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263A - Membrane filt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mbrane filt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263A
KR20180062263A KR1020160162328A KR20160162328A KR20180062263A KR 20180062263 A KR20180062263 A KR 20180062263A KR 1020160162328 A KR1020160162328 A KR 1020160162328A KR 20160162328 A KR20160162328 A KR 20160162328A KR 20180062263 A KR20180062263 A KR 2018006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rame
reciprocating
disposed
va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2642B1 (en
Inventor
이우녕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642B1/en
Priority to CN201710087257.9A priority patent/CN108114605B/en
Priority to PCT/KR2017/006255 priority patent/WO2018101559A1/en
Priority to US15/694,302 priority patent/US10434474B2/en
Priority to SG10201707938VA priority patent/SG10201707938VA/en
Publication of KR2018006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42B1/en
Priority to US16/558,256 priority patent/US110719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comprising: a treatment tank; a membrane support fram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and on which a filtration membrane is mounted; and a vane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provided to float sludge accumul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erials attached to the membrane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reciprocating the membrane while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filtration performance can be enhanced by floating the deposited sludge.

Description

막 여과 시스템{MEMBRANE FILTRATION SYSTEM}MEMBRANE FILTRATION SYSTEM

본 발명은 막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을 왕복운동시켜 분리막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침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켜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membrane filtra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filtration ability by floating the sludge to be deposited as well as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eparation membrane by reducing the energy use while reciprocating the separation membrane ≪ / RTI >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 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막 분리 공정은 증류기술과는 달리 상변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장점이 있다. 분리막은 역삼투압막(reverse osmosis membrane)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한외여과막 (ultrafiltration), 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나노여과막 (nanofiltration) 등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is one of the separation techniques using the material selective permeability of polymer materials. Unlike the distillation technology,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has no phase change, so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and simplify the process, have. The membrane has been developed around a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to 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and nanofiltration.

막 여과 시스템 중의 하나인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 Reactors; MBR)는 기존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최종 처리단계로 사용되는 침전조를 대신하여 분리막을 이용하는 공정이다. Membrane Bio Reactors (MBR), which is one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s, is a process that uses a membrane as a substitute for a settling tank used as a final treatment stage of an existing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반응기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유기물, 질소성분 등의 처리효율을 높이고, 또한 분리막에 의해 부유물질, 미생물 등이 제거됨으로써 고/액 분리 (solid/liquid separation)의 효율을 높이고 기존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reac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organic substances and nitrogen components and to remove the suspended substances and microorganisms by the separation membran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olid / liquid separation.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solve the problem.

막 생물 반응기는 기존의 재래식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소요부지 면적이 적고 시스템의 처리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며, 또한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 및 엄격해지는 수질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embrane bioreactors are expected to have a smaller footprint than existing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es and show better system efficiency and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response to increased water demand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and stringent water quality regulations .

통상적으로 침지형 막 생물 반응조는 기존의 2차 생물학적 처리시설 후속 공정으로 이용되는 막 결합형 처리시스템과는 달리 분리막 모듈을 2차 생물반응조 내에 직접 침지시켜 고액 분리를 가능하게 한 반응조를 말하는데, 이것은 단순한 고액 분리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질을 고도처리의 수준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이중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Unlike a membrane-bound treatment system that is used as an after-treatment process of a conventional secondary biological treatment facility, th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generally refers to a reaction vessel capable of solid-liquid separation by directly immersing the membrane module in a secondary biological reactor, It is designed to achieve a dual effect of performing the role of solid-liquid separation and raising the water quality to the level of advanced treatment.

한편, 대부분의 막 생물 반응조(MBR) 공정에서 분리막 모듈을 생물반응조 내에 침지시킬 때 처리용량에 해당하는 분리막 모듈을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 고정하여 제공하며, 이에 따라 분리막에 의한 여과는 분리막 모듈의 형태에 따라 상부집수 또는 양단집수의 과정을 거쳐 여과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배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most MBR processes, the membran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capacity is installed and fixed in a separate frame when the membrane module is immersed in the bioreactor. Accordingly, The process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ion pipe through the upper collecting process or the both end collecting process.

그러나 여과 과정에서 부유물질 등이 막의 표면에 부착되어 물의 흐름을 막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막의 오염이 발생함에 따라 막 생물 반응기의 여과능력은 점차 저하되고 막관통압은 증가하게 되며, 일단 오염된 막은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filtration process, the suspended solid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membrane,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water. As the membrane becomes contaminated, the filtration ability of the membrane bioreactor gradually decreases and the membrane permeation pressure increases. The membrane was difficult to wash.

종래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기술은 유럽이나 일본을 중심으로 일찍부터 다양한 형태의 응용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90년대 초반까지는 분리막 비용과 에너지 비용 등 고비용의 문제와 막 폐색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현실적인 응용기술로 발전하지 못하고 학문적 연구의 영역이나 특수한 경우에 한정되어 적용되어 왔다. Conventional membrane-based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ies have been studied for various application methods early on, mainly in Europe and Japan. Up until the early 90's, however, the problems of high cost such as membrane cost and energy cost, , It has not been developed as a realistic application technology and has been applied to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or specific cases.

그러나 1990년대 초반부터 활성슬러지 반응조에 분리막을 침지시키고 폭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에 의한 상향수류를 분리막의 폐색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형태의 침지형, 활성슬러지 결합형 등의 분리막 활용방안이 제시되면서 그동안 분리막 기술의 현장 적용상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었던 막 폐색 문제가 상당부분 완화되었다. However, since the early 1990s, the use of separator membranes such as immersed and activated sludge combined type, in which the membrane is immersed in the activated sludge reaction tank and the upward flow caused by air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aeration process is utilized as an effective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lusion of the membrane As a result, the membrane plugging problem, which wa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field application of membrane technology, has been alleviated considerably.

이와 같이 종래에는 막의 폐색을 세정하기 위해 공기 정련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공기 정련 방식 중의 하나로 상기와 같이 분리막의 외벽에 공기를 상향수류로 분사하여 막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막에 부착된 슬러지들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Conventionally, an air refining method is used to clean the clogging of the membrane. One of the air refining methods is a method of removing sludge adhered to a membrane while spraying air upward to the outer wall of the membrane as described above, Were used.

하지만, 이러한 공기 정련 방식은 분리막의 전범위에 걸쳐 이뤄져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상당히 크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n air refin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energy consumption is considerably large because it must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membrane.

미국특허 등록번호 : US 8287733 B1US Patent Number: US 828773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리막을 왕복운동시켜 분리막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침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켜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1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배치되고, 여과막이 장착되는 막지지프레임 및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고, 처리조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제공되는 베인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including a treatment tank and a membrane support fram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the membrane support frame having a filtration membrane mounted thereon and the membrane support fram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a vane member provided to float the slud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부재는,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베인몸체 및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베인몸체의 하단에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부양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ne member may include a vane bod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a floating bod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ane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sludge is lifted between reciprocating movement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It may include wing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배치되고, 여과막이 장착되는 막지지프레임 및 처리조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러지 부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udge lifting devic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and the sludge lifting mean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so as to float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on which the filtration membrane is mounted, . ≪ / RTI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베인몸체와 상기 제1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베인몸체 및 상기 제1 베인몸체와 상기 제2 베인몸체간에 연동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인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lifting means includes a first vane bod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 second vane bod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ane body, And a lifting unit dispos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second vane body and lifting the second van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베인몸체에 배치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베인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disposed in the first vane body and a lifting rod disposed in the second vane body and connected to a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제2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 베인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lif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ane bod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an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제3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부양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lif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loating w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vane body so that the sludge is floated between the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양날개는 상기 제3 베인몸체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blade may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the third van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부양날개가 처리조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제2 베인몸체와 상기 제3 베인몸체간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lif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ane body and the third vane body so as to mitigate an impact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when the float wing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부양날개가 처리조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부양날개의 단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lif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pad disposed at an end of the float wing so as to mitigate an impact applied by the float wing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본 발명에 따르면, 막지지프레임을 왕복운동 시킴으로써,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된 베인부재가 자연적으로 처리조의 하단에 침적된 슬러지들을 부양시키게 되어, 이러한 슬러지들을 다시 분리막을 통해 여과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iprocating the membrane support frame, the vane member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naturally floats the sludge deposi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eatment tank, and these sludges can be filtered again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또한, 슬러지들의 침적량, 침적높이 등에 따라 부양날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슬러지의 침적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Further, the length of the flotation blad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sludge, the deposition height, and the lik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deposition state of the sludge.

