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394A -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3394A KR20180113394A KR1020170044897A KR20170044897A KR20180113394A KR 20180113394 A KR20180113394 A KR 20180113394A KR 1020170044897 A KR1020170044897 A KR 1020170044897A KR 20170044897 A KR20170044897 A KR 20170044897A KR 20180113394 A KR20180113394 A KR 20180113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girder
- fastening
- fastening portion
- truss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트러스거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트러스거더; 및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girder comprising: a first truss girder; A second truss girde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first truss girder; And a conne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and coupling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트러스거더를 상호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russ girder in which at least two truss gird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현재 건축 공법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이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강성,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및 차음성이 좋기 때문이다.The most widely used construction method i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ecaus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good in stiffness, durability, fire resistance, vibration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을 짓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거푸집 공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배근 및 거푸집의 해체가 어려우며, 폐자제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요즘에는 데크패널을 이용한 공법이 바닥 또는 천장 스라브에만 이용되고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formwork method used to construct suc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omplicated in process,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formwork and formwork, and a large amount of waste material is generated. Therefore, the method using the deck panel is now limited to the floor or ceiling slab .
이러한 데크패널은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 배치되고, 이 후,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일정 시간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건물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다.These deck panels are placed on the floor or ceiling of the building, and after that, the concrete is laid and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formed after a certain period of cur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데크패널은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의 스라브(slab)에만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적인 건물의 시공기간의 단축에 한계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ck panel is limited to a slab of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there is a limit in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entire building.
또한, 데크패널 간, 트러스거더 간의 체결은 용접 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조립시간이 다소 길고, 조립공차가 생길 수 있으며, 현장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공사의 질이 영향을 받게 된다.Also, since the fastening between the deck panels and the truss girder is assembled by the welding method, the assembling time is somewhat long, the assembly tolerance may be generated, and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is influenced by the skill of the field technician.
특히, 기둥이나 보등의 철근 배근은 현장에서 결속선으로 결속하여 배근하고, 그 위에 피복 두께만큼의 간격을 유지하여 거푸집틀을 목수가 직접 제작 조립하여 철재 타이나 프라스틱콘 나비볼트 등을 사용해 거푸집의 뒤틀림이나 수직도 등을 맞추고, 상당량의 서포트나 경사 지지설치물과 거푸집의 배부름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수평 지지대를 보강해야 하는 등 복잡하고 기술력을 요한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s of columns and beams are joined together by binding wires in the field, and the carpenter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by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s thereon. The steel plates or plastic cone bolt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to prevent warpage, verticality, etc. of the support, slope support, and formwork.
그러나, 인건비 증가, 3D 업종 기피 현상 등의 요인에 의해 갈수록 현장 인력의 숙련도가 떨어지고,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과 해외 건축 시장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 비추어볼 때, 구조물의 정밀시공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killed manpower of the field workforce is gradually falling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s and the avoidance of the 3D industry,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foreign workers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in the Korean and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the precision construction of structures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둥, 보와 같은 구조물을 간단하게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어 건물의 공기를 단축함과 동시에 공사 비용 절감, 안정성과 공사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의 연결유닛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such as a column and a beam can be simply installed on the site, And the connecting unit of the truss girder which can b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트러스거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트러스거더; 및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ss girder comprising: a first truss girder; A second truss girde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first truss girder; And a conne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and coupling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내부에 안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고정시키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truss girder;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truss girder; And a third fastening part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nd fixes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third fasten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portion may have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 하측 피치 각각에 결합되되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 하측 피치 각각에 결합되되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하현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uss girder may include a pair of first lattices formed in a predetermined waveform, a first phase current coupled to an upper pitch of the pair of first lattices and fixing the pair of first lattice upper portions, A pair of second lattices, each pair of first lattices being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aveform, and a pair of first lower lattice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lattice lower pitches an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phase current coupled to an upper pitch of the pair of second lattices to fix the pair of second lattice upper portions and a second phase current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lattice lower pitches, Lt; RTI ID = 0.0 > a < / RTI >
또한,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내부가 비어 있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when the cut surfaces are viewed.
또한,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portions.
또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밑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밑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each have a bottom opening when the cut surface is viewed, and a flange extending outwardly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제3 체결부는 절단면을 볼 때 밑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밑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bottom opening when the cut surface is viewed, and a flange extending inwardly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상현재와 한 쌍의 제1 하현재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상현재와 한 쌍의 제2 하현재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a virtual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phase current and the pair of first lower legs, 2 < / RTI >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일측에서 상기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russ girder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truss girder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uss girder is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uss girder.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는 상호 길이 방향이 수평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대응되는 갯수로 상기 제1 트러스거더 각각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truss girders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ir longitudinal directions are mutually parallel, and the second truss girders are arrang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truss girders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uss girder .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truss girder.
