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854A - 컨테이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854A
KR20190008854A KR1020187031869A KR20187031869A KR20190008854A KR 20190008854 A KR20190008854 A KR 20190008854A KR 1020187031869 A KR1020187031869 A KR 1020187031869A KR 20187031869 A KR20187031869 A KR 20187031869A KR 20190008854 A KR20190008854 A KR 2019000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vex portion
opening
movable convex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932B1 (ko
Inventor
히로유키 타카구치
Original Assignee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코너 금구(金具)의 개구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溝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와, 상기 플랜지부(2)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긴 구멍(長孔) 형상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지지기둥부(支柱部)(4)와, 상기 지지기둥부(4)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공동부(空洞部)에 끼워지는 하측 콘(끼움결합부)(41)과, 회동(回動) 가능하며 상기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세된 가동(可動) 볼록부(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볼록부(43)에는, 상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각 끝단(端)측에 접촉하는 접촉부(43b)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고정 장치
[0001] 본 발명은,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끼리를 고정시키거나, 트레일러나 화차(貨車)의 짐받이(荷臺)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허 문헌 1에는, 이른바 래치 로크(latch lock) 방식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쌓인 컨테이너(1100)의 코너 금구(金具; 1100a)의 사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1002)와, 상기 플랜지부(1002)로부터 돌출설치(突設)된 상측 지지기둥부(1003) 및 하측 지지기둥부(1004)와, 상측의 코너 금구(1100a)의 홈구멍(1150)에 걸림결합하는 상측 콘(1031)과, 하측의 코너 금구(1100a)의 홈구멍(1150)에 걸림결합하는 하측 콘(1041)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 콘(1041)은, 고정 볼록부(1042)와, 상기 고정 볼록부(1042)의 반대측에 설치된 가동(可動) 볼록부(래치)(10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 볼록부(1043)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코너 금구의 홈구멍으로 들어간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1043)는, 상기 고정 볼록부(1042)에 설치된 축(1044)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0003] 여기서, 상기 코너 금구(1100a)의 홈구멍(1150)은, 도 2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코너 금구(1100a)의 주위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空洞部; 1150a)와, 상기 주위벽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1150a)에 통하며, 상기 공동부(1150a)보다 작은 긴 구멍(長孔; 장공) 형상의 개구부(開口部)(115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50b)는, 상기 주위벽부의 두께에 의한 개구 세로면부(開口縱面部)(A),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입구 모서리부(入口角部)(B)(테이퍼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입구 모서리부(B)에 이어지는 외면부(外面部)(C),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奧角部)(D),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내측 모서리부(D)에 이어지는 내면부(E) 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04] 1. 일본 특허 제4781786호 공보
[0005] 상기한 종래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하측 지지기둥부(1004)의 중앙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이 개방부의 양 사이드에 지지기둥(支柱) 부분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동 볼록부(1043)는, 상기 개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축(104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가동 볼록부(1043)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1004)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1에서 나타내는 해칭 영역(G)과 같이, 상기 가동 볼록부(1043)가 상기 코너 금구(1100a)의 상기 내측 모서리부(D) 혹은 내면부(E)에 접촉하는 부분(個所)은, 상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1150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이 되어, 상기 개구부(1150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0006] 이 때문에, 상기 개구부(1150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의 가장자리가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코너 금구(1100a)가 불량이 될(코너 피팅(corner fitting)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0007] 또한, 하측 콘에 있어서, 가동 볼록부는 구비되지 않고, 상기 고정 볼록부(1042)와 같은 고정 볼록부만을 구비하는 타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개구부(1150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의 가장자리가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워, 상기 코너 금구(1100a)가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0008]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코너 금구의 개구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0009]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金具)의 홈구멍(溝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긴 구멍(長孔) 형상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지지기둥부(支柱部)와, 이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공동부(空洞部)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각 끝단(端)측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상기의 구성이라면,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각 끝단측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의 끝단 부근에 하중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중앙 부근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코너 금구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1]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세된 가동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 볼록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2] 상기 가동 볼록부는 축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축부의 양측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3] 상기 축부가 상기 지지기둥부에 형성된 축지지 오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4] 혹은, 상기 가동 볼록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에 형성된 축지지 구멍에 삽입통과(揷通)되는 축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0015] 상기 가동 볼록부에는, 상기 접촉부끼리를 연결하는 판 형상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6] 한편,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 볼록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7] 상기 고정 볼록부의 중앙측에 형성된 홈 또는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0018]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의 상기 개구부의 중앙 부근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코너 금구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0019]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 장치와, 상측의 컨테이너의 하면(下面)의 코너 금구와, 하측의 컨테이너의 상면(上面)의 코너 금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상측 지지기둥부와 상측 끼움결합부와 가압 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상측 끼움결합부를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상측 끼움결합부를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육면도이며, 저면도에 있어서는, 코너 금구의 개구부와 가동 볼록부와의 접촉 영역을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가동 볼록부의 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가동 볼록부를 생략하고 나타낸 사면도(평면도와 저면도를 생략)이다.
