부가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과 상기 플랜지부를 용접 고정하는 방법, 상기 점화기의 금속제 컬러에 대하여 압입하여 고정하는 방법, 혹은 US 8,777,258 B2와 같이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일부를 변형시켜, 외각 하우징의 홈에 끼우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은,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인 것이다.
통상 필터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재질 및 구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필터의 길이는,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의 30 내지 50% 정도의 길이로 할 수 있다.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은,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어도 되고,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맞닿아 있어도 된다. 통상 필터는, 통상 필터의 중심축과 외각 하우징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필터의 외주면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외각 하우징의 주위벽부에 맞닿아 있어도 되지만, 가스 배출구를 갖는 외각 하우징의 주위벽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통상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가까운 하단부면의 양쪽을 지지할 수 있는 통상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컵상 커버 부재는,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인 것이나, 세라믹제인 것이다.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길이는,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와 동등 이상의 길이이다.
컵상 커버 부재의 외경과 통상 필터의 내경은,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외주면과 통상 필터의 내주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으며, 컵상 커버 부재를 통상 필터의 구멍 부분에 압입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커버 부재의 저면부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는 접촉되어 있어도 되고,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어도 된다.
컵상 커버 부재의 길이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길이는, 작동시에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이 축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여, 그에 따라 컵상 커버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도, 컵상 커버 부재가 점화 수단실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길이(주위벽부 길이)를 1로 할 때, 컵상 커버 부재의 길이(주위벽부 길이)는 0.3 내지 0.6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의 팽창의 정도는, 외각 하우징의 재질과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한 압력을 포함한 계산 및 실험에 의해 사전에 구할 수 있다.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극은, 컵상 커버 부재의 내경과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외경을 조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극은, 예를 들어 폭이 1 내지 5mm 정도이다.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연소 잔사(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를 경유하여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제1 양태의 컵상 커버 부재가 없으면,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의 일부가 통상 필터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간극에 들어가,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부착되어, 천장판이 과열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통상 필터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사이에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커버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는 상기 간극에 들어간 후, 커버 부재 내에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외각 하우징 천장판과 연소 잔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각 하우징 천장판이 과열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천장판으로의 열의 전달을 더욱 억제하는 목적으로, 컵상 커버 부재의 천장판측 저면부에 복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컵상 커버 부재 자체가 외각 용기의 천장판에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해도 된다.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주위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독립 돌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의 복수의 독립 돌기가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독립 돌기는 컵상 커버 부재가 확실히 고정되고,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독립 돌기는,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가 축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복수의 독립 돌기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바람직하게는 둘레 방향으로 2 내지 4개, 길이 방향으로 2 내지 3개)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독립 돌기로서는, 가늘고 긴 리브 형상인 것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바람직하게는 둘레 방향으로 2 내지 4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독립 돌기 대신에, 컵상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에 복수의 독립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연소실에 면한 하단부면의 내주연부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커버 부재로서 개구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와 컵상 커버 부재의 사이에 들어가기 어려워져,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커버 부재 사이의 간극에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시에는, 내압의 상승을 받아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이 축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통상 필터와 컵상 커버 부재도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컵상 커버 부재가 플랜지부를 갖고 있으면, 상기 플랜지부가 통상 필터의 연소실에 면한 하단부면의 내주연부에 맞닿은 상태 그대로, 통상 필터와 컵상 커버 부재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와 컵상 커버 부재의 사이는 통과하지 않고, 컵상 커버 부재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사이의 간극에 유입하게 된다.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주위벽부의 축 방향 길이(L1)가 상기 통상 필터의 축 방향 길이(L2)보다도 길고(L1>L2), 상기 주위벽부의 선단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1>L2에서, 컵상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선단부가 통상 필터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 있으면,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와 컵상 커버 부재의 사이에 보다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L1/L2는 1.1 내지 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1 내지 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와는 상이한 커버 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통상 필터 및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의 배치 상태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양태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한 것이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커버 부재로서 원판상 커버 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원판상 커버 부재가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에 맞닿아,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원판상 커버 부재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의 외표면은,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맞닿아 있어도 된다. 원판상 커버 부재와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은,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맞닿아 있어도 된다. 원판상 커버 부재의 외주연부는, 외각 하우징의 주위벽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통상 필터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도 되고, 서로 맞닿아 있어도 된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연소 잔사(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를 경유하여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제2 양태의 원판상 커버 부재가 없으면,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의 일부가 통상 필터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간극에 들어가, 외각 하우징 천장판에까지 이르고, 천장판이 과열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원판상 커버 부재가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에 맞닿아, 천장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한 후, 원판상 커버 부재에까지 이르지만, 천장판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작동시에 통상 필터가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원판상 커버 부재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여전히 연소 잔사와 천장판의 접촉은 없다.
