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69A - 복합바늘 - Google Patents

복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69A
KR20190005769A KR1020180078092A KR20180078092A KR20190005769A KR 20190005769 A KR20190005769 A KR 20190005769A KR 1020180078092 A KR1020180078092 A KR 1020180078092A KR 20180078092 A KR20180078092 A KR 20180078092A KR 20190005769 A KR20190005769 A KR 2019000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roove
slider groove
needle
dischar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232B1 (ko
Inventor
겐지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0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슬라이더 홈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려운 복합바늘을 제공한다.
(해결수단)선단에 형성되는 훅(20) 및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21)을 갖는 바늘본체(2)와, 슬라이더 홈(21)에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끼워져서 훅(20)을 개폐하는 슬라이더(3)를 구비하는 복합바늘(1)에 있어서, 슬라이더 홈(21) 중에서 슬라이더(3)의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측의 부분과 연통되고 바늘본체(2)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창(4)을 구비하고, 쓰레기 배출창(4)은, 슬라이더(3)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 슬라이더(3)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의 후단을 수납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복합바늘{COMPOUND NEEDLE}
본 발명은, 바늘본체와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에 사용되는 편침(編針)으로서, 훅(hook)을 갖는 바늘본체와,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합시킨 복합바늘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이 복합바늘에서는, 바늘본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slider groove)에, 슬라이더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복합바늘에서는, 먼지나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실밥 등의 쓰레기가 슬라이더 홈에 쌓이기 쉽다. 슬라이더 홈에 쓰레기가 쌓이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가 저해되어, 훅이 끝까지 열리지 않거나, 스티치(stitch)의 형성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특허문헌1에서는,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 길이의 반 이상에 이르는 구멍(클리어부(clear部))을 형성하여, 슬라이더 홈으로부터 쓰레기를 제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 일본국 특허 제5618778호 공보
특허문헌1에서는,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 길이의 반 이상에 이르는 큰 구멍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본체의 두께방향의 강도가 낮다. 특히 파인게이지(fine gauge)의 횡편기에서는 복합바늘의 두께가 1mm 이하로 되는 경우도 있어, 특허문헌1의 복합바늘에서는 강도가 부족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슬라이더 홈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려운 복합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바늘은,
선단에 형성되는 훅 및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을 갖는 바늘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홈에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끼워져서 상기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홈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측의 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창을 구비하고,
상기 쓰레기 배출창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 상기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의 후단을 수납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복합바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쓰레기 배출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 홈보다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측의 중실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쓰레기 배출창 중의 상기 중실부분에 형성된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면과 하측 가장자리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 홈으로부터의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의 부상을 억제하는 결합부를 갖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바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바닥부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 홈의 연신방향의 중간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하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쓰레기 배출구멍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개구길이는, 상기 슬라이더 홈의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의 1/30 이상 1/5 이하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복합바늘은, 파인게이지의 횡편기에 사용하는 데에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다. 