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39A -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39A
KR20190007139A KR1020170087949A KR20170087949A KR20190007139A KR 20190007139 A KR20190007139 A KR 20190007139A KR 1020170087949 A KR1020170087949 A KR 1020170087949A KR 20170087949 A KR20170087949 A KR 20170087949A KR 20190007139 A KR20190007139 A KR 2019000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housing
duct housing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136B1 (ko
Inventor
주윤식
Original Assignee
(주)제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하우스 filed Critical (주)제이하우스
Priority to KR102017008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Ventilat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하우징과,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전열 교환을 하기위한 열교환부를 구비한 복수의 기본유닛과; 상기 복수의 기본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내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배출하기 위한 갤러리가 형성된 갤러리유닛과;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전방배기팬이 설치된 전방배기부를 구비한 전방유닛; 및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후방배기팬이 설치된 후방배기부를 구비한 후방유닛을 포함하여 열교환식 듀얼덕트를 조립가능하게 유니트화 함으로써 생산 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Prefabricated Ventilation Apparatus Conducting dual Duct}
본 발명은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의 열원을 보전하고 건물의 오염된 실내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는 밀폐된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들어가도록 창호를 열거나 송풍장치로 불어 넣거나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건축물의 기밀성이 향상되고 실내 공기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생활공간의 실내공기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자연환기장치와 기계식환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대기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급기 되는 외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방지하는 필터의 새로운 소재와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열원을 보전하고 에너지절감을 도모하는 전열소자가 다양한 기능과 구조로 제안되고 있으나 열회수 기능에 비하여 배기와 급기의 송풍장치가 발생하는 소음과 과다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폐단으로 인하여 설치된 환기설비의 실질적인 가동율은 현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들에 대한 정부의 시설기준으로는 건축물의 설비기준에 관한 규칙 제11조에서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다. 첫째, 다중이용시설의 기계환기설비 용량기준은 시설이용 인원 당 환기량을 원칙으로 산정할 것. 둘째, 기계환기설비는 다중이용시설로 공급되는 공기의 분포를 최대한 균등하게 하여 실내 기류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것. 셋째, 공기공급체계ㆍ공기배출체계 또는 공기흡입구ㆍ배기구 등에 설치되는 송풍기는 외부의 기류로 인하여 송풍능력이 떨어지는 구조가 아닐 것. 넷째, 바깥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체계 또는 공기흡입구는 입자형ㆍ가스형 오염물질의 제거ㆍ여과장치 등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제거ㆍ여과장치 등의 청소 및 교환 등 유지관리가 쉬운 구조일 것. 다섯째, 공기배출체계 및 배기구는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공급체계 및 공기흡입구로 직접 들어가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마지막으로 기계환기설비를 구성하는 설비ㆍ기기ㆍ장치 및 제품 등의 효율과 성능 등을 판정하는데 있어 이 규칙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해당항목에 대한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할 것을 가이드라인으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와 관련된 선행특허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93852호의 창호용 환기장치와, 덕트 형으로는 출원번호 10-2010-0027105의 양방향 송풍날개 폐열회수 환기장치와,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06405 이중덕트에 의한 열회수방식을 이용한 환기장치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부분의 종래기술들은 열교환소자를 실내온도의 보전장치로 활용하고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는 배기와 급기를 위한 송풍팬을 가동하고 있어서 전력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소음으로 인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훼손하는 경우가 많고, 건축물의 창호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유리영역의 일부를 할애하기 때문에 조망감과 채광성을 저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293852호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27105호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06405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은 건축물의 내부 천정에 설치하는 열교환식 듀얼덕트를 기능적 구조를 중심으로 조립가능하게 유니트화 함으로써 생산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시공측면에서도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방유닛에 온실캡을 마련하여 외기를 미리 예열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가 형성되도록 덕트하우징 내부에 열전도성 높은 재질의 분리벽을 설치하고, 분리벽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열전도성 높은 재질의 전열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서 급기와 배기사이의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 함과 동시에 유체 흐름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덕트내의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기본유닛 이외에 엘보형유닛 및 분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곡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기본유닛 이외에 엘보형유닛 및 분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곡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유닛에 예냉전열부를 마련하여 외기를 미리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조립식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외기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전방배기팬 