이와 같이 외각 하우징 천장판과 연소 잔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각 하우징 천장판이 과열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원판상 커버 부재가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방향으로 신장된 환상 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원판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과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 양쪽에 맞닿고, 상기 환상 벽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측의 외주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벽부를 갖는 원판상 커버 부재를 사용하면, 원판상 커버 부재는,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과 함께 상기 상단부면측의 외주면에도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원판상 커버 부재와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 사이를 통과한 연소 잔사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의 외주부로 누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통상 필터의 내주면과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표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필터의 내주면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표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면, 작동 후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에 축적된 열이 필터를 경유하여 천장판에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시 및 작동 후에 있어서의 외각 하우징 천장판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의 가스 발생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의 가스 발생기
가스 발생기(1)의 외각 하우징(10)은, 디퓨저 셸(11)과 클로져 셸(21)을 갖고 있다. 디퓨저 셸(11)은 천장판(12)과 상부 주위벽부(13)를 갖고 있으며, 개구부측에는 플랜지부(14)를 갖고 있다. 상부 주위벽부(13)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5)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부터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다. 클로져 셸(21)은 바닥판(22)과 하부 주위벽부(23)를 갖고 있으며, 바닥판(22)의 중앙부에는 점화기(25)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디퓨저 셸(11)의 개구부측의 상부 주위벽부(13)의 내주면에 클로져 셸(21)의 개구부측의 하부 주위벽부(23)의 외주면이 감입되어 있으며, 상부 주위벽부(13)와 하부 주위벽부(23) 사이에 클로져 셸(21)의 개구부 단부면(21a)에 의한 환상의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 셸(11)과 클로져 셸(21)은,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점화기(25)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점화기 컬러(27)와 착화부(26)를 포함하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통해 일체화된 것이다. 점화기(25)는, 점화기 컬러(27)가 클로져 셸(21)의 바닥판(22)의 구멍에 형성된 통상 설치부(24)에 감입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외각 하우징(10) 내에는,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있다. 외각 하우징(10)과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은, 각각의 중심축(축 X)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은, 저면부(31), 주위벽부(32) 및 개구부(33)를 갖고, 개구부(33)는 짧은 플랜지부(34)를 갖고 있으며, 내부는 점화 수단 실(35)이 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에는, 복수의 전화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3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화약(전화약으로서 기능하는 가스 발생제도 포함한다)이 수용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은 저면부(31)가 천장판(12)에 대향되고, 플랜지부(34)가 바닥판(22)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맞닿음부는 용접되어 있다.
통상 필터(40)는, 상단부면(41), 하단부면(42), 내주면(43), 외주면(44)을 갖고 있으며, 상단부면(41)으로부터 하단부면(42)까지의 길이가 외각 하우징(10)의 천장판(12)으로부터 바닥판(22)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다. 통상 필터(40)는, 중심축이 외각 하우징(10)의 중심축(축 X)과 일치하도록 하여, 상단부면(41)이 천장판(12)의 내측면에 맞닿아, 하단부면(42)이 연소실(50)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필터(40)는 통상 리테이너(60)와 조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통상 리테이너(60)는 상부 리테이너(61)와, 상부 리테이너(61)보다도 내경 및 외경이 작은 하부 리테이너(62)를 갖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는 내경 및 외경의 차에 의해 형성된 환상 평면부(63)를 갖고 있다. 상부 리테이너(61)에는, 연소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평면부(63)의 바닥판(22)측의 면은 클로져 셸(21)의 개구부 단부면(21a)에 맞닿고, 환상 평면부(63)의 천장판(12)측의 면은 통상 필터(40)의 외주면(44)측의 하단부면(42)에 맞닿아 있다. 상부 리테이너(61)와 가스 배출구(15)가 있는 상부 주위벽부(13)의 사이에는, 통상 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50)은, 외각 하우징(10) 내의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점화 수단실(35))과 통상 필터(40)를 제외한 공간이며,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51)가 수용되어 있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과 통상 필터(40)의 사이에는, 컵상 커버 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컵상 커버 부재(70)는 저면부(71), 주위벽부(72), 개구부(73)를 갖고 있으며, 개구부(73)에 플랜지부(74)를 갖고 있다.
