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962A - 자동차용 로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962A
KR20180094962A KR1020187019723A KR20187019723A KR20180094962A KR 20180094962 A KR20180094962 A KR 20180094962A KR 1020187019723 A KR1020187019723 A KR 1020187019723A KR 20187019723 A KR20187019723 A KR 20187019723A KR 20180094962 A KR20180094962 A KR 2018009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lock
driving
front bonnet
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슈투름
베른하르트 드로스트
뮈라 외즈도건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5704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949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2/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o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rames
    • B62D12/02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o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rames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7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로크(8, 9), 특히 자동차(1)의 전방 보닛(3)을 위한 로크(8, 9)를 갖는 구동 장치(4)로서, 로터리 래치를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는 로크(8, 9)에 연결된 구동 요소(6)와 함께, 로크 홀더(18, 19)에 의해 로킹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6)가 첫 번째로 구동한 후, 전방 보닛(3)은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될 수 있으며, 구동 요소(6)가 적어도 한 번 더 구동한 후, 전방 보닛(3)은 구동 전달 수단(10, 11, 12)과 함께, 특히 구동 요소(6)와 로크(8, 9) 사이의 보덴 케이블(10, 11, 12)과 함께, 해제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장치(4)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수단(7)이 제공되어, 구동 요소(6)에 의한 로크(8, 9)의 구동이 억제될 수 있는 구동 장치(4) 및 구동 장치(4)의 구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로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로크, 특히 자동차의 전방 보닛을 위한 로크를 갖는 구동 장치로서, 로터리 래치를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는 로크 홀더에 의해 로킹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는 로크에 연결되며, 구동 요소가 첫 번째로 구동한 후, 전방 보닛은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가 적어도 한 번 더 구동한 후, 전방 보닛은 해제 위치로 될 수 있으며, 구동 전달 수단, 특히 보덴 케이블은 구동 요소와 로크 사이인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 장치는 그 구동에 의해 자동차 운전자 및/또는 다른 도로 이용자들에게 위험이 존재할 경우, 특히 까다로운 안전 요건을 갖는다. 안전 기준을 갖는 이러한 구동 장치는 플랩, 보닛, 도어 및/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로크 또는 로킹 시스템을 위한 구동 장치이다. 만약 예컨대 자동차로 주행하는 동안, 예컨대 모터 보닛을 개방하기 위한 구동 요소의 의도치 않은 구동이 일어난다면, 예컨대 모터 보닛은 기류로 인해 개방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차에 대한 손상 및/또는 다른 도로 이용자에 대한 추가적인 손상이 분명 일어날 것이다. 이러한 사고 및/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장치가 만족해야 하는 안전 기준이 있다. 예를 들어 ISO 26262가 있는데, 이는 자동차의 안전 관련 전기/전자 시스템을 위한 ISO 기준을 정의하는 것으로, 자동차 안전성 보존 등급(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ASIL) 또는 미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 113(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113, FMVSS 113)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준은 자동차의 구동 장치와 특히 자동차의 전방 보닛을 위한 래치의 구동 장치의 안전 관련 성능을 정의한다.
자동차의 전방 보닛의 로크를 위한 구동 장치는 DE 198 04 066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구동 장치는 자동차의 전방 보닛을 볼팅하기 위한 로크 및 로킹 위치에서 전방 보닛이 서포팅 위치로, 그리고 결국 해제 위치로 될 수 있는 어레스팅 요소를 갖는다. 로크는 레버 및 그 레버에 결합된 보덴 케이블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는데, 로크의 로터리 래치를 볼팅하는 폴이 로터리 래치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DE 198 04 066 A1에 개시된 전방 보닛은 어레스팅 요소가 서포팅 위치에 의해 전방 보닛의 추가적인 개방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예압된 스프링 장치에 의해 서포팅 위치로 될 수 있다. 핸들은 전방 보닛이 완전히 개방되어야 하는 해제 위치로 어레스팅 요소의 수동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어레스팅 요소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핸들은 서포팅 위치에 배치된 전방 보닛의 전방 모서리와 자동차의 섀시나 팬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관통하여,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작하는 손이 더러운 입자로 덮인 자동차의 일부분에 닿아 오염될 수 있다. 또한 핸들은 차도로부터 더러운 입자를 일으키는 전방 엔진실의 난류에 의해 오염될 수 있어, 핸들을 조심스럽게 구동할 경우에도 조작하는 손이 오염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자동차의 전방 보닛의 상기 개방은 전방 보닛이 두 개의 별개의 구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분리된 과정의 단계들은 구동 요소의 의도치 않은 구동 시에도 전방 보닛이 자동차의 운전자나 교통에 위험을 끼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보호 시스템을 묘사한다.
