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967A - Belt conveyor - Google Patents
Belt convey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6967A KR20180126967A KR1020170062163A KR20170062163A KR20180126967A KR 20180126967 A KR20180126967 A KR 20180126967A KR 1020170062163 A KR1020170062163 A KR 1020170062163A KR 20170062163 A KR20170062163 A KR 20170062163A KR 20180126967 A KR20180126967 A KR 201801269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elt
- roller
- conveyor
- conveyance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이송벨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에 접하면서 회전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고정지지부 및 고정지지부와 함께 이송벨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무게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벨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belt conveyor is disclosed. The bel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tionary support portion having a roller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conveyor belt and rotates while contacting with the conveyor belt, and a stationary support portion which is disposed below the conveyor belt, And a variable supporting portion which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ance bel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을 운반하지 않는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접하면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는,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구동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부재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된다.Generally, a belt conveyor is a device for conveying a large amount of conveyed matter by a belt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and is mainly used for a conveying device and an automation line. Belt conveyors are also used in the steel industry to transport raw materials such as iron ore and coal. Drive roll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lt member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goods, and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are provided below the belt member located between the drive roller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118014 (published on November 11, 2010, entitled "Belt Convey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물을 운반하지 않는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접하면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lt conveyor capable of preventing a phenomenon of abrasion of a conveyance belt that does not convey a conveyed object while contacting the conveyanc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는: 이송벨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에 접하면서 회전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고정지지부 및 고정지지부와 함께 이송벨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무게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벨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l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support portion having a roller disposed below the conveyor belt and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conveyor belt; and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veyor belt, And a variable support portion which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ance belt.
또한 고정지지부는,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롤러 및 제1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rolle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and a first frame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또한 가변지지부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롤러와, 제2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프레임의 직선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rollers, a pair of second roller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a pair of second frames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roller, A guid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and an elastic pressing part moving the guide part by an elastic force.
또한 제2프레임은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frame is crossed in an "X" shape.
또한 가이드부는, 제2프레임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바를 따라 직선 이동되며 제2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bar extending horizontally below the second frame, and a moving block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또한 탄성가압부는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탄성가압부의 양측은 이동블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 tension coil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는, 이송물을 운반하지 않는 이송벨트가 가변지지부에 의해 부상되어 고정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송벨트와 고정지지부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bel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ducing wear of the conveyance belt and the fixed support by keeping the conveyance belt that is not conveyed by the conveyed object floating by the variable support portion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xed support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가 가변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에 있는 이송물의 무게에 의해 제2롤러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elt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ance belt is supported by the variab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ller is mov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anc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elt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가 가변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에 있는 이송물의 무게에 의해 제2롤러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elt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variab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ance belt is supported by a variab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ller is mov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conveyed article on the conveyance bel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1)는, 이송벨트(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10)에 접하면서 회전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고정지지부(30) 및 고정지지부(30)와 함께 이송벨트(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1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20)의 무게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벨트(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변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원료와 같은 이송물(20)은 벨트컨베이어(1)의 이송벨트(10)를 통해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1)의 이송벨트(1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며, 이송벨트(10)의 하부에는 복수의 고정지지부(30)가 설치되어 이송벨트(10)의 하부를 지지한다.A