커버 부재(70)의 주위벽부(72)의 길이는, 작동시에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12)이 축 X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그에 따라 컵상 커버 부재(7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도, 컵상 커버 부재(70)가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조정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컵상 커버 부재(70)의 저면부(71)가 천장판(12)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저면부(31)에 맞닿은 상태이며,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의 축 X 방향의 길이를 1로 할 때, 컵상 커버 부재(70)의 길이(주위벽부(72)의 길이)는 0.4이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30), 통상 필터(40) 및 컵상 커버 부재(70)는, 커버 부재(70)의 주위벽부(72)의 외주면이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에 맞닿고,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저면부(31)는, 커버 부재(70)의 저면부(71)가 외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덮여 있으며, 커버 부재(70)의 주위벽부(72)의 내주면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1)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연소 잔사를 유입시키기 위한 간극)(7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커버 부재(70)의 플랜지부(74)는, 통상 필터(40)의 연소실(50)에 면한 하단부면(42)의 내주연부에 맞닿아 있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은 바닥판(22)에 고정되어 있으며, 커버 부재(70)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30)과 통상 필터(40)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75)의 간격은 유지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커버 부재(70)의 내주면에 상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독립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25)가 작동하면, 점화 수단실(35) 내의 전화약이 착화 연소되고, 연소 생성물(화염이나 고온 가스)이 전화 구멍(36)으로부터 연소실(50) 내로 방출된다.
연소실(50) 내에 방출된 연소 생성물에 의해 가스 발생제(51)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발생한다. 발생한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40)의 하단부면(42)으로부터 내부로 들어간 후, 상부 리테이너(61)의 관통 구멍(61a)과 통상 필터의 외주면(44)으로부터 통상 간극(18)으로 들어간다. 그 후, 시일 테이프를 찢고,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된다.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연소 잔사 중, 통상 필터(40)을 통과한 것은 통상 필터(40)에서 유지된다.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과 커버 부재(70)의 주위벽부(72)의 사이에는, 커버 부재(70)의 플랜지부(74)가 있다는 점에서 연소 가스는 유입되기 어렵다. 컵상 커버 부재(70)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간극(연소 잔사의 유입 공간)(75)에 들어간 연소 잔사는, 컵상 커버 부재(70) 내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외각 하우징(10)의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직접 부착된 경우와 비교하면, 천장판(12)의 외표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연소실(50)의 압력 상승을 받아 천장판(12)이 축 X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었을 때, 통상 필터(40)와 커버 부재(70)도 함께 축 X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연소 잔사는 여전히 통상 필터(40)와 컵상 부재(70)에 유지된다. 또한, 컵상 커버 부재(70)가 이동했을 때에도,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통상 필터(40)의 외주면(44)의 일부와 상부 리테이너(61)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40)를 통과하지 않고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2) 도 2의 가스 발생기
도 2의 가스 발생기(1A)는, 컵상 커버 부재의 형상이 도 1의 것과는 상이한 것과, 그에 따라 타부품과의 배치 상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한 것이다.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과 통상 필터(40)의 사이에는, 컵상 커버 부재(170)기 배치되어 있다. 컵상 커버 부재(170)는, 저면부(171), 주위벽부(172), 개구부(173)를 갖고 있으며, 플랜지부는 없다.