자동차, 특히 자동차의 전방 보닛의 래치를 위한 다른 구동 장치가 DE 10 2007 003 292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구동 요소로서 자동차의 내부에 배열된 회전 레버는 로크에 연결된 보덴 케이블에 연결된다. 로크는 로크 홀더에 의해 로킹 위치로 될 수 있는 로터리 래치를 포함한다. 로크를 개방하여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전방 보닛을 움직이거나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레버나 구동 요소를 작동하여 로크를 개방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전방 보닛은 로킹 위치로부터, 전방 보닛이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없는 어레스팅 훅에 의해 전방 보닛이 제자리에 고정되는 서포팅 위치로 간다. 구동 요소의 반복적인 구동 후에만 어레스팅 후크가 움직여, 전방 보닛이 해제 위치로 간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구동 장치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는 전방 보닛이 의도치 않은 개방되거나 구동 장치가 의도치 않은 구동하는 동안, 차량이 움직일 때 로크도 개방되어, 전방 보닛이 해제 위치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 개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로크의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하고, 자동차의 이동 동안 이를 바람직하게 방지하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구현하기에 비용 효율적인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 1과 10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하위 청구항에서 언급된다. 이하에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설명과 하위 청구항에 묘사된 특징 대신 임의의 가능한 변형예들도 가능하다.
청구항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로크, 특히 자동차의 전방 보닛을 위한 로크를 갖는 구동 장치로서, 로터리 래치를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는 로크 홀더에 의해 로킹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는 로크에 연결되며, 구동 요소가 첫 번째로 구동한 후, 전방 보닛은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가 적어도 한 번 더 구동한 후, 전방 보닛은 해제 위치로 될 수 있으며, 구동 전달 수단, 특히 보덴 케이블은 구동 요소와 로크 사이에 있어, 구동 요소에 의한 래치의 구동이 방지될 수 있는 구동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형태에 의해, 정의 가능한 제한 속도를 초과할 경우, 예컨대 로크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할 가능성이 생겨 난다. 이는 특히 차량이 움직여 로크가 개방 위치로 될 수 있을 때, 사용자가 구동 요소를 의도치 않게 작동할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활성화 수단이 구동 장치에 작용할 경우, 구동 요소의 구동은 효과 없이 유지되어, 로크가 로킹되어 유지되고, 전방 보닛은 로킹 위치에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자동차의 로크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치로 간주된다. 안전 관련 영역에서 이용되는 로크는 구동 장치에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따라서 예컨대 플랩, 슬라이딩 도어, 래터럴 도어 또는 모터 보닛의 영역에 이용되는 로크는 로크로 언급되어야 한다. 의도치 않은 개방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거나, 적어도 두 국면의 폐쇄 또는 개방을 처리하는 이들 로크가 이용된다.
로크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래칭 위치를 갖는 로터리 래치를 포함한다. 로터리 래치의 메인 래칭 위치는 전방 보닛의 로킹 위치에 연관된다. 즉 로터리 래치가 메인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보닛이 로킹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킹 위치는 로크와 전방 보닛 사이의 상호 작용을 정의한다. 메인 래칭 위치에서 서로 상대적인 위치로 고정된 로크와 전방 보닛의 상대적인 위치에 무관하게, 대안적으로 구동 수단이 사용되어, 전방 보닛을 포함하여, 메인 래칭 위치에 있는 로크가 움직일 수 있다. 전방 보닛은 예컨대 폐쇄 간극(closure gap)을 최소화하기 위해, 팬 그릴이나 전방 시트에 더 가까이 움직인다. 전방 보닛은 자동차에 배치된 로크와 상호 작용하는 로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정반대의 배치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스럽게 도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 레버와 같은 구동 요소가 원격 구동을 위해 자동차에 배열된다. 구동 전달 수단은 로크와 구동 요소 사이에 작용한다. 구동 전달 수단은 일 실시예에서 보덴 케이블일 수 있다. 로크는 작동 레버에 의해, 그리고 구동 전달 수단의 도움으로 언로킹될 수 있다. 구동 요소의 초기 구동 후, 로크는 전방 보닛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구동이 필요한 서포팅 위치에 도달한다. 전방 보닛은 해제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비활성화 수단은 구동이 방지되도록 구동 장치에 작용한다. 이러한 안전 기능에 의해, 예컨대 구동 요소의 의도치 않은 구동이 로크 또는 전방 보닛을 메인 래칭 위치 또는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됨으로써, 최고 수준의 안전이 제공될 수 있다.
