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116A -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116A
KR20180075116A KR1020160179085A KR20160179085A KR20180075116A KR 20180075116 A KR20180075116 A KR 20180075116A KR 1020160179085 A KR1020160179085 A KR 1020160179085A KR 20160179085 A KR20160179085 A KR 20160179085A KR 20180075116 A KR20180075116 A KR 2018007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sh
wire
fastening hole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90B1 (ko
Inventor
김 다니엘
김 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김 다니엘
김 알렉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다니엘, 김 알렉산더 filed Critical 김 다니엘
Priority to KR102016017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건축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벽체 거푸집의 서로 이격된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거푸집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거푸집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로 구비되고, 저면부가 건축물의 수평 슬라브의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은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양측의 각각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2열로 설치되고,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은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 거푸집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1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SEISMIC DESIGN REINFORCEMENT SYSTEM FOR BUILDING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BUILDING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이 지진의 환경에서 진동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주택, 빌딩, 건물,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의 설계시에는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내진설계(耐震設計)가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가 의무화된 것은 1988년으로, 그 이전에 건설된 건축 구조물은 대부분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고, 내진설계의 의무화가 시행된 이후에도 내진설계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여 지진 발생시에 건축 구조물의 붕괴로 인한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기존 건축 구조물에 대한 증축, 개축, 대수선 등과 같은 리모델링 공사시에는 현행의 강화된 내진설계기준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기존에 설계된 내진설계로는 건축 구조물의 안전도를 보장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증가된 지진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기둥과 슬래브 등을 보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전단벽을 증설하거나 기둥단면을 확대하는 등의 고전적인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막대한 공사비와 함께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8291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를 지연시키며 건축물의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건축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벽체 거푸집의 서로 이격된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거푸집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거푸집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로 구비되고, 저면부가 건축물의 수평 슬라브의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은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양측의 각각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2열로 설치되고,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은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 거푸집널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1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플레이트의 양끝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망체결구멍 및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유입구멍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고,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1 거푸집널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고,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2 거푸집널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상기 몸체부에 직교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망체결구멍의 위치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향 절곡된 부분의 안쪽이 상기 망체결구멍과 함께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과 결합되는 수평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플레이트 형태이고, 플레이트의 가운데에 형성되고 일측이 열려 있는 망 결합홈 및 상기 망 결합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을 포함하는 망 결합판; 상기 망 결합판의 하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받침판; 및 상기 망 결합판의 하단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받침판이 절곡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전면, 배면, 전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막대 형태이고, 상기 전면 및 배면의 양끝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망체결구멍 및 상기 전면 및 배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유입구멍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전면 및 배면의 양끝에 구비되고, 상기 망체결구멍의 위치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향 절곡된 부분의 안쪽이 상기 망체결구멍과 함께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과 결합되는 망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망결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더브테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브테일홈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측 방??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상기 제1 와이어체결부 및 제2 와이어체결부에 일부분이 체결되어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내진 보강용 철망에 결속되어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고정용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3 거푸집널 상에 놓이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사각뿔 형태로 상향 연장되어 절두된 사각뿔 형상을 갖는 망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망결합부는 상기 망결합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삽입부, 상기 망 결합부의 제1 면에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소통된 제1 안내홈, 상기 제1 안내홈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제2 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 및 제1 안내홈과 소통된 제2 안내홈, 상기 제1 면 반대편의 제3 면에서 상기 삽입부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안내홈의 연장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소통된 제3 안내홈, 상기 제3 안내홈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3 면에 수직한 제4 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 및 제3 안내홈과 소통된 제4 안내홈, 상기 제2 안내홈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제4 안내홈의 끝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 제1 내지 제4 안내홈에 소통된 망체결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망체결구멍 