커버 부재(170)의 주위벽부(172)의 길이(저면부(171)의 외측면으로부터 주위벽부(172)의 선단면까지의 길이)(L1)는, 통상 필터(40)의 상단부면(41)으로부터 하단부면(42)까지의 길이(L2)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L1>L2).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L1/L2는 약 1.3이다. 이 때문에, 주위벽부(172)의 선단부는 통상 필터(40)의 하단부면(42)으로부터 연소실(5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 부재(170)의 주위벽부(172)의 길이(상기한 L1과 동일한 길이)는, 작동시에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12)이 축 X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그에 따라 컵상 커버 부재(17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도, 컵상 커버 부재(170)가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조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A)에서는, 커버 부재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상 커버 부재(170)의 주위벽부(172)의 내주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독립 돌기(리브)(17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는, 주위벽부(172)의 내주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120도의 간격을 두고 3개의 리브(176)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76)의 길이는, 주위벽부(172) 길이의 30 내지 50%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리브(176)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강도와 연소 잔사의 유입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으로부터 정할 수 있다. 컵상 커버 부재(170)의 3개의 리브(176)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간극(연소 잔사의 유입 공간)(75)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도 2의 가스 발생기(1A)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연소 잔사 중, 통상 필터(40)를 통과한 것은 통상 필터(40)에서 유지된다.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과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172)의 사이에는, 커버 부재(170)의 선단부가 연소실(50)로 돌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소 가스는 유입되기 어렵다. 컵상 커버 부재(170)와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간극(연소 잔사의 유입 공간)(75)에 들어간 연소 잔사는, 컵상 커버 부재(170) 내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외각 하우징(10)의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부착된 경우와 비교하면, 천장판(12)의 외표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연소실(50)의 압력 상승을 받아 천장판(12)이 축 X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었을 때, 통상 필터(40)와 커버 부재(170)는 함께 축 X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소 잔사는 여전히 통상 필터(40)와 커버 부재(170)에 유지된다. 또한, 컵상 커버 부재(170)가 이동했을 때에도,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통상 필터(40)의 외주면(44)의 일부와 상부 리테이너(61)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40)를 통과하지 않고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3) 도 4의 가스 발생기
도 4의 가스 발생기(1B)는, 커버 부재의 형상이 도 1의 것과는 상이한 것과, 그에 따라 타부품과의 배치 상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한 것이다.
통상 필터(40)와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12)의 사이에 원판상 커버 부재(270)가 배치되어 있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는 원판부(271)와, 원판부(271)의 외주부로부터 바닥판(22) 방향으로 신장된 환상 벽부(272)를 갖고 있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의 원판부(271)는, 통상 필터(40)의 상단부면(41)에 맞닿아 있으며, 천장판(12)에는 맞닿아 있어도 되고,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있어도 된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의 원판부(271)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31)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지만, 맞닿아 있어도 된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의 환상 벽부(272)는, 통상 필터(40)의 상단부면(41)측의 외주면(44)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의 환상 벽부(272)와 디퓨저 셸(11)의 상부 주위벽부(13)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의 환상 벽부(272)와 상부 리테이너(61)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가스 발생기(1B)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연소 잔사 중, 통상 필터(40)를 통과한 것은 통상 필터(40)에서 유지된다.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 후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열이 필터(40)에 전달되기 어렵다.
원판상 커버 부재(270)는, 통상 필터(40) 및 점화 수단실 하우징(30)과 천장판(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잔사가 통상 필터(40)를 통과한 경우 및 연소 잔사가 통상 필터(40)의 내주면(43)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30)의 주위벽부(32)의 사이를 통과한 경우, 원판상 커버 부재(270)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외각 하우징(10)의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천장판(12)에 연소 잔사가 직접 부착된 경우와 비교하면, 천장판(12)의 외표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연소실(50)의 압력 상승을 받아 천장판(12)이 축 X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었을 때, 통상 필터(40)와 커버 부재(270)는 함께 축 X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소 잔사는 여전히 통상 필터(40)와 커버 부재(270)에 유지된다.
또한 통상 필터(40)의 외주면(44)의 일부와 상부 리테이너(61)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40)를 통과하지 않고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비교예 1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실시예 1)와, 컵상 커버 부재(70)가 없는 것 이외에는 도 1과 동일한 구조의 가스 발생기(비교예 1)를 준비하였다.