도 8a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볼록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하측 지지기둥부와 하측 끼움결합부를 하면의 코너 금구로부터 이탈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하측 지지기둥부와 하측 끼움결합부를 하면의 코너 금구로부터 이탈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하측 지지기둥부와 하측 끼움결합부를 하면의 코너 금구로부터 이탈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하측 지지기둥부와 하측 끼움결합부를 하면의 코너 금구로부터 이탈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고정 볼록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볼록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와 상하에 위치하는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와의 걸림결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의한 코너 금구의 개구부와 가동 볼록부와의 접촉 영역을 해칭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는, 상하에 위치하는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00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컨테이너(100)의 하면의 코너에는 코너 금구(100a)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의 컨테이너(101)의 상면의 코너에는 코너 금구(101a)가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상기 코너 금구(100a)와 상기 코너 금구(101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의 컨테이너(100)와 하측의 컨테이너(101)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0021] 상기 코너 금구(100a)의 홈구멍(150)은, 해당 코너 금구(100a)의 주위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150a)와, 상기 주위벽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150a)에 통하며, 상기 공동부(150a)보다 작은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15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50b)는, 상기 주위벽부의 두께에 의한 개구 세로면부(A),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입구 모서리부(B)(테이퍼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입구 모서리부(B)에 이어지는 외면부(C),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내측 모서리부(D)에 이어지는 내면부(E) 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22] 마찬가지로, 상기 코너 금구(101a)의 홈구멍(151)은, 해당 코너 금구(101a)의 주위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151a)와, 상기 주위벽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151a)에 통하며, 상기 공동부(151a)보다 작은 대략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15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51b)는, 상기 주위벽부의 두께에 의한 개구 세로면부(A),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입구 모서리부(B)(홈구멍측 테이퍼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입구 모서리부(B)에 이어지는 외면부(C),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직교하며 내측 모서리부(D)에 이어지는 내면부(E) 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23]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플랜지부(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2)는, 상기 코너 금구(100a, 101a)의 홈구멍(150, 151)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의 상면측에는 상측 지지기둥부(제2 지지기둥부)(3)가 설치되어 있고, 하면측에는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4)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컨테이너 고정 장치(1)에 있어서의 잠금(lock)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랜지부(2)가 상기 코너 금구(100a, 101a)의 외면부(C)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4)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2)와의 경계부에는, 상기 입구 모서리부(B)(홈구멍측 테이퍼부)의 경사에 따른 경사를 가지며, 해당 입구 모서리부(B)에 접촉하는 지지기둥부측 테이퍼부(4a)가 형성되어 있다.
[0024]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의 상부측에는, 상측 콘(제2 끼움결합부)(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는, 상기 개구부(150b)에 끼움결합하며, 상측 콘(31)은 상기 공동부(150a)에 끼움결합한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하부측에는, 하측 콘(끼움결합부)(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는, 상기 개구부(151b)에 끼움결합하며, 하측 콘(41)은 상기 공동부(151a)에 끼움결합한다.