및 제2 망체결구멍;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장축변 및 제1 망체결구멍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일정 곡률로 만곡된 제1 가이드편; 상기 제1 가이드편과 상기 몸체부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망체결구멍과 소통하는 제1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편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가이드편; 상기 제1 가이드편과 상기 몸체부의 장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망체결구멍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망체결구멍 측에 배치된 제3 가이드편; 및 상기 제3 가이드편과 상기 몸체부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망체결구멍과 소통하는 제2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가이드편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4 가이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 및 제2 망체결구멍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가이드편 및 제4 가이드편과 연결된 몸체부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더브테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브테일홈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체결부 및 상기 제2 망체결구멍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제3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을 상기 벽체 거푸집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제1 철근 배근 단계;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사이에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다수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 위로 철근을 배근하는 제2 철근 배근 단계; 상기 제3 거푸집널 상에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3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의하면, 내진 보강용 철망이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내부에 매설되므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될 수 있고, 지진의 진동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 및 수평 슬라브가 파괴되어 무너지더라고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파괴 영역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파괴 시점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를 지연시키며 건축물의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내진 설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가 벽체 거푸집 및 수평 슬라브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내진보강용 철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다수 설치될 때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의 일부가 겹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창문이 구비되는 벽체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매설되어 시공된 벽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내진보강용 철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내진 설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내진 보강용 철망(13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보강용 철망(130)은 건축물의 벽체(31) 및 수평 슬라브(32) 내에 철근(1)과 함께 매립되어 벽체(31) 및 수평 슬라브(32)의 내진 설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벽체(31)가 완성되기 전에 벽체 거푸집 내에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벽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내진 보강용 철망(130)과 함께 벽체(31)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은 수평 슬라브(32)가 완성되기 전에 수평 슬라브 거푸집 상에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내진 보강용 철망(130)과 함께 수평 슬라브(3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가 벽체 거푸집 및 수평 슬라브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 중 일부 및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벽체 거푸집(10) 내에 설치되고,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 중 나머지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은 수평 슬라브 거푸집(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내진보강용 철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들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들이 서로 엮인 형태의 철망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몸체부(111), 제1 고정부(112), 제2 고정부(113), 수평절곡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벽체 거푸집(10)의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몸체부(111)는 망체결구멍(111a) 및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망체결구멍(111a)은 몸체부(111)의 양끝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은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은 사각 구멍 형상일 수 있다.
제1 고정부(112)는 몸체부(111)의 일단부에서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112)는 몸체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절곡부(112a) 및 몸체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제1 절곡부(112a)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절곡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112)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이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 사이에 설치될 때 제1 거푸집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3)는 몸체부(111)의 타단부에서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2)의 제1 절곡부(112a)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절곡부(113a) 및 제1 고정부(112)의 제1 절곡부(112b)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4 절곡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곡부(113a) 및 제4 절곡부(113b)의 절곡된 형태는 제1 고정부(112)의 제1 절곡부(112a) 및 제1 절곡부(112b)가 절곡되는 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2 고정부(113)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이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 사이에 설치될 때 제2 거푸집널(12)에 고정될 수 있다.
수평절곡부(114)는 몸체부(111)에 직교하도록 상기 몸체부(111)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망체결구멍(111a)의 위치로부터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수평절곡부(114)의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됨에 따라 몸체부(111)의 양측에는 망체결구멍(111a)에 소통된 제1 삽입부(115a) 및 제2 삽입부(115b)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절곡부(114)의 양측 단부의 상향 절곡된 부분의 안쪽은 망체결구멍(111a)과 함께 내진 보강용 철망(13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은 망 결합판(121), 제1 받침판(122) 및 제2 받침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망 결합판(121)은 수직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망 결합판(121)은 수직하게 세워진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망 결합판(121)은 망결합홈(121a) 및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124)을 포함할 수 있다. 