이는 궁극적으로 막 여과 시스템의 여과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ich ultimately can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인 막 여과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왕복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링크로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로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명의 정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인 베인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슬러지 부양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의 측단면도.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의 후면도.
도 15은 도 12에 도시된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간격측정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18는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제1 간격조절부의 부분측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제2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과 제2 간격조절부의 연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과 제2 간격조절부의 연동을 나타낸 후면도.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분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막지지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막지지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늘어짐 정도(looseness)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2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28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여과수배출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여과수배출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ciprocat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3 shows a link rod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4 shows a rotor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s 7a and 7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s 8A and 8B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 1;
9A and 9B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van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udg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udge lift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Fig. 14 is a rear view of the sludge lift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2; Fig.
Fig. 1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2; Fig.
16A and 16B show an embodiment of the gap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top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first gap adjus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7;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gap adjus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7;
FIG. 2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of the sludge lifting means and the second gap adjus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9; FIG.
FIG. 21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of the sludge lifting means and the second gap adjus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20;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paration membrane module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2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membrane support frame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2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membrane support frame.
Figure 25 illustrates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loose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 enlarged view of a length adjus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7 is an enlarged view of a length adjus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8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29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30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membran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1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membran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3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3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막 여과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3 attached hereto.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elements reci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막 여과 시스템(100)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처리조(300), 막지지프레임(600), 분리막 모듈(700), 왕복수단(200), 슬러지부양부(400), 활주수단(500) 및 여과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treatment tank 300, a membrane support frame 600, a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 reciprocating means 200, a sludge lifting unit 400, a slide means 500, and a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또한,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길이조절부(740), 간격측정유닛(810), 간격조절수단(860) 및 제어부(1000) 등의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length adjusting unit 740, a gap measuring unit 810, a gap adjusting unit 860, and a controller 1000.

본 발명은 막 여과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중 특히 막 생물 반응기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membrane bioreactors, among them.

상기 처리조(300)는 탱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폐수(또는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10)와 처리된 폐수(또는 하수)가 배출되는 유출구(32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treatment tank 3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nk and may include an inlet 310 through which wastewater (or sewage) flows and an outlet 320 through which treated wastewater (or sewage) is discharged.

이때, 상기 유입구(310)는 유입수가 상기 처리조(300)의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처리조(300)의 입구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흐름이 발생하여 유입수가 처리조(300)의 하측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입구(310)는 상기 처리조(300)의 일면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측에 형성하는 것이 설계가 더 용이할 때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구부러진 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low port 310 is formed so that inflow water can flow to the upper side of the treatment tank 300, so that a flow that flows upward from the inlet of the treatment tank 300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gna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more effectiv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The inlet 3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cessing tank 300 or may be formed as a pipe ben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when the lower side is easier to design.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은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멤브레인(membrane) 형태의 분리막 모듈(70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에는 왕복수단(200)이 연결되며, 왕복수단(200)에 의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분리막 모듈(700)과 함께 일체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disposed inside the treatment tank 300 and is a portion where a membrane type membrane module 700 is mounted. As described later,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is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means 200, and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reciprocates integrally with the separating membrane module 700 by the reciprocating means 200 .

상기 왕복수단(20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연결되고,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을 왕복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왕복수단(200)은 왕복프레임(250)과 구동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mean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may be provided to reciprocate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The reciprocating unit 200 may include a reciprocating frame 250 and a driving unit 205.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연결되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을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5)는 상기 처리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왕복프레임(25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205)는 모터(210), 제1 풀리(211), 제2 풀리(213), 로터(230) 및 링크로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fram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and may support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he driving unit 205 may b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300 a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o move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driving unit 205 may include a motor 210, a first pulley 211, a second pulley 213, a rotor 230, and a link rod 220.

먼저 상기 모터(210)는 상기 처리조(300)의 상단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0)의 샤프트에는 상기 제1 풀리(211)가 결합되며, 상기 제2 풀리(213)는 상기 제1 풀리(211)와 동력전달벨트(212)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motor 2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first pulley 211 may be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210 and the second pulley 21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11 by a power transmission belt 212, have.

여기서 상기 로터(230)는 상기 제2 풀리(21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상기 링크로드(220)는 상기 로터(230)와 왕복프레임(250)간에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rotor 23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pulley 213 and rotates. The link rod 220 is connected between the rotor 230 and the reciprocating frame 250,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230)에는 상기 링크로드(22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233)가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연결구(233)는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or 23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233 connected to the link rod 220.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233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rotor 230.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서로 다른 간격(반경)으로 5개의 연결구(233)가 가공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로터(23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하고자 할 때, 상기 링크로드(220)를 연결하는 부위를 달리하면 된다. Referring to FIG. 4, five connectors 233 are machined at different intervals (radii) at the center of the rotor 2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at various numbers and interva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tor 230. When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linking rod 220 may be connected at different portion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작게 하고 싶다면,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은 연결구(233a)에 상기 링크로드(220)를 연결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터(2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연결구(233a)의 회전 반경이 작으므로, 상기 링크로드(220)의 왕복 거리도 짧아지고, 이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감소시키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reduc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link rod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33a having a relatively narrow gap at the center of the rotor 230. In this case, since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onnector 233a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is small,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is also shortened, which reduces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크게 하고 싶다면,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간격이 큰 연결구(233b)에 상기 링크로드(220)를 연결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터(2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연결구(233b)의 회전 반경이 크므로, 상기 링크로드(220)의 왕복 거리도 길어지고, 이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Conversely, if the user wishes to increas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link rod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33b having a relatively large gap at the center of the rotor 230. In this case, since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oupling hole 233b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is larg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is also long, which increases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

여기서 상기 링크로드(220)는 링크몸체(221), 제1 링크홀(223) 및 제2 링크홀(2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몸체(221)는 긴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크홀(223)은 상기 링크몸체(2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230)의 연결구(233)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제2 링크홀(225)은 상기 링크몸체(221)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왕복프레임(250)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link rod 220 may include a link body 221, a first link hole 223, and a second link hole 225. The link body 22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long bar and the first link hole 22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nk body 221, And the second link hole 225 may be a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body 221 and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frame 25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링크홀(223)은 상기 링크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링크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의 제1 링크홀(223)이 가공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링크몸체(22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도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하고자 할 때, 상기 로터(23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링크홀(223)의 부위를 달리하면 된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holes 223 may be machined into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body 221. Referring to FIG. 3, four first link holes 223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body 2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numbers of links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ink body 221. The user may vary the portion of the first link hole 223 connected to the rotor 230 to adjust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작게 하고 싶다면, 상기 링크로드(220)에서 상기 제2 링크홀(225)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링크홀(223a)에 로터(230)의 연결구(233)를 체결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터(2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링크로드(220)의 왕복 거리가 짧아지므로,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도 감소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reduc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rotor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hole 223a relatively close to the second link hole 225 in the link rod 22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is shortened,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lso decreases.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크게 하고 싶다면, 상기 링크로드(220)에서 상기 제2 링크홀(225)에 상대적으로 먼 제1 링크홀(223b)에 로터(230)의 연결구(233)를 체결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터(2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링크로드(220)의 왕복 거리가 길어지므로,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도 증가하게 된다.Conversely, if the user wishes to increas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first link hole 223b,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the second link hole 225 in the link rod 220, (233). In this case, sinc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becomes long,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lso increases.

이때 사용자가 상기 로터(230)의 최외곽 연결구(233b)와 상기 제1 링크홀(223b)를 연결하면, 로터(230)의 회전에 따란 링크로드(220)의 왕복거리는 최대가 되므로,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connects the outermost connector 233b of the rotor 230 and the first link hole 223b,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becomes maximum,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piston 250.

물론 사용자가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연결구(233a)와 상기 제1 링크홀(223a)를 연결하면, 로터(230)의 회전에 따란 링크로드(220)의 왕복거리는 최소가 되므로,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user connects the first link hole 223a to the connection hole 233a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rotor 230,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link rod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0 is minimized,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minimized.