비활성화 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수단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구동 전달 수단 및 구동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동 요소는 핸들이나 회전 레버일 수 있다. 만약 구동 전달 수단이 예컨대 보덴 케이블이라면, 비활성화 수단은 보덴 케이블을 따라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래칭 및/또는 구동 요소의 영역에 추가적인 부품을 배치하기에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유리하다.
또한 이는 비활성화 수단이 구동 요소 및/또는 로크의 구성요소일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만약 비활성화 수단이 예컨대 로크에 직접적으로 통합된다면, 자동차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위한 추가적인 설치 단계가 필요 없게 된다. 이 경우 로크는 로크에 안전 관련 양상을 통합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이 구비될 것이다. 또한 구동 요소의 영역에 배열될 경우, 구동 요소의 모듈식 구성은 추가적인 설치 단계를 없애, 안전 관련 양상이나 기능의 구현을 위해 가급적 최소한의 구성요소만 가질 수 있기 위해, 추가적으로 내장된 기능을 갖도록 구상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추가적인 기능은 오직 로크 및/또는 구동 요소의 영역에서 모듈식 유닛으로 통합되고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수단은 비활성화 수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비활성화 수단의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수단은 구동 요소, 구동 전달 수단 및/또는 로크를 차단할 수 있다. 구동 요소의 차단은 예컨대 작동 기능이 차단 메커니즘에 의해 이용 가능하지 않게 됨으로써, 로킹 메커니즘의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구동 요소나 회전 레버는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볼트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구동 전달 수단이 구동 요소, 볼트, 제동 유닛 및/또는 그에 상응하는 차단 수단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도 자연스럽게 도출 가능하다.
또한 구동 전달 수단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적은 수의 메커니즘이 언급되어 있으나, 구동 전달 수단의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차단하는 다른 메커니즘이 자연스럽게 이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로크는 그 스스로 대안적으로 차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는 그 움직임에서 차단되는 로터리 래치에 작용하는 폴을 발동하는 발동 레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차단 메커니즘은 전기적으로 바람직하게 작동하며, 이는 특히 자동차에서 전기 공급이 이용 가능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수단은 비활성화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달 수단 및/또는 로크를 포함하는 구동 요소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에 분리는 예컨대 구동 요소가 구동하는 동안, 예컨대 구동 요소로부터 삭제된 보덴 케이블이 분리되도록 야기하여, 회전 레버와 같은 구동 요소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되되, 구동 전달 수단으로 체결이 일어나지 않아, 그 회전 운동이 개방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다. 작동 절차에 있어서 분리는 로크 기능을 설명함에 따라 볼팅(bolting)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또한 로크가 볼팅될 경우, 대게 작동 절차가 중단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구동 요소가 구동 전달 수단과 분리된다면, 구동 장치는 볼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유사하게, 만약 예컨대 별개의 모듈로 구현된 볼팅 요소로서, 구동 전달 수단이 언커플링될 수 있다면, 구동 전달 수단이 볼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덴 케이블은 구동 요소와 커플링 모듈 사이에 배열되고, 다른 보덴 케이블은 커플링 모듈과 로크 사이에 배열될 것이다. 만약 예컨대 커플링 요소가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언커플링 모듈에 언커플링된다면, 구동 요소와 로크 사이에 일관된 작동 절차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커플링은 언커플링되는데, 구동 장치는 커플링 모듈에 의해 볼팅될 것이다. 동일하게, 로크에 언커플링이 자동으로 일어날 수도 있는데, 보덴 케이블은 예컨대 래치로부터 언커플링된다. 이 경우 역시 구동 요소가 구동하는 동안, 구동 전달 수단이 작동하는데, 다만 구동 전달 수단이 로크로부터 언커플링되기 때문에, 이는 로크의 언로킹을 유발하지 않아,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또는 필요시 서포팅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구동 요소의 구동이 구동 장치에 대해 불능으로 유지된다.
