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30A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2030A KR20180092030A KR1020170017289A KR20170017289A KR20180092030A KR 20180092030 A KR20180092030 A KR 20180092030A KR 1020170017289 A KR1020170017289 A KR 1020170017289A KR 20170017289 A KR20170017289 A KR 20170017289A KR 20180092030 A KR20180092030 A KR 20180092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upport
- digital device
- plate
- mou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기기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치되는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기기의 멀티미디어 재생시 시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기기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치되는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기기의 멀티미디어 재생시 시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기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 체류시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내려놓게 되지만, 마땅히 둘 위치가 정해지지 않아서 낙하에 의한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디지털기기를 통하여 동영상 등을 재생하거나, 음악 등을 청취하는 경우에도 테이블 위에 그대로 둔 상태로 시청 및 청취하기 때문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55177호(2015.09.24.)에는 '휴대폰 거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에 대한 충전시에만 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기기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치되는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기기의 멀티미디어 재생시 시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디지털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기기는,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른 상기 지지부의 회동에 따라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거치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지지부로의 가압해제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고정시켜 각도조절된 상기 디지털기기의 거치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는,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부는, 전,후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편, 상부에 상기 거치부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판은,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케이블연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연결홀은,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거치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바의 상부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재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에 접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전,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디지털기기가 거치되는 전,후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지지면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판은, 양단부가 상기 안착면보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전,후지지면 과의 사이로 디지털기기가 탑재되는 탑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지지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석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원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외주면이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기기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거치되는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기기의 멀티미디어 재생시 시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이하 "거치장치"라 한다)(1)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에 안착되며 디지털기기(100)가 거치되는 거치부재(30) 및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결속수단(40)을 포함한다.
디지털기기(100)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30)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기기(100)는 상,하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면서 세로로 거치되고, 상,하부가 좌,우측 방향을 향하면서 가로로 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베이스판(11) 및 상기 베이스판(11)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바(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가 상기 베이스판(1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종단면이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실내 바닥면이나, 책상 등에 안착되며, 일정무게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20)의 위치조절을 위한 길이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함께 위치이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는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20)는 양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12)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편, 상부에 상기 거치부(30)가 안착되는 지지판(21)을 포함한다.
디지털기기(100)는 둘레를 이루는 측벽부가 상기 지지판(21)에 안착되면서 상기 거치부재(30)에 거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외부로부터의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의 상부면은 상기 지지부(20)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의 양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22)은 상기 지지판(21)의 양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턱(22)은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판(21)에 안착되는 거치부재(30)와 함께 디지털기기(1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판(21)은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외부의 다른 케이블이 통과하여 디지털기기(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연결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1)의 양단부는 상기 거치부재(30)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홀(23)은 상기 이탈방지턱(22)과 상기 거치부재(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 사이로 디지털기기(1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인입되면서 정리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21)과 상기 베이스바(12)의 상부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방지판(50)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 등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거치부재(30)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21)에 접하는 안착면(31) 및 상기 안착면(31)의 전,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후지지면(32,33)을 갖는다.
상기 지지판(21)은 양단부가 상기 안착면(31)보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전,후지지면(32,33)과의 사이로 디지털기기(100)가 탑재되는 탑재면(24)을 형성한다.