[0025]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는, 예컨대 횡단면이 대략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상측 지지기둥부(3)를 상기 코너 금구(100a)의 홈구멍(150)의 공동부(150a) 내에서 소정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레버(21)의 상측 부분을 상기 홈구멍(150)의 상기 개구부(150b)로 돌출시킴으로써, 상측 콘(31)이 상기 홈구멍(150)에 고정된다.
[0026] 상기 상측 콘(31)을 상기 홈구멍(150)에 넣을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상측 콘(31)의 길이 방향을 상기 개구부(150b)의 길이 방향에 맞추는 동시에,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비스듬하게 하여 상기 상측 콘(31)을 상기 개구부(150b)로부터 상기 공동부(150a) 내로 넣는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 내에서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대략 9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 콘(31)의 길이 방향이 상기 개구부(150b)의 대략 긴 구멍 형상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게 된다.
[0027] 또한,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레버(21)는, 도시되지 않은 수평축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링(21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측 부분이 상기 플랜지부(2)의 상면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 레버(21)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21c)은 상기 플랜지부(2)의 하면으로부터 나와 있으며, 이 하측 부분(21c)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고정 레버(21)의 상측 부분을 상기 플랜지부(2)측으로 몰입(沒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핀(21d)이 상기 하측 부분(21c)에 닿음으로써, 상기 고정 레버(21)의 회동이 제지된다.
[0028] 또한,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는,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50b)를 형성하는 상기 코너 금구(100a)의 개구 세로면부(A)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 부재(300)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의 세로면부에 형성된 가로 구멍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300)는, 자연 길이(自然長; equilibrium length)인 상태에서 상기 세로면부로부터 돌출되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콘(31)의 길이 방향이 상기 개구부(150b)의 대략 긴 구멍 형상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여, 이 개구 세로면부(A)를 가압한다.
[0029] 상기 플랜지부(2)측에 대향(對向)하는 상측 콘(31)의 부위에 경사 부위(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부위(31a)는, 그 일방(一方)의 끝단(端)이 상기 공동부(150a) 내에 위치하고, 타방(他方)의 끝단이 상기 개구부(150b)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의 끝단과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와의 경계부에는, 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 부위(31a)가 상기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0030]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 내에서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 부재(300)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여, 상기 개구 세로면부(A)를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상기 개구 세로면부(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 모서리부(D)에, 상기 경사 부위(31a)가 가압접촉(壓接)된다.
[0031]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 및 상기 상측 콘(31)에 세로 구멍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세로 구멍부(32)의 내벽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에 상기 가압 부재(300)의 기단측(基端側)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 구멍부(32)로부터 상기 가압 부재(300)가 보이게 되어 있어, 예컨대, 상기 세로 구멍부(32)로부터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가압 부재(300)의 일부를 찌그러뜨려 변형시켜서, 이 가압 부재(300)가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300) 자체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압 부재(300)의 선단에 설치한 접촉 부재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0032]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에는, 상기 개구부(151b)의 장변부(長邊部)에 평행이 되는 세로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콘(41)은, 상기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제4781786호 공보)에 기재된 컨테이너 고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일방의 세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볼록부(42)와, 타방의 세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동 볼록부(래치)(4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볼록부(42)의 가장 돌출되는 부분과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가장 돌출되는 부분은 상하로 어긋나 있으며, 상기 가동 볼록부(43)쪽이 상기 고정 볼록부(42)보다 상기 플랜지부(2)측(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0033] 상기 고정 볼록부(42)는, 제1 경사면(420)과, 제2 경사면(421)과, 이들 경사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 정상부(422)를 가진다. 상기 제 1 경사면(420)은, 하물(荷物)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부(151b)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한다. 상기 제 2 경사면(421)은, 잠금을 위한 강하(降下)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입구 모서리부(B)에 접촉한다. 상기 제 1 경사면(420) 및 상기 제 2 경사면(421)은,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형상이어도 되고, 꺾인 선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볼록 정상부(422)는, 잠금을 위한 강하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한다.
