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813A -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813A
KR20180123813A KR1020170057990A KR20170057990A KR20180123813A KR 20180123813 A KR20180123813 A KR 20180123813A KR 1020170057990 A KR1020170057990 A KR 1020170057990A KR 20170057990 A KR20170057990 A KR 20170057990A KR 20180123813 A KR20180123813 A KR 2018012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lock
box
ceiling
instal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504B1 (ko
Inventor
강영주
Original Assignee
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주 filed Critical 강영주
Priority to KR102017005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를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가지고,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천장슬래브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영역에 배치된 콘크리트와 천장용 전기박스 내부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ctric Wiring Box for a Ceiling Slab}
본 발명은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된 천장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건물벽체와 천장에 전선을 포설하는 데 사용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을 축조할 때 전등, 에어컨 등과 같은 천장전기기구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건물벽체와 천장에는 전선이 포설된다.
천장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은 천장의 외부(실내공간)로 노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천장용 전기박스를 천장(천장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7은 종래 천장용 전기박스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천장용 전기박스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110)를 갖고 있다.
천장용 전기박스(110)는 대략 육각형의 박스바닥면부(111)와, 박스바닥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육각관형태의 박스측면부(112)를 갖고 있다.
박스바닥면부(111)은 저면에 나사관(111a)이 형성되어 있다.
박스측면부(112)에는 2개의 고정편(112b)과 2개의 인입관(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110)는 박스측면부(112)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201)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다.
종래의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설치단계
천장슬래브(201)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202)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한다.
박스설치단계
박스측면부(112)의 개구단이 천장거푸집판(202)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천장용 전기박스(110)를 설치한다. 천장용 전기박스(110)의 설치는 나사관(111a)에 결합된 고정볼트(206)의 자유단을 천장거푸집판(202)에 체결하고, 고정편(112b)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천장거푸집판(202)에 도달하도록 못을 박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천장용 전기박스(110)를 설치하고 난 다음 인입관(112a)에 배관(203)을 설치한다.
천장슬래브형성단계
천장용 전기박스(110)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201)를 형성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철근(204)이 배근된다.
거푸집해체단계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한다.
설치보조구제거단계
고정볼트(206)를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의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박스바닥면부(111)의 상측에 별도의 구조물이 없어 박스바닥면부(111)의 상측영역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변형(온도변화, 외부충격 등에 따른)이 직접적으로 박스바닥면부(111)에 전달되기 때문에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110)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박스바닥면부(111)의 상측에 별도의 구조물이 없어 박스바닥면부(111)의 상측영역에 배치된 콘크리트와 천장용 전기박스(110) 내부 사이의 온도차가 커지기 때문에 천장용 전기박스(110)의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의 양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천장용 전기박스(110)의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의 양이 많아지면 전기누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 종래의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나사봉(206)을 통해 박스바닥면부(111)가 천장거푸집판(202)에 지지되기 때문에 천장용 전기박스(110)를 설치하는 동안 콘크리트(양생중인) 변형(온도변화, 외부충격 등에 따른)에 의해 천장용 전기박스(110)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999-0030579호(공개일자: 1999년 5월 6일, 발명의 명칭 :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슬래브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영역에 배치된 콘크리트와 천장용 전기박스 내부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와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동안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를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가지고,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블럭을 포함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또는 상기 박스바닥면부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를 가지고,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된 외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천장전기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장전기기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된 너트부재와,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나사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상기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단이 상기 천장거푸집판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박스설치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내부블럭바디부와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내부블럭목부를 가지고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내부블럭목부의 상단에 도달하도록 내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도달하도록 핀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내부블럭을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고정하는 내부블럭고정단계와;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목부가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 및 상기 외부블럭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천장슬래브를 형성하는 천장슬래브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는 설치보조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또는 상기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단이 상기 천장거푸집판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박스설치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고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내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블럭바디부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내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내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내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단이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의 내부에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도달하도록 핀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내부블럭을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고정하는 내부블럭고정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상기 외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블럭결합요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 및 상기 외부블럭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천장슬래브를 형성하는 천장슬래브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는 설치보조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천장전기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장전기기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외부블럭목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는 엔드캡설치단계와,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기 전에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를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하는 너트부재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고 난 후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를 설치하는 나사봉부재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한편 외부블럭바디부와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외부블럭결합요홈이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와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외부블럭목부가 연락공을 통과하도록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천장슬래브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영역에 배치된 콘크리트와 천장용 전기박스 내부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박스바닥면부보다 작고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내부블럭바디부와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내부블럭목부를 갖는 내부블럭을 내부블럭목부가 연락공을 통과하여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외부블럭바디부와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내부블럭목부가 외부블럭결합요홈에 진입하도록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를 포함하도록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함으로써,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동안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블럭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블럭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봉의 사시도,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블럭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블럭의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7은 종래 천장용 전기박스의 사시도,
도18은 종래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블럭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블럭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10)와,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블럭(20), 너트부재(31) 및 엔드캡(32)과, 상단이 너트부재(31)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 나사봉부재(33)를 갖고 있다.