그것은, 쓰레기 배출창이 슬라이더 홈의 후단부의 극히 일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복합바늘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왕복에 의하여 슬라이더 홈으로부터 쓰레기 배출창으로 쓰레기가 압출되기 쉽고, 더구나 복합바늘의 길이방향 후방측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홈 사이에 쓰레기가 쌓이지 않는다. 쓰레기 배출창으로부터 쓰레기가 압출되기 쉬운 것은, 쓰레기 배출창이, 슬라이더가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부분의 후단을 수납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쓰레기 배출창이 이러한 형상이면, 슬라이더가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도, 쓰레기 배출창과 슬라이더 후단의 사이에 쓰레기를 배출할 여지가 있어, 쓰레기 배출창으로부터 쓰레기가 배출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복합바늘에 의하면, 복합바늘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홈의 사이에 쓰레기가 쌓여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더 홈으로부터 부상하거나, 복합바늘의 길이방향(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홈의 사이에 쓰레기가 쌓여서 슬라이더가 끝까지 후퇴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결합부가 쓰레기 배출창의 상측 가장자리면과 하측 가장자리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멈추게 됨으로써, 슬라이더 홈으로부터의 슬라이더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의 선단부가 슬라이더 홈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편성동작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 홈의 중간부에 소정 길이 이하의 쓰레기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더 홈의 선단측의 부분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렵다. 그 결과,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와 슬라이더의 하단면의 사이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려워서, 슬라이더의 선단부가 슬라이더 홈의 상방으로 돌출되기 어려워진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복합바늘의 부분 구성도로서, (A)는 바늘본체와 슬라이더의 분해도이고, (B)는 바늘본체의 훅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바늘본체의 훅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있어서, (Ⅰ)은 도1(C)의 Ⅰ-Ⅰ 단면도, (Ⅱ)는 도1(C)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2에 관한 복합바늘의 부분 구성도로서, (A)는 바늘본체와 슬라이더의 분해도이고, (B)는 바늘본체의 훅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바늘본체의 훅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Ⅰ)은 도3(C)의 Ⅰ-Ⅰ 단면도, (Ⅱ)는 도3(C)의 Ⅱ-Ⅱ 단면도, (Ⅲ)은 도3(C)의 Ⅲ-Ⅲ 단면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 관한 복합바늘(compound needle)(1)을 도1,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상방 및 하방이 각각 복합바늘(1)의 전방 및 후방이고, 지면의 우측방향 및 좌측방향이 각각 복합바늘(1)의 하방 및 상방이며, 지면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이 복합바늘(1)의 두께방향이다. 도1(C)의 단면도인 도2에서는, 지면의 앞쪽 및 안쪽이 각각 복합바늘(1)의 전방 및 후방이고, 지면의 우측방향 및 좌측방향이 각각 복합바늘(1)의 하방 및 상방이며, 지면의 상하방향이 복합바늘(1)의 두께방향이다.
복합바늘(1)은,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hook)(20)을 갖는 바늘본체(2)와, 바늘본체(2)에 대하여 슬라이드(slide)될 수 있도록 조합되는 슬라이더(slider)(3)를 구비한다. 본 예의 복합바늘(1)에 구비되는 슬라이더(3)는, 그 선단(先端)에 병렬되는 2매(枚)의 블레이드(blade)(31)를 구비한다. 복합바늘(1)은, 슬라이더의 선단에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복합바늘(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4-66941호 공보를 참조)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예의 복합바늘(1)은, 2베드(2bed)의 횡편기(橫編機)에도, 4베드의 횡편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예의 복합바늘(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늘본체≫
바늘본체(2)는, 그 선단측의 상면에 슬라이더 홈(slider groove)(21)을 구비한다. 슬라이더 홈(21)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의 블레이드(31)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끼워진다(도1(B), (C), 도2(Ⅰ), (Ⅱ)를 참조). 슬라이더 홈(21)은, 바늘본체(2)의 상면을 커터로 깎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홈(21)은, 1쌍의 벽부(壁部)(21w)(도2(Ⅰ)을 참조)와, 양 벽부(21w)의 하방을 연결하는 바닥부(2lb)와, 바늘본체(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후방측의 벽면인 후단면(後端面)(21s)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여기에서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는, 슬라이더 홈(21) 중에서 도1(B)부터 도1(C)의 범위에서 슬라이더(3)가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슬라이더(3)의 하단면(下端面)(본 예에서는 블레이드(31)의 하단면)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도1(A)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슬라이더 홈(21)의 윤곽선 중에서, 치수선으로 지시하는 길이(L)의 부분이 바닥부(2lb)이고, 후술하는 쓰레기 배출창(4)보다 바늘본체(2)의 후방측의 부분은 블레이드(31)의 하단면이 슬라이딩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슬라이더 홈(21)의 후단면(21s)이다.