비활성화 수단이 전기적으로 작동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도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수단의 비용 효율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에서 전기적인 에너지가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드라이브로 구현될 수 있는 전기적인 구동은 비용 효율적이고 작은 구성(microconstruction)으로 제공되어, 예컨대 비용 효율적이고 작은 구성이며 단순한 구성으로 커플링 모듈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구동은 구동 장치를 단순히 차단 및/또는 언커플링하여, 비활성화할 수 있다.
스위칭 수단이 제공되어, 스위칭 수단에 의해 비활성화 수단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도출된다. 구동 장치의 비활성화 수단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감지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은 안전성을 추가적으로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폐쇄 장치나 로크의 의도치 않은 개방이 방지되어야 할 경우,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화 수단의 기능적인 위치가 알려지거나 감지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구동 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교통에 위험을 끼치는 상황이 야기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구동 장치가 현재 이용 불가능 함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경고 신호가 제어될 수 있다. 아무튼 스위칭 수단은 구동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가 제공되어, 제어부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기록될 수 있고, 속도에 의존하여 비활성화 수단이 제어될 수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출된다. 자동차에 통합된 제어부에 의해, 한 편으로 자동차의 속도가 기록될 수 있는데, 다만 이와 동시에 구동 장치에 할당된 스위칭 수단이 비활성화 수단의 위치의 함수로 기록되는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자동차의 특정 가능한 제한 속도의 범위 내에서, 구동 장치의 구동이 교통에 위험을 끼치며, 함수로서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게 되는 범위까지 유리한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다. 특히 로크의 순수한 기계적 개방이 종래 기술에 따라 가능할 경우, 본 발명은 구동 장치의 비활성화가 제한 속도의 초과나 하회에 의존하여 특정되거나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개선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컨대 5km/h 이하의 제한 속도가 제어부에 의해 특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가 5km/h를 초과하는 자동차의 속도를 기록하게 되자마자 제어부는 구동 장치를 비활성화한다. 이러한 기능으로, 제어부는 자동차가 비활성화 수단의 다수의 구동을 유발하는 제한 값을 초과하기만 한다면 언제든지 구동 장치를 작동할 것이다.
비활성화 수단이 항상 볼팅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도출 가능하고 유리하다. 즉 구동 장치가 예컨대 평상시에는 작동할 수 없으며, 이를 차단하거나 언커플링하고, 예컨대 구동 요소의 구동 시에만 해제되거나 커플링됨을 의미한다. 특히 전방 보닛에 대한 구동 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비활성화 수단의 적은 수의 움직임이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가능한 조합이 도출 가능하고 유리하다. 따라서 예컨대 구동 요소의 구동은 예컨대 비활성화 수단이 동작하고, 구동 전달 수단의 차단이 취소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요소가 구동할 경우, 커플링 모듈이 커플링되어, 오직 구동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도출 가능하다. 이는 한편으로는 비활성화 수단에서 가능한 최소한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게 만드는 이점을 제공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컨대 자동차가 제한 속도를 넘어 움직일 경우, 구동 장치가 사용자에게 전혀 이용 가능하지 않게 된다.