천장용 전기박스(1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바닥면부(11)와, 박스바닥면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사각관형태의 박스측면부(12)를 갖고 있다.
박스바닥면부(11)에는 연락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박스측면부(12)에는 4개의 고정편(12b)과 4개의 인입관(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10)는 박스측면부(12)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201)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다.
외부블럭(20)은 외부블럭바디부(21)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23)를 갖고 있다.
외부블럭바디부(21)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외부블럭안내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는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에는 외부블럭안내공(21a)에 연결되는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블럭결합요홈(22a)의 내주면에는 언더컷결합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안착요홈부(23)는 외부블럭안내공(21a)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블럭(20)은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서 외부블럭결합요홈(22a)이 연락공(11a)에 정렬되도록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엔드캡(32)은 일면에 캡결합돌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캡결합돌부(32a)에는 캡요홈(32b)이 형성되어 있다.
엔드캡(32)은 캡결합돌부(32a)가 너트안착요홈부(23)에 억지끼움되도록 외부블럭(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엔드캡(32)은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서 외부블럭안내공(21a)의 상단을 둘러싸게 된다.
너트부재(31)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플랜지(31b)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재(31)는 나사공(31a)이 외부블럭안내공(21a)에 정렬되고 플랜지(31b)가 엔드캡(32)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너트안착요홈(23a)에 설치된다.
나사봉부재(33)는 상단과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부재(33)는 상단이 외부블럭안내공(21a)을 통해 너트부재(31)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박스측면부(12)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을 도8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스연락공형성단계
박스바닥면부(11)에 연락공(11a)을 형성한다.
거푸집설치단계
천장슬래브(201)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202)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한다(도8 참조).
박스설치단계
박스측면부(12)의 개구단이 천장거푸집판(202)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천장용 전기박스(10)를 설치한다(도8 참조). 천장용 전기박스(10)의 설치는 고정편(12b)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천장거푸집판(202)에 도달하도록 못을 박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천장용 전기박스(10)를 설치하고 난 다음 인입관(12a)에 배관(203)을 설치한다(도9 참조).
내부블럭설치단계
내부블럭(40)은 내부블럭바디부(41)와,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내부블럭목부(42)를 갖고 있다.
내부블럭바디부(41)는 박스바닥면부(11)보다 작고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내부블럭목부(42)에는 언더컷결합돌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블럭바디부(41)의 저면으로부터 시작하여 내부블럭목부(42)의 상단에 도달하도록 내부블럭안내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블럭(40)은 내부블럭목부(4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여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도9 참조).
내부블럭고정단계
내부블럭안내공(40a)을 통과하여 천장거푸집판(202)에 도달하도록 핀부재(34)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내부블럭(40)을 천장거푸집판(202)에 고정한다(도9 참조).
외부블럭설치단계
내부블럭목부(42)가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에 결합되도록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 외부블럭(20)을 설치한다(도9 참조).
너트부재설치단계
나사공(31a)이 외부블럭안내공(21a)에 정렬되도록 너트부재(31)를 너트안착요홈부(23)에 설치한다(도9 참조).
엔드캡설치단계
캡결합돌부(32a)가 너트안착요홈부(23)에 억지끼움되도록 엔드캡(32)을 외부블럭(20)에 설치한다(도9 참조).
천장슬래브형성단계
천장용 전기박스(10), 외부블럭(20) 및 엔드캡(32)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201)를 형성한다(도10 참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철근(204)이 배근된다.
거푸집해체단계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한다(도11 참조).
설치보조구제거단계
내부블럭(40)과 핀부재(34)를 제거한다(도11 참조).
나사봉부재설치단계
상단이 외부블럭안내공(21a)을 통과하여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박스측면부(12)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33)를 설치한다(도12 참조).
마감단계
마감재(206)와 박스덮개(207)를 설치한다(도13 참조).