고정지지부(30)의 사이에는 설정된 개수의 가변지지부(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벨트컨베이어(1)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부(12)가 구비되며, 고정지지부(30)와 가변지지부(40)는 프레임부(12)에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1)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2)와 이송물(20)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1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etween the
고정지지부(30)는 이송벨트(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10)에 접하면서 회전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지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30)는 제1롤러(32)와 제1프레임(34)을 포함한다.Various types of supporting devices may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제1롤러(32)는 이송벨트(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이송벨트(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The
제1프레임(34)은 프레임부(12)에 고정되며, 제1롤러(3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가변지지부(40)는 고정지지부(30)와 함께 이송벨트(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1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20)의 무게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벨트(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40)는 제2롤러(42)와 제2프레임(44)과 연결축부재(46)와 가이드부(50)와 탄성가압부(60)와 지지프레임(70)을 포함한다.The
제2롤러(42)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이송벨트(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2개의 제2롤러(42)는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10)의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롤러(42)는 이송벨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한 쌍의 제2프레임(44)은 제2롤러(4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44)은 "X"자 형상으로 교차되며, 제2프레임(44)의 상측에는 제2롤러(4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프레임(44)의 하측은 가이드부(50)의 이동블럭(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pair of second frames (44) rotatably support both sides of the second roller (42). The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제2프레임(44)은 제2롤러(42)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2프레임(44)이 교차되는 부분을 관통하며 연결축부재(46)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축부재(46)는 봉 형상이며, 제2프레임(44)이 교차되는 부분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The
가이드부(50)는 제2프레임(4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프레임(44)의 직선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0)는 가이드바(52)와 이동블럭(54)을 포함한다.The
가이드바(52)는 제2프레임(44)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바(52)는 제2프레임(44)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송벨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바(52)는 봉 형상이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바(52)의 양측은 지지프레임(70)에 고정되며, 이동블럭(54)은 가이드바(5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The
이동블럭(54)은 가이드바(52)를 따라 직선 이동되며, 제2프레임(4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럭(54)은 제2프레임(44)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블럭 형상이다. 이동블럭(54)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제2프레임(44)의 하단과 힌지 연결되며, 가이드바(52)는 이동블럭(54)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된다. 제2프레임(44)의 하단이 힌지 연결되는 이동블럭(54)은 2개이며, 제2롤러(42)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moving
탄성가압부(60)는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50)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60)는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탄성가압부(60)의 양측은 이동블럭(54)에 연결된다. 탄성가압부(60)는 2개 이상 복수로 구비되며 탄성가압부(60)의 양측은 서로 마주하는 이동블럭(54)의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가압부(60)는 2개의 이동블럭(5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elastic pressing portion (60) moves the guide portion (50) by the elastic force. The elastic
지지프레임(70)은 제2프레임(44)에 연결된 연결축부재(4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가이드바(52)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70)은 고정부(72)와 이동안내부(74)를 포함한다.The
고정부(72)는 가이드바(52)의 양측을 지지하며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고정부(72)는 제2프레임(4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부(72)의 하측은 프레임부(12)에 고정된다.The
고정부(72)를 연결하는 이동안내부(74)는 패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동안내부(74)의 양측은 고정부(72)에 고정되며, 이송벨트(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안내부(74)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안내홀(76)이 형성된다. 연결축부재(46)는 이동안내부(74)의 안내홀(76)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4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롤러(42)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연결축부재(46)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10)를 따라 이송물(20)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 탄성가압부(60)가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럭(54)을 당기므로 이동블럭(54)은 가이드바(52)를 따라 이동된다.4, when the conveyed
따라서 이동블럭(54) 사이의 간격이 좁하지며, 이로 인하여 제2프레임(44)도 연결축부재(4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롤러(42)의 높이가 제1롤러(32)의 높이보다 높아진다.The
따라서 제2롤러(42)가 이송벨트(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므로 이송벨트(10)는 제1롤러(32)와 이격된 상태로 이동된다.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제2롤러(42)는 이송벨트(10)의 길이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20)이 이송벨트(10)를 따라 이동되므로 제2롤러(42)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탄성가압부(60)의 탄성력보다 크면, 이동블럭(54)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5, when the force to press the