또한 예컨대 볼팅된 구동 장치가 구동 요소의 초기 구동에 의해 언볼팅(unbolting)되고, 예컨대 구동 요소가 반복적으로 구동하는 동안에만 구동 장치가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전방 보닛을 이동시킬 경우 유리할 수 있다. 구동 요소가 반복적으로 구동할 경우, 전방 보닛은 해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데, 구동 요소의 매 구동 동안, 한편으로는 비활성화 수단의 기능적인 위치가 제어부에 의해 항상 확인될 수 있으며, 제어부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거나 그 미만으로 움직이는지를 확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활성화 수단은 항상 언로킹되거나 커플링될 수 있다. 구동 요소가 초기에 구동한 후, 전방 보닛은 서포팅 위치에 도달한다. 동시에, 정의된 제한 속도의 초과나 하회가 제어부에 의해 확인되거나 기록된다. 초과나 하회의 경우에 따르면, 두 번째 스트로크에서, 해제 위치로 전방 보닛의 이동이 가능하거나, 해제 위치로 전방 보닛의 이동이 방지된다. 방지된다는 것은 예컨대 비활성화 수단이 두 번째 구동에 앞서 언커플링됨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비활성화 수단은 영구적인 구동으로 언로킹되거나 커플링될 수 있다. 만약 자동차에서 정전이나 절전이 일어난다면, 비활성화 수단이 기능적으로 준비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외부 전원 없이, 모터 보닛이나 전방 보닛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두 개의 로크가 제공될 경우, 그리고 구동 전달 수단이 스위치를 포함하여, 비활성화 수단이 스위치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경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가 도출된다. 만약 구동 전달 수단이 보덴 케이블로서, 예컨대 두 개의 로크가 보덴 케이블에 의해 작동한다면, 비활성화 수단은 스위치의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스위치가 이미 별개의 구성요소로, 예컨대 보덴 케이블의 끝단을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을 제공한다. 전기적인 구동 및/또는 볼트 및/또는 리프팅 체인에 의해 가이드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한 예컨대 보덴 케이블의 언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에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언커플링된다는 것은 제1 보덴 케이블 구성요소가 구동 요소와 스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로크에 대한 두 보덴 케이블로부터 언커플링됨을 의미한다. 스위치가 이미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드라이브가 차단 메커니즘과 함께, 전기적인 구동으로서 스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예컨대 스위칭 수단이 차단 메커니즘의 볼트에 직접적으로 배열된다면, 볼트와 비활성화 수단의 상태에 직접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효율적이고 구조적으로 단순한 방안이 제공되어, 구동 장치의 안전성을 높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로크, 특히 자동차의 전방 보닛을 위한 로크를 갖는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동 요소가 초기에 구동함으로써, 전방 보닛이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되며, 구동 요소가 한 번 더 구동함으로써, 전방 보닛이 서포팅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되고, 로크와 구동 요소 사이에 배열된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구동이 실행되도록 제공되되, 구동 장치는 비활성화 수단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방법에 의한 단계적인 방안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형태로 인해, 특히 로크가 다단계로 개방되는 동안, 전방 보닛을 개방하기 위해 추가적인 안전 성능이 통합된다. 특히 구동 장치의 비활성화는 안전 관련 기능이 작동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교통의 위험이 직접적으로 방지되며, 동시에 이러한 기능이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전방 보닛의 의도치 않은 개방이 방지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와 개략적인 도면에 기초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유리한 실시예를 구성한다. 도시된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설명의 특징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청구항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일부분의 평면도로서, 구동 장치의 배열의 개요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스위치와 두 개의 로크를 사용할 경우, 구동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구동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자동차(1)의 모습이 도 1에 평면도로 나타나 있다. 자동차(1)의 전방 보닛(3)이 회전하도록 배열된 전방 영역(2)이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는 자동차(1)의 내부(5)에서 작동할 수 있는 구동 장치(4)를 갖는다. 구동 장치(4)는 구동 요소(6), 비활성화 수단(7), 자동차(1)의 반대편에 각각의 로크(8, 9), 구동 요소(6)와 비활성화 수단(7) 사이에 제1 보덴 케이블(10), 비활성화 수단(7)과 제1 로크(9) 사이에 제2 보덴 케이블(11) 및 비활성화 수단(7)과 로크(8) 사이에 다른 보덴 케이블(12)을 갖는다.
구동 요소(6)는 예컨대 회전 레버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1)의 내부(5)에서 작동할 수 있다. 구동 요소(6)에 의해, 예컨대 제1 보덴 케이블(10)은 예컨대 인장력이 비활성화 수단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비활성화 수단(7)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동차(1)의 운전자 측(13)에 배열된다. 비활성화 수단(7)은 스위치로 형성되어, 예컨대 제1 보덴 케이블(10)의 인장 운동이 로크(8, 9)의 보덴 케이블(11, 10)로 균일하게 전해진다. 따라서 구동 요소(6)의 구동에 의해, 로크(8, 9)의 로킹 메커니즘의 개방이 언로킹(unlocked)될 수 있다.