혹은 후방배기팬을 제어함으로서 계절에 따라 환기방향을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는 조립식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은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하우징과,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전열 교환을 하기위한 열교환부를 구비한 복수의 기본유닛과; 상기 복수의 기본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내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배출하기 위한 갤러리가 형성된 갤러리유닛과;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전방배기팬이 설치된 전방배기부를 구비한 전방유닛; 및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후방배기팬이 설치된 후방배기부를 구비한 후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덕트하우징과 결합된 전방유닛하우징과, 상기 전방유닛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예열하여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전방유닛하우징에 결합된 온실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덕트하우징을 내측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분리벽과,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열전달을 촉진하도록 상기 분리벽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곡선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엘보형덕트하우징과, 상기 엘보형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보형분리벽을 구비한 엘보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메인 공기유로에서 분기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분지덕트하우징과, 상기 분지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분지유로부 및 제2분지유로부를 구비한 분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하우징의 단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하우징체결부와, 상기 분리벽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벽체결부를 구비한 연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전방유닛하우징과 상기 온실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온실캡에 의해 가열되어 외기를 예열하는 예열전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예열전열부를 태양광을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상기 온실캡에 설치된 집광랜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급기부는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덕트하우징과 결합된 후방급기하우징과, 상기 후방급기하우징으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후방급기하우징에 설치된 예냉전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냉전열부는 유입된 외기의 냉각을 촉진하도록 상기 후방급기하우징 내에 배치된 냉각수전열관과, 상기 냉각수전열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 배출하는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전방배기팬 및 상기 후방배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1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후방배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전방배기팬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열교환식 듀얼덕트를 기능적 구조를 중심으로 조립가능하게 유니트화 함으로써 생산 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시공측면에서도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방유닛에 온실캡을 마련하여 외기를 미리 예열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가 형성되도록 덕트하우징 내부에 열전도성 높은 재질의 분리벽을 설치하고, 분리벽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열전도성 높은 재질의 전열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서 급기와 배기사이의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 함과 동시에 유체 흐름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덕트내의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기본유닛 이외에 엘보형유닛 및 분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곡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기본유닛 이외에 엘보형유닛 및 분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곡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후방유닛에 예냉전열부를 마련하여 외기를 미리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외기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전방배기팬 혹은 후방배기팬을 제어함으로서 계절에 따라 환기방향을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전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기본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갤러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엘보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분지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후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연결소켓 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제어블록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전방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기본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의 갤러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하우징(13)과,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덕트하우징(13)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열교환을 하기위한 열교환부(21)을 구비한 복수의 기본유닛(10)과; 복수의 기본유닛(10)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내기를 덕트하우징(13)로 배출하기 위한 갤러리(33)이 형성된 갤러리유닛(30)과; 덕트하우징(13)과 연결되어 외기를 덕트하우징(13)로 공급하기 위한 전방급기부(71)와, 덕트하우징(13)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전방배기팬(95)가 설치된 전방배기부(91)을 구비한 전방유닛(70)과; 덕트하우징(13)과 연결되어 외기를 덕트하우징(13)로 공급하기 위한 후방급기부(101)와, 덕트하우징(13)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후방배기팬(125)가 설치된 후방배기부(121)을 구비한 후방유닛(100)을 포함한다.
도 3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유닛(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급기부(71)과 전방배기부(91)을 포함한다.