[0034]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제1 경사면(430)과, 제2 경사면(431)과, 이들 경사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 정상부(432)를 가진다. 상기 제 1 경사면(430)은, 잠금을 위한 강하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부(151b)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한다. 상기 제 2 경사면(431)은, 잠금을 위한 강하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 세로면부(A)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입구 모서리부(B)에 접촉한다. 상기 제 1 경사면(430) 및 상기 제 2 경사면(431)은,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형상이어도 되고, 꺾인 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면(430)의 표면에, 예컨대 미소한 요철 등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경사면(430)과 상기 내측 모서리부(D)와의 접촉에 있어서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렵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볼록 정상부(432)는, 잠금을 위한 강하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에는, 회동 제지부(4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동 제지부(433)에 의해, 해당 가동 볼록부(43)가 규정량을 넘어 회동하는(돌출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0035]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도 6,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축(축부)(43a)과, 이 수평축(43a)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부(43b)와, 상기 접촉부(43b) 사이에 걸쳐서 이들을 연결하듯이 설치된 판 형상부(43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43b)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경사면(430)을 이루는 부분은, 상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151b)의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각 끝단측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판 형상부(43c)에는, 코일 스프링(44)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멍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축(43a)에 상기 판 형상부(43c)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주물 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상부(43c)를 가짐으로써, 해당 가동 볼록부(43)의 강성(剛性)이 향상된다.
[0036]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에는,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수평축(43a)을 지지하는 축지지 오목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 오목부(4b)는, 단면이 대략 반원호(半圓弧)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축(43a)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해당 수평축(43a)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44)의 타방부를 수용하는 구멍부(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접촉부(43b)는,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축(43a)의 양단에 설치되므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를 사이에 끼우도록 위치할 수 있다.
[0037]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상기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잠금을 위한 강하 동작시 및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시에는,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동해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측으로 일시적으로 들어간다. 즉,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측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형성한다.
[0038] 도 9는, 도 5의 저면도에 있어서, 상기 코너 금구(101a)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9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4)에 의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힘 부가 방향(코일 중심)과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탈부착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는, 90도 이하가 된다. 이러한 각도로 함으로써,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44)의 수용을 위해, 상기 수평축(43a)의 중앙부의 일부분이 도려내어져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44)은 상기 가동 볼록부(43)를 장착한 후에 넣어도 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44)을 먼저 넣고, 지그로 상기 코일 스프링(44)을 수축시키면서 상기 가동 볼록부(43)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0039] 한편,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4)에 의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힘 부가 방향(코일 중심)과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탈부착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를, 90도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예컨대, 스프링 핀(43e)에 의해,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핀(43e)은, 그 축 방향이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탈부착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에는, 그 회동이 저해되지 않도록, 중앙부의 일부분이 절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핀(43e)은, 상기 하측 콘(41)에 형성한 구멍부(4f)로부터 압입(壓入)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는 것 외에, 이러한 구멍부(4f) 대신에, 상기 축지지 오목부(4b)측으로부터 유저(有底; 바닥이 있는)의 구멍부를 형성해 두고, 상기 가동 볼록부(43)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핀 등(스프링 핀이어도 되고, 볼 형상(球狀)의 것이어도 된다)을 상기 구멍부에 삽입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핀 등의 상방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44)이 위치하게 된다.
[0040]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가 상기 코너 금구(101a)의 외면부(C)(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하측 콘(41)이 홈구멍(151) 내로 들어가며,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가세되는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회동 동작 도중에, 상기 개구부(151b)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에 상기 제 1 경사면(430)이 접촉하며, 이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수평축(43a)은, 상기 내측 모서리부(D)의 바로 아래의 위치가 아니라, 도 1에 있어서, 좌측(상기 개구부(151b)의 중심측)에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모서리부(D)에 상기 제 1 경사면(430)이 접촉한 상기 잠금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430)은, 경사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면(430)의 일방의 끝단이 상기 공동부(151a)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경사면(430)의 타방의 끝단이 상기 개구부(151b) 내에 위치한다.