또한,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결합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re engaged.
또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unit for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truss girders and the second truss girders arranged in a line.
또한, 상기 보강유닛은 일렬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체결홀 각각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보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first reinforcements that are bol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portions that are positioned in a row.
또한, 상기 제1 보강체 각각은 일측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볼트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on one side and may be threaded on the other side by bolts.
또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제1 보강체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1 보강체가 상호 인장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보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inforc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facing each other may be mutually tensioned.
또한, 상기 제2 보강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에 안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나사산에 나사산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ement member may include a body formed with threads, a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free end of the body and seated in one of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s,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other of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s.
또한, 상기 각각의 체결홀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pectiv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may be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uss girder are orthogonal.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상현재, 제1 래티스의 파형 및 한 쌍의 제1 하현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waveform of the first phase current, the first lattice and the pair of first lower currents,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truss girder .
또한,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 트러스거더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two of the second truss girders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the connection unit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uss girder.
또한, 상기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결합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fastening portions may have at least two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the bolts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or to the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are engaged, Holes may be respectively formed.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제2 트러스거더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second truss girders.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벽과 기둥, 보 등의 프레임에도 배치될 수 있는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truss girder can be easily assembl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russ girder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n excellent structural rigidity that can be arrang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a building but also on frames such as side walls, columns and beams.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의 연결시 각각의 수직, 수평 방향에서 구조적인 연결성을 지속함으로써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타설시에 타설 하중에 대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여 별도의 거푸집, 거푸집 보강재 또는 서포트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 시공기간 및 건축 폐자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uss girder is connected, it maintains the structural connection in each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reby realizing a structure capable of self-standing against the putting load when the concrete or cement is placed. Since the support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the labor cos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유닛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보강유닛이 더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결합 후 제2 체결부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합 후 결속부재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first truss girder,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are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further joining of the reinforcing unit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FIG. 7 illustrates a first truss girder,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are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engaged after the engagement according to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Fig. 9 is engaged.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유닛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보강유닛이 더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connecting unit shown in FIG. 1;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connecting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are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truss girder is jo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inforcing unit is further combined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결합 후 제2 체결부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합 후 결속부재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llustrates a first truss girder,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first truss girder and a second truss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fter the fastening according to FIG. 8 is engaged,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astening member after the fastening according to FIG.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6으로써 트러스거더 간의 수평 방향 배치를 설명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10으로써 트러스거더 간의 수직 방향 배치를 설명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l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truss girders in FIGS. 1 to 6, and the vertical arrangement between the truss girders in FIGS. 7 to 10 can be explained.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를 위해서는 크게 제1 트러스거더(100), 제2 트러스거더(200) 및 연결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강유닛(400) 및/또는 결속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0, the truss gird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는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제1 상현재(120) 또는 한 쌍의 제1 하현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는 각각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형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각각은 기다란 철근을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거나, 후술할 제1 상현재(120)와 제1 하현재(130)에 철근 단편을 각각 전기 압점 또는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Each of the pair of
상기 제1 상현재(120)는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상측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현재(120)는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상측 피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phase current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itch of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제1 하현재(130)는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하측 피치에 각각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하현재(13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하현재(130) 각각은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하측 피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따라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1 상현재(120) 또는 상기 제1 하현재(130)의 길이 방향을 뜻하며,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단이라 함은 이러한 제1 트러스거더(100)의 양측 길이 방향 중 하나의 단부를 뜻한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이러한 제1 트러스거더(1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가 일렬 또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는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제2 상현재(220) 또는 제2 하현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는 각각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형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각각은 기다란 철근을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거나, 후술할 제2 상현재(220)와 제2 하현재(230)에 철근 단편을 각각 전기 압점 또는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Each of the pair of