본 예의 바늘본체(2)는,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의 후단(後端)측의 부분과 연통(連通)되고 바늘본체(2)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창(4)을 구비한다. 본 예의 쓰레기 배출창(4)은, 바늘본체(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다(도2(Ⅱ)를 함께 참조). 본 예의 쓰레기 배출창(4)은, 바닥부(2lb)의 후단 근방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진 대략 타원형상의 구멍으로서, 바늘본체(2)에 두께방향으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쓰레기 배출창(4)은, 도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가장 후퇴되었을 때에, 슬라이더(3)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부분의 후단을 수납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이 쓰레기 배출창(4)은, 바늘본체(2)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슬라이더 홈(21)이 형성되는 중공부분(中空部分)과 슬라이더 홈(21)이 형성되지 않는 중실부분(中實部分)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늘본체(2)에 구멍을 뚫을 때에 슬라이더 홈(21)이 찌부러지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물론, 바늘본체(2)에 구멍을 뚫어서 쓰레기 배출창(4)을 형성한 후에, 커터로 바늘본체(2)에 슬라이더 홈(21)을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쓰레기 배출창(4)이 중실부분에 포개지는 영역을 중공부분에 포개지는 영역보다 크게 하는 것이, 쓰레기 배출창(4)을 형성하는 용이성의 측면에서도, 바늘본체(2)의 강도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쓰레기 배출창(4)은, 바닥부(2lb)의 후단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바늘본체(2)의 중공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중실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前者)의 경우에, 쓰레기 배출창(4)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와 후단면(21s)에 하나의 면으로 연결되도록, 슬라이더 홈(21)의 1쌍의 벽부(21w)(도2(Ⅱ))의 일방 혹은 양방을 관통하는 쓰레기 배출창(4)을 형성한다. 후자(後者)의 경우에, 쓰레기 배출창(4)의 전방 가장자리부가,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와 후단면(21s)에 하나의 면으로 연결되도록, 바늘본체(2)의 중실부분에 쓰레기 배출창(4)을 형성한다.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 중에서 슬라이더 홈(21)의 연신방향(延伸方向)의 중간부의 위치에는, 바늘본체(2)의 하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도2(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쓰레기 배출구멍(5)의 위치에서는, 슬라이더 홈(21)은 병렬되는 1쌍의 벽부(21w, 21w)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쓰레기 배출구멍(5)의 크기(상기 연신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더(3)의 슬라이드 방향의 개구길이)는,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lb)의 길이(L)(치수선 참조)의 1/30 이상 1/5 이하로서, 벽부(21w, 21w)(도2(Ⅰ)을 참조)만으로 구성되는 부분은, 슬라이더 홈(21)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매우 짧다. 따라서 이 쓰레기 배출구멍(5)에 의하여 복합바늘(1)의 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의 쓰레기 배출구멍(5)의 크기는, 바닥부(2lb) 의 길이의 약 1/16 정도이다.
≪슬라이더≫
슬라이더(3)는, 복합바늘(1)의 진퇴방향(지면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부재이다. 슬라이더(3)는, 슬라이더 본체(30)와, 그 선단에 부착되는 2매의 블레이드(31)(도2를 함께 참조)를 구비한다. 그 블레이드(31)의 선단에는, 스티치(stitch)가 트랜스퍼(transfer)될 때에 스티치가 결합되는 텅(tongue)(31t)이 형성되어 있다.
2매의 블레이드(31)는, 도1(B),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복합바늘(1)의 두께방향(지면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다. 스티치가 트랜스퍼할 때에 2매의 블레이드(31)는, 도1(B)의 상태보다 지면의 상방으로 진출되어, 훅(20)을 사이에 두고 좌우(지면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로 분리된다.
