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444A -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444A
KR20180077444A KR1020160181802A KR20160181802A KR20180077444A KR 20180077444 A KR20180077444 A KR 20180077444A KR 1020160181802 A KR1020160181802 A KR 1020160181802A KR 20160181802 A KR20160181802 A KR 20160181802A KR 20180077444 A KR20180077444 A KR 2018007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sorting
eccentric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102016018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444A/ko
Publication of KR2018007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44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퇴비 및 임목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용도에 맞게 퇴비 및 임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별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퇴비 및 임목을 선별하는 타공에 형성되는 다수의 선별판을 본체 내측으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를 편심수단으로 하여금 편심회전시켜 본체를 요동치도록 흔들리게 하여 다수의 선별판으로 의해 퇴비 및 임목이 크기별로 선별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sorting device for compost}
본 발명은 건조된 퇴비 및 임목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용도에 맞게 퇴비 및 임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별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퇴비 및 임목을 선별하는 타공에 형성되는 다수의 선별판을 본체 내측으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를 편심수단으로 하여금 편심회전시켜 본체를 요동치도록 흔들리게 하여 다수의 선별판으로 의해 퇴비 및 임목이 크기별로 선별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의 가축분뇨는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이 대개 수만ppm을 나타내므로 환경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특히 환경에 지대한 오염을 유발하는 질소, 인의 농도가 높아 이를 하천등의 생활환경에 배출시에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가축분뇨는 퇴비화, 액비(액체비료)화를 통한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을 이용하여 처리되고 있으며, 액비화의 방법은 혼합된 분뇨를 고액분리 후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뇨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안전한 물질로 전환시켜 악취가 나지않는 액비를 생산하여 토지 및 경작농가에 살포하여 좋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화학비료 대체비료로 가축분뇨를 이용한 액비,퇴비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은 크게 가축분뇨로 된 원료를 통풍을 이용하여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원료를 발효하는 발효과정과, 상기 발효장에서 발효된 원료를 최종적으로 숙성하는 후숙과정을 거친 후 퇴비로 처리된다.
이러한 퇴비는 퇴비화 과정에서 크기가 균일하지 못한 상태에서 처리되지 않아 크기별로 선별된 퇴비의 정량 포장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퇴비의 사용용도에 따른 선별과정이 별도로 수행되어 생산공정이 일원화되지 못해 생산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975호 (2015.02.10)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퇴비 및 임목을 선별하는 타공에 형성되는 다수의 선별판을 본체 내측으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를 편심수단으로 하여금 편심회전시켜 본체를 요동치도록 흔들리게 하여 다수의 선별판으로 의해 퇴비 및 임목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별도의 선별공정없이 퇴비 및 임목의 이물질을 걸러내어주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퇴비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용도에 맞게 퇴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량생산이 구현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하부에 설치되고,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인 본체; 상기 경사진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퇴비 및 임목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원료를 본체측으로 안내하는 공급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1타공이 배열되어 제1타공에 의해 공급체에서 안내되는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를 본체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선별판; 상기 제1선별판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1타공 보다 직경이 작은 제2타공이 배열되어 제2타공에 의해 제1선별판에서 선별된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여 하강시키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본체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선별판; 상기 본체 하단부에 제2선별판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2선별판에 의해 선별된 선별원료를 본체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선별판; 상기 제1, 2, 3선별판의 단부측으로 선별된 선별원료를 각각 배출시키는 제1, 2, 3슈트;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본체 및 1, 2, 3선별판을 편심회전시켜 선별원료가 1, 2선별판을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제1, 2타공을 통해 크기별로 선별시키는 편심수단;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대 사이에서 편심수단에 의해 편심회전하는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공급체를 통해 안착되는 선별원료는 제1, 2, 3선별판의 경사지는 형태로 인해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는 편심수단에 의해 제1, 2, 3선별판과 함께 편심회전되어 제1, 2타공에 의해 선별원료는 크기별로 선별되기 때문에, 별도의 선별공정없이 선별원료의 이물질을 걸러내 주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선별원료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용도에 맞게 선별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심수단에 의해 본체가 편심회전이 이루어질 때 본체가 편심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지지볼이 제1지지홈과 제2지지홈 사이에서 이동되면서 본체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본체의 안정적인 편심회전을 이루어지게 하여 편심수단의 부하를 방지하고, 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져 유지비용이 절감되면서도 소음 또한 줄여주어 쾌적한 생산현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2지지홈에서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지지수단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 지지프레임(10) 상에 안착되는 본체(20), 퇴비 및 임목을 본체(20)로 이송하는 공급체(30), 상기 본체(20) 내측에 설치되는 제1, 2, 3선별판(40, 50, 60), 상기 본체를 편심회전시켜 제1, 2, 3선별판(40, 50, 60)을 통해 크기별로 퇴비 및 임목을 선별하는 편심수단(90), 상기 본체(20)가 편심회전될 때 본체(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은 본체(20)를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직립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플랜지를 중간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프레임 사이에 보강재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20)는 후술되는 제1, 2, 3선별판(40, 50, 60)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퇴비 및 임목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원료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대(21)가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 2, 3선별판(40, 50, 60)에 선별되는 선별원료가 자동적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공급체(30)는 상기 경사진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선별원료를 본체(20)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제1선별판(40)은 본체(20)의 내측 상단부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1타공(41)이 배열되어 제1타공(41)에 의해 공급체(30)에서 안내되는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선별판(4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제1선별판(40)의 경사지는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1슈트(71)에 의해 일괄적으로 포집된다.