이러한 왕복운동을 통해 분리막을 슬러지 여과 중에도 계속적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슬러지가 떨어져 나가도록 하여 분리막의 세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막의 폐색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rough this reciprocating motion, the separation membrane is allowed to continuously flow during the filtration of the sludge, so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cleaned by allowing the sludge to fall off due to inertia. This ultimately prevents the clogging of the membrane and maintains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또한, 상기와 같이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막간차압(TMP) 측정을 통한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 정도에 따라 왕복거리(진폭)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보다 절약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제어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Further, sinc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reciprocating distance (amplitude) can be efficient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module 700 through the inter-membrane pressure difference (TMP) measurement, You can save more. This is explain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control method.

다음으로, 상기 활주수단(500)은 상기 처리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왕복수단(200)과 연계되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활주수단(5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가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예별로 살펴보도록 한다.Next, the sliding means 500 may be disposed in the processing tank 300 and associated with the reciprocating means 200, and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he sliding means 500 may be presented in four for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50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500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활주수단(500)의 제1 실시예는 가이드레일(511) 및 구름부재(5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511)은 상기 처리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 쌍으로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liding unit 500 may include a guide rail 511 and a rolling member 515. The guide rails 511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reatment tank 300 in a pair by bolting or welding,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상기 구름부재(515)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11)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름부재(515)는 휠블록(513) 및 구름휠(514)을 포함할 수 있며, 상기 휠블록(513)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에 볼트(513a)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름휠(514)의 회전축(514b)이 상기 휠블록(513)의 관통홀(513a)에 끼워지면서, 상기 휠블록(5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rolling member 515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can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511. The rolling member 515 may include a wheel block 513 and a rolling wheel 514. The wheel block 513 is fastened or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with a bolt 513a And the rotating shaft 514b of the rolling wheel 514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513a of the wheel block 513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 block 513. [

여기서 상기 구름휠(514)은 중앙휠부(514a) 및 서포트휠부(51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휠부(514a)는 상기 가이드레일(511)에 안착되며,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서포트휠부(514c)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이 이동간에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레일(511)의 측면까지 신장된 부분이다. 이로써 왕복운동간에 상기 구름휠(514)은 상기 가이드레일(511)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비교적 안정적인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rolling wheel 514 may include a center wheel portion 514a and a support wheel portion 514c. The center wheel portion 514a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511 and supports a loa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support wheel portion 514c is a portion exten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511 so that the reciprocating frame 250 does not move between movements. As a result, the rolling wheel 514 does not separate from the guide rail 511 between the reciprocating motions, thereby enabling relatively stable starting.

상기 가이드레일(511)의 양단부에는 상기 구름휠(5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512)가 배치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511, a stopper 512 may be disposed to prevent the rolling wheel 514 from being separat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5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500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활주수단(500)의 제2 실시예는 가이드레일(521) 및 구름부재(5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521)은 상기 처리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 쌍으로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liding device 500 may include a guide rail 521 and a rolling member 525. The guide rails 521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tment tank 300 in a pair of bolts or welded joints. The guide rails 521 may be tapered from the out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상기 구름부재(525)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휠지지체(523) 및 테어퍼휠(5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휠지지체(523)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에 볼트(523a)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휠(524)의 회전축(524a)은 상기 휠지지체(523)의 관통홀(523a)에 끼워지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rolling member 52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may include a wheel support 523 and a teeter wheel 524. The wheel support 52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by fastening or welding the bolts 523a. The rotating shaft 524a of the tapered wheel 524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523a of the wheel support 523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apered wheel 524 and tapered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side.

상기 가이드레일(521)의 테이퍼진 형상과 상기 구름부재(525)의 테이퍼진 형상은 서로 대응되므로, 상기 구름부재(525)는 상기 가이드레일(521)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기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521)의 양단부에는 상기 테이퍼휠(5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522)가 배치될 수 있다.The tapered shape of the guide rail 521 and the tapered shape of the rolling member 525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lling member 525 stably stays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521, 250). At this time, a stopper 52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521 to prevent the taper wheel 524 from being separa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500)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500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활주수단(500)의 제3 실시예는 리니어가이드(531), 볼베어링(534) 및 이동빔(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가이드(531)는 상기 처리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 쌍으로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니어가이드(531)상에서 상기 이동빔(533)이 안착되는 부위에는 이동이 원활하도록 볼베어링(534)이 배치될 수 있다.8A and 8B, a third embodiment of the sliding device 5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near guide 531, a ball bearing 534, and a moving beam 533. The linear guides 531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reatment tank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olting or welding. At this time, a ball bearing 534 may be disposed on the linear guide 531 to smoothly move the moving beam 533.

상기 이동빔(533)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에 볼트(533a)체결 또는 용접접합되며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가이드(53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5)에 의해 상기 왕복프레임(250)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이동빔(533)이 상기 리니어가이드(531)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빔(533)은 상기 리니어가이드(531)의 내측홈(531a)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moving beam 533 may be fastened or welded to a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may be seated on the linear guide 531. When the reciprocating frame 250 reciprocates by the driving unit 205, the moving beam 533 moves on the linear guide 531. At this time, the moving beam 533 is transmitted to the linear guide 531, And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inner groove 531a of the cylinder block 531, so that stable start-up is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리니어가이드(531)의 양단부에는 상기 이동빔(533)의 길이방향 초과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532)가 배치될 수 있다. A stopper 53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inear guide 531 to prevent the movement beam 533 from being excessively devi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활주수단(500)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500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상기 활주수단(500)의 제4 실시예는 가이드레일(551), 휠블록(561), 구름휠(571) 및 서포트유닛(5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9A and 9B,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iding means 500 may comprise a guide rail 551, a wheel block 561, a rolling wheel 571 and a support unit 580 have.

상기 가이드레일(551)은 상기 처리조(300)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 쌍으로 볼트체결(554)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551)은 H 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551)의 상단 엣지부는 하방향으로 신장된 제1 돌출부(552)가 직선형으로 상기 가이드레일(551)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The guide rails 551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treatment tank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bolt fastening 554 or welded. The guide rails 551 may be formed into an H beam shape and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guide rail 551 may have a first protrusion 552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being linearly formed along the guide rail 551 .

상기 휠블록(561)은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하단에 볼트(562)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름휠(571)은 상기 휠블록(5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wheel block 561 may be fastened or welded to a lower end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by bolts 562. The rolling wheel 57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 block 561 have.

구체적으로 상기 구름휠(571)의 회전축(573)을 상기 휠블록(561)의 관통홀(566)에 끼우고, 휠캡(574)을 볼트(575)체결하여 상기 휠블록(561)에 회전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름휠(57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휠블록(561)상에 베어링(565)를 배치되고, 축커버(563)을 볼트(564)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573 of the rolling wheel 57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66 of the wheel block 561 and the wheel cap 574 is fastened to the bolt 575 to be rotated by the wheel block 561 You can connect. At this time, the bearing 565 is disposed on the wheel block 561 to smoothly rotate the rolling wheel 571, and the shaft cover 563 can be fixed by fastening the bolts 564.

상기 구름휠(571)은 원판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구름휠(571)의 중심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57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olling wheel 571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second protrusion 572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ing wheel 57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서포트유닛(580)은 상기 구름휠(571)이 상기 가이드레일(5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구름휠(571)과 상기 가이드레일(551)간에 연동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포트유닛(580)은 제1 바디부(581), 제2 바디부(583), 제1 서포트휠(582) 및 제2 서포트휠(5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58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rolling wheel 571 and the guide rail 551 so that the rolling wheel 571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551. The support unit 58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581, a second body portion 583, a first support wheel 582, and a second support wheel 584.

우선 상기 제1 바디부(581)는 상기 가이드레일(551)의 직선형 제1 돌출부(552)에 끼워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581)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서포트휠(582)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서포트휠(582)은 상기 제1 돌출부(552)를 따라 구르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The first body 581 may be a portion of the guide rail 551 that is fitted to the first straight protrusion 552 of the guide rail 551. The first support wheel 582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portion 581 and the first support wheel 582 is linearly moved along the first projection 552.

