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43A - 밸런스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밸런스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43A
KR20180062543A KR1020160161737A KR20160161737A KR20180062543A KR 20180062543 A KR20180062543 A KR 20180062543A KR 1020160161737 A KR1020160161737 A KR 1020160161737A KR 20160161737 A KR20160161737 A KR 20160161737A KR 20180062543 A KR20180062543 A KR 2018006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ear
unit
dr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부
Original Assignee
빅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빅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543A/ko
Publication of KR2018006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Abstract

밸런스 유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는, 하단부에 회전축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모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방향의 회전력을 제2방향으로 각각 전환하는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와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런스 유지장치{Balance retaining device}
본 발명은 밸런스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장착된 상태에서 촬영자의 자세의 흔들림이나 요철 등 외부 환경에도 카메라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밸런스 유지장치에서, 각 축방향을 구동하는 모터가 몸체부의 최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하면서도, 종래보다 넓은 각도의 흔들림에도 밸런스를 강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밸런스 유지장치의 일 예로 짐벌(Gimbal)이 공지되어 있다. 짐벌은 단일 축으로 물체가 회전하도록 중심축을 가진 구조물로서, 2축 짐벌의 경우 하나의 짐벌의 축이 다른 짐벌의 축과 직각을 이루게 되고 안쪽 짐벌에 장착된 물체는 바깥 지지대의 움직임에 무관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선박에서는 자이로스코프, 나침판, 난로, 그리고 컵홀더까지 선박이 전후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수평을 이루도록 짐벌이 사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면 이동 중 카메라의 흔들림을 잡아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영상물 제작시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2290호에는 카메라 짐벌이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2290호는 지미집, 스테디 캠과 같은 방송장비, 또는 헬리콥터, 쿼드콥터와 같은 멀티콥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짐벌로서, 방송장비 또는 멀티콥터에 장착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축과; 제1 축에 연결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회전체와; 고정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축과; 제2 축에 연결되어 제2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회전체와; 제2 회전체에 상호 이격을 두고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3a 축과 제3b 축; 일측은 제3a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3b 축에 연결되어 제3a 축과 제3b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카메라가 거치되는 제3 회전체; 및 봉형 부재로서, 일측은 제1 회전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회전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종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2290호는 카메라 짐벌의 회전 동작시 카메라 렌즈 중심점에서 원운동을 하게 함으로 촬영시 피사체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으며, 카메라의 중심에 지지대를 일치시킬 수 있어 무게를 분산시켜 제3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빠른 응답으로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98648호에는 짐벌기구가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498648호는 장착면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컬럼에 의해 Z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 및 각도검출기는 Y축에 대한 촬상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짐벌상에 제공되며, 장착면상에 형성된 코일유닛에 의해 짐벌상에 장착된 자석이 Z축에 대해 짐벌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되고, 짐벌의 회전각도는 짐벌에 고정된 센서헤드와 짐벌의 회전포커스에 따르는 아크형상으로 구부러진 로드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49864820호는 촬상부의 대구경화를 도모하여 목표포착성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4920호에는 능동형 짐벌이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314920호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1구동유닛;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제1프레임; 베이스와 제1프레임 사이에 동심 상으로 설치되며, 제1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크로스롤러 베어링; 제1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구동유닛;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제2프레임; 제2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구동유닛; 제2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3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며, 한 쌍의 크로스롤러 베어링을 통해 제2구동유닛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314920호는 기존의 값 비싼 레이트 테이블과 같은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요축, 피치축, 롤축을 회전시키는 짐벌 구조를 사용하였으므로,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6851호에는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이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316851호는 카메라, 카메라 일측면에 설치된 제1 풀리, 제1 풀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풀리,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설치된 제1 벨트, 그리고 제2 풀리와 연결된 제1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카메라의 틸트 각도를 제어하는 틸트 구동부, 그리고 카메라와 대향하여 설치된 제3 풀리, 제3 풀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풀리, 제3 풀리와 제4 풀리에 설치되는 제2 벨트, 그리고 제4 풀리와 연결된 제2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카메라의 팬 각도를 제어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하고, 카메라는 제1 카울에 내장되고, 제1 카울, 틸트 구동부, 그리고 팬 구동부는 제2 카울에 내장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카메라의 밸런스(수평) 유지를 위해 직접 각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레임 자체, 또는 해당 프레임에 근접하여 구동모터가 배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모터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모터의 위치 역시 흔들리게 되어 장치 자체의 안정성을 크게 해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회전하는 프레임의 관절 부위에 모터의 무게로 인한 무리가 가해질 수 있어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를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장치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회전하는 프레임의 관절부와 구동모터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2290호 (등록일:2014.04.09)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98648호 (등록일:2005.06.22)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4920호 (등록일:2013.09.27)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6851호 (등록일:2013.10.