마지막으로 나사봉부재(33)의 하단에 전등 등의 천장전기기구(205)를 설치한다(도13 참조).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블럭(20)에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를 형성하고 있으나,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 대신 돌출형태의 외부블럭목부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블럭의 사시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블럭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는, 천장용 전기박스(10), 너트부재(31), 엔드캡(32) 및 나사봉부재(33)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의 외부블럭(20')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블럭바디부(21')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부블럭목부(22')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23')를 갖고 있다.
외부블럭바디부(21')는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블럭목부(22')는 연락공(11a)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블럭목부(22')는 외주면에 언더컷결합돌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블럭바디부(21')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외부블럭목부(22')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외부블럭안내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안착요홈부(23')에는 외부블럭안내공(20'a)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블럭(20')은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서 외부블럭목부(2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도록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중 '박스연락공형성단계', '거푸집설치단계', '박스설치단계', '엔드캡설치단계', '너트부재설치단계', '천장슬래브형성단계', '거푸집해체단계', '설치보조구제거단계', '나사봉부재설치단계' 및 '마감단계'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블럭설치단계', '내부블럭고정단계' 및 '외부블럭설치단계'를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블럭설치단계
내부블럭(40')은 내부블럭바디부(41')와,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를 갖고 있다.
내부블럭바디부(41')는 박스바닥면부(1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고,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내부블럭안내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에는 내부블럭안내공(41'a)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내부블럭결합요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는 내주면에 언더컷결합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블럭(40')을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단이 박스바닥면부(11)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내부블럭고정단계
내부블럭안내공(41'a)을 통과하여 천장거푸집판(202)에 도달하도록 핀부재(34)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내부블럭(40')을 천장거푸집판(202)에 고정한다.
외부블럭설치단계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서 외부블럭목부(2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여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에 결합되도록 외부블럭(20')을 설치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박스바닥면부(11)가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원형, 육각형 등 다른 형태로 박스바닥면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바닥면부(11)에 연락공(11a)을 형성하는 한편 외부블럭바디부(21)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를 갖는 외부블럭(20)을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서 외부블럭결합요홈(22a)이 연락공(11a)에 정렬되도록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21')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22')를 갖는 외부블럭(20')을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서 외부블럭목부(2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도록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천장슬래브(201)에 설치된 천장용 전기박스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영역에 배치된 콘크리트와 천장용 전기박스 내부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블럭(20)에 너트안착요홈부(23)를 추가 구성하는 한편, 천장슬래브(201)의 내부에서 외부블럭(20)의 상단에 엔드캡(32)을 결합하고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31)를 너트안착요홈부(23)에 설치하며 상단이 너트부재(31)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박스측면부(12)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33)를 설치함으로써, 전등 등의 천장전기기구(20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장전기기구(205)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스바닥면부(11)에 연락공(11a)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박스바닥면부(11)보다 작고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내부블럭바디부(41)와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내부블럭목부(42)를 갖는 내부블럭(40)을 내부블럭목부(4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여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외부블럭바디부(21)와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외부블럭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부블럭결합요홈부(22)를 갖는 외부블럭(20)을 내부블럭목부(42)가 외부블럭결합요홈(22a)에 진입하도록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박스바닥면부(1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고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내부블럭안내공(41'a)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블럭바디부(41')와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를 갖는 내부블럭(40')을 내부블럭바디부(41')의 상단이 박스바닥면부(11)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천장용 전기박스(10)의 내부에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박스바닥면부(11)보다 작고 연락공(11a)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21')와 외부블럭바디부(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22')를 갖는 외부블럭(20')을 외부블럭목부(22')가 연락공(11a)을 통과하여 내부블럭결합요홈부(42')에 진입하도록 박스바닥면부(11)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천장용 전기박스(10)를 설치하는 동안 천장용 전기박스(10)가 손상(금이가거나 찌그러지는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블럭(20)에 너트안착요홈부(23)를 추가 구성하는 한편, 외부블럭안내공(21a)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외부블럭(20)의 상단에 엔드캡(32)을 설치하는 엔드캡설치단계와,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31)를 너트안착요홈부(23)에 설치하는 너트부재설치단계와, 상단이 너트부재(31)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박스측면부(12)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33)를 설치하는 나사봉부재설치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전등 등의 천장전기기구(20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장전기기구(205)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천장용 전기박스 11, 111 : 박스바닥면부
12, 112 : 박스측면부 20 : 외부블럭
21 : 외부블럭바디부 22 : 외부블럭결합요홈부
23 : 너트안착홈부 31 : 너트부재
32 : 엔드캡 33 : 나사봉부재
34 : 핀부재 40 : 내부블럭
41 : 내부블럭바디부 42 : 내부블럭목부

Claims (8)

  1.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를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가지고,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럭바디부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된 너트부재와,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나사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3.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갖는 천장용 전기박스를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영역이 천장슬래브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를 가지고,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 설치된 외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외부블럭목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슬래브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된 너트부재와,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나사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구조.