상기 제2 상현재(220)는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상측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현재(220)는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상측 피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phase current 2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itch of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제2 하현재(230)는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하측 피치에 각각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하현재(23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하현재(230) 각각은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210) 하측 피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pair of second
따라서,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2 상현재(220) 또는 상기 제2 하현재(230)의 길이 방향을 뜻하며,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의 일단이라 함은 이러한 제2 트러스거더(200)의 양측 길이 방향 중 하나의 단부를 뜻한다.Therefo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이러한 제2 트러스거더(2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가 일렬 또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트러스거더(100)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가 상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함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의 길이 방향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측에서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가 배치됨을 의미한다.1 to 6, the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가 상호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함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의 길이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가 배치됨을 의미한다.7 to 10, the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310)와, 상기 제1 체결부(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320)와,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의 내부에 안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를 고정시키는 제3 체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각각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에 배치되어 암체결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체결부(330)는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에 삽입되는 수체결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조립 정렬 위치를 정확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3 체결부(330)는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3 체결부(33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precisely realize the assembly alignment position of the
물론,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상기 제3 체결부(330)가 상기 제1 체결부(310)의 일단과 제2 체결부(320)의 일단을 수용하는 암체결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unlike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이러한 연결유닛(300)은 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3 체결부(330) 또는 상기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가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배치 후 미도시된 데크패널을 장착한 이 후에는 내부에 콘크리트나 시멘트가 타설되는데, 상기 연결유닛(30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나 시멘트가 유입되어 경화되면 더욱 우수한 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After the
따라서, 제1 체결부(310) 내지 제3 체결부(330)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응력분산에 효율적인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10)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 체결부(310) 내지 제3 체결부(33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00a)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further smooth the introduction of concrete or
또한,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3 체결부(330)의 체결, 또는 상기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와의 체결은 기본적으로 체결홀(300b)을 통한 볼트 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310) 내지 제3 체결부(330)에는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3 체결부(330) 또는 상기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의 결합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홀(300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of the
즉,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체결홀(300b)은 상기 제1 체결부(310) 내지 제3 체결부(330)에 등간격으로 4 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four of the
또한, 더욱 우수한 결합력을 위해 상기 제1 체결부(310) 내지 제3 체결부(330)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밑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트리트에 의해 상호 간에 더욱 우수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to
한편,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각각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 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 또는 용접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고정력을 더욱 우수하게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각각 밑면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311, 321)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3 체결부(330)가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 내부에서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제2 체결부(330)의 밑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331)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가 각각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에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고,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높이는 상기 제1 상현재(120)와 한 쌍의 제1 하현재(130)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320)의 높이는 상기 제2 상현재(220)와 한 쌍의 제2 하현재(230)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각각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일단부 또는 측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단,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6은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6 are views for horizontally arranging the
이러한 트러스거더의 수평 방향 배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배치로써 수직벽체 또는 기둥을 구현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truss girders can be used to implement vertical walls or columns with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는 상호 길이 방향이 수평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트러스거더(10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어 지반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10)에 일단이 돌출된 채 타설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여기서, 각각의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단에는 제1 체결부(310)가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체결부(310) 일측에 제3 체결부(330)가 일체형 또는 볼트 결합 또는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이 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는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에 대응되는 갯수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도록 접근할 수 있다. 3, the
이 경우,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단에 배치된 개개의 제3 체결부(3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 각각의 일단에는 제3 체결부(330)가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is case, a
이 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단 방향으로 제2 트러스거더(200)가 배치되면,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를 볼트 결합할 수 있다.4, when the
이 경우, 개개의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의 결합을 볼트 결합할 수도 있으나, 조립 시간의 감소 및 전체적인 강도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betwe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유닛(400)은 일렬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의 체결홀(300b) 각각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보강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이러한 제1 보강체(410)는 양측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측에 각각 볼트 체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보강체(410) 각각은 일측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볼트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이러한 경우, 한 쪽의 체결홀(300b)을 통해 삽입되어 다른 쪽을 통해 돌출되는 제1 보강체(410)의 타측에서만 볼트 체결하면, 체결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일렬로 배치된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를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bolts are fastened onl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또한,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체결 강도를 더욱 보장하기 위해,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제1 보강체(410)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1 보강체(410)가 상호 인장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보강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secure the fastening strength between the
이러한 제2 보강체(420)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421)와, 상기 몸체(421)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410)에 안착되는 제1 지지부(422)와, 상기 몸체(421)의 나사산에 나사산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410)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보강체(420)는 네 개의 체결홀(300b)에 배치된 네 개의 상기 제1 보강체(410) 중 어느 두 개에 제1 지지부(422)와 제2 지지부(423)가 안착되면 족하며,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상기 제2 보강체(420)의 인장력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각의 체결홀(300b)은 상기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each of th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트러스거더(200)의 강도를 보강하고, 미도시된 데크패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를 결속하는 결속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속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제2 하현재(2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결속부재(510)와 한 쌍의 제2 상현재(220)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결속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a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로서, 도 7 내지 도 10은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10 are views for arranging the