[0041] 도 1에 나타낸 잠금 상태로부터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 동작이 행해지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똑바로 위가 아니라, 상기 고정 볼록부(42)측의 입구 모서리부(B)의 경사를 따라 비스듬히 상방(도 11에서는 좌측 상방)으로 부상(浮上)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가세되는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더 회동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상기 입구 모서리부(B)의 경사를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부상한다.
[0042]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더욱 회동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상기 회동 제지부(433)에 의해 회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회동 저지 상태에서는, 상기 볼록 정상부(432)의 선단으로부터, 그 뒤편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타방의 세로면부까지의 길이(폭)는, 상기 개구부(151b)의 단변(短邊) 방향의 폭보다 조금 짧아,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클리어런스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하측 콘(41)이 상기 개구부(151b)를 통과할 때,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0043]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가 더욱 끌어 올려지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볼록부(42)의 상기 제 1 경사면(420)이 상기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경사면(420)의 경사를 따라 비스듬히 상방(도 13에서는 우측 상방)으로 부상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0044]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가 더욱 끌어 올려지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록 정상부(422)가 상기 개구 세로면부(A)에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상기 볼록 정상부(422)의 선단으로부터, 해당 볼록 정상부(422)와는 반대측의 상기 하측 콘(41)의 세로면부까지의 길이(폭)는, 상기 개구부(151b)의 단변 방향의 폭보다 조금 짧아,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0045] 상기의 구성이라면,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상기 수평축(43a)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부(43b)는, 상기 지지기둥부(4)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지지기둥부(4)의 양 옆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양 접촉부(43b)는 상기 코너 금구(101a)의 개구부(151b)의 중앙측이 아니라, 도 5의 저면도에 있어서 해칭 영역(H)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51b)의 끝단 부근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개구부(151b)의 끝단 부근에 하중이 가해지기 쉬워져, 상기 개구부(151b)의 중앙 부근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너 금구(101a)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46] 그런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 상측 콘(1031)이 상기 코너 금구(1100a)의 홈구멍(1150)에 끼워진 잠금 상태에 있어서, 해당 상측 콘(1031)과 상기 내측 모서리부(D) 및 내면부(E)와의 사이에 틈새(여유; F)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하측 콘(1041)이 상기 코너 금구(1100a)의 홈구멍(1150)에 끼워진 잠금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1043)와 상기 내측 모서리부(D) 및 내면부(E)와의 사이에도 틈새(F)가 발생한다.
[0047]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1100)를 선박 위에 쌓아 올리는 경우에 있어서는, 선박이 기울어지면 상기 컨테이너(1100)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틈새(F)가 없다고 가정하면, 상기 컨테이너(1100)의 기울기는 상기 선박의 기울기와 동일한 정도가 된다. 그러나, 상하 컨테이너(1100, 1100)의 각 고정 부분에 상기 틈새(F)가 발생하면, 높게 쌓아 올린 컨테이너 간에 있어서 상기 틈새(F)에 기인하는 기울기가 누적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1100)가 선박의 기울기에 비해 크게 기울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없다. 즉, 상기 종래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서는, 상기 틈새(F)때문에, 많은 컨테이너를 쌓아 올리는 것이 곤란해져, 컨테이너 수송비가 비교적 비싸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0048]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라면, 상기 플랜지부(2)가 상기 코너 금구(101a)의 외면부(C)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회동 동작 도중에 상기 개구부(151b)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한 상태로 잠금 상태가 형성되므로, 상기 가동 볼록부(43)와 상기 홈구멍(151) 사이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많은 컨테이너를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컨테이너 수송비를 저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회동 동작 도중의 상태이므로, 해당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코너 금구(101a)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내측 모서리부(D)에 접촉하면서 더욱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탈시의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코너 금구(101a)와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어긋나면서 서로 이격(離間)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 및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개구부(151b)를 통과하기 위한 초기 단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를 끌어올리는 조작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코너 금구(101a)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0049] 또한, 상기 지지기둥부측 테이퍼부(4a)가 형성되어 있으면, 해당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코너 금구(101a)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고정 볼록부(42)측의 입구 모서리부(B)의 경사를 따라 상기 지지기둥부측 테이퍼부(4a)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상기 이탈이 원활히 행해진다.