전방급기부(71)은 덕트하우징(13)과 결합된 전방유닛하우징(72)과, 전방유닛하우징(72)와 연결되어 외기를 예열하여 덕트하우징(13)로 공급하도록 전방유닛하우징(72)에 결합된 온실캡(73)을 포함한다. 또한, 전방급기부(71)은 전방유닛하우징(72)와 온실캡(73) 사이에 설치되어 온실캡(73)에 의해 가열되어 외기를 예열하는 예열전열부(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급기부(71)은 예열전열부(81)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온실캡(73)에 설치된 집광랜즈(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실캡(73)은 본 발명의 일예로 반구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방유닛하우징(72)의 단부에 온실캡체결볼트(78)에 의해 체결된다. 온실캡(73)은 본 발명의 일예로 전방유닛하우징(72)의 단부에 형성된 전방급기홀부(76)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온실캡(73)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온실캡지지구(74)가 마련되고, 온실캡지지구(74)의 단부가 전방급기홀부(76)의 외측에 접촉하여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온실캡지지구(74)에 의해 온실캡(73)과 전방급기홀부(76)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외기가 온실캡(73) 내부로 급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온실캡(73)과 전방급기홀부(76)사이에 전방급기필터(89)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방급기필터(89)는 전방필터지지부(87)에 지지되어 장착되어 온실캡(73)로 급기되는 외기의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방급기필터(89)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기의 급기유로상에 어디에나 장착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온실캡(73)의 일영역에는 전방급기필터(89)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필터점검구(7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캡(73)의 내측에 전방유닛하우징(72)과의 유격을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온실캡지지구(74)를 내향으로 돌출시키고, 온실캡지지구(74)의 내부에 전방필터지지부(87)를 형성시켜 전방급기필터(89)를 지지하게 구성함으로서 길게 형성되어 쉽게 휘어지는 전방급기필터(89)를 끼워 넣게 되며, 하부의 필터점검구(77)를 통해 전방급기필터(89)를 용이하게 삽입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랜즈(75)를 온실캡(73)의 중심부 수평면에서 45도 상향경사지게 조성하여 동절기 태양광의 입사각에 적중시킴으로써 집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집중되는 태양광은 전방유닛하우징(72) 단부에 장착한 예열전열부(81)의 예열플레이트(83)를 가열시키게 된다.
전방급기부(71)의 공기유로를 살펴보면 예열플레이트(83)에는 다수개의 예열도관(85)이 유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전방유닛하우징(72)과 온실캡(73) 사이의 전방흡기필터(88)를 통과해 흡입된 차가운 외기는 온실캡(73) 내부에서 예열되어진다. 그리고, 온실캡(73)에서 예열된 외기는 태양광으로 가열된 예열플레이트(83)에 장착된 다수개의 예열도관(85)을 지나면서 충분히 더 예열되어 덕트하우징(13)의 급기유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전방유닛(70)에 형성된 전방급기부(71)의 공기유로를 따라 외가가 가열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는 외기가 실내온도보다 차가운 동절기 혹은 늦은 가을이나 초 봄 정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절기의 태양괘도는 집광랜즈(76)와 입사각이 어긋나 집광효율이 낮고 온실캡(75)내에 다소 데워진 외기는 전방급기부(71)의 전방흡기댐퍼(89)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전방급기필터(78)로 역류하여 빠져나갈 수밖에 없다.
전방유닛(70)의 전방배기부(91)는 전방배기홀부(93)와 그 내부에 장착된 전방배기팬(95)과 전방배기댐퍼(97) 및 전방배기부 방충망(9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전방배기홀부(93)는 전방유닛하우징(72)과는 수직결합하고 하방으로 개구됨으로서 외기의 풍압을 상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절기에 건물후방의 시원한 외기를 급기 하도록 전방배기팬(95)이 가동되면 닫혀있던 전방배기댐퍼(97)은 열리고 반면에 열려있던 전방급기댐퍼(89)는 닫히도록 제어부(150)가 제어를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유닛(70)과 후술할 연결소켓(60)으로 결합되는 기본유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덕트하우징(13)과 그 내부 상하로 형성된 분리벽체결부(15)로 구성된다. 그리고, 분리벽체결부(15)에는 열교환부(21)가 삽입 설치된다.
열교환부(21)은 덕트하우징(13)을 내측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분리벽(23)과,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열전달을 촉진하도록 분리벽(23)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전열플레이트(25)를 포함한다.