디지털기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지지면(32,33)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후지지면(32,33)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30)는 상기 안착면(31) 및 전,후지지면(32,33)을 갖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부재(30)는 상기 안착면(31) 및 전,후지지면(32,33)과 함께 양측면을 가지면서 오면체를 이루거나, 양측면 및 상부면을 가지면서 육면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0)는 일정무게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판(21)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면(31)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4)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착면(31)에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판(21)으로부터의 상기 거치부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는, 상기 거치부재(30)는 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35)에 의해 상기 지지판(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의 하부로부터 상기 거치부재(34)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30)는 상기 지지부(20)와 함께 회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지털기기(100)는 상기 거치판(21)의 탑재면(24)과 함께 상기 전지지면(32) 또는 상기 후지지면(33)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른 상기 지지부(20)의 전,후 회동에 따라 수직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거치각도(A)가 조절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각도(A)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기기(100)의 안정적인 거치와 함께 디지털기기(100)의 멀티미디어 재생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시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지지부(2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석(4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자석(41)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에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석(4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외주면이 상기 지지판(21)과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바(12)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2)는 상부면에 복수의 매립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41)은 상기 베이스바(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각 매립홈(13)으로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자석(41)은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판(21)과 접촉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20)로의 인위적인 가압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판(21)과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자력에 의한 상기 지지부(20)의 정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수단(40)은 외부로부터 상기 지지부(20)로의 가압해제시, 상기 지지부(20)를 상기 베이스부(10)에 위치고정시켜 결속함으로써 각도조절된 디지털기기(100)의 거치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거치장치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판 12 : 베이스바
13 : 매립홈 20 : 지지부
21 : 지지판 22 : 이탈방지턱
23 : 케이블연결홀 24 : 탑재면
30 : 거치부재 31 : 안착면
32 : 전지지면 33 : 후지지면
34 : 미끄럼방지부재 35 : 체결구
40 : 결속수단 50 : 마찰방지판
11 : 베이스판 12 : 베이스바
13 : 매립홈 20 : 지지부
21 : 지지판 22 : 이탈방지턱
23 : 케이블연결홀 24 : 탑재면
30 : 거치부재 31 : 안착면
32 : 전지지면 33 : 후지지면
34 : 미끄럼방지부재 35 : 체결구
40 : 결속수단 50 : 마찰방지판
Claims (8)
-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디지털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기기는,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른 상기 지지부의 회동에 따라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거치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지지부로의 가압해제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고정시켜 각도조절된 상기 디지털기기의 거치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는,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부는,
전,후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편, 상부에 상기 거치부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케이블연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연결홀은,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거치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바의 상부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에 접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전,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디지털기기가 거치되는 전,후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지지면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양단부가 상기 안착면보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전,후지지면 과의 사이로 디지털기기가 탑재되는 탑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지지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석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원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외주면이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289A KR20180092030A (ko) | 2017-02-08 | 2017-02-08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289A KR20180092030A (ko) | 2017-02-08 | 2017-02-08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030A true KR20180092030A (ko) | 2018-08-17 |
Family
ID=6340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7289A Abandoned KR20180092030A (ko) | 2017-02-08 | 2017-02-08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203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6308B1 (ko) * | 2023-12-20 | 2024-07-22 | 파인원 주식회사 | 원통형 2차전지 받침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5177B1 (ko) | 2014-03-12 | 2015-09-24 | 브로스앤컴퍼니 주식회사 | 휴대폰 거치장치 |
-
2017
- 2017-02-08 KR KR1020170017289A patent/KR20180092030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5177B1 (ko) | 2014-03-12 | 2015-09-24 | 브로스앤컴퍼니 주식회사 | 휴대폰 거치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6308B1 (ko) * | 2023-12-20 | 2024-07-22 | 파인원 주식회사 | 원통형 2차전지 받침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1560B2 (en) | Sound system for portable devices | |
USD441759S1 (en) | Support base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V controller, video game machine, or audio or video disc player | |
KR20180092030A (ko)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
JP3041816B1 (ja) | 卓上装置の角度調節及び壁掛け用機構 | |
US20130299668A1 (en) | Element for engaging a portable media player | |
US8224010B2 (en) |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varying sound transmission and a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 |
USD442967S1 (en) | Support base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V controller, video game machine, or audio or video disc player | |
KR101582465B1 (ko) | 조립식 휴대폰 거치장치 | |
USD481734S1 (en) | Support base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V controller, video game machine, or audio or video disc player | |
KR200486825Y1 (ko) | 책상에 고정 가능한 바형 스피커 | |
CN211184013U (zh) | 一种电子设备支架 | |
USD446217S1 (en) | Support base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V controller, video game machine, or audio or video disc player | |
WO2007042047A2 (en) | Monitor | |
KR20150107097A (ko) |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 |
CN216086011U (zh) | 一种具有防线滑脱结构的桌面理线装置 | |
KR200474707Y1 (ko) | 전자기기용 홀더 | |
KR20230134296A (ko) | 다용도 거치대 | |
JP2001051750A (ja) | 情報処理装置用スタンド | |
CN215674416U (zh) | 一种电子设备支架 | |
JP3243225U (ja) | 挟持幅を調整可能な挟持装置 | |
CN210771312U (zh) | 一种夹持机构、组合桌子及电子设备夹持装置 | |
KR20100004170A (ko) |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
JP5969520B2 (ja) | スピーカー支持装置およびスピーカー装置 | |
JP2003298248A (ja) | スタンド | |
JP3034950U (ja) | マイクロホン付きキーボー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