망결합홈(121a)은 망 결합판(121)의 상단부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고, 망 결합판(121)의 상단부를 향해 열려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망 결합판(121)의 상단부로부터 망결합홈(121a)의 내측으로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구성하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124)은 망결합홈(121a)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받침판(122)은 망 결합판(121)의 하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받침판(122)에는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받침판(122)은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이 수평 슬라브 거푸집(20)에 설치될 때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받침판(123)은 망 결합판(121)의 하단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받침판(122)이 절곡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받침판(123)에는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받침판(123)은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이 수평 슬라브 거푸집(20)에 설치될 때 제1 받침판(122)과 함께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다수 설치될 때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의 일부가 겹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창문이 구비되는 벽체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매설되어 시공된 벽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크게, 순차적으로, 거푸집 설치 단계(S100), 벽체 설치 단계(S200) 및 수평 슬라브 설치 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푸집 설치 단계(S100)는; 순차적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110) 및 제3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을 상기 벽체 거푸집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 설치 단계(S200)는; 순차적으로,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제1 철근 배근 단계(S210),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사이에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다수 설치하는 단계(S220),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S230),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는 벽체 거푸집(1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다수의 철근(1)을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사이에 배근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을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몸체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고정부(112)를 제1 거푸집널(11)에 고정하고 몸체부(11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고정부(113)를 제2 거푸집널(12)에 고정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는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구성하는 와이어들 중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들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와이어들을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들 각각의 몸체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삽입부(115a) 및 제2 삽입부(115b)로 진입시켜서 도 7과 같이 몸체부(111)의 양측의 각각의 망체결구멍(111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 9와 같이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 각각을 서로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연결하면서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하여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사이에 2열로 설치될 수 있고, 망체결구멍(111a)은 몸체부(111)의 양끝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므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에 결합된 각 열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은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벽체 거푸집이 창문이 구비되는 벽체의 시공을 위한 구조인 경우 상기 S230 단계를 통해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사이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용 철망은 창문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끝단부를 절곡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240 단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창문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내진 보강용 철망은 절곡된 끝단부까지 콘크리트에 매설될 수 있다. 도 10은 창문이 구비되는 벽체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내진 보강용 철망이 창문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끝단부가 절곡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S240 단계에서는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도 11과 같이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사이에 설치된 2열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의 끝단부 및 철근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콘크리트로부터 노출되는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의 끝단부는 벽체(31)에 연결되는 수평 슬라브(32)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도 11과 같이 수평 슬라브(32)의 위치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S140 단계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는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각각의 몸체부(111)에 형성된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을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견고히 부착되는 상태로 매설될 수 있다.
수평 슬라브 설치 단계(300)는;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 위로 철근을 배근하는 제2 철근 배근 단계(S310), 상기 제3 거푸집널 상에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단계(S320), 상기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3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S330),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는 제3 거푸집널(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철근(1)을 배근하며, 이때 철근(1)은 벽체 거푸집(10)에 배근된 철근(1)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배근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는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을 제3 거푸집널(2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에 다수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의 제1 받침판(122) 및 제2 받침판(123)이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제1 받침판(122) 및 제2 받침판(123)에 수직하는 망 결합판(121)은 제3 거푸집널(21)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향 돌출된다.
