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775A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Google Patents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0775A KR20180100775A KR1020170026985A KR20170026985A KR20180100775A KR 20180100775 A KR20180100775 A KR 20180100775A KR 1020170026985 A KR1020170026985 A KR 1020170026985A KR 20170026985 A KR20170026985 A KR 20170026985A KR 20180100775 A KR20180100775 A KR 201801007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material
- screw
- organic waste
- material processing
- g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 B01F7/08—
-
- B01F13/023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5—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in receptacles having guiding conduits therein, e.g. for feeding the gas to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01F2101/33—Mixing compost ingredients or organic waste
-
- B01F2215/0054—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소멸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의 중심부에 유기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발효 결과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료처리통;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를 통해 원료처리통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원료처리통과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원료처리통 내벽의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스크루를 향해 수직으로 다수개 부착하되, 전면 및 후면이 원료처리통의 안쪽 둘레면을 마주보면서 상기 원료처리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틀어서 부착한 이송교반판; 상기 이송스크루에 형성된 공기투입수단;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위쪽에 연결된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대형의 교반기를 구성하는 매우 큰 원료처리통 및 이송스크루를 사용하면서도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에 의해 대폭적으로 소멸시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체로 되면서 서로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료처리통과 이송스크루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안쪽 둘레면에 비스듬히 비틀어 부착된 이송교반판에 의해 원료처리통의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이송하고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소멸하도록 한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는 부패하게 되면 악취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고 있지만, 재활용하는 사료에 한계가 있어 근래에는 이를 발효시켜 일정량을 소멸시킨 후에 남아 있는 최소량을 폐기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소멸시키는 것은 소량에서만 효율성이 있으나 대용량에서는 그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에 의해 소멸시켜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매우 큰 통과 거대한 스크루와 같은 대형의 교반시설을 필요로 하나, 이러한 대형의 교반시설의 매우 큰 통에 유기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투입한 후 거대한 스크루로 이송시키면서 발효시키는 것은 너무 많은 유기물 쓰레기에 의해 제대로 발효되지 못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즉 거대한 이송스크루로 유기물 쓰레기를 이송시킨다 하더라도 매우 많은 유기물 쓰레기가 적절히 분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충분한 발효조건에 매우 미달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유기물의 쓰레기의 대형 교반시설로 종래의 방식들은 회전날개 및 스크루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과도한 축의 힘과 감속기를 사용한 일정 크기의 원료처리통의 범위가 벗어나면 교반 효율과 축의 부러짐 현상들이 일어나서 교반시설의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개선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은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제10-1507303호)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드럼(30) 내에 교반날(33)을 설치하여, 상기 교반날(33)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드럼(30) 내의 유기성 폐기물을 적절하게 교반시킴으로써 발효의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날(33)은 회전하는 교반드럼(30) 내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단지 교반만 시킬 뿐이어서 발효의 효율성이 그다지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도 효율적으로 발효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일체로 되어 있지만 서로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대형의 원료처리통과 이송크스루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안쪽 둘레면에 비스듬히 비틀어 부착된 다수 개의 이송교반판으로 구성되어, 투입되는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가 원료처리통 내에서 좌우로 이송되어 순환되면서 교반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산됨으로써 발효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높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소멸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의 중심부에 유기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발효 결과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료처리통;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를 통해 원료처리통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원료처리통과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원료처리통 내벽의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스크루를 향해 수직으로 다수개 부착하되, 전면 및 후면이 원료처리통의 안쪽 