[0050] 또한, 상기 경사 부위(31a)가 상기 코너 금구의 내측 모서리부(D)에 가압접촉되는 구성이면, 상기 상측 끼움결합부(제2 끼움결합부)(31)와 상기 홈구멍(151) 사이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컨테이너를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컨테이너 수송비를 저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0051] 물론,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와 같은 틈새(F)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기와 같은 틈새(F)가 발생하는 구조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접촉부(43b)를 구비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끼리를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일러나 화차(貨車)의 짐받이에 컨테이너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랜지부(2)를 볼트 등으로 짐받이에 고정하는 구조여도 된다.
[0052]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51b)에 끼워지는 지지기둥부(4)와, 상기 홈구멍(151)의 공동부(151a)에 끼워지는 하측 콘(끼움결합부)(41)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 콘(41)이, 가동 볼록부(43)를 구비하지 않고, 고정 볼록부(420)만을 구비하는 구조여도 된다. 상기 고정 볼록부(420)는, 해당 고정 볼록부(420)가 상기 공동부(151a) 내에 끼워진 잠금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51b)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의 가장자리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상기 고정 볼록부(420)의 양단에, 상기 코너 금구(101a)의 개구부(151b)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접촉부(420a)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라 하더라도, 도 15b에 있어서 해칭 영역(H)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접촉부(420a)는, 상기 코너 금구(101a)의 개구부(151b)의 중앙측이 아니라, 끝단측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151b)의 끝단 부근에 하중이 가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51b)의 중앙 부근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코너 금구(101a)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53]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상기 고정 볼록부(420)의 상면의 중앙측에, 상기 지지기둥부(4)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볼록부(420)의 선단측에 이르도록 형성된 홈(420b)에 의해 상기 접촉부(420a)가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상기 고정 볼록부(420)의 상면 중 상기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측에 가까운 쪽이 상기 개구부(151b)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므로, 상기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측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부(420a)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하측 콘(끼움결합부)(41)이 상기 개구부(151b)에 들어가기 쉬워지도록, 상기 하측 콘(41)의 선단측을 뾰족하게 형성해도 된다.
[0054] 또한, 상기의 예는,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수평축(축부)(43a)을 가지며, 상기 수평축(43a)이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4)에 형성된 축지지 오목부(4b)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였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볼록부(43A)가,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4A)에 설치되는 축 부재로서의 긴 볼트(4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0055]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예컨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A)에 축지지부(4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지지부(4d)에 축지지 구멍(4f)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A)에는, 축지지 구멍(43f)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부(4d)의 가로 폭은, 상기 가동 볼록부(43A)의 접촉부(43b) 간의 간격보다 짧게 되어 있어, 상기 접촉부(43b) 사이에 상기 축지지부(4d)를 위치시키고 상기 가동 볼록부(43A)를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A)에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축지지 구멍(43f) 및 상기 축지지 구멍(4f)에 옆으로부터 상기 긴 볼트(45)를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긴 볼트(45)의 선단측에 너트(4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A)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43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0056] 또한, 상기 축지지 구멍(43f)의 단부측의 부분에 스폿 페이싱(자구리 가공(座繰))을 해 두고, 상기 긴 볼트(45)의 머리부 및 상기 너트(46)가 각각 상기 스폿 페이싱된 부분 내에 들어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축 부재로서는, 상기 긴 볼트(45)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 핀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지지 구멍(43f)과 상기 축지지 구멍(4f)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상기 스프링 핀은, 예컨대, 상기 축지지 구멍(43f)에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축지지 구멍(4f)에 압입된다. 혹은, 그 반대로, 상기 스프링 핀은, 상기 축지지 구멍(43f)에 압입되고, 상기 축지지 구멍(4f)에 헐겁게 끼워진다.