S330 단계에서는 도 8과 같이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구성하는 와이어들 중 일부를 제3 거푸집널(21) 상에 배치된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들 각각의 망 결합판(121)에 형성된 망결합홈(121a)에 결합하여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을 제3 거푸집널(21)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 각각을 서로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연결하면서 제3 거푸집널(2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하여 제3 거푸집널(21)의 위로 1열로 설치될 수 있고, 망결합홈(121a)은 제1 받침판(122) 및 제2 받침판(123)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은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는 제3 거푸집널(21)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내진 보강용 철망(130)들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들이 매설될 수 있는 두께로 타설되며, 이때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들 각각에 형성된 콘크리트 유입구멍(124)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므로 콘크리트 유입구멍(124) 내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견고히 부착되는 상태로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이용하면, 내진 보강용 철망이 벽체 및 수평 슬라보의 내부에 매설되므로 내진 보강용 철망이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될 수 있고, 지진의 진동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 및 수평 슬라브가 파괴되어 무너지더라고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파괴 영역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파괴 시점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붕괴를 지연시키며 건축물의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구조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구조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내진보강용 철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은 몸체부(211), 제1 망체결구멍(212) 및 제2 망체결구멍(213),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214), 제1 가이드편(215), 제2 가이드편(216)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1)는 전면(2111), 배면(2112), 전면(2111) 및 배면(2112)을 연결하는 측면(2113)을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제1 망체결구멍(212) 및 제2 망체결구멍(213)은 몸체부(211)의 전면(2111) 및 배면(2112)의 양끝으로부터 몸체부(211)의 가운데 방향을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214)은 몸체부(211)의 전면(2111) 및 배면(2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편(215)은 제1 망체결구멍(212)에 근접한 몸체부(211)의 장축변 및 제1 망체결구멍(212)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몸체부(211)의 일부분과 제1 삽입부(217)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다. 제1 삽입부(217)는 제1 망체결구멍(212)과 소통된다. 제1 삽입부(217)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2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삽입하여 제1 망체결구멍(212)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편(215)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제1 삽입부(217)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217)로 내진 보강용 철망(2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편(216)은 제2 망체결구멍(213)에 근접한 몸체부(211)의 장축변 및 제2 망체결구멍(216)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몸체부(211)의 일부분과 제2 삽입부(218)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다. 제2 삽입부(218)는 제2 망체결구멍(213)과 소통된다. 제2 삽입부(218)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2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삽입하여 제2 망체결구멍(213)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편(216)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제2 삽입부(218)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부(218)로 내진 보강용 철망(2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은 더브테일홈(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브테일홈(219)은 제1 망체결구멍(212) 및 제2 망체결구멍(21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가이드편(215) 및 제2 가이드편(216)과 연결된 몸체부(211)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211)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더브테일홈(219)은 제1 와이어체결부(219a) 및 제2 와이어체결부(21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체결부(219a)는 제1 망체결구멍(21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와이어체결부(219b)는 제2 망체결구멍(21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바닥면(221) 및 망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221)은 사각판 형상일 수 있고, 망결합부(222)는 바닥면(221)으로부터 사각뿔 형태로 상향 연장되어 절두된 사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망결합부(222)는 삽입부(222a), 제1 안내홈(222b), 제2 안내홈(222c), 제3 안내홈(222d), 제4 안내홈(222e) 및 망체결구멍(222f)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2a)는 망결합부(22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안내홈(222b)은 망결합부(222)의 제1 면(2221)에서 상기 삽입부(222a)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22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와 소통될 수 있고, 제2 안내홈(222c)은 제1 안내홈(222b)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면(2221)에 수직한 제2 면(222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및 제1 안내홈(222b)과 소통될 수 있고, 제3 안내홈(222d)은 제1 면(2221) 반대편의 제3 면(2223)에서 상기 삽입부(222a)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안내홈(222b)의 연장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와 소통될 수 있고, 제4 안내홈(222e)은 제3 안내홈(222d)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3 면(2223)에 수직한 제4 면(2224)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및 제3 안내홈(222d)과 소통될 수 있고, 망체결구멍(222f)은 제2 안내홈(222c)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제4 안내홈(222e)의 끝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제1 내지 제4 안내홈(222e)에 소통될 수 있다.
또한, 망결합부(222)의 각 면(2221, 2222, 2223, 2224)에는 콘크리트 유입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진 보강용 철망(230)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된 와이어들에 교차하는 보강와이어(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는 도 12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에 형성된 더브테일홈(219)의 제1 와이어체결부(219a) 및 제2 와이어체결부(219b)에 일부분이 체결되고 양측 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이 결합되는 상태,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벽체 거푸집의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의 사이에 고정되며, 추가적으로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브테일홈(219)의 제1 와이어체결부(219a) 및 제2 와이어체결부(219b)에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일부분을 체결한 후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양측 단부가 상향되도록 절곡하여,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양측 단부를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에 결합된 내진 보강용 철망(230)에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과 마찬가지로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을 제3 거푸집널에 고정하기 전에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할 수 있다.