분리벽(23)은 덕트하우징(13)의 분리벽체결부(15)에 좌우 동형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삽입되며, 그 양면에 하나 이상의 전열플레이트(25)를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전열교환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환기시스템의 가동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분리벽(23)과 전열플레이트(25)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관을 형성하는 덕트하우징(13)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유닛(10)과 후술할 연결소켓(60)으로 결합되는 갤러리유닛(30)은 기본유닛(10)의 하단 면에 실내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갤러리(3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에, 갤러리유닛(30)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국소적 영역에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급기용 갤러리(33) 혹은 배기용 갤러리(33)을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연결소켓(60) 등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기본유닛(10) 및 갤러리유닛(3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곡선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엘보형덕트하우징(43)과, 엘보형덕트하우징(43)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보형분리벽(45)를 구비한 엘보형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엘보형유닛(40)은 본 발명의 일예로 90도 꺽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45도 등 다양항 형태로 꺽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엘보형분리벽(45)를 엘보형덕트하우징(43)의 내측에 마련된 엘보형분리벽체결부(47)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서,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다양한 형태로 곡선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기본유닛(10) 및 갤러리유닛(3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메인 공기유로에서 분기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분지덕트하우징(53)과, 분지덕트하우징(53)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분지유로부(55) 및 제2분지유로부(57)를 구비한 분지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지유닛(50)은 본 발명의 일예로 90도 꺽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45도 등 다양항 형태로 꺽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분지유로부(55)는 본 발명의 일예로 상측으로 점프하여 외측에 있는 공기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분지유로부(57)는 본 발명의 일예로 내측에 있는 공기유로와 덕트하우징(13)의 일측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분지유로부(55) 및 제2분지유로부(5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기 및 내기 유로와 각각 연결될 수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예로 건물의 거실에 기본유닛(10)이 설치되는 경우 분지유닛(50)을 사용하면 각 방으로 외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뿐만 아니라, 각 방의 내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급기부(101)과 후방배기부(121)을 포함한다.
후방급기부(101)은 외기를 덕트하우징(13)로 공급하도록 덕트하우징(13)과 결합된 후방급기하우징(103)과, 후방급기하우징(103)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시키도록 후방급기하우징(103)에 설치된 예냉전열부(105)를 포함한다. 후방급기부(101)은 후방급기하우징(103)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후방급기댐퍼(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급기부(101)은 후방급기하우징(103) 내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후방급기필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급기부(101)은 후방급기하우징(103)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모기나 파리 등의 곤충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후방급기방충망(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냉전열부(105)는 유입된 외기의 냉각을 촉진하도록 후방급기하우징(103) 내에 배치된 냉각수전열관(107)과, 냉각수전열관(107)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 배출하는 냉각수공급관(111) 및 냉각수배출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냉각수공급관(111)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수도 배관으로 공급되는 상수도를 사용할 수 있다. 하절기의 경우 상수도의 물의 온도는 외기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냉각수전열관(107)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그 주위로 외기를 통과시키면 외기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냉각수전열관(107)은 코일스프링형상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 혹은 복수개로 병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예로 예냉전열부(105)는 냉각효과를 더 촉진시키기 위하여 냉각수전열관(107)에 복수개로 장착된 판형상의 냉각수전열판(10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냉각수공급관(111)으로 들어온 상수도의 낮은 온도의 물은 냉각수전열관(107)으로 유입되어 냉각수전열관(107) 및 냉각수전열판(108)을 냉각시키면 후방급기부(101)로 유입되는 더운 외기가 냉각수전열관(107) 및 냉각수전열판(108)의 주변을 통과하면서 냉각되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배출관(113)을 통하여 흘러나가 물은 세탁기 공급수나 화장실의 세정수탱크 혹은 외부의 화분관리용 용수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가 있다.