이러한 트러스거더의 수직 방향 배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배치로써 상측 벽체 또는 보를 구현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truss girder can be used when implementing the upper wall or beam with the arrangement of the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는 상호 길이 방향이 수평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트러스거더(10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이 경우, 외측에 배치되는 개개의 한 쌍의 제1 하현재(130)에 일정한 파형을 가진 제3 결속부재(530)를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결속부재(530)는 군집을 이루는 제2 트러스거더(200)의 제2 하현재(230)에도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binding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제1 상현재(120), 제1 래티스(110)의 파형 및 한 쌍의 제1 하현재(130)가 형성하는 공간에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제3 체결부(33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체결부(310) 일측에 일체형 또는 볼트 결합 또는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써 배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종적으로 배치된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에 안착될 수도 있다.7, the
이 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는 두 개 이상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적층되어 상기 제3 체결부(330)가 돌출된 제1 트러스거더(100)의 군집에 배치되도록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제2 트러스거더(200)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8, at least two or more of the
이 후,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의 일측 방향으로 제2 트러스거더(200)가 접근하다가 상기 제3 체결부(330)에 제2 체결부(320)가 안치되면, 상측에 배치된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 사이에 제3 체결부(330) 안치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제3 체결부(330) 또는 제2 체결부(320)와 제3 체결부(330)를 볼트 결합할 수 있다.9, the
또한, 상기 제1 트러스거더(100)와 제2 트러스거더(200)의 결합부분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 상기 연결유닛(300)이 배치된 부분에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전기 압점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4 결속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요컨대,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간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배치를 구현함으로써 기둥 또는 보와 같은 경우에도 구조물을 견고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조립 공차, 인건비, 기공기간을 우수하게 단축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vertical or horizontal arrangement of truss girders, thereby realizing a rigid structure even in the case of a column or a beam, and a combination of truss girders capable of shortening assembly tolerance, labor cost,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 and its equivalent range.
100: 제1 트러스거더 110: 한 쌍의 제1 래티스
120: 제1 상현재 130: 한 쌍의 제1 래티스
200: 제2 트러스거더 220: 한 쌍의 제2 래티스
220: 제2 상현재 230: 한 쌍의 제2 래티스
300: 연결유닛 300a: 관통홀
300b: 체결홀 310: 제1 체결부
320: 제2 체결부 330: 제3 체결부
311, 331: 플랜지 400: 보강유닛
410: 제1 보강체 420: 제2 보강체
421: 몸체 422: 제1 지지부
423: 제2 지지부 500: 결속부재
510: 제1 결속부재 520: 제2 결속부재100: first truss girder 110: a pair of first lattices
120: first phase current 130: a pair of first lattices
200: second truss girder 220: a pair of second lattices
220: second phase current 230: a pair of second lattices
300: connecting
300b: fastening hole 310: first fastening part
320: second fastening part 330: third fastening part
311, 331: flange 400: reinforcement unit
410: first reinforcing member 420: second reinforcing member
421: body 422: first support portion
423: second support part 500: binding member
510: first binding member 520: second binding member
Claims (25)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트러스거더; 및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A first truss girder;
A second truss girde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first truss girder; And
And a conne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and coupling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내부에 안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고정시키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truss girder;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truss girder; And
And a third fastening part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nd fixes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outer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상기 제1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 하측 피치 각각에 결합되되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래티스 하측 피치 각각에 결합되되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하현재를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russ girder includes a pair of first lattice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aveform, a first phase current coupled to an upper pitch of the pair of first lattices and fixing the pair of first lattice upper portions, And a pair of first bottom current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lattice lower pitches and dispose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truss girder includes a pair of second lattice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aveform, a second phase current coupled to an upper pitch of the pair of second lattices to fix the pair of second lattice upper portions, And a pair of second bottoms join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lattice lower pitches an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내부가 비어 있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astening part to the third fastening part, respectivel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russ girder having a triangul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when the cut surface is viewed.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astening part to the third fastening part, respectively,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truss girder.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각각,
절단면을 볼 때 밑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밑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Wherein a flange extending outwar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ss girder.
상기 제3 체결부는 절단면을 볼 때 밑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밑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has a bottom opening when the cut surface is viewed, and a flange extending inwar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fastening portion.
상기 제1 체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상현재와 한 쌍의 제1 하현재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상현재와 한 쌍의 제2 하현재가 형성하는 가상의 삼각형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eight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a virtual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phase current and the pair of first bottom currents,
And a height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a virtual triangle formed by the second phase current and the pair of second bottom currents.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일측에서 상기 제2 트러스거더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truss girder is horizont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truss girder so that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uss girder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uss girder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 트러스거더는 상호 길이 방향이 수평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에 대응되는 갯수로 상기 제1 트러스거더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2.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truss girders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ir longitudinal directions are mutually parallel,
And the second truss gird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truss girders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uss girder.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truss girder.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결합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re formed with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re engaged.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reinforcing unit for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truss girders and the second truss girders arranged in a line.