  5.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구비한 천장용 전기박스를 천장슬래브에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단이 상기 천장거푸집판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박스설치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내부블럭바디부와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내부블럭목부를 가지고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내부블럭목부의 상단에 도달하도록 내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도달하도록 핀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내부블럭을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고정하는 내부블럭고정단계와;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향개구의 외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목부가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 및 상기 외부블럭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천장슬래브를 형성하는 천장슬래브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는 설치보조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럭바디부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는 엔드캡설치단계와,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기 전에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를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하는 너트부재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고 난 후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를 설치하는 나사봉부재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7. 박스바닥면부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박스측면부를 구비한 천장용 전기박스를 천장슬래브에 설치하기 위한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스바닥면부에 연락공을 형성하는 박스연락공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의 저면으로 예정된 영역에 천장거푸집판이 배치되도록 천장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박스측면부의 개구단이 상기 천장거푸집판의 판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를 설치하는 박스설치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고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내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블럭바디부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내부블럭결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내부블럭결합요홈부를 갖는 내부블럭을 상기 내부블럭바디부의 상단이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의 내부에 설치하는 내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도달하도록 핀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내부블럭을 상기 천장거푸집판에 고정하는 내부블럭고정단계와;
    상기 박스바닥면부보다 작고 상기 연락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외부블럭바디부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외부블럭목부를 갖는 외부블럭을 상기 외부블럭목부가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블럭결합요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박스바닥면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외부블럭설치단계와;
    상기 천장용 전기박스 및 상기 외부블럭의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천장슬래브를 형성하는 천장슬래브형성단계와;
    상기 천장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는 설치보조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외부블럭목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외부블럭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블럭결합요홈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블럭은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연결되는 상향개구의 너트안착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블럭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너트안착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는 엔드캡설치단계와, 상기 외부블럭의 상단에 엔드캡을 설치하기 전에 전 높이구간에 걸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를 상기 나사공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너트안착요홈에 설치하는 너트부재설치단계와, 상기 내부블럭과 상기 핀부재를 제거하고 난 후 상단이 상기 외부블럭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나사봉부재를 설치하는 나사봉부재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KR1020170057990A 2017-05-10 2017-05-10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KR10192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90A KR101924504B1 (ko) 2017-05-10 2017-05-10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90A KR101924504B1 (ko) 2017-05-10 2017-05-10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13A true KR20180123813A (ko) 2018-11-20
KR101924504B1 KR101924504B1 (ko) 2018-12-03

Family

ID=6456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90A KR101924504B1 (ko) 2017-05-10 2017-05-10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01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탐진 천장 슬래브 매설용 전기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96B1 (ko) * 2019-09-16 2020-02-03 신문식 천장 매립형 단자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688Y1 (ko) * 2003-08-28 2003-11-28 일 석 채 천장 매입형 배선함
JP4293445B2 (ja) * 2004-09-22 2009-07-08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ボックス用変形防止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01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탐진 천장 슬래브 매설용 전기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04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04B1 (ko) 천장용 전기박스의 설치방법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0403590Y1 (ko) 단자함
KR101111986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KR101375463B1 (ko)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1377720B1 (ko) 가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1524216B1 (ko)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KR100684352B1 (ko) 상수도용 제수밸브 개폐장치
JP2005133360A (ja) ジベル後入れ型埋込金物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090127473A (ko) 냉,온수 및 난방용 분배기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100655128B1 (ko) 전기공사의 전력케이블 트레이 시공방법
ITFO980031A1 (it) Scatola da incasso universale per faretti d'illuminazione e relativoattrezzo per la posa in opera.
KR200405393Y1 (ko) 거푸집용 전기배선박스 고정구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160035834A (ko) 건축물의 층조인트 누수방지 방법 및 구조
KR200456698Y1 (ko) 세면대용 수도전의 고정수단
KR101047311B1 (ko) 천정등용 접속함의 고정장치
KR102254993B1 (ko) 가로등 지주용 기초 구조물 성형장치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101190279B1 (ko) 가로등 지주 설치용 기초 블록
KR20090004401U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80062437A (ko) 건물 천장용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