둘레면을 마주보면서 상기 원료처리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틀어서 부착한 이송교반판; 상기 이송스크루에 형성된 공기투입수단;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위쪽에 연결된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원료처리통과 이송스크루는 2개의 회전수단이 각각 별도로 연결되어 서로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수단은, 원료처리통용 또는 이송스크루용의 각각의 회전모터;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쪽 끝단과 투입부 쪽의 이송스크루 끝단 및 각 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각각의 풀리; 및 상기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풀리와 상기 배출부의 풀리 및 상기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풀리와 이송스크루의 풀리 사이를 연결한 각각의 회전벨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수단은, 원료처리통용 또는 이송스크루용의 각각의 회전모터;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쪽 끝단과 투입부 쪽의 이송스크루 끝단 및 각 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로 구성하여, 상기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기어와 상기 배출부의 기어 및 상기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기어와 이송스크루의 기어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송스크루는 양쪽 끝단부 바깥둘레에 스크루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루 형상의 사이에 바깥둘레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이송날개를 각각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송날개는 이송로드 및 상기 이송로드의 상부에 배출부 쪽을 향해 비스듬히 틀어서 부착한 교반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원료처리통은 사각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롤러 기둥의 롤러에 걸쳐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기투입수단은 이송스크루의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공기투입구 및 상기 공기투입구와 연통하도록 이송스크루의 바깥 둘레면에 다수개 관통한 공기배출공으로 구성하되, 상기 공기배출공은 안쪽은 좁고 바깥쪽은 넓은 역삼각의 형태로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한쪽의 바깥 둘레면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어 원료처리통에 다른 쪽이 연결된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 내부로 삽입된 가스스크루; 상기 가스스크루의 한쪽 끝단 및 이송스크루의 배출부 쪽 끝단에 연결된 각각의 가스풀리; 및 상기 각 가스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가스스크루를 회전시키는 회전벨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의하면, 대형의 교반기를 구성하는 매우 큰 원료처리통 및 이송스크루를 사용하면서도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에 의해 대폭적으로 소멸시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원료처리통과 이송스크루 및 상기 원료처리통에 비스듬히 비틀어 부착된 이송교반판에 의해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를 적절하게 순환이동 및 분산시키므로, 공기공급과 수증기 및 가스배출이 용이하여 미생물에 의한 최적의 발효조건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송스크루에 부착된 이송날개에 의해 원료처리통에 투입된 유기물 쓰레기가 더욱 잘 이송됨으로써 상기 유기물 쓰레기의 순환이동이 더 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용량의 유기물 쓰레기라도 원료처리통을 회전시키면서 계속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량을 꾸준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배출수단의 하나로 설치된 가스스크루에 의해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의 유기물 쓰레기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여 더욱 원활한 가스배출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및 배출공 부위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발효 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및 배출공 부위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발효 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및 배출공 부위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는 원료처리통(1), 이송스크루(2), 투입부(3), 배출부(20), 공기투입수단(4), 가스배출수단(5) 및 상기 원료처리통(1)에 부착되는 이송교반판(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처리통(1)은 아주 큰 대형으로 구성되며 지면의 사각의 각 모서리 4점에 세워지는 롤러 기둥(6) 상부의 롤러(6a)에 걸쳐 있다. 이러한 원료처리통(1)의 안쪽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이송교반판(7)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되고, 이러한 경사판(7)들은 원료처리통(1)의 안쪽 둘레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일정간격을 두고 계속해서 부착되는데,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원료처리통(1)의 앞쪽 전면에는 관 형상의 투입부(3)가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노출된 부위의 상부에 유기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료처리통(1)의 뒤쪽 후면에도 관 형상의 배출부(20)가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노출된 부위의 하부에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고 난 후의 최종 잔류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a)가 형성되고, 이러한 배출구(20a)에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개폐밸브(20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원료처리통(1)의 투입부(3) 쪽 하부에는 최종 잔류물을 배출하거나 원료처리통(1)의 점검을 위해 서랍식으로 된 점검구(1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이송교반판(7)은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되어 길이가 짧은 단변 쪽이 원료처리통(1) 내의 안쪽 둘레면에 부착되면서 전면 및 후면이 상기 원료처리통(1)의 안쪽 둘레면을 마주보도록, 즉 상기 원료처리통(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데,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비틀어서 부착한다. 