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에 내진 보강용 철망(230)을 결합하는 과정은, 먼저 도 16a와 같이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와이어를 삽입부(222a) 내측으로 삽입한 후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을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제1 안내홈(222b) 및 제2 안내홈(222c)이 삽입부(222a) 내로 삽입된 와이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제3 안내홈(222d) 및 제4 안내홈(222e)이 삽입부(222a) 내로 삽입된 와이어의 일부분을 수용하면서 회전되고, 90도로 회전이 완료되면 와이어는 망결합구멍(222f)으로 삽입되어 도 16b와 같이 망결합구멍(222f)에 체결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을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할 때 각각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필요는 없으며, 각각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이 90도 회전하여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이 더브테일홈(219) 및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고,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90도 회전하여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와이어들 중 일부의 와이어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되므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과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내진 보강용 철망(230)은 보강와이어(231)가 더 구비되므로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은 몸체부(311), 제1 망체결구멍(312) 및 제2 망체결구멍(313),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314), 제1 가이드편(315a), 제2 가이드편(315b), 제3 가이드편(315c), 제4 가이드편(315d)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망체결구멍(312) 및 제2 망체결구멍(313)은 몸체부(311)의 양측에 형성된다.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314)은 몸체부(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편(315a)은 몸체부(311)의 일측의 장축변 및 제1 망체결구멍(312)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다. 제1 가이드편(315a)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일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제2 가이드편(315b)은 제1 가이드편(315a)과 몸체부(311)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제1 망체결구멍(312)과 소통하는 제1 삽입부(316a)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이드편(315a)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편(315a) 및 제2 가이드편(315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삽입부(316a)로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3 가이드편(315c)은 제1 가이드편(315a)과 몸체부(311)의 장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제2 망체결구멍(313)과 연결되도록 제2 망체결구멍(313)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가이드편(315d)은 제3 가이드편(315c)과 몸체부(311)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제2 망체결구멍(313)과 소통하는 제2 삽입부(316b)를 사이에 두고 제3 가이드편(315c)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3 가이드편(315c) 및 제4 가이드편(315d)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2 삽입부(316b)로 내진 보강용 철망(1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은 더브테일홈(3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브테일홈(317)은 제1 망체결구멍(312) 및 제2 망체결구멍(31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가이드편(315a) 및 제2 가이드편(315b)과 연결된 몸체부(311)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311)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더브테일홈(317)은 제1 와이어체결부(317a) 및 제2 와이어체결부(3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체결부(317a)는 제1 망체결구멍(31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와이어체결부(317b)는 제2 망체결구멍(31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이 내진 보강용 철망(230)과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은 벽체 거푸집의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의 사이에 고정되며, 추가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13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브테일홈(317)의 제1 와이어체결부(317a) 및 제2 와이어체결부(317b)에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일부분을 체결한 후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양측 단부가 상향되도록 절곡하여,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의 양측 단부를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에 결합된 내진 보강용 철망(130)에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 및 내진 보강용 철망(1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410)은 몸체부(411), 제1 망체결구멍(412) 및 제2 망체결구멍(413),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414), 제1 가이드편(415a), 제2 가이드편(415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망체결구멍(412) 및 제2 망체결구멍(413)은 몸체부(311)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1 망체결구멍(412)은 제1 망체결구멍(412)으로부터 제1 망체결구멍(412)의 아래로 연장된 제1 삽입부(416a)와 소통하고 있다.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414)은 몸체부(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편(415a)은 몸체부(411)의 일측의 장축변 및 제1 망체결구멍(412)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다. 제1 가이드편(415a)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일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제2 가이드편(415b)은 제1 가이드편(415a)과 몸체부(411)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제1 망체결구멍(412)과 소통하는 제2 삽입부(416b)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이드편(415a)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편(415a) 및 제2 가이드편(415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삽입부(416a)로 내진 보강용 철망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410)은 더브테일홈(4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브테일홈(417)은 제1 망체결구멍(412) 및 제2 망체결구멍(41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 가이드편(415b)과 연결된 몸체부(411)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411)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더브테일홈(417)은 제1 와이어체결부(417a) 및 제2 와이어체결부(4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체결부(417a)는 제1 망체결구멍(41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와이어체결부(417b)는 제2 망체결구멍(41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410)이 내진 보강용 철망과 결합되는 경우 제1 삽입부(416a)를 통해 내진 보강용 철망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제1 망체결구멍(412)에 결합할 수 있고, 제1 가이드편(415a) 및 제2 가이드편(415b) 사이의 제2 삽입부(416b)로 내진 보강용 철망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삽입하여 제2 망체결구멍(413)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더브테일홈(417)에는 도 15 및 도 18의 형태와 같이 브라켓고정용 와이어를 체결하여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410) 및 내진 보강용 철망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의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RD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와 RD의 합이 100 중량부일 경우, RD는 0.4~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RD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에 RD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는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이 알루미늄 소재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의 표면이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구리는 2.5중량% 혼합된다.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과 조합될시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제대로 높이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구리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모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성된다.