제2선별판(50)은 제1선별판(40)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1타공(4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타공(51)이 배열되어 제2타공(51)에 의해 제1선별판(40)에서 선별된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여 하강시키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선별판(5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제2선별판(50)의 경사지는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2슈트(73)에 의해 일괄적으로 포집된다.
제3선별판(60)은 상기 본체(20) 하단부에 제2선별판(50)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2선별판(50)에 의해 선별된 선별원료를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선별판(60)에 의해 이송된 선별원료는 제3선별판(60)의 경사지는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3슈트(73)에 의해 일괄적으로 포집된다.
한편, 상기 제1, 2, 3슈트(71, 73, 75)의 하부에는 체인콘베어 또는 벨트콘베어인 이송수단(미도시)이 별도로 설치되어 제1, 2, 3선별판(40, 50, 6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선별원료를 일괄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의 편심회전을 도모하기 위해 본체(20)의 하부 일측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81) 및 상기 모터(8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83)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1풀리(83)의 동력을 전달받아 본체(20)를 편심회전시켜 본체(10) 내측에 설치된 1, 2, 3선별판(40, 50, 60) 또한 편심회전이 이루어져 선별원료가 1, 2선별판(40, 50)를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제1, 2타공(41, 51)을 통해 크기별로 선별되는 편심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지지대(21) 사이에서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하는 본체(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즉, 공급체(30)를 통해 제1, 2, 3선별판(40, 50, 60)에 각각 안착되는 선별원료는 제1, 2, 3선별판(40, 50, 60)의 경사지는 형태로 인해 자동으로 이동되며, 이때 본체(20)는 제1, 2, 3선별판(40, 50, 60)을 편심회전시켜 제1, 2, 3선별판(40, 50, 60)을 요동치도록 흔들리게 함으로써 제1, 2타공(41, 51)에 의해 선별원료는 크기별로 선별되고, 선별된 선별원료는 제1, 2, 3슈트(71, 73, 75)에 의해 포집되어 별도의 선별공정없이 선별원료의 이물질을 걸러내 주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선별원료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용도에 맞게 선별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량생산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하부로는 편심수단(90)에 연결되어 본체(20)의 편심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바(23)가 형성된다.