이러한 각 이송교반판(7)의 비틀림 방향은 원료처리통(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착되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 3의 투입부(3) 쪽을 바라보는 단면도에서 상기 원료처리통(1)이 왼쪽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이송교반판(7)은 오른쪽 방향(시계방향)으로 비스듬히 비틀어서 부착한다. 이러한 이송교반판(7)은 예컨대 도 3에서 보면 원료처리통(1) 내의 안쪽 둘레면을 따라 약 51도의 간격을 두고 7개가 부착되고, 도 2에서 보면 원료처리통 안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5개가 부착되나, 상기 원료처리통(1)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료처리통(1)은 회전수단에 의해, 즉 원료처리통(1)과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8a) 사이에서 풀리와 회전벨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원료처리통(1)의 배출부(20) 쪽에 배치된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8a)의 모터축에 장착된 모터풀리(9)와 원료처리통(1)의 후면 중심부에 설치된 통풀리(10a) 사이를 회전벨트(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원료처리통(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료처리통(1)의 후면 중심에 설치된 기어와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8a)의 모터축에 장착된 기어를 서로 맞물려 연결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스크루(2)는 원료처리통(1)의 중심부를 통해 삽입되어 앞쪽 및 뒤쪽은 관 형상의 투입부(3) 및 배출부(20)에 삽입되며, 앞쪽과 뒤쪽 일부의 바깥둘레에만 스크루 형상이 가공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루(2)는 회전수단에 의해, 즉 이송크르루(2)와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8b) 사이에서 풀리와 회전벨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원료처리통(1)의 투입부(3) 쪽에 배치된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8b)의 모터축에 장착된 모터풀리(9)와 투입부(3) 쪽인 이송스크루(2)의 한쪽의 이송축 끝단에 장착된 이송풀리(10b) 사이를 회전벨트(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이송스크루(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스크루(2)의 한쪽의 이송축 끝단에 장착된 기어와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8b)의 모터축에 장착된 기어를 서로 맞물려 연결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스크루(2)의 양쪽 스크루 형상 사이의 바깥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송날개(21)가 부착되고, 상기 이송날개(21)는 이송스크루(2)의 양쪽 스크루 형상 사이의 길이방향으로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날개(21)는 봉이나 바 형상의 이송로드(21a)의 끝단 측면에 날개판(21b)이 원료처리통(1)의 배출부(20) 쪽을 향해 비스듬히 부착된 것이다. 상기 이송날개(21)는 예컨대 도 3에서 보면 이송스크루(2)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가 부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10개가 부착된다. 상기 이송날개(21)도 이송스크루(2)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부(3)와 배출부(20)는 원료처리통(1)의 앞쪽 및 뒤쪽에서 내부에 이송스크루(2)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원료처리통(1)에 연결되어 있으나, 연결부위에서 상기 투입부(3)와 배출부(20)는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원료처리통(1)만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공기투입수단(4)은 이송스크루(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공기투입구(11)와 상기 공기투입구(11)와 연통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루(2)의 바깥 둘레면에 관통하여 형성한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2) 및 송풍기(13)로 구성되며, 로터리 조인트로 연결된 공기투입구(11)의 앞쪽에 송풍기(13)가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13)에 의해 공기가 공기투입구(11)와 공기배출공(12)을 거쳐 원료처리통(1)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공(12)은 안쪽의 직경은 좁고 바깥쪽의 직경은 넓은 역삼각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기물 쓰레기 및 찌꺼기가 공기배출공(12)을 막아도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잘 막히지 않게 된다. 즉 유기물 쓰레기는 원료처리통(1) 내에서 절반 정도밖에 차있지 않고 계속해서 순환하면서 교반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배출공(12)을 심하게 막을 정도까지는 되지 않고, 이러한 공기배출공(12)을 유기물 쓰레기가 잠시 막고 있다 하더라도 역삼각의 형태로 된 상기 공기배출공(12)을 통해 일정압력의 공기가 배출되고 있어, 작은 면적의 구멍에서 넓은 면적의 구멍을 향해 빠르게 배출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가스배출수단(5)은 원료처리통(1)의 배출부(20) 쪽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14)과 이 배출관(14) 내로 삽입되는 가스스크루(17) 및 상기 가스스크루(17)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관(14)의 노출된 바깥쪽 둘레면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공(1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스크루(17)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가스스크루(17)의 노출된 이송축 끝단에 연결된 가스풀리(18a)와 배출부(20) 쪽인 이송스크루(2)의 다른 쪽의 이송축 끝단에 연결된 전달풀리(18b), 그리고 상기 가스풀리(18a)와 전달풀리(18b) 사이를 연결한 회전벨트(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수단에 의해 가스스크루(17)는 회전하지만 배출관(14)은 상기 가스스크루(17)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항상 원료처리통(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배출관(14) 자체는 회전하지 않고 원료처리통(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기물 쓰레기 발효 소멸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원료처리통(1)과 이송스크루(2)를 각각 회전모터(8a)(8b)에 의해 별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투입부(3)의 투입구(3a)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일정량씩 연속해서 꾸준히 투입하되, 상기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를 위해 미생물 및 우드칩과 함께 투입한다.