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각 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구동하는 모터가 몸체부의 최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각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대 자체에 모터를 장착하지 않을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넓은 범위의 각도의 흔들림에도 밸런스를 강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는, 하단부에 회전축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모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방향의 회전력을 제2방향으로 각각 전환하는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와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상단에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변경시켜 상기 기어부로 전달하는 제1변속기어부 및 제2변속기어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축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축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각 축방향을 구동하는 모터가 몸체부의 최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함은 물론, 각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대 자체에 모터를 장착하지 않을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넓은 범위의 각도의 흔들림에도 밸런스를 강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상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기어부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전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1)는 몸체부(100)와 기어부(200), 지지부(300) 및 상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판(500)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상판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평평한,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평판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면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500)의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30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5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5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지지부(30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면서 상면에 설치된 카메라의 밸런스(수평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하단부에 회전축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110)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모터(1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120)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는 각각의 회전축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의 방향을 수평방향 즉, 상기 제1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소정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방향이 수평방향이라면, 상기 제2방향은 수직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방향이 수평방향, 상기 제2방향이 수직방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각각 의미하도록 구분하기 위한 용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밸런스(수평) 유지를 위해 각 축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동력(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지지대에 직접 부착되거나, 지지대와 근접하여 장치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무게중심7을 불안정하게 하고, 지지대의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가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의 하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 전체의 무게중심이 안정될 수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각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각각 연결되는 기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200)는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방향의 회전력을 제2방향으로 전환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2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터(110) 및/또는 상기 제2모터(120)가 회전축이 위로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기어부(200)는 이러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기어부 및/또는 상기 제2기어부는 어느 한 방향의 회전력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기어부(200)의 구성 중 상기 제1기어부의 구성을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상기 기어부(200) 중 일부의 구성 즉, 상기 제1기어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런스 유지장치의 기어부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부(2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어 제1방향 예컨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210), 및 상기 제1기어(210)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210)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기어(210)와는 소정의 각도(예컨대, 직각)를 가지도록 맞물려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예컨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는 각각 상기 제1기어(210)와 상기 제2기어(220)가 맞물리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어부(200)의 구성 즉, 상기 제1기어(210) 및 상기 제2기어(220)는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할 때 이용되는 워추형의 기어인 베벨기어(bevel gea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210) 및 상기 제2기어(220)는 각각, 톱니 줄기가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 기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되어 기어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와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벨기어를 이용하게 되면, 종래의 밸런스 유지장치들에서 상판의 회전각도가 15도 내외로 제한되는데 비해, 상기 상판(500)의 회전 각도가 약 30도까지 확장될 수 있어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의 큰 움직임에도 강인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는 상기 기어부와 축(400a, 400b)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200)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0)의 상단에 상기 상판(500)이 결합되며, 상기 상판(500)의 상부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의 