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본 발명의 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에도 높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이 알루미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재질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의 표면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구리,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및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
120, 220 :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
130, 230 : 내진 보강용 철망

Claims (10)

  1.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벽체 및 수평 슬라브를 구축할 때 상기 벽체 및 수평 슬라브의 내진 설계를 위해 사용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로서,
    건축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벽체 거푸집(10)의 서로 이격된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거푸집널(1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거푸집널(12)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210, 310);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로 구비되고, 저면부가 건축물의 수평 슬라브(32)의 시공을 위해 구축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20)의 제3 거푸집널(2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220); 및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210, 310) 및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220)에 결합되는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 23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130, 230)이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210, 310)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130, 230)은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 210, 310) 양측의 각각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거푸집널(11) 및 제2 거푸집널(12)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벽체 거푸집(10) 내에 2열로 설치되고,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130, 230)이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220)에 결합될 때 내진 보강용 철망(130, 230)은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 2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 거푸집널(21)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20) 위로 1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110)은,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플레이트의 양끝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망체결구멍(111a) 및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을 포함하는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고,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1 거푸집널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112);
    상기 몸체부(111)의 타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고,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2 거푸집널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113);
    상기 몸체부(111)에 직교하도록 상기 몸체부(111)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망체결구멍(111a)의 위치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111)의 양측에 제1 삽입부(115a) 및 제2 삽입부(115b)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향 절곡된 부분의 안쪽이 상기 망체결구멍(111a)과 함께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130)과 결합되는 수평절곡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의 양끝으로부터 상기 몸체부(211)의 가운데 방향을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망체결구멍(212) 및 제2 망체결구멍(213);
    상기 몸체부(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214);
    상기 제1 망체결구멍(212)에 근접한 몸체부(211)의 장축변 및 상기 제1 망체결구멍(212)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211)의 일부분과 제1 삽입부(217)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제1 가이드편(215); 및
    상기 제2 망체결구멍(213)에 근접한 몸체부(211)의 장축변 및 상기 제2 망체결구멍(213)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211)의 일부분과 제2 삽입부(218)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제2 가이드편(2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보강용 철망(230)은 종방향 와이어들 및 횡방향 와이어들이 서로 교차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와이어들 및 횡방향 와이어들은 직사각형이 연속 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종방향 와이어들 및 횡방향 와이어들에는 대각방향으로 보강와이어(231)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212) 및 제2 망체결구멍(21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이드편(215) 및 제2 가이드편(216)과 연결된 몸체부(211)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211)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더브테일홈(219)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브테일홈(219)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21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체결부(219a) 및 상기 제2 망체결구멍(213)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체결부(219b)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는 상기 제1 와이어체결부(219a) 및 제2 와이어체결부(219b)에 일부분이 체결되어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에 결합된 내진 보강용 철망(230)에 결속되어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210) 및 내진 보강용 철망(23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고정용 와이어(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120)은,
    플레이트 형태이고, 플레이트의 가운데에 형성되고 일측이 열려 있는 망결합홈(121a) 및 상기 망결합홈(121a)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111b)을 포함하는 망 결합판(121);
    상기 망 결합판(121)의 하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받침판(122); 및
    상기 망 결합판(121)의 하단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받침판(122)이 절곡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받침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라브측 철망 지지브라켓(220)은,
    상기 제3 거푸집널 상에 놓이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면(221); 및
    상기 바닥면(221)으로부터 사각뿔 형태로 상향 연장되어 절두된 사각뿔 형상을 갖는 망결합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망결합부(222)는 상기 망결합부(22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삽입부(222a), 상기 망결합부(222)의 제1 면(2221)에서 상기 삽입부(222a)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22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와 소통된 제1 안내홈(222b), 상기 제1 안내홈(222b)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면(2221)에 수직한 제2 면(222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및 제1 안내홈(222b)과 소통된 제2 안내홈(222c), 상기 제1 면(2221) 반대편의 제3 면(2223)에서 상기 삽입부(222a)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안내홈(222b)의 연장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와 소통된 제3 안내홈(222d), 상기 제3 안내홈(222d)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3 면(2223)에 수직한 제4 면(2224)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및 제3 안내홈(222d)과 소통된 제4 안내홈(222e), 상기 제2 안내홈(222c)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제4 안내홈(222e)의 끝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22a), 제1 내지 제4 안내홈(222e)에 소통된 망체결구멍(222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311);
    상기 몸체부(311)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망체결구멍(312) 및 제2 망체결구멍(313);