외각 하우징, 점화 수단실 하우징 및 커버 부재는, 모두 스테인리스제이다. 비교예 1의 가스 발생기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외경을 크게 하여 통상 필터에 맞닿게 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작동시에 있어서의 천장판의 외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대상 가스 발생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가스 발생기는, 미리 85℃로 온도 조절한 것을 사용하였다. 미리 85℃로 온도 조절한 이유는, 하계, 옥외에 차량을 장시간 방치하여 고온 상태가 된 경우(온도적으로 엄격한 조건)를 상정하여, 이 경우의 온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측정 기기: 열전대
측정 장소: 외각 하우징 천장판의 중앙 부분
커버 부재(70)의 재질, 두께: 철제, t=0.5mm
디퓨저 셸의 재질: 철제
가스 발생기의 점화기에 전류를 흘리고, 통상의 모드로 작동시킨 후의 천장판의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가스 발생기의 천장판 온도는 약 540℃, 비교예 1의 가스 발생기의 천장판 온도는 약 660℃였다. 이 결과로부터, 커버 부재에 의한 천장판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작동 후의 하우징 천장판의 최고 온도는, 사용하는 가스 발생제나 작동할 때의 환경 온도, 커버 부재의 재질 등에 따라서도 바뀐다. 또한, 에어백의 손상·용융은, 그것을 구성하는 재질에도 관계된다.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 1에서 확인되었지만, 상기한 다양한 선택지로부터 최적의 조합을 설정함으로써, 하우징 천장판의 온도 억제 효과와 그에 의한 에어백의 손상 억제 효과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전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7)

  1. 천장판과 바닥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위벽부를 갖는 외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외각 하우징 내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과,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 수단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연소실이, 상기 외각 하우징 내의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상기 통상 필터를 제외한 공간이고,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이,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며, 상기 외각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상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하단부면이 상기 연소실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추가로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과 상기 통상 필터의 사이에 컵상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 상기 통상 필터 및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통상 필터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저면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부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이고,
    상기 커버 부재의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주위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독립 돌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의 복수의 독립 돌기가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연소실에 면한 하단부면의 내주연부에 맞닿아 있는, 가스 발생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커버 부재가, 상기 주위벽부의 축 방향 길이(L1)가 상기 통상 필터의 축 방향 길이(L2)보다도 길고(L1>L2), 상기 주위벽부의 선단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연소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5. 천장판과 바닥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위벽부를 갖는 외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외각 하우징 내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과, 통상 필터와,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 수단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컵상의 점화 수단실 하우징이,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외각 하우징의 바닥판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상단부면으로부터 하단부면까지의 길이가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으로부터 바닥판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며, 상기 외각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상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대향되고, 상기 하단부면이 상기 연소실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추가로 원판상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상 커버 부재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에 맞닿아,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상 커버 부재가,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방향으로 신장된 환상 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원판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과 상기 외각 하우징의 천장판 양쪽에 맞닿고, 상기 환상 벽부가 상기 통상 필터의 상단부면측의 외주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필터의 내주면과 상기 점화 수단실 하우징의 주위벽부의 외표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KR1020187031011A 2016-05-18 2017-04-21 가스 발생기 KR20190009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9221A JP6749788B2 (ja) 2016-05-18 2016-05-18 ガス発生器
JPJP-P-2016-099221 2016-05-18
PCT/JP2017/015981 WO2017199684A1 (ja) 2016-05-18 2017-04-21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84A true KR20190009284A (ko) 2019-01-28

Family

ID=6032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011A KR20190009284A (ko) 2016-05-18 2017-04-21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5489B2 (ko)
JP (1) JP6749788B2 (ko)
KR (1) KR20190009284A (ko)
CN (1) CN109153364B (ko)
DE (1) DE112017002566B4 (ko)
WO (1) WO2017199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664B (zh) * 2019-04-04 2021-04-02 湖北航鹏化学动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双级式气体发生器
CN110228441B (zh) * 2019-06-25 2024-04-16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气体发生器及其制造方法和安全气囊