이때 상기 제1 서포트휠(582)은 회전휠(582a)이 휠몸체(582b)에 장착되고, 이러한 휠몸체(582b)가 상기 제1 바디부(581)의 내측에 볼트(582c)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wheel 582 is mounted on the wheel body 582b, and the wheel body 582b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581 with a bolt 582c .

다음 상기 제2 바디부(583)는 상기 구름휠(571)의 제2 돌출부(572)에 끼워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583)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서포트휠(584)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서포트휠(584)은 상기 구름휠(57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부(572)상을 구르게 된다. The second body portion 583 may be a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second projection 572 of the rolling wheel 571. [ The second support wheel 584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583 and the second support wheel 584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protrusion 572 .

이때 상기 제2 서포트휠(584)은 회전휠(584a)이 휠몸체(584b)에 장착되고, 이러한 휠몸체(584b)가 상기 제2 바디부(583)의 내측에 볼트(584c)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wheel 584 is mounted on the wheel body 584b with the rotation wheel 584a, and the wheel body 584b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part 583 with bolts 584c .

이러한 상기 제1 바디부(581)와 상기 제2 바디부(583)는 볼트(586)체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디부(581)와 상기 제2 바디부(583)가 각각 상기 제1 돌출부(552) 및 상기 제2 돌출부(572)를 밀접하도록 지지하므로, 상기 구름휠(571)이 상기 가이드레일(551)상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body part 581 and the second body part 58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586.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body portion 58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583 support the first projection 552 and the second projection 572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uide rail 551 is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the guide rail 551 without being detached therefrom.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활주수단(500)은 상기 왕복수단(200)에 의해 막지지프레임(600)이 선형운동을 할 때,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기동을 가능하게 하여, 에너지 절감 및 분리막 유동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liding mean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ore stable and smooth starting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performs the linear motion by the reciprocating means 200, And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sepa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슬러지부양부(4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정련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공기 정련에 의한 슬러지 부양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슬러지부양부(400)를 포함함으로써 슬러지가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정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양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분리막 모듈을 통한 여과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inafter, the sludge lift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sludge lifting effect by air refining can not be obtained because the air refining method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udge from accumulating and accumulating in the treatment tank 300 by including the separate sludge lifting unit 400 So that the filtration action through the membrane module can be facilitated.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부양부(400)는 베인부재(4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인 베인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ludge lifting unit 400 may be formed of a vane member 41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van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베인부재(410)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배치되고, 처리조(300)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인부재(410)는 베인몸체(411) 및 부양날개(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vane member 41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may be provided to float sludge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vane member 410 may include a vane body 411 and a floating blade 413. [

상기 베인몸체(411)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0를 참고하면,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3개가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베인몸체(411)의 개수는 슬러지의 점성, 슬러지량 등에 따라 다른 개수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vane body 411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a plurality of the vane bodies 411 may be attach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ree ar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However, the number of the vane bodies 41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sludge, the amount of the sludge, and the like.

예를 들자면 슬러지의 점성이 높아 부양시키는데 강한 소용돌이가 필요한 경우, 슬러지량이 많이 축적되어 있어 다량의 부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는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부착되는 베인몸체(411)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베인몸체(411)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에 결합되는 부양날개(413)의 개수 또한 대응하여 늘어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ludge is highly viscous and requires a strong swirl for floatation, when a large amount of sludge is accumulated because the sludge amount is accumulat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number of the vane bodies 411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 As the number of the vane bodies 411 increases, the number of the floating wings 413 coupled thereto also increases correspondingly.

상기 부양날개(413)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베인몸체(411)의 하단에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50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처리조(300) 바닥과의 거리, 슬러지층의 두께 등에 따라 다른 각도로도 설정될 수 있다. The floating blade 41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ane body 411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ludge may float between the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150 degree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it may be set at another angle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thickness of the sludge layer, and the like.

도 11를 참고하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부양날개(413)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왕복운동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처리조(300)의 하단에 축적된 슬러지에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11,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reciprocates, the floating wings 413 move in the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accumulate at the lower end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reby causing swirling of the sludge.

그 결과 슬러지는 부양하게 되고, 다시 분리막(700)을 통해 여과가 이뤄지게 된다.As a result, the sludge is floated, and filt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700 again.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부양부(400)는 슬러지 부양수단(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인 슬러지 부양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의 측단면도이며,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의 후면도이고, 도 15은 도 12에 도시된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ludge lifting unit 400 may include the sludge lifting unit 42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FIG.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udg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ludge lift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2, FIG. 14 is a rear view of the sludge lifting means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420)은 처리조(300)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420)은 제1 베인몸체(421), 제2 베인몸체(441), 제3 베인몸체(470), 승강유닛(430), 부양날개(480), 탄성체(450) 및 완충패드(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ludge lifting means 420 may be retractab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so as to float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sludge lifting means 420 includes a first vane body 421, a second vane body 441, a third vane body 470, a lift unit 430, a floating blade 480, an elastic body 450, And a buffer pad 460.

상기 제1 베인몸체(421)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베인몸체(441)는 상기 제1 베인몸체(42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인몸체(421)의 내부에는 제1 공간(421a)이 가공되고, 상기 제1 공간(421a)에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커버(423)를 볼트(424)체결하여 고정하고,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실링패드(425)가 상기 제1 커버(423)의 내면과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외면간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vane body 42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The second vane body 44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vane body 421. Specifically, a first space 421a is formed in the first vane body 421, and a part of the second vane body 441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421a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cover 423 is fastened by fixing the bolt 424 and the first sealing pad 425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423 and the second vane body 441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fluid, As shown in FIG.

상기 승강유닛(430)은 상기 제1 베인몸체(421)와 상기 제2 베인몸체(441)간에 연동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인몸체(441)를 승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유닛(430)은 유압실린더(431) 및 승강로드(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압실린더(431)는 상기 제1 베인몸체(421)의 일면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431)의 로드에는 상기 승강로드(433)가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승강로드(433)가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elevating unit 43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vane body 421 and the second vane body 441 and may be provided to move the second vane body 441 upward or downward. The elevating unit 430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431 and an elevating rod 433. The hydraulic cylinder 431 may be formed by bolting or welding a bolt on one side of the first vane body 421, And can be fixed. 13 and 14, when the lifting rod 433 is coupled to the second vane body 441, the lifting rod 433 may be connected to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431 by bolting or wel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사용자가 상기 유압실린더(431)를 구동하면, 상기 승강로드(43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양날개(480)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는 처리조(300)의 바닥에 부양날개(480)가 충돌하지 않으면서, 처리조(300)의 바닥에 축적된 슬러지들을 효과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해준다.When the user drives the hydraulic cylinder 431, the lifting rod 433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loating wing 480. This makes it possible to select an appropriate position capable of effectively lifting the accumulated sludge at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without the float wing 480 colliding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다음 상기 제3 베인몸체(470)는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하단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인몸체(441)에 가공된 제2 공간(441a)에 상기 제3 베인몸체(470)의 일부가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내면과 상기 제3 베인몸체(470)의 외면에는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2 실링패드(455)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vane body 47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ane body 441.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vane body 441 has a second space 441a A second vane body 470 and a third vane body 470. The third vane body 470 is disposed such that a part of the third vane body 470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prevent the inflow of flui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ane body 4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vane body 470, A sealing pad 455 may be disposed.

이때 상기 부양날개(480)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제3 베인몸체(47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부양날개(480)는 상기 제3 베인몸체(470)와 일정각도(θ)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50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처리조(300) 바닥과의 거리, 슬러지층의 두께 등에 따라 다른 각도로도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oating blade 48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vane body 470 so that the sludge is floated between the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The floating vane 48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hird vane body 47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150 degree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it may be set at another angle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thickness of the sludge lay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탄성체(450)는 상기 부양날개(480)가 처리조(300)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제2 베인몸체(441)와 상기 제3 베인몸체(470)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450)는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제2 공간(441a)에 배치되고, 제2 커버(443)를 씌우고 볼트(444)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50)의 하측은 상기 제3 베인몸체(470)의 상측에 접촉된다. The elastic body 4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ane body 441 and the third vane body 470 so as to mitigate an impact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by the floating blade 480. [ . The elastic body 45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441a of the second vane body 441 and may be fixed by fastening the second cover 443 and bolts 444. [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body 4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third vane body 470.