이동블럭(54)의 이동으로 제2프레임(44)도 연결축부재(46)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연결축부재(46)와 제2롤러(42)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2롤러(42)는 제1롤러(32)와 같은 높이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제1롤러(32)와 함께 이송벨트(10)의 하부를 지지한다.The
따라서 이송물(20)을 운반하는 이송벨트(10)는 제1롤러(32)와 제2롤러(42)에 의해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refo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물(20)을 운반하지 않는 이송벨트(10)가 가변지지부(40)에 의해 부상되어 고정지지부(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송벨트(10)와 고정지지부(3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벨트컨베이어
10: 이송벨트
12: 프레임부
20: 이송물
30: 고정지지부
32: 제1롤러
34: 제1프레임
40: 가변지지부
42: 제2롤러
44: 제2프레임
46: 연결축부재
50: 가이드부
52: 가이드바
54: 이동블럭
60: 탄성가압부
70: 지지프레임
72: 고정부
74: 이동안내부
76: 안내홀1: Belt conveyor 10: Feed belt
12: frame part 20: conveyed object
30: fixed support portion 32: first roller
34: first frame 40: variable support
42: second roller 44: second frame
46: connecting shaft member 50: guide portion
52: Guide bar 54: Moving block
60: Elastic pressing portion 70: Support frame
72: Fixing portion 74: Movement guide portion
76: Guide hole
Claims (6)
상기 고정지지부와 함께 상기 이송벨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무게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A stationary supporter positioned below the conveyor belt and having a roller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conveyor belt; And
And a variable suppor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below the conveying belt together with the fixed support portion and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nveyed matter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belt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ance belt. conveyor.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ionary support includes: a first roller install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And
And a first frame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상기 가변지지부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롤러;
상기 제2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직선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ariable supporting portion comprises: a pair of second rollers, each pair of which is provid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A pair of second frames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roller;
A guid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And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for moving the guide portion by an elastic force.
상기 제2프레임은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The method of claim 3,
Said second frame intersecting in an "X" shape.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직선 이동되며, 상기 제2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bar extending horizontally below the second frame; And
And a moving block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상기 탄성가압부는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의 양측은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is a tension coil spring, and both sides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163A KR101938065B1 (en) | 2017-05-19 | 2017-05-19 | Belt convey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163A KR101938065B1 (en) | 2017-05-19 | 2017-05-19 | Belt convey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6967A true KR20180126967A (en) | 2018-11-28 |
KR101938065B1 KR101938065B1 (en) | 2019-01-11 |
Family
ID=6456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1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8065B1 (en) | 2017-05-19 | 2017-05-19 | Belt convey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0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869B1 (en) * | 2019-02-26 | 2020-11-12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elt conveyor |
KR102336753B1 (en) * | 2019-12-19 | 2021-12-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pparatus for anti damage of belt conveyor |
KR102658203B1 (en) * | 2021-11-23 | 2024-04-16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bra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belt convey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8152B1 (en) | 2008-03-25 | 2008-07-03 |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 Shock Absorber for Belt Conveyor |
KR101388015B1 (en) * | 2011-11-29 | 2014-04-2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elt conveyor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163A patent/KR1019380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8065B1 (en) | 2019-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8015B1 (en) | Belt conveyor | |
KR101559146B1 (en) | Auto diverter for change of direction | |
US3690435A (en) | Article conveyor system | |
KR101938065B1 (en) | Belt conveyor | |
JP5024631B2 (en) | Sorting equipment | |
JP5348366B2 (en) | Device for conveying articles | |
JP5314748B2 (en) | lift device | |
KR101368279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serpentine moving of belt conveyer | |
KR102110660B1 (en) | Belt conveyor | |
KR101388022B1 (en) | Tripper device | |
KR102177869B1 (en) | Belt conveyor | |
KR101675671B1 (en) | Pressure device for carrier belt of tripper car | |
KR101818374B1 (en) | Belt conveyor | |
KR101654880B1 (en) | Rain water disposal equipment for belt conveyor | |
KR102057775B1 (en) | Swerving prevention apparatus for conveyor | |
KR101277537B1 (en) | Device for preventing deviation of belt center | |
KR102110673B1 (en) | Belt conveyor | |
US3297136A (en) | Magnetic rail-type conveyor | |
KR101388039B1 (en) | Belt conveyor | |
KR101399858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rop ore of belt conveyor | |
KR101291548B1 (en) | Belt conveyor | |
KR20140068375A (en) | Device for preventing deviation of belt conveyor | |
KR101140828B1 (en) | Belt conveyor | |
KR100815800B1 (en) | Meandering device of belt conveyor | |
KR20120121551A (en) | Belt convey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