로크(8, 9)의 언로킹에 의해, 전방 보닛(3)이 로킹 위치(locked position)로부터 서포팅 위치(supported position)로 될 수 있다. 구동 요소(6)의 반복적인 구동 후, 전방 보닛(3)이 해제되는데, 예컨대 어레스팅 훅이 전방 보닛(3)의 체결 영역으로부터 제거되어, 전방 보닛(3)이 서포팅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released position)로 될 수 있다. 비활성화 수단(7)에 의해, 구동 장치(4)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활성화 수단(7)은 예컨대 스위치(14)의 밸브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비활성화 수단(7)은 시작 또는 평상 위치에서 스위치의 밸브를 바람직하게 차단한다. 자동차(1)의 제어부(15)는 예컨대 구동 요소(6)의 구동을 기록하고, 스위치(14)의 차단을 취소할 수 있다. 구동 요소(6)와 비활성화 수단(7)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구동 요소(6)의 구동이 제어부(15)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데, 제어부(15)는 차단된 스위치 또는 언커플링(uncoupled)된 스위치가 커플링(coupled)되거나, 그 차단이 취소될 수 있도록, 비활성화 수단(7)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활성화 수단(7)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14)에 배열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다른 배열의 배치형태, 특히 구동 장치(4)의 구동의 감지 수단 및 구동 장치(4)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비활성화 수단(7)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연스럽게 도출 가능하다.
도 1의 구동 장치(4)의 일부분이 도 2에 예시적인 실시예로 나타나 있다. 제1 보덴 케이블(10) 및 스위치(14)로부터 시작하여 로크(8, 9)에 각각 연결된 보덴 케이블(11, 12)이 도시되어 있다. 로크(8, 9)에 더하여, 전방 보닛(3)의 언로킹 또는 해제 후, 전방 보닛(3)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풋업 힌지(16, 17)가 배열된다. 풋업 힌지(16, 17)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며, 이는 이미 알려져 있다. 로크(8, 9)는 전방 보닛(3)에 부착된 로크 홀더(18, 19)와 각각 상호 작용한다.
비활성화 수단(7)은 스위치(14)에 배열되며, 예컨대 스위치(14)에 배열된 밸브를 언커플링하여, 구동 장치(4)의 볼팅된 상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예컨대 자동차(1)의 제한 속도를 초과할 경우, 구동 요소(6)의 구동이 불능(ineffective)으로 유지되도록, 구동 장치(4)의 구동이 스위치(14)를 언커플링하지 않음으로써, 볼팅된 구동 장치(4)가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을 형성한다. 스위치(14)가 언커플링되어 있을 때, 비록 사용자가 구동 요소(6)를 작동할 수는 있으나, 구동 요소(6)에 의해 보덴 케이블(10)로 촉발되는 힘은 로크(8, 9)의 보덴 케이블(11, 12)로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1)가 주행하는 동안, 전방 보닛(3)의 개방으로 인한 위험은 작업자에 의해 불능으로 유지된다.
비활성화 수단(7)의 확대도가 도 3에 예시적인 실시예로 나타나 있다. 상기 수단(7)은 전기 모터(20), 전기 모터(20)에 부착된 인터로킹부(21) 및 커플링 조인트(24)와 상호 작용하는 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레버(23)를 포함한다. 커플링 조인트(24)는 밸브(25)에 작용하는데, 이는 스위치(14)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스위치의 형태인 스위칭 수단(26)은 비활성화 수단(7)과 특히 커플링 조인트(24)의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자연스럽게 커플링 조인트(24)는 차단 수단을 구성하여,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벗 레버(6)로 도시된 구동 요소(6)의 구동이 이를 차단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5), 스위칭 수단(26) 및 전기 모터(20) 사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수단(7)의 위치가 제어부에 의해 기록될 수 있으며, 구동 요소(6)의 위치, 속도 및 움직임에 따라 그 차단이 취소되거나 지속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제어부(15)는 로크(8, 9)의 다른 스위칭 수단 또는 구동 요소(6)와 결합되어, 예컨대 속도 제한에 대한 관련 평가를 수행하여, 전방 보닛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자동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1: 자동차
2: 전방 영역
3: 전방 보닛
4: 구동 장치
5: 자동차의 내부
6: 구동 요소, 회전 레버
7: 비활성화 수단
8, 9: 로크
10, 11, 12: 보덴 케이블
13: 운전자 측
14: 스위치
15: 제어부
16, 17: 푸시인 힌지
18, 19: 로크 홀터
20: 전기 모터
21: 인터링킹부
22: 축
23: 레버
24: 커플링 요소
25: 밸브
26: 스위칭 수단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로크(8, 9), 특히 자동차(1)의 전방 보닛(3)을 위한 로크(8, 9)를 갖는 구동 장치(4)로서,
    로터리 래치를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는 로크(8, 9)에 연결된 구동 요소(6)와 함께, 로크 홀더(18, 19)에 의해 로킹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요소(6)가 첫 번째로 구동한 후, 전방 보닛(3)은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될 수 있으며,
    구동 요소(6)가 적어도 한 번 더 구동한 후, 전방 보닛(3)은 구동 전달 수단(10, 11, 12)과 함께, 특히 구동 요소(6)와 로크(8, 9) 사이의 보덴 케이블(10, 11, 12)과 함께, 해제 위치로 될 수 있고,
    구동 장치(4)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수단(7)이 제공되어, 구동 요소(6)에 의한 로크(8, 9)의 구동이 억제될 수 있는 구동 장치(4).