후방배기부(121)는 후방배기하우징(123)내에 후방배기팬(125)을 장착하고 그 내부에 후방배기댐퍼(127)을 구비한다. 후방배기부(121)는 후방배기하우징(123)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모기나 파리 등의 곤충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후방배기방충망(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절기에 후방배기팬(125)을 가동하면 전방유닛(70)의 온실캡(73)에서 예열된 외기가 실내의 급기용 갤러리(33)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는 배기용 갤러리(33)을 통하여 덕트내부로 흡입되고 배기유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후방유닛(70)의 예냉전열부(105)와 대응하는 전방유닛(70)의 전방배기부(91)는 전방배기홀부(93) 내에 전방배기팬(95)을 장착하고 그 내부에 전방배기댐퍼(97)을 구비한다. 하절기에 전방배기팬(95)이 가동되면 후방유닛(100)의 예냉전열부(105)에서 식혀진 시원한 외기가 실내의 급기용 갤러리(33)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게 되며 오염된 실내공기는 배기용 갤러리(33)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에서는 신선한 외기의 대류가 일어나도록 전방 또는 후방의 배기팬(95, 125)을 가동하면 이와 연동하는 전방 또는 후방배기댐퍼(97, 127)은 자동으로 열리고 이와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급기부(71, 101)의 전방 또는 후방급기댐퍼(97, 127)는 닫히게 제어부(150)가 제어를 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복수의 기본유닛(10) 및 갤러리유닛(30) 사이에 설치되어 덕트하우징(13)의 단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하우징체결부(61)와, 분리벽(23)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벽체결부(63)를 구비한 연결소켓(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소켓(60)은 발 발명의 일예로 기본유닛(10) 및 갤러리유닛(30) 사이뿐만 아니라 기본유닛(10), 갤러리유닛(30), 엘보형유닛(40), 분지유닛(50), 전방유닛(70) 및 후방유닛(100) 등 모든 유닛들 상호간의 결합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소켓(6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유닛(10), 갤러리유닛(30), 엘보형유닛(40), 분지유닛(50), 전방유닛(70) 및 후방유닛(100)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로 마련되어 다른 유닛과의 결합에 사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1)은 외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40)와, 온도센서(140)의 측정값을 기초로 전방배기팬(95) 및 후방배기팬(125)를 제어하는 제어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은 온도센서(140)의 측정값이 제1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후방배기팬(125)을 구동하며, 온도센서(140)의 측정값이 제1설정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전방배기팬(95)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실내공기의 오염도센스(145)의 정보에 의하여 환기의 필요성이 인지되면 전방배기팬(95) 혹은 후방배기팬(125)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외기온도를 중심으로 봄??가을 비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는 온도설정프로그램, 예를 들어 낮은 외기온도인 제1설정온도를 15~20℃(15℃ 이하는 동절기)로 설정하고, 높은 외기온도인 제2설정온도를 20~25℃(25℃ 이상은 하절기)로 설정해 두면 하절기 혹은 동절기에 외기온도의 특성에 따라 건물의 전방배기팬(95) 혹은 후방배기팬(125)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하게 되고 선택된 배기팬의 반대편에 위치한 유닛의 급기댐퍼가 개방되어 외기가 냉각 혹은 예열되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봄가을에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냉난방으로 실내열원의 보전이 필요하여 실내의 기밀성이 높아지는 25℃이상의 하절기나 15℃이하의 동절기에 가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꼭 필요한 전력만 소비하는 조립식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온도는 사용자의 판단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9 도시된 도면부호 중 일부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의 도면부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10 : 기본유닛 13 : 덕트하우징
21 : 열교환부 23 : 분리벽
25 : 전열플레이트 30 : 갤러리유닛
40 : 엘보형유닛 50 : 분지유닛
60 : 연결소켓 70 : 전방유닛
71 : 전방급기부 73 : 온실캡
79: 전방급기댐퍼 81 : 예열전열부
91 : 전방배기부 95 : 전방배기팬
100 : 후방유닛 101 : 후방급기부
105 : 예냉전열부 121 : 후방배기부
125 : 후방배기팬 140 : 온도센서

Claims (10)

  1.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하우징과,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전열 교환을 하기위한 열교환부를 구비한 복수의 기본유닛;
    상기 복수의 기본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내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배출하기 위한 갤러리가 형성된 갤러리유닛;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전방배기팬이 설치된 전방배기부를 구비한 전방유닛; 및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후방급기부와, 상기 덕트하우징과 연결되어 내기를 방출하도록 후방배기팬이 설치된 후방배기부를 구비한 후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덕트하우징과 결합된 전방유닛하우징과, 상기 전방유닛하우징과 연결되어 외기를 예열하여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전방유닛하우징에 결합된 온실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덕트하우징을 내측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분리벽과,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열전달을 촉진하도록 상기 분리벽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곡선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엘보형덕트하우징과, 상기 엘보형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엘보형분리벽을 구비한 엘보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메인 공기유로에서 분기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분지덕트하우징과, 상기 분지덕트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기 유로 및 내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분지유로부 및 제2분지유로부를 구비한 분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본유닛 및 상기 갤러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하우징의 단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하우징체결부와, 상기 분리벽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벽체결부를 구비한 연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전방유닛하우징과 상기 온실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온실캡에 의해 가열되어 외기를 예열하는 예열전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급기부는 상기 예열전열부를 태양광을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상기 온실캡에 설치된 