≪훅의 개폐동작≫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본체(2)에 대하여 슬라이더(3)가 진출하면, 2매의 블레이드(31, 31)의 사이에 훅(20)의 선단부를 끼우고, 바늘본체(2)의 훅(20)이 닫힌다. 한편 도1(B)의 상태로부터 바늘본체(2)에 대하여 슬라이더(3)가 후퇴하면, 블레이드(31)의 하단면이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블레이드(31)도 슬라이더 홈(21) 내로 후퇴한다. 슬라이더(3)가 가장 후퇴하면, 바늘본체(2)와 슬라이더(3)는 도1(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관계가 된다. 본 예의 복합바늘(1)에서는, 바늘본체(2)에 형성되는 오목모양의 결합부(29)와, 슬라이더(3)에 형성되는 볼록모양의 결합부(39)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3)의 후퇴의 한계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슬라이더(3)의 후퇴에 있어서, 블레이드(31)의 하단면과 바닥부(2lb)의 사이에 끼인 쓰레기는, 블레이드(31)에 의하여 바닥부(2lb)로부터 압출되어 쓰레기 배출구멍(5)으로 인도됨으로써 바늘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 홈(21)에 있어서의 쓰레기 배출구멍(5)보다 선단측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렵게 되어, 당해 부분에 쓰레기가 퇴적됨으로써 슬라이더(3)의 텅(31t)이 슬라이더 홈(2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텅(31t)이 슬라이더 홈(21)의 상방으로 돌출되면, 편성 시에 슬라이더 홈(21)으로부터 돌출된 텅(31t)에 스티치가 걸려서, 편성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쓰레기 배출구멍(5)으로 배출된 쓰레기나, 슬라이더 홈(21)에 있어서의 쓰레기 배출구멍(5)보다 후방의 부분에 쌓인 쓰레기는, 블레이드(31)에 의하여 바닥부(2lb)로부터 압출되어 쓰레기 배출창(4)으로 인도됨으로써, 바늘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블레이드(31) 중에서 슬라이더 홈(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후단부는, 둥근 모양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슬라이더(3)가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 그 둥근 형상의 후단부의 일부가 쓰레기 배출창(4)으로 돌출되어 있다. 더구나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의 후단 근방의 부분은, 블레이드(31)의 둥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바닥부(2lb)로부터 쓰레기가 압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합바늘(1)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와 슬라이더 홈(21)의 사이에 쓰레기가 쌓여서, 슬라이더(3)가 슬라이더 홈(21)으로부터 부상하거나, 복합바늘(1)의 길이방향 후방측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와 슬라이더 홈(21)의 사이에 쓰레기가 쌓여서, 슬라이더(3)가 끝까지 후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실시형태1과는 다른 구성을 구비하는 복합바늘(1)을 도3,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 도4를 보는 방법은 실시형태1의 도1, 도2와 동일하며, 도3, 도4에서는 실시형태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실시형태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본 예의 바늘본체(2)와 실시형태1의 바늘본체(2)의 주된 차이점은, 바늘본체(2)에 구비되는 쓰레기 배출창(4)의 형상에 있다. 본 예의 쓰레기 배출창(4)은, 그 일부가 슬라이더 홈(21)보다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측의 중실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쓰레기 배출창(4) 중에서 중실부분에 형성된 부분에는 상측 가장자리면(40)과 하측 가장자리면(41)이 형성된다. 이 쓰레기 배출창(4)은, 바늘본체(2)의 연신방향과 대략 평행한 하측 가장자리면(41)을 구비하는 대략 부등변삼각형(不等邊三角形) 모양으로 되어 있다. 쓰레기 배출창(4)의 상측 가장자리면(40)은, 바늘본체(2)의 선단측(도3의 지면의 상방측)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 가장자리면(41)을 향하여 내려가는 상측 가장자리 전방부(4f)와, 바늘본체(2)의 후단측(도3의 지면의 하방측)을 향함과 아울러 하측 가장자리면(41)을 향하여 내려가는 상측 가장자리 후방부(4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슬라이더(3)와 실시형태1의 슬라이더(3)의 주된 차이점은, 각 블레이드(31)에 결합부(31p)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도4(Ⅲ)을 함께 참조). 결합부(31p)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쓰레기 배출창(4)의 하측 가장자리면(41)과 상측 가장자리 후방부(4b)를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가 최심부(最深部)까지 후퇴하였을 때에, 쓰레기 배출창(4)에 결합부(31p)가 수납된다. 상측 가장자리 후방부(4b) 중에서 상측 가장자리 전방부(4f)와 연결되는 부분의 경사는, 그 다른 부분의 경사보다 급하게 되어 있다. 이 경사부분이 슬라이더(3)의 결합부(31p)에 결합되어 슬라이더(3)를 쓰레기 배출창(4)으로 안내함으로써, 슬라이더 홈(21)의 하방으로 슬라이더(3)를 가라앉게 힌다.