[0057]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혹은 균등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8] 1 : 컨테이너 고정 장치
2 : 플랜지부
3 : 상측 지지기둥부(제2 지지기둥부)
31 : 상측 콘(제2 끼움결합부)
31a : 경사 부위
4 :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
4A :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
4a : 지지기둥부측 테이퍼부
4b : 축지지 오목부
4d : 축지지부
4f : 축지지 구멍
41 : 하측 콘(끼움결합부)
42 : 고정 볼록부
420 : 고정 볼록부
420a : 접촉부
420b : 홈
43 : 가동 볼록부
43A : 가동 볼록부
43a : 수평축(축부)
43b : 접촉부
43c : 판 형상부
43f : 축지지 구멍
44 : 코일 스프링
45 : 긴 볼트(축 부재)
46 : 너트
100, 101 : 컨테이너
100a, 101a : 코너 금구
150, 151 : 홈구멍
150a, 151a : 공동부
150b, 151b : 개구부
300 : 가압 부재
A : 개구 세로면부
B : 입구 모서리부(홈구멍측 테이퍼부)
C : 외면부
D : 내측 모서리부

Claims (8)

  1.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金具)의 홈구멍(溝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장공(長孔) 형상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지지기둥부(支柱部); 및 상기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구멍의 공동부(空洞部)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장공 형상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각 끝단(端)측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세된 가동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볼록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는 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부의 양측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가 상기 지지기둥부에 형성된 축지지 오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에 형성된 축지지 구멍에 삽입통과(揷通)되는 축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에는, 상기 접촉부끼리를 연결하는 판 형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 볼록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록부의 중앙측에 형성된 홈 또는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1020187031869A 2016-05-19 2017-05-18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102166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0661 2016-05-19
JP2016100661 2016-05-19
PCT/JP2017/018619 WO2017200034A1 (ja) 2016-05-19 2017-05-18 コンテナ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854A true KR20190008854A (ko) 2019-01-25
KR102166932B1 KR102166932B1 (ko) 2020-10-16

Family

ID=6032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869A KR102166932B1 (ko) 2016-05-19 2017-05-18 컨테이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59877B1 (ko)
JP (2) JP6570743B2 (ko)
KR (1) KR102166932B1 (ko)
CN (2) CN113023145B (ko)
FI (1) FI3459877T3 (ko)
SG (1) SG11201809600SA (ko)
WO (1) WO2017200034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786A (en) 1982-05-17 1988-11-01 The Loveshaw Corporation Tape sealing random height cartons
CN2820614Y (zh) * 2005-03-29 2006-09-27 上海中升贸易有限公司 一种车载式集装箱的自动锁
KR20090051156A (ko) * 2006-06-09 2009-05-21 로지-디 비.브이. 잠금 장치
JP2009255927A (ja) * 2008-04-11 2009-11-05 Koei Kinzoku Kogyo Kk コンテナ用連結金具
US20100089914A1 (en) * 2008-10-10 2010-04-15 Universal Global Investment Co., Ltd Retainer for Shipping Containers
KR20110066937A (ko) * 2008-09-16 2011-06-17 카고텍 핀란드 오와이 화물선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
JP4781786B2 (ja) * 2005-11-09 2011-09-28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JP2013521199A (ja) * 2010-03-10 2013-06-10 カーゴテック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イティエ 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特に貨物船で使用される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2838A1 (de) * 2003-10-27 2005-10-06 Horst Neufingerl Selbsttätig sperrende und lösende Verbindungsbaugruppe
US5570981A (en) * 1993-11-16 1996-11-05 Holland Company Latch device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to vehicle decks
WO1996015052A1 (en) * 1994-11-11 1996-05-23 A11 Set Marine Lashing Aktiebolag Container locking means