상기 편심수단(90)은 제1풀리(83)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2풀리(9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편심수단(90)은 제2풀리(91)를 통해 회전하는 제1편심부(93) 및 상기 제1편심부(93)의 상측에 편심되며, 상부가 회전바(23)에 연결되어 본체(20)를 편심회전시키는 제2편심부(95)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은 제2편심부(95)를 수용하여 제2편심부(95)와 함께 편심회전하고, 타측에는 하중판(111)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1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하중판(111)에 의해 제2편심부(95)가 편심회전될 때 발생되는 원심력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체(110)의 하중판(111)에 의해 편심회전하는 제2편심부(95)의 반대방향에 원심력을 발생되도록 하여 편심수단(90)이 작동될 때 힌쪽으로만 원심력이 작용하여 편심수단(90)의 부하 및 한쪽으로만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심수단(90)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측단부에 원형의 제1지지홈(15)을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10)에 맞닿은 지지대(21)의 하측단부에 제1지지홈(15)과 동일한 형태의 제2지지홈(25)을 형성하되, 상기 제2지지홈(25)의 중심점이 제1지지홈(15)의 중심점에 편심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제1지지홈(15)과 제2지지홈(25) 사이에 본체(20)의 각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볼(101)로 이루어져 본체(20)가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될 때 지지볼(101) 또한 본체(20)의 각측부를 지지하면서 제1지지홈(15)과 제2지지홈(25) 사이에서 편심회전되는 반경으로 이동되어 편심하는 본체(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편심수단(90)에 의해 본체(20)가 편심회전이 이루어질 때 본체(20)가 편심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지지볼(101)이 제1지지홈(15)과 제2지지홈(25) 사이에서 이동되면서 본체(2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본체(20)의 안정적인 편심회전을 이루어지게 하여 편심수단(90)의 부하를 방지하고, 본체(2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져 유지비용이 절감되면서도 소음 또한 줄여주어 쾌적한 생산현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또 다른 형태를 살펴보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상측단부에 반구형의 제3지지홈(17)을 형성함과 아울러 지지프레임(10)에 맞닿은 지지대(21)의 하측단부에 제4지지홈(25)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수단은 구 형태로 이루어져 제3지지홈(17)에서 인입된 상태로 회전되는 인입구(105) 및 상기 인입구(10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단부가 제4지지홈(25)에 접지되는 접지대(107)로 이루어져, 본체(20)가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될 때 인입구(105)는 제3지지홈(17)에 인입된 상태로 회전하고 접지대(107)는 편심회전되는 본체(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본체(20)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본체(20) 내측에 구비된 제1, 2, 3선별판(40, 50, 60)에 진동을 주어 본체(20)의 편심회전과 더불어 선별원료의 선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10 : 지지프레임 15 : 제1지지홈
17 : 제3지지홈 20 : 본체
21 : 지지대 23 : 회전바
25 : 제2지지홈 27 : 제4지지홈
30 : 공급체 40 : 제1선별판
41 : 제1타공 50 : 제2선별판
53 : 제2타공 60 : 제3선별판
71 : 제1슈트 73 : 제2슈트
75 : 제3슈트 81 : 모터
83 : 제1풀리 90 : 편심수단
91 : 제2풀리 93 : 제1편심부
95 : 제2편심부 101 : 지지볼
110 : 지지체 111 : 하중판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지지대(21)가 하부에 설치되고,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인 본체(20);
    상기 경사진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퇴비 및 임목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원료를 본체(20)측으로 안내하는 공급체(30);
    상기 본체(20)의 내측 상단부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1타공(41)이 배열되어 제1타공(41)에 의해 공급체(30)에서 안내되는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선별판(40);
    상기 제1선별판(40)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1타공(4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타공(51)이 배열되어 제2타공(51)에 의해 제1선별판(40)에서 선별된 선별원료를 하부로 선별하여 하강시키고, 선별되지 않은 선별원료는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선별판(50);
    상기 본체(20) 하단부에 제2선별판(50)의 하부에 이격되어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2선별판(50)에 의해 선별된 선별원료를 본체(20)의 경사지는 단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선별판(60);
    상기 제1, 2, 3선별판(40, 50, 60)의 단부측으로 선별된 선별원료를 각각 배출시키는 제1, 2, 3슈트(71, 73, 75);
    상기 본체(20)의 하부 일측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81) 및 상기 모터(8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83);
    상기 제1풀리(83)의 동력을 전달받아 본체(20) 및 1, 2, 3선별판(40, 50, 60)을 편심회전시켜 선별원료가 1, 2선별판(40, 50)를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제1, 2타공(41, 51)을 통해 크기별로 선별되는 편심수단(90);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지지대(21) 사이에서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하는 본체(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하부로는 회전바(23)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수단(90)은 제1풀리(83)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2풀리(91)와,