블레이드(31)의 결합부(31p)는, 쓰레기 배출창(4)의 상측 가장자리면(40)에 접촉되어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측으로 내려지고, 그 결과 슬라이더(3)의 선단도 내려진다. 이때에 그 접촉부에도 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측(도3의 지면 상측)의 바닥부(2lb)에 쓰레기가 있어, 슬라이더(3)의 선단이 부상(浮上)되려고 한다. 이번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접촉부에서도 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측에서 결합부(31p)의 후단측이 쓰레기 배출창(4)의 하측 가장자리면(41)에 접촉되어, 슬라이더 홈(21)으로부터의 슬라이더(3)의 선단의 부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1의 구성보다, 슬라이더(3)의 선단에 형성되는 텅(31t)이 슬라이더 홈(2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예의 구성에 의해서도, 슬라이더 홈(21)의 바닥부(2lb)의 후단측의 부분과 연통되는 쓰레기 배출창(4)으로부터 쓰레기가 배출되기 쉬워서, 슬라이더 홈(21)에 대한 쓰레기의 퇴적에 따른 슬라이더(3)의 동작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결합부(31p)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되어 있어, 슬라이더 홈(21)으로부터 쓰레기를 압출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홈(21)에 대한 쓰레기의 퇴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1 : 복합바늘
2 : 바늘본체
20 : 훅
21 : 슬라이더 홈
2lb : 바닥부
21s : 후단면
21w : 벽부
29 : 오목모양의 결합부
3 : 슬라이더
30 : 슬라이더 본체
31 : 블레이드
31t : 텅
31p : 결합부
39 : 볼록모양의 결합부
4 : 쓰레기 배출창
40 : 상측 가장자리면
41 : 하측 가장자리면
4f : 상측 가장자리 전방부
4b : 상측 가장자리 후방부
5 : 쓰레기 배출구멍

Claims (3)

  1.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훅(hook) 및 상단면(上端面)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slider groove)을 갖는 바늘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홈에 슬라이드(slide)될 수 있도록 끼워져서 상기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홈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後端)측의 부분과 연통(連通)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창을 구비하고,
    상기 쓰레기 배출창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가장 후퇴하였을 때에, 상기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더 홈의 바닥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의 후단을 수납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복합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배출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 홈보다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후단측의 중실부분(中實部分)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쓰레기 배출창 중의 상기 중실부분에 형성된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면과 하측 가장자리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 홈으로부터의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의 부상(浮上)을 억제하는 결합부를 갖는 복합바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 홈의 연신방향(延伸方向)의 중간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바늘본체의 하면으로 개구되는 쓰레기 배출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쓰레기 배출구멍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개구길이는, 상기 슬라이더 홈의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의 1/30 이상 1/5 이하인 복합바늘.