만약 상기 부양날개(480)가 처리조(300)의 바닥에 접촉되면, 충돌로 인해 상기 부양날개(480)는 상방향으로 충격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450)에 의해 상기 제3 베인몸체(470)가 들리면서, 이러한 충격력을 완화하게 된다. If the float flaps 48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float flaps 480 are subjected to an impact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due to the collision. At this time, the third vane body 470 is lifted by the elastic body 450, thereby alleviating the impact force.

한편, 상기 부양날개(480)가 처리조(300)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부양날개(480)의 단부에는 상기 완충패드(4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패드(460)는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uffer pad 460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floating blade 480 to mitigate an impact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when the floating blade 480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buffer pad 46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plastic.

그 기능은 처리조(300)의 바닥에 상기 부양날개(480)가 충돌하기 전에 상기 완충패드(460)가 먼저 충격되며, 탄성력에 의해 휘어져 상기 부양날개(480)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먼저 상쇄하게 되는 것이다.The function is such that the cushioning pad 460 is impacted first before the float 480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loat 480 is first canceled by the elastic force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양날개(480)가 처리조(300)의 바닥에 충돌할 때, 상기 완충패드(460)가 탄성재질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탄성체(450)가 상기 제3 베인몸체(470)를 승강시킴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상기 부양날개(48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oating blade 480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tank 300, the buffer pad 460 primarily absorbs the impact by the elastic material, The third vane body 470 is lifted and lowered to thereby secondarily alleviate the impact. Which ultimately prevents damage to the float 480.

도 15에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4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었는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단에 장착된 슬러지 부양수단(420)이 함께 왕복운동을 하면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슬러지를 부양시키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5, an operation state of the sludge lifting means 420 is illustrated. Referring to FIG. 15, while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reciprocates, the sludge lifting means 420, The lifting means 420 reciprocates together to generate a swirl, thereby confirming the state of lifting the sludge.

이때 만약 상기 부양날개(480)가 과도하게 상기 처리조(300)의 바닥에 접근하더라도, 1차적으로 상기 완충패드(460)가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부양날개(480)에 의해 상기 제3 베인몸체(470)에 전달된 충격력을 2차적으로 상기 탄성체(450)가 완화하므로, 작동간에 설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the float 480 excessively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shock absorbing pad 460 primarily absorbs the impact,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body 470 is secondarily relieved by the elastic body 450, so that equipment damage can be prevented between the operations.

상기 분리막 모듈(700)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fiber), 판틀형(plate and frame)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중공사형은 중공사의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이므로 중공사의 단위 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해서 매우 커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공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parator module 70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piral wound, tubular, hollow fiber, and plate and frame, and in particular, Is 0.2 to 2 mm and the center is empty,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has a high productivity because the membrane area ratio per unit volu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very large compared to other types.

이에 따라, 본 일 실시예에서는 중공사막 다발이 이루어져 분리막 모듈(700)을 형성하게 되며, 중공사형 분리막은 중공사막의 안에서 밖으로 여과되는 가압방식과 그 반대 방향으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오수 및 하수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활성슬러지법에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방식도 외부에서 순환하는 방식(external type)과 생물 반응조 내에 직접 모듈을 침지하는 방식(submerged type)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밖에서 안으로 여과수를 흡입하는 방식과 상기 처리조(300) 내에 직접 분리막 모듈(700)을 침지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bundle is formed to form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nd the hollow fiber separation membrane can be u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ltered ou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suck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ethod of 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activated sludge method use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and sewage also has an external type of circulation (external type) and a method of submerged module directly in the bioreactor (submerged type). In this embodiment,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a method of sucking filtered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nd a method of directly immersing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 the treatment tank 300.

도 22를 참고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700)을 상세히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은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사이에 다수의 중공사막(730)이 다발을 이루며 고정설치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cludes an upper frame 710 and a lower frame 720 and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730 may be bundled and fixed.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은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은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have a long rectangular shape.

상기 중공사막(730)은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710)의 내부에 공간을 이루며 형성된 집수부(711)와 각 중공사막(730)의 중공이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사막(730)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사막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되며 여과된 여과수가 상기 집수부(711)에 집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아래의 여과수배출부를 설명할 때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has a collecting part 711 formed inside the upper frame 710 and a hollow fiber membrane 730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that is suck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collected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ection will be discussed in detail.

또한, 상기에서는 중공사막의 양 끝단이 각각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사막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간에 고정설치되되, 중공사막의 양끝단은 모두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바를 통해 감겨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바는 가운데에 중공사막이 관통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re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re fixed And may be wound in a U-shape through a fixing bar provided in the lower frame. For example, the fixing bar may be a rod hav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pass.

이때, 상기 중공사막(730)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튼처럼 조밀하게 형성되며, 더욱이 일정한 길이마다 다발을 이루며 형성되되 각 다발마다 일정거리가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이 길이방향을 따라 너무 조밀하게 형성되면 물이 정체되어 파울링(fouling)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격거리를 약간 주어 물이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is formed like a curta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is formed as a bundle for each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may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for each bundle. This is because if the membrane is formed too tigh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ater will stagnate and the fouling may become worse, so that the water can flow well by giving a little of the separation distanc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분리막 모듈(700)은 아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내부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은 공기 정련 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각 분리막 모듈(70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거나 없다면 각 모듈 사이에 물이 정체되어 파울링(fouling)이 더 심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막 모듈(700)의 밀집도를 낮춰 각 모듈 사이로 물이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s described below, a plura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n this case, since the air purification process is not used, The water between the modules may become stagnant and the fouling may become worse. Therefore, the density of the membrane module 700 should be lowered so that the water can flow well between the modules.

이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리막 모듈(7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에는 각각 간격유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710)에는 양측에 각각 1개 이상의 간격유지부(712)가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720)의 양측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1개 이상의 간격유지부(722)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 간격유지부(712)의 위치와 하부 프레임 간격유지부(722)의 위치는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2,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may be provided with spacing portions in order to keep the spacing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constant. 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gap holding portions 71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710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Similarly, one or more gap holding portions 71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720, And a protrusion 722 protruding therefro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interval retaining part 712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interval retaining part 722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n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Or may be a structure formed separately and bon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유지부(712, 722)는 상부 프레임(710) 또는 하부 프레임(72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있으며, 프레임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712, 722)는 상부 프레임(710) 또는 하부 프레임(720)으로부터 1cm씩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분리막 모듈(700)이 배치될 때 서로 마주보는 분리막 모듈(700)의 간격유지부가 맞닿게 되어 각 모듈 사이의 간격이 2cm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spacing portions 712 and 7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710 or the lower frame 720, and are loca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space holding portions 712 and 722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frame 710 or the lower frame 720 at intervals of 1 cm so that when the plura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disposed, The gap holding portion of the module 700 is abutt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modules can be kept constant at 2 cm.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1cm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각 모듈 사이의 간격이 2cm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지 않고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때, 각 분리막 모듈(700) 사이에서 물이 정체되지 않고 잘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모듈 사이의 간격이 2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간격이 너무 넓으면 분리막 모듈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여과효율이 떨어져 4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p holding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least 1 cm from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modules can be maintained at 2 cm or more, It is irreleva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modules is 2 cm or more in order to allow the water to flow without stagnation between the membrane modules 700. However, if the interval is too wid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embrane module becomes large, Is preferably 4 cm or less.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712, 722)는 서로 대향하는 다른 간격유지부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에는 S극을, 타측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에는 N극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 배치 시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에도 불구하고 각 모듈 사이의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p holding portions 712 and 722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that allows the gap holding portions 712 and 722 to easily engage with other gap hold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gnet, and an S pole may be formed in the gap holding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n N pole may be formed in the gap hold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So that coupl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despit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he interval between the modules can be maintained firmly.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막지지프레임(600)과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Next, a structure in which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installed inside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우선, 도 23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600)과 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70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23에서는 분리막 모듈의 배치구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막지지프레임의 내부에 4개의 분리막 모듈이 배치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막지지프레임의 내부에 4개를 초과하여 수십개의 분리막 모듈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rst, the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dispo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23, four membrane modules are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in one membrane support frame to effectively show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embrane modu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dozens of membrane modules may be arranged in excess of one an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은 사각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설치되기 위한 보조프레임(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62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은 상기 보조프레임(620)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보조프레임(620)에 형성된 레일에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부 프레임(720)들은 상기 보조프레임(6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들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에 고정되거나 보조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may include an auxiliary frame 620 to which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installed, and the auxiliary frame 6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t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60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620 by using bolts or by fitt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to a rail formed on the auxiliary frame 620. Specifically, the lower frames 72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re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620, and the upper frames 71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re fixed to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an be fixed to the frame.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이 보조프레임(620)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은 각각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parator module 700 may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frame 620 in various manners, and the plurality of separator modules 700 may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

상기 보조프레임(62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면과 대응하여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내부에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auxiliary frame 62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plat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or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disposed i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may have a plurality of bar shapes formed in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600.