다음에 공기투입수단(4)의 송풍기(13)에 의해 공기투입구(11)를 통해 공기를 투입하면 이송스크루(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12)을 통해 공기가 원료처리통(1) 내로 투입되어 발효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된 유기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루(2) 및 상기 이송스크루(2)에 부착된 이송날개(21)의 날개판(21b)에 의해 전진하여 원료처리통(1) 내의 뒤쪽 끝에 도달하지만, 상기 원료처리통(1)이 반대로 회전하면서 원료처리통(1)에 부착된 이송교반판(7)도 회전하기 때문에 반대로 되돌아가는 순환과정을 반복한다. 즉 이송날개(21)의 날개판(21b)이 배출부(20) 쪽으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루(2)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날개판(21b)이 연속적으로 유기물 쓰레기를 앞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밀어 뒤쪽으로 전진시키고, 이송교반판(7)이 원료처리통(1)의 안쪽 둘레면에 비스듬히 비틀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원료처리통(1)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교반판(7)이 뒤쪽에 쌓이는 유기물 쓰레기를 반대로 나선방향을 따라 밀어 앞쪽으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원료처리통(1)과 이송스크루(2)의 회전 및 이송날개(21)와 이송교반판(7)의 회전에 의해 원료처리통(1) 내의 유기물 쓰레기를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순환을 계속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있던 유기물 쓰레기(15)는 원료처리통(1)이 회전하면서 계속 상부로 이동할 때마다 이송교반판(7)에 부딪히면서 아래로 낙하함으로써 서로 뒤섞이는 적절한 교반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계속 회전하면서 순환함과 동시에 아래로 낙하하여 교반되는 유기물 쓰레기(15)에 의해 많은 양의 유기물 쓰레기라 하더라도 원료처리통(1) 내에서 잘 분산되어 공기 투입에 의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해진다. 결국 이러한 원료처리통(1) 내의 유기물 쓰레기(15)의 환경은 미생물의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게 되어 많은 양의 유기물 쓰레기도 아주 효율적으로 발효시켜 소멸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의해 100%의 유기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최종적으로 약 20%의 유기물 쓰레기만 남고 나머지는 발효되어 소멸되며, 20%의 유기물의 쓰레기는 배출부(20)의 배출구(20a)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유기물 쓰레기(15)의 처리 과정 중 생기는 수증기 및 가스는 가스배출수단(5)인 배출관(14)의 가스배출공(14a)을 통해 원료처리통(1)의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4)의 입구가 유기물 쓰레기에 의해 막혀 가스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않을 수 있으나, 가스스크루(17)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입구의 유기물 쓰레기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배출관(14)은 막히는 일이 없이 수증기와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물 쓰레기(15)가 원료처리통(1) 내에서 순환하면서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여 잘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물 쓰레기(15)의 사이사이로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가스배출수단(5)인 배출관(14)을 통해 수증기 및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원료처리통
2 : 이송스크루
3 : 투입부 3a : 투입구
4 : 공기투입수단 5 : 가스배출수단
6 : 롤러 기둥 6a : 롤러
7 : 이송교반판 8a :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
8b :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 9 : 모터풀리
10a : 통풀리 10b : 이송풀리
11 : 공기투입구 12 : 공기배출공
13 : 송풍기 14 : 배출관
14a : 가스배출공 15 : 유기물 쓰레기
16 : 회전벨트 17 : 가스스크루
18a : 가스풀리 18b : 전달풀리
20 : 배출부 20a : 배출구
21 : 이송날개 21a : 이송로드
21b : 날개판
3 : 투입부 3a : 투입구
4 : 공기투입수단 5 : 가스배출수단
6 : 롤러 기둥 6a : 롤러
7 : 이송교반판 8a :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
8b :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 9 : 모터풀리
10a : 통풀리 10b : 이송풀리
11 : 공기투입구 12 : 공기배출공
13 : 송풍기 14 : 배출관
14a : 가스배출공 15 : 유기물 쓰레기
16 : 회전벨트 17 : 가스스크루
18a : 가스풀리 18b : 전달풀리
20 : 배출부 20a : 배출구
21 : 이송날개 21a : 이송로드
21b : 날개판
Claims (10)
-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소멸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의 중심부에 유기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발효 결과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료처리통;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를 통해 원료처리통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원료처리통과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원료처리통 내벽의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스크루를 향해 수직으로 다수개 부착하되, 전면 및 후면이 원료처리통의 안쪽 둘레면을 마주보면서 상기 원료처리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틀어서 부착한 이송교반판;
상기 이송스크루에 형성된 공기투입수단;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위쪽에 연결된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처리통과 이송스크루는 2개의 회전수단이 각각 별도로 연결되어 서로 별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원료처리통용 또는 이송스크루용의 각각의 회전모터;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쪽 끝단과 투입부 쪽의 이송스크루 끝단 및 각 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각각의 풀리; 및
상기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풀리와 상기 배출부의 풀리 및 상기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풀리와 이송스크루의 풀리 사이를 연결한 각각의 회전벨트;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원료처리통용 또는 이송스크루용의 각각의 회전모터; 및
상기 원료처리통의 배출부 쪽 끝단과 투입부 쪽의 이송스크루 끝단 및 각 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