DE19744536A1 (de) * 1997-10-09 1999-04-15 Marine Equip & Consult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von übereinandergestapelten Behältern
CN1165469C (zh) * 1999-11-11 2004-09-08 上海三都机械有限公司 集装箱运输用自动锁
US6490766B1 (en) * 2000-09-25 2002-12-10 Peck & Hale Llc Coupling device including automatic latching lock
CA2427648A1 (en) * 2000-11-03 2002-05-10 Holland L.P. Latch device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together and/or to vehicle decks
US6974164B2 (en) * 2001-08-03 2005-12-13 Holland Lp Latch device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JP4629052B2 (ja) * 2004-11-09 2011-02-09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JP4762694B2 (ja) * 2005-11-24 2011-08-31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定具
WO2009069226A1 (ja) * 2007-11-30 2009-06-04 Nippon Yusen Kabushiki Kaisha コンテナ用連結金具
US20100303573A1 (en) * 2009-06-02 2010-12-02 Holland, L.P. Latch device with variable latching resistance and method
DE102011002518B3 (de) * 2011-01-11 2012-05-31 German Lashing Robert Böc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mit magnetischer Verdrehsicherung
DE102011087042B3 (de) * 2011-11-24 2013-05-29 German Lashing Robert Böc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mit Verdrehsicherung
DE102012201797B3 (de) * 2012-02-07 2013-06-20 German Lashing Robert Böc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mit Verdrehsicheru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786A (en) 1982-05-17 1988-11-01 The Loveshaw Corporation Tape sealing random height cartons
CN2820614Y (zh) * 2005-03-29 2006-09-27 上海中升贸易有限公司 一种车载式集装箱的自动锁
JP4781786B2 (ja) * 2005-11-09 2011-09-28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KR20090051156A (ko) * 2006-06-09 2009-05-21 로지-디 비.브이. 잠금 장치
JP2009255927A (ja) * 2008-04-11 2009-11-05 Koei Kinzoku Kogyo Kk コンテナ用連結金具
KR20110066937A (ko) * 2008-09-16 2011-06-17 카고텍 핀란드 오와이 화물선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
US20100089914A1 (en) * 2008-10-10 2010-04-15 Universal Global Investment Co., Ltd Retainer for Shipping Containers
JP2013521199A (ja) * 2010-03-10 2013-06-10 カーゴテック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イティエ 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特に貨物船で使用される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94110A (ja) 2019-11-07
SG11201809600SA (en) 2018-12-28
JP6879584B2 (ja) 2021-06-02
JP6570743B2 (ja) 2019-09-04
EP3459877B1 (en) 2024-05-15
CN109153501B (zh) 2021-04-20
EP3459877A1 (en) 2019-03-27
JPWO2017200034A1 (ja) 2018-12-27
EP3459877A4 (en) 2020-01-15
CN109153501A (zh) 2019-01-04
KR102166932B1 (ko) 2020-10-16
WO2017200034A1 (ja) 2017-11-23
CN113023145A (zh) 2021-06-25
CN113023145B (zh) 2023-06-27
FI3459877T3 (fi)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920002213Y1 (ko) 컨테이너 고정용 로크장치
EP1810938B1 (en) Container connection device
JP5016681B2 (ja) コンテナ用連結金具
KR20190112769A (ko) 잠금구 및 이를 구비하는 팔레트 박스
KR20190008854A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WO2021109623A1 (zh) 集装箱锁定装置和驮背运输车
KR20030031405A (ko)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TWI716605B (zh) 貨櫃固定裝置
KR101800117B1 (ko) 슬래브 폼의 드롭헤드 어셈블리
CN113291852B (zh) 翻转装置
JP2009255927A (ja) コンテナ用連結金具
JP6371471B2 (ja) コンテナ固定装置
KR100830721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989608B1 (ko) 화차의 수송용기 자동고정장치
KR100904591B1 (ko) 컨테이너 로킹 장치
JP2004082887A (ja) カップホルダ
RU27547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к платформ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20060032300A1 (en) Lock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tire pressure detector
KR101847120B1 (ko) 플랫 컨테이너
JPH09233407A (ja) ロック付きチルトスタンド、搬送用パレット及びロック付きチルトスタンドのロック解除方法
JP2007045523A (ja) コンテナ連結具
FR3063988A1 (fr) Plots pour dispositif de lev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