집광랜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급기부는 외기를 상기 덕트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덕트하우징과 결합된 후방급기하우징과, 상기 후방급기하우징으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후방급기하우징에 설치된 예냉전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냉전열부는 유입된 외기의 냉각을 촉진하도록 상기 후방급기하우징 내에 배치된 냉각수전열관과, 상기 냉각수전열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 배출하는 냉각수공급관 및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외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전방배기팬 및 상기 후방배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1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후방배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제1설정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전방배기팬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KR1020170087949A 2017-07-11 2017-07-11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98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49A KR101982136B1 (ko) 2017-07-11 2017-07-11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49A KR101982136B1 (ko) 2017-07-11 2017-07-11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39A true KR20190007139A (ko) 2019-01-22
KR101982136B1 KR101982136B1 (ko) 2019-05-27

Family

ID=6532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9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2136B1 (ko) 2017-07-11 2017-07-11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671A (ko) * 2019-08-08 2021-02-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로터리형 열교환 여과부가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CN113280433A (zh) * 2021-05-17 2021-08-20 东北石油大学 一种能够双向通风的含纳米颗粒石蜡的通风管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2349B1 (ko) * 2022-12-09 2025-02-21 나명환 농업용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160A (ko) * 1999-09-03 2001-04-06 천영신 통합 냉방 및 환기시스템
KR100506405B1 (ko) 2002-08-08 2005-08-11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KR20090022061A (ko) * 2007-08-29 2009-03-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 및 그 공조시스템을 이용한공조방법
KR20100027105A (ko) 2007-07-03 2010-03-10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색표 장치
KR20100134252A (ko) * 2009-06-15 2010-12-23 금호산업주식회사 에너지절약형 외피시스템
KR20110050124A (ko)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근옥 열교환 환기장치
KR101293852B1 (ko) 2010-04-05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160A (ko) * 1999-09-03 2001-04-06 천영신 통합 냉방 및 환기시스템
KR100506405B1 (ko) 2002-08-08 2005-08-11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KR20100027105A (ko) 2007-07-03 2010-03-10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색표 장치
KR20090022061A (ko) * 2007-08-29 2009-03-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 및 그 공조시스템을 이용한공조방법
KR20100134252A (ko) * 2009-06-15 2010-12-23 금호산업주식회사 에너지절약형 외피시스템
KR20110050124A (ko)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근옥 열교환 환기장치
KR101293852B1 (ko) 2010-04-05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671A (ko) * 2019-08-08 2021-02-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로터리형 열교환 여과부가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CN113280433A (zh) * 2021-05-17 2021-08-20 东北石油大学 一种能够双向通风的含纳米颗粒石蜡的通风管道
CN113280433B (zh) * 2021-05-17 2022-05-17 东北石油大学 一种能够双向通风的含纳米颗粒石蜡的通风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136B1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5691B1 (en) Window having a ventilation equipment
CN204534952U (zh) 一种通风装置
KR101030930B1 (ko) 창호 냉난방 자동제어 에어커튼 환기 시스템
KR101982136B1 (ko) 조립식 듀얼덕트 환기시스템
CN103307696A (zh) 节能型窗台嵌入式空气换气机
CN103335361A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1941574B1 (ko) 결로방지용 폐열 회수 환기장치
CN106152329A (zh) 太阳能保温窗及节能通风空调系统
CN108442592A (zh) 一种通风遮阳板及具有通风和遮阳功能的玻璃幕墙
CN108193994A (zh) 一种多功能双层玻璃通风窗
KR20210051675A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2173317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열회수 시스템
CN112324087A (zh) 一种具有高层自动通风及温度调控结构的市政建筑
WO2012013132A1 (zh) 含环形风机的空气集流罩式吸油烟机或空调吸油烟机
CN107289563A (zh) 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ES2971620T3 (es) Sistema climático de ventilación y método para controlar un sistema climático de ventilación
KR101004640B1 (ko) 실내환기용 전열교환장치
JP6414781B2 (ja) 除湿吸排気ユニット、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及び除湿吸排気方法
CN210113904U (zh) 一种猪舍用微正压通风系统
CN208486415U (zh) 一种通风遮阳板及具有通风和遮阳功能的玻璃幕墙
KR101895355B1 (ko)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20170133683A (ko) 폐열 회수 환기장치
CN106247523A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系统
KR101379850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CN202598700U (zh) 一种高速公路收费亭个性化环境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