상기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내부, 즉 상기 보조프레임(620) 상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각 분리막 모듈(700)은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전체 결합된 분리막 모듈의 설치구조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that is, on the auxiliary frame 620. In this embodiment, each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ntire combined membrane module becomes a square or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는 다시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이 배치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분리막 모듈(700)의 전체적인 설치구조가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분리막 모듈(700)을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처리조(300) 내의 dead zone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여과처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막 모듈의 설치구조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are disposed inside the treatment tank 300. Since the overall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densely arranged Accordingly, the dead zone in the treatment tank 300 can be minimized, and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이때,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에는 각각 간격유지부(712, 7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을 나란하게 배치할 시 각 모듈마다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space holding portions 712 and 722 are formed i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whe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arranged side by side, .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4를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600)과 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70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dispo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은 사각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여과배관(6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배관(64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상면에서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pipe 64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Specifically, the filtration pipe 640 is install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설치되기 위한 보조프레임(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62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Like the first embodiment, it may include an auxiliary frame 620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The auxiliary frame 62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t is common.

상기 여과배관(640)의 양측에는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64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결합홀(642)에 분리막 모듈의 각 상부 프레임(710)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7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부(711)와 상기 여과배관(640)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배관(640)은 상기 왕복프레임(250)이 왕복운동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대칭으로 나란하게 결합되어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642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ration pipe 640. The upper frames 71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642 So that the collecting part 711 formed i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filtration pipe 64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ration pipe 640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symmetrically and juxtaposed on both sides.

이때, 상기 왕복프레임(250)이 왕복운동하는 방향으로는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이 연달아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수배출부의 설치공간확보 등에 따른 구조편의 상 상기 여과배관이 왕복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보다는 본 실시예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consecutive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iprocating frame 250 reciprocates, the filtration pip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rranged as in this embodiment rather than being disposed.

이에 따라, 다수의 분리막 모듈에 있어서 각 집수부(711)에 집수된 여과수가 상기 여과배관(640)으로 모일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각 하부 프레임(720)은 상기 보조프레임(620)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보조프레임(620)에 형성된 레일에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이 보조프레임(620)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은 각각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the filter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can be collected in the filtration pipe 6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Each of the lower frames 72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620 using bolts or a plurality of separation module modules 700 are fitted to the rails formed on the auxiliary frame 6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parator module 700 may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frame 620 in various manners, and the plurality of separator modules 700 may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

본 실시예에서 전체 결합된 분리막 모듈의 설치구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막 모듈(700)을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어 상기 처리조(300) 내의 dead zone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여과처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24,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densely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treatment tank 300 )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filtration capability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에는 각각 간격유지부(712, 7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을 나란하게 배치할 시 각 모듈마다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space holding portions 712 and 722 are formed i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whe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arranged side by side, .

더욱이, 상기에서 분리막 모듈의 설치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분리막 모듈(700) 사이마다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간격유지부가 프레임의 일측에만 형성된 분리막 모듈, 구체적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만 간격유지부가 형성된 분리막 모듈 2개를 묶어 하나의 세트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분리막 모듈마다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분리막 모듈을 하나의 세트로 형성하여, 3개의 모듈마다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n the above description,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based on the fact that a certain interval is maintained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However,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rame, Two separation membrane modules each formed with a gap holding part on the right side are bundled to form one set, so that the two separation membrane modules can be arrang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Furth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hre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may be formed into one set so that a constant interval is maintained for each of the three modules.

이에 따라, 분리막 모듈 사이에서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보다 분리막을 조밀하게 형성하여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ration ability by forming the separation membrane more densely while preventing water from stagnating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상기 왕복수단(200)에 의해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에 대해 작용하는 관성(inertial force)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분리막의 표면에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분리막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An inertial force acting on the separator module 700 is generated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parator module 700 by the reciprocating means 200. This causes the attachment of contaminants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membrane 700 Or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이때, 관성(inertial force)에 의한 이물질 부착 방지 또는 제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분리막의 늘어짐 정도(looseness)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preventing 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y inertial force, the looseness of the separation membrane should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이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이 없으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분리막 모듈(700)이 일체로 왕복운동한다 하더라도 관성이 부여되기 어려우며 분리막 모듈(700)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많이 늘어지는 경우에도 관성이 부여되기 어려우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거리가 커져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does not sag,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reciprocated integrally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but inertia is hardly imparted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broken or damaged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mpart inertia even when the distance is too much, and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which results in a large installation space.

이에 따라, 상기 중공사막(730)의 길이는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간의 거리(Lo)에 상기 거리(Lo)의 0% 초과 10% 이하의 길이를 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에 각각 연결된 중공사막(730) 가닥에 인장력이 걸리지 않는 상태의 최대길이(이하, '최소 분리막의 길이')에 대해 10% 이하의 여유길이를 더 부여할 수 있되, 특히 5% 내지 10%의 여유길이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0% of the distance Lo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 That is to say,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is not more than 10% of the maximum leng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length) But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provide an allowance of 5% to 10%.

구체적으로,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왕복운동으로 분리막에 관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 분리막의 길이(Lf)는 최소 분리막의 길이, 즉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간의 상하거리(Lo)와 분리막 모듈의 왕복운동거리(a)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looseness)를 최대 분리막의 길이(Lf)를 최소 분리막의 길이(Lo)로 나눈 값으로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looseness)는 1 초과 1.1 이하여야 하며, 특히 1.05 이상 1.1 이하가 바람직하다. 25,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capable of generating inertia in the separation membrane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that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Lo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a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degree of looseness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by the length Lo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Value. That is, the looseness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should be more than 1 and less than 1.1, and more preferably 1.05 or more and 1.1 or less.

예를 들어,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a)가 100mm인 것을 기준으로 최소 분리막의 길이(Lo), 즉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간의 상하거리가 500mm라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성질에 의해 최대 분리막의 길이(Lf)가 538.5mm로 계산될 수 있으며, 늘어짐 정도(looseness)를 계산해보면 1.08(정확하게는, 1.077)의 값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때 왕복운동거리가 150mm라면 최대 분리막의 길이(Lf)가 583.1mm가 되어 늘어짐 정도가 대략 1.17(정확하게는, 1.166)의 값을 갖기 때문에 1.1을 초과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는 왕복운동거리를 줄이거나 최소 분리막의 길이를 늘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istance Lo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is 500 mm based on the reciprocating distance a of the separator module 700 being 100 mm, As shown in FIG. 26,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can be calculated to be 538.5 mm by the nature of the triangle, and 1.08 (accurately, 1.077)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looseness Do. However, at this time, if the reciprocating distance is 150 mm,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becomes 583.1 mm and the degree of sagging is approximately 1.17 (exactly 1.166), which is greater than 1.1, which is not preferable. In this case,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can be reduced or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length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가 100mm일 때, 최소 분리막의 길이(Lo)가 750mm라면 최대 분리막의 길이(Lf)가 776.2mm로 계산되어 늘어짐 정도가 1.03에 해당하며, 최소 분리막의 길이(Lo)가 1000mm라면 최대 분리막의 길이(Lf)가 1019.8mm로 계산되어 늘어짐 정도가 대략 1.02에 해당하므로 모두 적절하다. Also, when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separator module 700 is 100 mm, if the length Lo of the minimum separator is 750 mm,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or is calculated as 776.2 mm and the degree of sagging is 1.03,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is calculated as 1019.8 mm and the degree of sagging is approximately 1.02, which is all appropriate.