  2. 제1항에 있어서,
    비활성화 수단(7)은 구동 전달 수단(10, 11, 12)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활성화 수단(7)은 구동 요소(6) 및/또는 로크(8, 9)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전달 수단(10, 11, 12)은 비활성화 수단(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수단(6)은 비활성화 수단(7)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활성화 수단(7)은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26)이 제공되어,
    스위칭 수단(26)에 의해 비활성화 수단(7)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구동 장치(4).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부(15)가 제공되어,
    제어부(15)에 의해 자동차(1)의 속도가 기록될 수 있으며,
    속도에 의존하여 비활성화 수단(7)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두 로크(8, 9)가 제공되며,
    구동 전달 수단(10, 11, 12)은 스위치(14)를 포함하고,
    비활성화 수단(7)은 스위치(14)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4).
  10. 적어도 하나의 로크(8, 9), 특히 자동차(1)의 전방 보닛(3)을 위한 로크(8, 9)를 갖는 구동 장치(4)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동 요소(6)가 초기에 구동함으로써, 전방 보닛(3)이 로킹 위치로부터 서포팅 위치로 되며,
    구동 요소(1)가 한 번 더 구동함으로써, 전방 보닛(3)이 서포팅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되고,
    로크(8, 9)와 구동 요소(6) 사이에 배열된 구동 전달 수단(10, 11, 12)에 의해 구동이 실행되도록 제공되되,
    구동 장치(4)는 비활성화 수단(7)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19723A 2015-12-15 2016-11-28 자동차용 로크 KR20180094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1848.8A DE102015121848A1 (de) 2015-12-15 2015-12-15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121848.8 2015-12-15
PCT/DE2016/100553 WO2017101900A1 (de) 2015-12-15 2016-11-28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962A true KR20180094962A (ko) 2018-08-24

Family

ID=5757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723A KR20180094962A (ko) 2015-12-15 2016-11-28 자동차용 로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4573B2 (ko)
EP (1) EP3390748B1 (ko)
KR (1) KR20180094962A (ko)
CN (1) CN108368707B (ko)
DE (1) DE102015121848A1 (ko)
WO (1) WO2017101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0018B2 (en) * 2016-07-26 2021-01-12 Magna Closures Inc. Double pull hood latch with interlock device
WO2018049002A1 (en) * 2016-09-08 2018-03-15 Blue Eclipse, Llc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 hood latch lock system
DE102018102874B4 (de) * 2018-02-08 2021-09-02 Witte Automotive Gmbh System zum Steuern eines Schlosses für ein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001021A1 (de) 2018-02-08 2019-08-08 Audi Ag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klappe eines Fahrzeugs mit einem Fahrzeugschloss
DE102018119328A1 (de) * 2018-08-08 2020-02-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terung für eine Kraftfahrzeugfronthaube
DE102021127985A1 (de) * 2020-11-23 2022-05-25 Magna BÖCO GmbH Doppelzug-verriegelungssystem für den vorderen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s
CN112412199A (zh) * 2020-11-24 2021-02-26 江苏金鼎汽车锁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面罩锁体
DE102021119653A1 (de) * 2021-07-28 2023-02-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manuellen Betätigen eines Schließsystems
DE102021122830A1 (de) * 2021-09-03 2023-03-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ieß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Fahrzeugs
DE102021131967A1 (de) 2021-12-03 2023-06-07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Sicherheitsbaugruppe zum Verhindern des Öffnens eines Fahrzeugschlosses bei vorgegebenen Fahrzeugzuständen
FR3137704B1 (fr) * 2022-07-06 2024-08-02 Renault Sas Agencement pour déverrouillage d’un capot avant d’un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6448A1 (de) * 1971-04-03 1972-10-12 Hans KoIb KG, 8000 München Diebstahlsicherung, insbesondere fur Kraftfahrzeuge
DE19804066B4 (de) 1997-02-04 2005-05-12 Ewald Witte Gmbh & Co Kg Fanghakenanordnung für eine Fronthaube oder dergleichen an Fahrzeugen
IL122301A0 (en) * 1997-11-25 1998-04-05 Brody Engineering Ltd Sensor actuated hood lock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lock