전면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300)와 상기 상판(500)이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의 측면부를 도시한 도 2에는, 상기 지지부(300)와 상기 상판(500)이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축(400a, 400b)은 각 방향(예컨대,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에 따라 각각 별도의 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300)를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축(예컨대, 400a)은 상기 제1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300)를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축(예컨대, 400b)은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구동부의 상기 제1모터(110)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1기어부가 작동하면서 상기 제1모터(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축(400a)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몸체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구동부의 상기 제2모터(120)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부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축(400b)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몸체부(100)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가 모두 작동하게 되고, 각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지지부(300) 및 상기 상판(500)이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방향, 전후방향뿐 아니라 대각선방향 등 다양한 각도의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각각 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변속기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에 포함된 상기 제1모터(110)의 상단에, 상기 제1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1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변속기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구동부에는 상기 제2모터(120)의 상단에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변속기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변속기어(1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140) 각각의 상단에,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력을 변경된 회전속도로 상기 기어부(200)로 전달하는 변속기어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처럼 상기 제1변속기어(1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14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각각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변속기어(1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140)를 통해 상기 제1변속기어(1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140)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변속기어(1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140)는 주로 상기 제1모터(110) 및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속도로 상기 밸런스 유지장치(1)가 요동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도 한층 자연스러운 밸런스 유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하단부에 회전축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모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방향의 회전력을 제2방향으로 각각 전환하는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와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밸런스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상단에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변경시켜 상기 기어부로 전달하는 제1변속기어부 및 제2변속기어부를 각각 포함하는 밸런스 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축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축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장치.

KR1020160161737A 2016-11-30 2016-11-30 밸런스 유지장치 KR20180062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37A KR20180062543A (ko) 2016-11-30 2016-11-30 밸런스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37A KR20180062543A (ko) 2016-11-30 2016-11-30 밸런스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43A true KR20180062543A (ko) 2018-06-11

Family

ID=626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737A KR20180062543A (ko) 2016-11-30 2016-11-30 밸런스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54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290B1 (ko) 2002-05-31 2005-03-08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어셈블리
KR100498648B1 (ko) 2000-09-21 2005-07-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짐벌기구
KR101314920B1 (ko) 2012-07-24 2013-10-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짐벌
KR101316851B1 (ko) 2013-04-15 2013-10-08 주식회사 네스앤텍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648B1 (ko) 2000-09-21 2005-07-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짐벌기구
KR100472290B1 (ko) 2002-05-31 2005-03-08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어셈블리
KR101314920B1 (ko) 2012-07-24 2013-10-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짐벌
KR101316851B1 (ko) 2013-04-15 2013-10-08 주식회사 네스앤텍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322B2 (en) Stabilizing platform
US20200361629A1 (en) Stabilizing platform
US9789976B2 (en) Carrier having non-orthogonal axes
CN108235702B (zh) 一种云台、无人机及其控制方法
US8485740B1 (en) Camera head with pan, roll and tilt movement
EP2759479B1 (en) Dual-axis ball head for use in unmanned aerial vehicle, triple-axis ball head for use i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rotor aerial vehicle
US20190063668A1 (en) Stabilizer and angle adjusting method thereof
JP2017508998A (ja) 雲台駆動装置及びこの駆動装置を用いた雲台組立体
KR101822869B1 (ko) 시야 개방형 수평유지장치
WO2019183822A1 (zh) 差动齿轮驱动装置、增稳机构、云台装置以及拍摄设备
TW201632325A (zh) 機器人之滾轉構造
JP6793006B2 (ja) 光学ユニット
JP5519388B2 (ja) 航空写真撮影方法
JP2017067878A (ja) 撮像装置
JP4284496B2 (ja) 空間安定装置
KR20180062543A (ko) 밸런스 유지장치
KR200472290Y1 (ko) 카메라 짐벌
WO2019205125A1 (zh) 增稳装置和手持云台装置
JP2001238096A (ja) 3軸駆動撮影装置の操作装置
JP2011039159A (ja) 赤道儀架台
JPS6399680A (ja) 撮影装置
JP2009210709A (ja) カメラスタビライザ
JP6168750B2 (ja) 撮影機器保持装置
CN210191815U (zh) 无人机
CN112212185B (zh) 一种用于摄像头的旋转底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