    상기 몸체부(311)의 일측의 장축변 및 제1 망체결구멍(312)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의 말단은 일정 곡률로 만곡된 제1 가이드편(315a);
    상기 제1 가이드편(315a)과 상기 몸체부(311)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망체결구멍(312)과 소통하는 제1 삽입부(316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편(315a)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가이드편(315b);
    상기 제1 가이드편(315a)과 상기 몸체부(311)의 장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망체결구멍(313)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망체결구멍(313) 측에 배치된 제3 가이드편(315c); 및
    상기 제3 가이드편(315c)과 상기 몸체부(311)의 단축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망체결구멍(313)과 소통하는 제2 삽입부(316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가이드편(315c)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4 가이드편(31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310)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312) 및 제2 망체결구멍(31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311)의 상기 제2 가이드편(315b) 및 제4 가이드편(315d)과 연결된 몸체부(311)의 장축변의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몸체부(311)의 반대측 장축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더브테일홈(3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브테일홈(317)은 상기 제1 망체결구멍(31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체결부(317a) 및 상기 제2 망체결구멍(313)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체결부(3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10. 제1항의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으로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110);
    제3 거푸집널을 포함하는 수평 슬라브 거푸집을 상기 벽체 거푸집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S120);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제1 철근 배근 단계(S210);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 사이에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을 다수 설치하는 단계(S220);
    상기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벽체측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1 거푸집널 및 제2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S230);
    상기 벽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240);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의 제3 거푸집널 위로 철근을 배근하는 제2 철근 배근 단계(S310);
    상기 제3 거푸집널 상에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단계(S320);
    상기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결합하여 내진 보강용 철망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각각의 내진 보강용 철망이 상기 제3 거푸집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다수의 내진 보강용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S330);
    상기 수평 슬라브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20160179085A 2016-12-26 2016-12-26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193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85A KR101939090B1 (ko) 2016-12-26 2016-12-26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85A KR101939090B1 (ko) 2016-12-26 2016-12-26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116A true KR20180075116A (ko) 2018-07-04
KR101939090B1 KR101939090B1 (ko) 2019-01-16

Family

ID=6291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085A KR101939090B1 (ko) 2016-12-26 2016-12-26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289B1 (ko) * 2019-08-23 2020-01-23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KR102184202B1 (ko) * 2020-05-28 2020-11-27 김형석 필로티 구조 건축구조물의 기둥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강방법
KR102184200B1 (ko) * 2020-05-28 2020-11-27 김형석 내진에 용이한 필로티 구조의 건물구조물 기둥시공공법
CN113622702A (zh) * 2021-08-09 2021-11-09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人防临空墙上小截面深孔的封堵结构和封堵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718A (ja) * 1999-05-24 2000-11-28 Sumitomo Forestry Co Ltd 配筋用スペーサー
KR200210588Y1 (ko) * 2000-08-19 2001-01-15 주식회사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철근 스페이서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82914B1 (ko) 2012-12-27 2014-04-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진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718A (ja) * 1999-05-24 2000-11-28 Sumitomo Forestry Co Ltd 配筋用スペーサー
KR200210588Y1 (ko) * 2000-08-19 2001-01-15 주식회사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철근 스페이서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82914B1 (ko) 2012-12-27 2014-04-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진보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289B1 (ko) * 2019-08-23 2020-01-23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KR102184202B1 (ko) * 2020-05-28 2020-11-27 김형석 필로티 구조 건축구조물의 기둥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강방법
KR102184200B1 (ko) * 2020-05-28 2020-11-27 김형석 내진에 용이한 필로티 구조의 건물구조물 기둥시공공법
CN113622702A (zh) * 2021-08-09 2021-11-09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人防临空墙上小截面深孔的封堵结构和封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90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090B1 (ko) 건축물의 내진 설계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US7143554B2 (en) Composite column and beam framing member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10655327B2 (en) Wall construction system with drywall composite columns and method for wall construction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432493B2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ITVA20070053A1 (it) Manufatto composito per la costruzione di solai
KR101633389B1 (ko) 조적식 벽체의 양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JP2021046784A (ja) 天井鉄筋構造材および外壁鉄筋構造材並びに建造物
JP6931520B2 (ja) 外壁構造物
RU2006126338A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RU2580557C2 (ru) Стенов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прямоугольными блоками
CA2492969C (en)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JP5938239B2 (ja) せん断補強鉄筋およびその配筋方法
KR102127735B1 (ko)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JP2010150889A (ja) 非耐力壁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施工方法
WO2014041572A1 (en) Connector with projections of conical or semi - conical section
JP5355272B2 (ja) Alcパネル用アンカー金具およびalcパネル
KR10119530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정 프레임
KR20090049257A (ko) 조립벽체
CN215483762U (zh) 一种钢筋混凝土墙与梁或板的柔性连接结构
ES2288408B2 (es) Armazones para tabiqueria y cerramientos de tipo vertical.
KR101666806B1 (ko) 내진용 rcss 및 rcst 단차부 샤프트 브라켓
JP2011038389A (ja) レンガ積み建築物のレンガ壁面耐震構造
CN110295699A (zh) 一种仿木纹铝板幕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606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공 형성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