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409A - 연부종양 제거 기구 - Google Patents

연부종양 제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409A
KR20180109409A KR1020170039117A KR20170039117A KR20180109409A KR 20180109409 A KR20180109409 A KR 20180109409A KR 1020170039117 A KR1020170039117 A KR 1020170039117A KR 20170039117 A KR20170039117 A KR 20170039117A KR 20180109409 A KR20180109409 A KR 2018010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tissue
receiving
tumor
tissue tumor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211B1 (ko
Inventor
한일용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2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Abstract

본 발명은 연부종양 제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부종양 제거 기구는, 인체의 장기 또는 조직에서 발생한 연부종양을 제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부종양이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와 그 수용부를 인체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수용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연부종양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 그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받침부재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 연부종양을 폐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연부종양의 제거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파편이 조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부종양 제거 기구{Surgical instrument for removal of fragile soft-tissue tumor}
본 발명은 연부종양 제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장기 또는 조직에서 발생한 연부종양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연부종양의 일부 조각이 재차 조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연부종양 전체를 조직으로부터 안전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연부종양 제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연부조직이란 신체의 장기와 조직을 지지하거나 싸고 있는 뼈 이외의 결합조직을 지칭하는 것으로 섬유조직ㆍ지방조직ㆍ혈관조직ㆍ근육조직 등으로 구성되고, 연부종양이란 이러한 연부조직에서 발생한 종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원발성 심장종양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원발성 심장종양은 대부분 양성종양(75~90%)이며, 그중 대부분이 점액종(myxoma)(70~80%)이다. 점액종(A)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좌심방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대부분 심방중격에 부착되어 있다. 점액종(A)은 명칭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심장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면 전체가 물렁물렁한 푸딩과 비슷하여 쉽게 부서져 버리는 특성이 있다.
점액종(A)의 수술 전 증상으로는 종양에 의한 심장내 혈류폐쇄 증상이 가장 흔하며(48%), 두 번째로 빈번한 증상이 종양의 조직파편 형성에 의한 색전 증상을 보이는 것(22%)이다. 즉, 질병의 진행과정에서 떨어져 나간 종양의 조각이 혈류를 타고 흐르다 뇌혈관이나 관상동맥, 혹은 말초혈관을 막아 뇌경색, 심근경색 혹은 사지 혈관의 색전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종양의 유동성이 심한 경우, 이러한 색전증의 위험이 있어 양성종양임에도 더러 응급수술이 필요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양의 조직파편의 형성은 종양제거를 위한 수술 과정에서도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다. 종양을 심장의 부착부위(stalk)와 분리하기 위해 종양을 누르거나 핀셋 등 수술기구로 살짝 잡는 과정, 떼어낸 종양을 심장외부로 끄집어내는 과정 등에서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수술기구나 주변 심장조직 등에 눌려져 종양이 부셔지거나, 파편조각이 생겨날 수 있다. 수술도중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 종양의 파편조각들은 수술 후 뇌경색 등 중대한 합병증을 일으켜 수술후 사망률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특히, 점액종(A)의 제거 수술은 이러한 파편 조각의 생성없이 완전하고 안전하게 종양을 제거하는가에 성공여부가 좌우된다. 현재 일부 외과의사는 변칙적으로 스푼(spoon)을 소독하여 종양 아래부분을 받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이 역시 종양파편이 심장 내부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보호하지는 못한다.
또한, 판막이상 등 심장내 구조적 조직이상이 있거나 부정맥이 있는 경우, 심장내 혈류가 원활하지 않고 저류되어, 혈전 및 혈종(thrombus or hematoma)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이 혈전이나 혈종 역시 점액종과 비슷한 연부종양 성상(잘 부셔져 조직파편으로 인한 색전 증상 야기)으로 질병의 진행과정, 수술과정, 수술후 합병증 역시 유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부종양을 조각이나 파편 발생 없이 안전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부종양 제거 기구는, 인체의 장기 또는 조직에서 발생한 연부종양을 제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부종양이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와 그 수용부를 인체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수용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연부종양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 그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받침부재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 연부종양을 폐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연부종양의 제거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파편이 조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의 수용부와 커버부재의 폐쇄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떼어 내기 위한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와 