CN110217192B (zh) * 2019-06-25 2024-06-25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气体发生器和用于机动车的安全气囊
US11603072B2 (en) * 2021-08-06 2023-03-14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2177A (ja) * 1991-06-21 1992-12-25 Sanyo Electric Co Ltd 光起電力装置
US5346254A (en) * 1993-02-01 1994-09-13 Trw Inc. Inflator assembly
US6234521B1 (en)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JP2963086B1 (ja) * 1997-12-26 1999-10-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257617B1 (en) * 1999-03-04 2001-07-10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US6227565B1 (en) * 1999-03-04 2001-05-08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DE10006522B4 (de) * 1999-03-05 2018-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ufblasvorrichtung für einen zweistufigen Airbag
US6315322B1 (en) * 1999-03-05 2001-11-13 Trw Inc. Air bag inflator
TW469235B (en) * 1999-10-04 2001-12-21 Daicel Chem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US6945561B2 (en) * 2000-06-08 2005-09-20 Dia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KR20030074681A (ko) * 2000-12-26 2003-09-19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발생기
EP1346886B1 (en) * 2000-12-27 2007-07-0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 bag-use gas generator and air bag device
DE10101489A1 (de) 2001-01-12 2002-07-25 Wilhelm Biemold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die Verwendung in Airbag-Systemen
US6854395B2 (en) * 2001-08-10 2005-02-1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for an air bag
US6644206B2 (en) * 2001-12-21 2003-11-11 Trw Inc. Electrically actuatable initiator with output charge
US20040046373A1 (en) * 2002-09-09 2004-03-11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Dual stage airbag inflator
US6886856B2 (en) * 2003-04-01 2005-05-03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inflator
CN2625216Y (zh) 2003-04-23 2004-07-14 全兴方向盘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气囊充气装置的基座结构
JP4782485B2 (ja) * 2004-08-10 2011-09-2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060267322A1 (en) * 2005-05-26 2006-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7578522B2 (en) * 2005-08-30 2009-08-2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JP4907931B2 (ja) 2005-09-15 2012-04-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806954B2 (en) * 2005-11-01 2010-10-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US7503581B2 (en) 2006-03-22 2009-03-1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occupant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JP4970813B2 (ja) * 2006-03-22 2012-07-11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2008049941A (ja) * 2006-08-28 2008-03-06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JP4926659B2 (ja) * 2006-11-07 2012-05-0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375862B2 (en) * 2008-12-04 2013-02-19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5324931B2 (ja) * 2009-01-15 2013-10-23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CN201385637Y (zh) 2009-04-10 2010-01-20 太原市太航常青汽车安全设备有限公司 非叠氮型主驾驶座安全气囊气体发生器
JP5638996B2 (ja) 2011-03-30 2014-12-10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5763000B2 (ja) 2012-03-19 2015-08-12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873373B2 (ja) 2012-04-02 2016-03-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422628B2 (ja) * 2012-10-18 2018-11-1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剤組成物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JP5956308B2 (ja) 2012-11-02 2016-07-27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のガス発生器
JP6009997B2 (ja) * 2013-06-21 2016-10-19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6585586B2 (ja) * 2014-04-25 2019-10-0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3364B (zh) 2021-05-25
US10875489B2 (en) 2020-12-29
JP2017206097A (ja) 2017-11-24
DE112017002566B4 (de) 2023-12-14
DE112017002566T5 (de) 2019-02-28
JP6749788B2 (ja) 2020-09-02
WO2017199684A1 (ja) 2017-11-23
CN109153364A (zh) 2019-01-04
US20190135222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284A (ko) 가스 발생기
KR101734605B1 (ko) 가스 발생기
KR102309123B1 (ko) 가스 발생기
KR20150015445A (ko) 가스 발생기
CN107709102B (zh) 点火装置及使用其的气体发生器
JP2008114773A (ja) ガス発生器
US20160121841A1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CN104684766A (zh) 气体发生器及其组装方法
JP7449432B2 (ja) ガス発生器
KR102020695B1 (ko) 가스 발생기
EP2555951B1 (en) Gas gen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102328345B1 (ko)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KR102434717B1 (ko) 가스 발생기
KR102292867B1 (ko) 가스 발생기
US10166501B2 (en) Gas generator
US10723308B2 (en) Gas generator
JP5021447B2 (ja) ガス発生器
US10308211B2 (en) Support structure of closing member for gas generator and gas generator using same
JPWO2017130735A1 (ja) ガス発生器
KR102373771B1 (ko) 가스 발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