    상기 제2풀리(91)를 통해 회전하는 제1편심부(93) 및 상기 제1편심부(93)의 상측에 편심되며, 상부가 회전바(23)에 연결되어 본체(20)를 편심회전시키는 제2편심부(9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2편심부(95)를 수용하여 제2편심부(95)와 함께 편심회전하고, 타측에는 하중판(111)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1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하중판(111)에 의해 제2편심부(95)가 편심회전될 때 발생되는 원심력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측단부에 원형의 제1지지홈(1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맞닿은 지지대(21)의 하측단부에 제1지지홈(15)과 동일한 형태의 제2지지홈(25)을 형성하되, 상기 제2지지홈(25)의 중심점이 제1지지홈(15)의 중심점에 편심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제1지지홈(15)과 제2지지홈(25) 사이에 지지볼(101)로 이루어져 본체(20)가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될 때 지지볼(101) 또한 제1지지홈(15)과 제2지지홈(25) 사이에서 편심회전되는 반경으로 이동되어 본체(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측단부에 반구형의 제3지지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맞닿은 지지대(21)의 하측단부에 제4지지홈(2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구 형태로 이루어져 제3지지홈(17)에서 인입된 상태로 회전되는 인입구(105) 및 상기 인입구(10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단부가 제4지지홈(25)에 접지되는 접지대(107)로 이루어져, 본체(20)가 편심수단(90)에 의해 편심회전될 때 인입구(105)는 제3지지홈(17)에 인입된 상태로 회전하고 접지대(107)는 편심회전되는 본체(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본체(20)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슈트(71, 73, 75)의 하부에는 체인콘베어 또는 벨트콘베어인 이송수단이 별도로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선별원료를 일괄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KR1020160181802A 2016-12-29 2016-12-29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Ceased KR20180077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02A KR20180077444A (ko) 2016-12-29 2016-12-29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02A KR20180077444A (ko) 2016-12-29 2016-12-29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44A true KR20180077444A (ko) 2018-07-09

Family

ID=6291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02A Ceased KR20180077444A (ko) 2016-12-29 2016-12-29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4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10B1 (ko) * 2021-07-06 2022-02-08 정예준 축분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CN115254283A (zh) * 2022-07-28 2022-11-01 宁夏煤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振动筛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65U (ja) * 1993-07-29 1995-02-10 金子農機株式会社 穀粒選別装置
JP2000135473A (ja) * 1999-12-20 2000-05-16 Taiwa Seiki:Kk 穀物の揺動選別機
JP3146626U (ja) * 2008-09-12 2008-11-20 三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材チップ分離装置
JP2012035229A (ja) * 2010-08-11 2012-02-23 Minoru Hosoda 振動ふるい機用起振機構
KR101649195B1 (ko) * 2016-03-08 2016-08-18 강운공업주식회사 발사체의 고체 추진제 선별용 스크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65U (ja) * 1993-07-29 1995-02-10 金子農機株式会社 穀粒選別装置
JP2000135473A (ja) * 1999-12-20 2000-05-16 Taiwa Seiki:Kk 穀物の揺動選別機
JP3146626U (ja) * 2008-09-12 2008-11-20 三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材チップ分離装置
JP2012035229A (ja) * 2010-08-11 2012-02-23 Minoru Hosoda 振動ふるい機用起振機構
KR101649195B1 (ko) * 2016-03-08 2016-08-18 강운공업주식회사 발사체의 고체 추진제 선별용 스크리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10B1 (ko) * 2021-07-06 2022-02-08 정예준 축분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CN115254283A (zh) * 2022-07-28 2022-11-01 宁夏煤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振动筛分装置
CN115254283B (zh) * 2022-07-28 2023-10-20 宁夏煤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振动筛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4227B2 (en) Organic wast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ermicomposting
US6223687B1 (en) High efficiency vermiculture process and apparatus
KR20180077444A (ko) 퇴비 및 임목용 선별장치
CN109289568A (zh) 一种用于农业的肥料混合装置
CN112934415B (zh) 一种生物肥料的生产装置
CN111229598A (zh) 一种农业畜禽饲料筛选机
CN206122169U (zh) 一种茶叶筛选装置
CN113317283A (zh) 一种立体黑水虻养殖机构、养殖系统和养殖方法
CN203565323U (zh) 滚筒式蚯蚓粪有机肥筛选装置
KR102356310B1 (ko) 축분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CN205833634U (zh) 一种豆类筛选装置
CN211532733U (zh) 一种牛饲料生产用预混下料器
CN102417043B (zh) 一种菌种培养料用自动装瓶机
KR200287400Y1 (ko) 지렁이와 지렁이 알 및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CN108617525A (zh) 一种缓速供料的黑山羊养殖用自然进食供料设备
CN113477363B (zh) 一种生物有机肥筛分装置
CN108433145A (zh) 一种用于刺梨加工的连续离心式脱水装置
CN201930929U (zh) 水果筛选机
CN205671282U (zh) 一种蚯蚓粪收集装置
CN208194203U (zh) 三轴立式精粗饲料混合搅拌机
CN2312768Y (zh) 布料器
CN219352811U (zh) 一种自动进出料蚯蚓养殖床
CN106513292A (zh) 一种方便分类的机器
CN206382230U (zh) 一种中药材风选机
CN220844605U (zh) 一种煤矿分选用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