커버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부가 서로 힌지결합됨으로써,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의 연장부는, 그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폐쇄부에 일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연장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일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길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는, 받침부재의 수용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수용부에 연부종양을 안전하게 받쳐 놓고, 이 상태에서 그 수용부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킴으로써, 연부종양의 제거과정에서 조각이나 파편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설령 발생한다 하더라도 받침부재의 수용부를 벗어나지 않게 됨에 따라, 연부종양의 일부가 조직 내로 재차 유입됨이 없이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연부조직의 일종인 점액종이 심장에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는, 인체의 장기 또는 조직에서 발생한 연부종양을 제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받침부재(10)와 커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상기 연부종양이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짐으로써 연부종양이 제거될 때까지 파편이나 조각 발생 없이 안전하게 받쳐지게 하는 수용부(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0)는, 상기 수용부(12)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상기 수용부(12)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연장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재(10)를 구성하는 수용부(12)와 연장부(14)는,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장부(14)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는 폐쇄부(22)와 상기 폐쇄부(22)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부(22)는, 상기 연부종양이 상기 받침부재(10)의 수용부(12)에 수용된 경우에 그 수용부(12)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12)와 함께, 연부종양의 일부가 받침부재(10)를 벗어나 조직 내로 재차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받침부재(10)의 연장부(14)와 마찬가지로 시술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폐쇄부(22)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24)는, 상기 연장부(14)에 힌지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시술자가 상기 수용부(12)와 폐쇄부(22)를 원거리에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는, 도 3과 같이 받침부재(10)의 수용부(12)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수용부(12)에 연부종양을 안전하게 받쳐 놓고, 이 상태에서 그 수용부(12)의 개방된 부위를 도 2와 같이 폐쇄시킴으로써, 연부종양의 제거과정에서 조각이나 파편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설령 발생한다 하더라도 받침부재(10)의 수용부(12)를 벗어나지 않게 됨에 따라, 연부종양의 일부가 조직 내로 재차 유입됨이 없이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0)의 상기 받침부재(10)의 수용부(12)와 커버부재(20)의 폐쇄부(2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떼어 내기 위한 커팅부(12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수용공간이 수용부(12)와 폐쇄부(22)에 의해 폐쇄되는 도중에 상기 커팅부(12a)를 이용하여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0)와 커버부재(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14)와 연결부(24)가 서로 힌지결합됨으로써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시술자가 외과용 가위 다루듯이 본 실시예를 조작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부종양 제거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부재(30)의 연장부(32)는, 장공의 슬릿(32a)을 포함하고, 커버부재(40)의 연결부는 제1절곡부(44)와 제2절곡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곡부(44)는, 상기 폐쇄부(42)에 일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슬릿(34a)을 따라 이동됨은 물론,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4)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절곡부(44)는 힌지핀에 의해 상기 장공의 슬릿(34a)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 및 틸팅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절곡부(46)는, 상기 제1절곡부(44)로부터 일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원거리 조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5의 이점쇄선과 같은 상태에서 받침부재(30)의 수용부(32)에 연부종양을 수용시키고, 그 수용부(32)에 연부종양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5의 실선과 같이 상기 제1절곡부(44)를 수용부 측에 가깝게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부(42)가 수용부를 원활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연부종양이 위치한 인체 내의 연부조직 주변에는 장기나 혈관 등 손상되지 않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조직이 있기 마련인데,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연부종양을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그 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각 구성의 동작범위가 최소의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 폐쇄부(42)를 수용부(32)에 대해 큰 각도로 벌린 후 오무리는 방식으로 그 수용부(32)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수용부(32) 측으로 폐쇄부(42)를 접근시키는 방식으로 수용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연부종양 제거가 용이하여 인체 내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받침부재 12:수용부
12a:커팅부 14:연장부
20:커버부재 22:폐쇄부
24:연결부

Claims (4)