로 구성하여, 상기 원료처리통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기어와 상기 배출부의 기어 및 상기 이송스크루용 회전모터의 모터축 기어와 이송스크루의 기어를 서로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는 양쪽 끝단부 바깥둘레에 스크루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루 형상의 사이에 바깥둘레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이송날개를 각각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는 이송로드 및 상기 이송로드의 상부에 배출부 쪽을 향해 비스듬히 틀어서 부착한 이송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처리통은 사각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롤러 기둥의 롤러에 걸쳐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투입수단은 이송스크루의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공기투입구 및 상기 공기투입구와 연통하도록 이송스크루의 바깥 둘레면에 다수개 관통한 공기배출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은 안쪽은 좁고 바깥쪽은 넓은 역삼각의 형태로 관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한쪽의 바깥 둘레면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어 원료처리통에 다른 쪽이 연결된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 내부로 삽입된 가스스크루;
상기 가스스크루의 한쪽 끝단 및 이송스크루의 배출부 쪽 끝단에 연결된 각각의 가스풀리; 및
상기 각 가스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가스스크루를 회전시키는 회전벨트;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985A KR101910171B1 (ko) | 2017-03-02 | 2017-03-02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985A KR101910171B1 (ko) | 2017-03-02 | 2017-03-02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775A true KR20180100775A (ko) | 2018-09-12 |
KR101910171B1 KR101910171B1 (ko) | 2018-10-19 |
Family
ID=6359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985A KR101910171B1 (ko) | 2017-03-02 | 2017-03-02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01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6973A (zh) * | 2019-04-28 | 2019-07-05 | 祝亚琴 | 一种干性粉体混合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487B1 (ko) * | 2019-09-05 | 2021-09-15 | 김광오 | 음식물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
KR102562712B1 (ko) * | 2023-03-06 | 2023-08-02 | 주식회사 미래환경 | 교반 처리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4252B1 (ko) | 2012-05-29 | 2012-08-14 | 박열웅 | 액상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
KR101507303B1 (ko) | 2014-04-24 | 2015-04-07 | 박진채 |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3568B1 (ko) * | 2001-07-05 | 2004-03-18 | 서희동 | 음식물쓰레기의 탈염방법 |
KR101378925B1 (ko) * | 2012-02-20 | 2014-03-27 | 이달은 | 열분해장치용 가스/오일을 포함하는 배출가스의 안내장치 |
-
2017
- 2017-03-02 KR KR1020170026985A patent/KR1019101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4252B1 (ko) | 2012-05-29 | 2012-08-14 | 박열웅 | 액상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
KR101507303B1 (ko) | 2014-04-24 | 2015-04-07 | 박진채 |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6973A (zh) * | 2019-04-28 | 2019-07-05 | 祝亚琴 | 一种干性粉体混合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0171B1 (ko) | 2018-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0171B1 (ko)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
KR101498606B1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 감량장치 | |
KR100853758B1 (ko) |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액상 가축 사료 제조 시설 | |
KR101719753B1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 |
KR101769833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1872595B1 (ko) | 발효탱크 교반장치 | |
KR101286518B1 (ko) | 교반기능이 향상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 |
KR101599989B1 (ko) |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 |
KR101892975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소멸기 | |
CN112044914B (zh) | 厨余垃圾分离降解系统及方法 | |
KR20170037243A (ko) | 유기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 교반기 | |
KR20160095489A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 감량장치 | |
JP2008086915A (ja) | 生ゴミ処理装置 | |
KR101226987B1 (ko) | 코코넛 필렛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시스템 | |
JP3221603B2 (ja) | 有機物の連続処理方法及びそれを実行する連続処理装置 | |
KR100676867B1 (ko) | 탈수 케익 처리 장치 | |
KR101261453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 |
KR20180056147A (ko) | 폐기물의 처리장치 | |
CN110922230A (zh) | 一种堆肥好氧发酵前处理装置 | |
KR101943275B1 (ko) |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 |
KR930001204B1 (ko) | 폐기물 재활용 처리장치 | |
KR101898892B1 (ko) |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 |
KR101698592B1 (ko) | 대용량 발효 감량기 | |
KR20160060365A (ko) |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및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 |
KR200385852Y1 (ko) | 염분음식물쓰레기발효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