DE19816991C2 (de) * 1998-04-17 2000-11-02 Daimler Chrysler Ag Betätigungssystem für Fahrzeuge
FR2810754A1 (fr) * 2000-06-22 2001-12-28 Guy Ferrand Dispositif de securite annulant l'effet de traction mecanique lineaire, par rupture en un point de la ligne de traction, par un principe de repulsion de champ magnetique
FR2846025B1 (fr) * 2002-10-18 2004-12-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ouverture d'un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5021740B4 (de) 2005-05-11 2014-12-31 Audi Ag Notentriegelbares Verriegel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Kofferraum
DE102006012062B4 (de) * 2006-03-16 2017-05-04 Audi Ag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n Deckel eines Kraftwagens
DE102007003292B4 (de) 2007-01-23 2023-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mit einem Schloss und einem verstellbaren Fangelement für ein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29679B4 (de) 2007-06-27 2012-09-27 Audi Ag Betätig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flügel und Notentriegelungssystem
DE102007038950B4 (de) 2007-08-17 2019-07-25 Audi Ag Verriegelungs- und Entriegel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frontklappe
US8505987B2 (en) * 2009-03-17 2013-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ly-activated hood latch and release mechanism
CA2788576A1 (en) * 2010-02-05 2011-08-11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DE102011120188B4 (de) 2011-12-05 2013-08-29 Audi Ag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Fahrzeug-Kofferraum
DE102012004792A1 (de) 2012-03-07 2013-09-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otentriegelbares Verriegelungssystem, Fahrzeug dazu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Verriegelungssystems
JP5736611B2 (ja) * 2012-09-13 2015-06-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システム
US10941592B2 (en) * 2015-05-21 2021-03-09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actu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9777516B2 (en) * 2015-08-24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sture-activated hood release system
US11801900B2 (en) * 2020-02-05 2023-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21848A1 (de) 2017-06-22
US20180371807A1 (en) 2018-12-27
EP3390748A1 (de) 2018-10-24
US11384573B2 (en) 2022-07-12
EP3390748B1 (de) 2021-03-17
CN108368707B (zh) 2021-05-18
WO2017101900A1 (de) 2017-06-22
CN108368707A (zh)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4962A (ko) 자동차용 로크
US1087632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9663981B2 (en) Vehicle closure member power actuator control
JP5526004B2 (ja)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CN107816266B (zh) 远程副发动机罩闩锁释放机构
KR102503613B1 (ko) 차량 도어 래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080217956A1 (en) Motor Vehicle and Door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9650816B2 (en)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system and latch assembly
CN104420740A (zh) 用于提供安全的存储隔室的系统和装置
WO2015103363A2 (en)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 hood lock
KR20180053313A (ko)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JP6771352B2 (ja) ドア開閉装置のスイッチ
US5511838A (en) Remote latch release disabling device
CN114786978A (zh) 一种用于车门的车门铰链、一种后背门铰链、一种侧门铰链和一种车辆
CN109296271B (zh) 一种带电磁铁的客室门紧急解锁装置及使用方法
US20220364397A1 (en) Motor vehicle lock,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bonnet lock
WO2018206339A2 (en)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bonnet release system
EP1785557A2 (en) Door Latch
CA2994144C (en) Security-enhanced garage door opener system
US20020195828A1 (en) Closure device
GB2547695A (en) A system for the unlocking and locking of a door of a taxi, a door lock latch actuator for a taxi, and a method of modifying the same
GB2492651A (en) Locking device to prevent access to a handle in an emergency door
CA2384635A1 (en) Central lock mechanism
CN110748249B (zh) 发动机罩锁钩及车辆
KR100418021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