KR1020180078092A 2017-07-07 2018-07-05 복합바늘 KR102069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4115 2017-07-07
JP2017134115A JP6692325B2 (ja) 2017-07-07 2017-07-07 複合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69A true KR20190005769A (ko) 2019-01-16
KR102069232B1 KR102069232B1 (ko) 2020-01-22

Family

ID=6287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92A KR102069232B1 (ko) 2017-07-07 2018-07-05 복합바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25097B1 (ko)
JP (1) JP6692325B2 (ko)
KR (1) KR102069232B1 (ko)
CN (1) CN109208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4557B2 (ja) * 2019-03-26 2023-0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用の針床洗浄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78A (en) 1979-07-25 1981-02-21 Toshiba Corp Ultrasonic image apparatus
JPS6223884U (ko) * 1985-07-30 1987-02-13
JPS62148592U (ko) * 1986-03-12 1987-09-19
JPS62148591U (ko) * 1986-03-12 1987-09-19
JPS62148585U (ko) * 1986-03-11 1987-09-19
JPS62148593U (ko) * 1986-03-12 1987-09-19
JP2012112059A (ja) * 2010-11-22 2012-06-1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複合針
KR20130039695A (ko) * 2011-10-12 2013-04-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개선된 슬라이더를 갖는 슬라이더 니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277A (en) 1978-09-22 1980-03-27 Mazda Motor Corp Suction device of engine
JPS62148587U (ko) * 1986-03-12 1987-09-19
JPH0466941A (ja) 1990-07-03 1992-03-03 Brother Ind Ltd 顕色剤塗布装置
KR100906752B1 (ko) * 2001-08-24 2009-07-0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기의 복합침
JP3703797B2 (ja) * 2002-11-27 2005-10-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目抑止板
DE10341630B4 (de) * 2003-09-10 2006-11-16 Groz-Beckert Kg Zungennadel
JP5875347B2 (ja) * 2011-11-30 2016-03-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CN102535000B (zh) * 2011-12-20 2013-12-11 常州思成凯业精密制针有限公司 防尘舌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78A (en) 1979-07-25 1981-02-21 Toshiba Corp Ultrasonic image apparatus
JPS6223884U (ko) * 1985-07-30 1987-02-13
JPS62148585U (ko) * 1986-03-11 1987-09-19
JPS62148592U (ko) * 1986-03-12 1987-09-19
JPS62148591U (ko) * 1986-03-12 1987-09-19
JPS62148593U (ko) * 1986-03-12 1987-09-19
JP2012112059A (ja) * 2010-11-22 2012-06-1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複合針
KR20130039695A (ko) * 2011-10-12 2013-04-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개선된 슬라이더를 갖는 슬라이더 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08168A (zh) 2019-01-15
EP3425097A2 (en) 2019-01-09
EP3425097B1 (en) 2020-04-15
CN109208168B (zh) 2020-08-25
KR102069232B1 (ko) 2020-01-22
JP6692325B2 (ja) 2020-05-13
EP3425097A3 (en) 2019-02-13
JP2019015001A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378B1 (ko) 싱커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KR20190005769A (ko) 복합바늘
JP3983737B2 (ja) 編機の複合針
EP2397589B1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JPH0765259B2 (ja) 編み機の複合針
JP4336305B2 (ja) 複合カムシステム
KR100585262B1 (ko) 복합바늘
EP2458052B1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US2111476A (en) Stitch transfer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EP2415917B1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KR20130061057A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JP5632277B2 (ja) 横編機の複合針
KR102168784B1 (ko) 복합바늘
JP2014196586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0908799B1 (ko) 스티치 형성 섬유 기계용 래치형 바늘
EP2551393B1 (en) Complex needle, weft knitting machine
KR102366041B1 (ko) 횡편기
CN210818720U (zh) 一种可升降伸缩的防护门装置
JPWO2010010681A1 (ja) 編針駆動用カムおよび横編機
US1121287A (en) Knitting-machine needle.
KR102454066B1 (ko) 횡편기
CN218436120U (zh) 横编机的线圈压片床
EP2458051A2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JP2015025229A (ja) 横編機の複合針
CN106564072B (zh) 一种从美工刀前端换刀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