  1. 인체의 장기 또는 조직에서 발생한 연부종양을 제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부종양이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와 그 수용부를 인체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수용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연부종양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 그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받침부재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 연부종양을 폐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연부종양의 제거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파편이 조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수용부와 커버부재의 폐쇄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부종양을 조직으로부터 떼어 내기 위한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커버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부가 서로 힌지결합됨으로써,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연장부는, 그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폐쇄부에 일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연장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일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길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종양 제거 기구.
KR1020170039117A 2017-03-28 2017-03-28 연부종양 제거 기구 KR10197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17A KR101972211B1 (ko) 2017-03-28 2017-03-28 연부종양 제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17A KR101972211B1 (ko) 2017-03-28 2017-03-28 연부종양 제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09A true KR20180109409A (ko) 2018-10-08
KR101972211B1 KR101972211B1 (ko) 2019-04-24

Family

ID=6386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17A KR101972211B1 (ko) 2017-03-28 2017-03-28 연부종양 제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2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069A (en) * 1993-07-15 1997-12-02 Shallman; Richard W. Gallbladder stone extracting forceps fo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EP0947166A2 (en) * 1998-03-30 1999-10-06 Ethicon, Inc. Surgical pouch instrument
CN2885148Y (zh) * 2006-03-14 2007-04-04 张立凤 妇科手术盆腔肿瘤提取钳
CN201840504U (zh) * 2010-11-08 2011-05-25 张淑霞 肿瘤手术摘取器
CN202335899U (zh) * 2011-11-23 2012-07-18 韩伟 一种肠道手术组合剪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069A (en) * 1993-07-15 1997-12-02 Shallman; Richard W. Gallbladder stone extracting forceps fo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EP0947166A2 (en) * 1998-03-30 1999-10-06 Ethicon, Inc. Surgical pouch instrument
CN2885148Y (zh) * 2006-03-14 2007-04-04 张立凤 妇科手术盆腔肿瘤提取钳
CN201840504U (zh) * 2010-11-08 2011-05-25 张淑霞 肿瘤手术摘取器
CN202335899U (zh) * 2011-11-23 2012-07-18 韩伟 一种肠道手术组合剪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211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 Hilal et al. Bleeding and hemostasis in laparoscopic liver surgery
US5133724A (en) Abdominal aortic clamp
Descottes et al. Early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approach for solid liver tumors: initial 16 cases
JP4259865B2 (ja) 手術用開創器と併用するためのセグメントアームアセンブリならびにこれに関する器具および方法
US20090204108A1 (en) Device for introducing and positioning surgical instrum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210128158A1 (en) Auricle clamp and delivery device thereof
Wakabayashi et al. Standardization of basic skills for laparoscopic liver surgery towards laparoscopic donor hepatectomy
ES2094770T3 (es) Instrumento para cirugia laparoscopica.
Huscher et al. Laparoscopic treatment of blunt splenic injuries: initial experience with 11 patients
JP2011072796A (ja) 旋回可能なつめを備える創傷閉鎖デバイス
Beck Further observations on stab wounds of the heart
Thiel et al. Venous dissection injuries during laparoscopic urological surgery
Dokmak et al. Pure laparoscopic middle pancreatectomy: single-center experience with 13 cases
Giulianotti et al. Trans-gastric pancreaticogastrostomy reconstruction after pylorus-preserving robotic Whipple: a proposal for a standardized technique
Ying et al. Emergency transumbilical single-incision laparoscopic splenectomy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rupture of the spleen: report of the first case and literature review
KR101972211B1 (ko) 연부종양 제거 기구
Guibert et al. Laparoscopic pericystectomy of a liver hydatid cyst
Cantore et al. Single access cholecystectomy using standard laparoscopic instruments
De Bakey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vascular surge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orthopedics
US20210052273A1 (en) Tensionable Surgical Clamp
Parry et al. Some considerations in the technique of partial nephrectomy
WO2010049862A1 (en) Endoscopic surgery device
Schleef et al. Technical aspects of laparoscopic splenectomy in children
Shinohara et al.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Jarboe et al. Splenect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