하지만, 상기와 같이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가 100mm일 때, 최소 분리막의 길이(Lo)가 1500mm가 되면 최대 분리막의 길이(Lf)가 1513.3mm로 계산되어 늘어짐 정도가 1에 가까워지므로 분리막에 관성을 부여하기 어려운바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때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가 더욱 늘어나거나 최소 분리막의 길이(Lo)가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However, when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100 m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gth Lo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is 1500 mm, the length Lf of the maximum separation membrane is calculated as 1513.3 mm and the degree of sagging approaches 1 It is difficult to impart inertia to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is case, the reciproca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must be further increased or the length Lo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must be reduced.

이와 같이, 왕복운동에 의한 분리막의 오염 감소 또는 제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가 중요한바, 추가로 막 여과 시스템의 왕복운동거리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mportant in reducing or elimina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and furthermore,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 length adjus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길이조절부는 최소 분리막의 길이, 즉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막 자체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아래에서 실시예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length adjust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that is,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and may also be form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itsel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우선, 도 26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740)를 살펴보면, 상기 길이조절부(740)는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분리막 모듈(700)의 일측, 즉 상기 하부 프레임(720)이 고정 설치되는 막지지프레임의 보조프레임(620)을 상하 구동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6, the length adjusting unit 740 includes a length adjusting unit 740 for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The upper frame 620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to which the lower frame 720 is fixedly installed.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길이조절부(740)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74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742)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아래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ngth adjuster 7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742 positioned below the auxiliary frame 620, and the hydraulic cylinder 742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620 Or may be bolted or welded and fixed.

상기 유압실린더(742)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하부에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개수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유압실린더(742)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보조프레임(620)의 각 꼭짓점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At least one hydraulic cylinder 742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620, and the hydraulic cylinder 742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In this embodiment, the four hydraulic cylinders 742 are arranged at the respective corner points of the auxiliary frame 620 formed in a square.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유압실린더(742)를 구동하면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은 고정된 채 상기 보조프레임(620)이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부 프레임(720)이 일체로 상하방향 이동되어 최소 분리막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분리막의 길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742)를 구동하여 상기 보조프레임(6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 프레임(72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최소 분리막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가 커지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drives the hydraulic cylinder 742, the lower frame 720 of the separator module is moved while the upper frame 710 of the separator module is fixed while the auxiliary frame 6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So that the length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can be adjusted. That is, when the auxiliary frame 620 is moved upward by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742 while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 lower frame 720 also moves upward, and the distance from the upper frame 710 The length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is reduced, and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반대로, 상기 유압실린더(742)를 구동하여 상기 보조프레임(6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 프레임(720)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최소 분리막의 길이가 늘어나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늘어짐 정도가 작아지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hydraulic cylinder 742 is driven to move the auxiliary frame 620 downward, the lower frame 720 also moves downward to increase the distance from the upper frame 710,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reduced.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742)의 작동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분리막의 왕복운동거리 또는 왕복주기에 따라 분리막의 바람직한 늘어짐 정도에 따른 적절한 최소 분리막의 길이를 계산하여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상하이동량을 계산하는 계산부(744) 및 계산된 상하이동량을 상기 유압실린더(742)로 전달하여 구동하도록 하는 구동부(74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742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but the length of the minimum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depending on the reciprocation distance or the reciprocation period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calculated, A calculation unit 744 for calculating the same amount, and a driving unit 746 for transmitting the computed upper and lower amounts to the hydraulic cylinder 742,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다음으로, 도 27을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1740)를 살펴보면, 상기 길이조절부(174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2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은 고정된 채 상기 하부 프레임(720)의 위치를 상하 구동하도록, 즉 상기 하부 프레임(720)이 고정 설치되는 막지지프레임의 보조프레임(620)을 상하 구동하도록 형성된다. Next, referring to FIG. 27, the length adjuster 17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wherein the length adjuster 17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lower frame 720 The upper frame 71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s fix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720 up and down so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ower frame 720, 620 are vertically driven.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길이조절부(1740)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아래에 설치되는 샤프트(1742)와, 상기 샤프트(174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한 1개 이상의 캠(1744) 및 상기 샤프트(1742)의 회전을 위한 모터(17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1746)는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length adjuster 17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haft 1742 provided under the auxiliary frame 620, at least one cam coupled to the shaft 1742 and integrally rotatable therewith, A motor 1744 for rotating the shaft 1742, and a motor 1746 for rotating the shaft 1742. The motor 1746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300, but may be installed outside.

상기 샤프트(1742)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하부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모서리에 맞추어 2개의 샤프트가 나란하게 마주보며 형성되고 있다. 각 샤프트에는 1개 이상의 캠(1744)이 상기 샤프트(1742)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캠(1744)이 회전함에 따라 캠의 반경길이가 달라져 상기 하부프레임(6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hafts 1742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620. In this embodiment, two shaft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alignment with the corners of the auxiliary frame 620. One or more cams 1744 are integrally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742. The radius of the cams is vari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s 1744,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모터(1746)의 작동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620)의 상하이동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계산된 상하이동량을 상기 모터(1746)로 전달하여 샤프트(1742)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motor 1746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h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upper and lower moving amounts of the auxiliary frame 620 and the calculated upper and lower moving amounts are transmitted to the motor 1746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shaft 1742 so as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부는 분리막 자체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분리막 모듈의 일단, 즉 중공사막의 일단을 감고 풀 수 있도록 하는 권출부를 형성하여 분리막의 일단을 감아주거나 풀어줌으로써 전체 분리막 모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ength adjuster may be form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its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that is, The entire length of the separator module can be adjusted by winding or loosening one end of the separator module.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간격측정유닛(810)과 간격조절수단(8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실시예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val measuring unit 810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8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간격측정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간격측정유닛(81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 또는 상기 베인부재(410)와 상기 처리조(300)간의 간격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16A and 16B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p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and 16B, the gap measuring unit 8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gap betwe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or the vane member 410 and the treatment bath 300. [

이러한 상기 간격측정유닛(810)은 제1 간격측정센서(811) 및 제2 간격측정센서(813)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간격측정센서(811)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상기 처리조(300) 내벽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간격측정센서(813)는 상기 베인부재(410)와 상기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The interval measuring unit 810 may include a first interval measuring sensor 811 and a second interval measuring sensor 813. The first interval measuring sensor 811 may include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he second interval measuring sensor 813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val between the vane member 410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

도 16a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간격측정센서(811)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상기 처리조(300) 내벽간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16A, the first gap measuring sensors 811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and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ing tank 300 is .

만약 어느 한 측의 센서에서 측정한 간격이 다른 측의 센서에서 측정한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또는 기 설정된 허용 간격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간격측정센서(811)가 사용자의 콘트롤러에 신호를 주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상기 왕복수단(200)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왕복프레임(250)에 볼트체결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좌우위치를 재설정하여 처리조(300) 내벽과의 충돌을 예방하면 된다. If the interval measured by the sensor on one side is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the interval measured by the sensor on the other side, or if the interv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interval measuring sensor 811 sends a signal The user stops the driving of the reciprocating means 200 and then repositiones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frame 250 by bolt fastening or the like so that the treatment tub 300 ) You can prevent collisions with the inner wall.

도 16b를 참고하면, 상기 제2 간격측정센서(813)가 상기 베인부재(410)의 부양날개(413) 부분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베인부재(410)도 함께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각종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부양날개(413)의 상하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16B,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gap measuring sensor 813 is disposed on the floating blade 413 of the vane member 410. [ As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reciprocates, the vane member 410 also reciprocates. At this tim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loat wing 413 may be changed by various vibrations, shaking, or the like.

이때 상기 제2 간격측정센서(813)가 처리조(300) 바닥과의 간격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허용 간격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콘트롤러에 신호를 주고, 사용자는 상기 왕복수단(20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후 상기 왕복프레임(250)에 볼트체결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상하위치를 재설정하여 처리조(300)의 바닥에 부양날개가 충돌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interval measuring sensor 813 measures a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tank 300, and if the interv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llowable interval value, it gives a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user, Stop driving. Thereafte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frame 250 by bolt fastening or the like is reset to prevent the float wing from colliding with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7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18는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제1 간격조절부의 부분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발명에서 제2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과 제2 간격조절부의 연동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발명에서 슬러지 부양수단과 제2 간격조절부의 연동을 나타낸 후면도이다.FIG. 17 is a top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first gap adjus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7, 2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of the sludge lifting means and the second gap adjusting part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9, FIG. 2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udge lifting means and the second gap adjusting part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And Fig.