상기 보강유닛은 일렬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체결홀 각각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보강체를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includes at least two first reinforcing members which are bolted through bol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and the fastening holes of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located in a row.
상기 제1 보강체 각각은 일측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볼트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is formed in a hook shape on one side and the thread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by bolt-joining.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제1 보강체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1 보강체가 상호 인장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보강체를 더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einforc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facing each other can be mutually tensioned.
상기 제2 보강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에 안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나사산에 나사산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보강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reinforcement member includes a threaded body, a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free end of the body and seated in one of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s,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readably coupled to the thread of the body,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which is seated on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of the truss girder.
상기 각각의 체결홀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holes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an outer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상기 제1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1 트러스거더와 제2 트러스거더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second truss girder are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uss gird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uss gird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상현재, 제1 래티스의 파형 및 한 쌍의 제1 하현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트러스거더의 일단에 배치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waveform of the first phase current and the first lattice and the pair of first lower currents,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of the truss gir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truss girder rescue.
상기 제2 트러스거더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 트러스거더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t least two of the second truss girders are arranged in a line,
Wherein th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uss girder.
상기 제1 체결부 내지 제3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제3 체결부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제3 체결부의 결합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rst to third fastening portions may have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bolt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or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re engag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uss girder formed respectively.
복수 개의 상기 제2 트러스거더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23,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second truss gird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897A KR101968507B1 (en) | 2017-04-06 | 2017-04-06 |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897A KR101968507B1 (en) | 2017-04-06 | 2017-04-06 |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3394A true KR20180113394A (en) | 2018-10-16 |
KR101968507B1 KR101968507B1 (en) | 2019-04-12 |
Family
ID=6413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4897A Active KR101968507B1 (en) | 2017-04-06 | 2017-04-06 |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8507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740U (en) * | 1991-09-12 | 1993-03-30 | 戸田建設株式会社 | Fixed spacer |
KR200186312Y1 (en) * | 2000-02-03 | 2000-06-15 | 이인배 | Truss structure |
KR20000010849U (en) * | 1998-11-27 | 2000-06-26 | 송유섭 | Rebar Gap Area |
KR101059902B1 (en) * | 2008-06-05 | 2011-08-29 | (주)영구조엔지니어링 | Truss Deck Installation Structure |
KR20160069258A (en) * | 2014-12-08 | 2016-06-16 | 김광섭 |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KR101683196B1 (en) * | 2015-02-10 | 2016-12-07 | (주)센벡스 |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
-
2017
- 2017-04-06 KR KR1020170044897A patent/KR1019685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740U (en) * | 1991-09-12 | 1993-03-30 | 戸田建設株式会社 | Fixed spacer |
KR20000010849U (en) * | 1998-11-27 | 2000-06-26 | 송유섭 | Rebar Gap Area |
KR200186312Y1 (en) * | 2000-02-03 | 2000-06-15 | 이인배 | Truss structure |
KR101059902B1 (en) * | 2008-06-05 | 2011-08-29 | (주)영구조엔지니어링 | Truss Deck Installation Structure |
KR20160069258A (en) * | 2014-12-08 | 2016-06-16 | 김광섭 |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KR101683196B1 (en) * | 2015-02-10 | 2016-12-07 | (주)센벡스 |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8507B1 (en) | 2019-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0274B1 (en) |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 |
KR101544803B1 (en) |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23532B1 (en) |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 |
KR101229194B1 (en) | Steel fram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 |
JP2008025125A (en) | Column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sing it | |
KR101713863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663132B1 (en) |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 |
JP2023106618A (en) | Beam structure, support member for beam main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beam main reinforcement | |
KR101591224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Assembly Plate And Fixing Channel | |
KR101954387B1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60035135A (en) | the self positioning joint structure between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 |
KR101429527B1 (en) |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 |
KR101836325B1 (en) | Supporting pad structure on concrete slab | |
KR101734187B1 (en) | Pre-assembled re-bar column | |
KR101129502B1 (en) | Synthetic girder of i type | |
KR101795511B1 (en) |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
EP2729637B1 (en) |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 |
KR101627820B1 (en) | Steel horizontal assembly for forming a hollow slab | |
KR101968507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truss girders | |
KR101124820B1 (en) | Combination Structure | |
KR10173659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KR20160068107A (en) | Steel beam an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using the same th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
KR101685632B1 (en) | Shear connector to increase strength and ductility | |
KR101904118B1 (en) |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
KR102029001B1 (en) |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