도 17 내지 도 2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86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 또는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420)과 상기 처리조(300)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수단(86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상기 처리조(300) 내벽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부(820) 및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420)과 상기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7 to 21, the gap adjusting means 86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or the sludge flooding means 420 and the treatment tank 300 have. The gap adjusting unit 860 may include a first gap adjusting unit 820 that adjusts the gap between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and the inner wall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a second gap adjusting unit 820 that adjusts the gap between the sludge lifting unit 420 and the treatment tank 300. [ And a second gap adjusting unit 850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ttom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00 and 300.

우선 상기 제1 간격조절부(820)는 조절실린더(821), 이동유닛(820a), 제1 근접센서(829), 제1 간격산출부(828), 제1 유압량산출부(827) 및 제1 구동부(8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은 2개가 왕복프레임(250)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실린더(821)는 상기 한 쌍의 막지지프레임(600) 사이에서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val adjusting unit 820 includes a control cylinder 821, a moving unit 820a, a first proximity sensor 829, a first interval calculating unit 828, a first hydraulic pressure calculating unit 827, And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826. 1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the adjustment cylinder 821 is connected to the pair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Not shown).

상기 이동유닛(820a)은 상기 조절실린더(821)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유닛(820a)은 이동레일(825) 및 이동블록(8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oving unit 820a is connected to the rod of the regulating cylinder 821 and supports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and can be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moving unit 820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rail 825 and a moving block 822. [

상기 이동레일(825)은 도18를 참고하면,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블록(822)은 상기 이동레일(825)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바퀴(8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서포트빔(824)으로 연결될 수 있다. 18, the moving rail 825 may b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the moving block 822 may be disposed on the moving wheel 823 to move along the moving rail 82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by a support beam 824. [

상기 제1 근접센서(829)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간격산출부(828)는 상기 제1 근접센서(829)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상기 처리조(300)의 내벽간의 간격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829 may be disposed on a sid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the first gap calculator 828 may calculate a signal And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600 and the inner wall of the treatment tank 300.

상기 제1 유압량산출부(827)는 상기 제1 간격산출부(828)의 산출값을 유압구동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구동부(826)에 신호를 줄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826)는 상기 제1 유압량산출부(827)의 유압구동값에 따라 상기 조절실린더(821)를 구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calculation unit 827 may convert the calculated value of the first interval calculation unit 828 into a hydraulic driving value and give a signal to the first driving unit 826. The first drive unit 826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adjustment cylinder 821 according to the hydraulic drive value of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calculation unit 827.

예를 들어 처리조(300)의 내벽과 막지지프레임(600)의 간격이 기 설정된 허용간격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제1 근접센서(829)가 상기 제1 간격산출부(828)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간격산출부(828)가 간격을 계산한 후, 이 정보를 상기 제1 유압량산출부(827)로 송신하면 제1 유압량산출부(827)에서 필요한 유압구동값을 계산하게 된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829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first gap calculator 828 when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does not reach the preset allowable gap value The first interval calculating unit 828 calculates the interval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hydraulic amount calculating unit 827 to calculate the required hydraulic pressure value in the first hydraulic amount calculating unit 827 do.

그리고 계산이 되면 그 정보를 유압구동부에 송신하고, 조절실린더(821)는 필요한 만큼 이동블록(822)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822)이 이동레일(825)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막지지프레임(60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Then, when the calculation is made,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ydraulic driving unit, and the adjusting cylinder 821 advances or retracts the moving block 822 as necessary. Accordingly, the moving block 822 moves along the moving rail 825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이때 왕복프레임(250)에는 사이드블록이 배치되며 막지지프레임(600)의 지지를 돕게 된다. 도 17를 참고하면, 왕복프레임(250)의 4개의 가장자리에 제1 사이드블록이 배치되고 역시 서포트빔(832)으로 막지지프레임(600)과 연결되며 지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a side block is disposed in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o assist in supporting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Referring to FIG. 17, the first side block is disposed at four edges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nd is also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by the support beam 832.

이때 상기 제1 사이드블록의 돌기부(831a)는 제2 사이드블록(834)에서 직선이동이 원활토록 직선형 베어링(833)이 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커버(835)를 볼트(835)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왕복프레임(250)상에 4개가 배치되며, 각각 상기 조절실린더(821)에 의한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폭 방향이동을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831a of the first side block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inear bearing 833 so that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side block 834 is smooth, and the user tightens the cover 835 with the bolts 835 Can be fixed. Four of them are disposed on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regulating cylinder 821,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제2 간격조절부(850)는 제2 근접센서(851), 제2 간격산출부(852), 제2 유압량산출부(853) 및 제2 구동부(8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second interval adjusting unit 850 includes a second proximity sensor 851, a second interval calculating unit 852, a second hydraulic pressure calculating unit 853, and a second driving unit 854 .

상기 제2 근접센서(851)는 부양날개(48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부양날개(480)와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2 간격산출부(852)는 상기 제2 근접센서(851)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상기 부양날개(480)와 상기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851 may be disposed on the flap 480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lap 480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The second interval calculator 852 may be provided to calculate the interval between the flotation blade 480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by a signal sent from the second proximity sensor 851.

상기 제2 유압량산출부(853)는 상기 제2 간격산출부(852)의 산출값을 유압구동값으로 변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854)는 상기 제2 유압량산출부(853)의 유압구동값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431)를 구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oil pressure calculation unit 853 may be provided to convert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econd interval calculation unit 852 into a hydraulic drive value. The second driving unit 854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hydraulic cylinder 431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driving value of the second hydraulic-pressure calculating unit 853.

예를 들어 상기 제2 근접센서(851)가 상기 부양날개(480)와 상기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허용 간격값에 못 미치는 경우, 상기 제2 간격산출부(852)에 신호를 주게 된다. 상기 제2 간격산출부(852)는 상기 제2 근접센서(851)로부터 송출된 신호로부터 상기 부양날개(480)와 상기 처리조(300) 바닥간의 간격을 계산하고 그 값을 상기 제2 유압량산출부(853)에 송출하면 상기 제2 유압량산출부(853)는 이를 유압구동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구동부(854)에 신호를 부여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851 measures the gap between the floating blade 480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is less than a preset allowable gap value, . The second interval calculating unit 852 calculates the interval between the floating wing 480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300 from the signal sent from the second proximity sensor 851,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calculation unit 853 converts the hydraulic pressure value to a hydraulic driving value and then give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unit 854. [

이에 따라 상기 제2 구동부(854)가 상기 유압실린더(431)를 구동하여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위치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베인몸체(441)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제3 베인몸체(470) 및 부양날개(480) 또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격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econd driving unit 854 drives the hydraulic cylinder 431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vane body 441.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vane body 441 is moved upward, the third vane body 470 and the floating vane 48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ane body 441 are also moved upward It will be adjusted.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간격조절부(820) 및 상기 제2 간격조절부(850)가 막지지프레임(600) 또는 슬러지 부양수단(420)과 처리조(300)간의 간격을 계산하고, 기 설정된 허용 간격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간격을 재조정하면서, 설비간의 충격으로 인한 설비 운용 효율 저하 및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gap adjusting unit 820 and the second gap adjusting unit 850 may calculate the gap between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or the sludge lifting unit 420 and the treatment tank 300. For example, And if i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determined allowable rang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interval and prevent the equipment operation efficiency and the equipment damage due to the impact between the equipment.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과수배출부에 관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여과수배출부는 분리막 모듈(700)을 통해 처리된 여과수가 외부로 회수되기 위한 구조로, 공통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파이프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에도 불구하고 여과수배출부가 파손되지 않으며 여과수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filtered water discharg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 filtered water discharging portion has a structure for recovering the filtered water processed through the separating membrane module 700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flexible pipe in common so that the filtered water discharging portion It is not damaged and the filtrate can be easily recovered.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우선, 도 28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배출부(9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도 2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 및 분리막 모듈의 배치구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First,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unit 9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embodiment is based on that applied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th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여과수배출부(900)는 집수배관(920)과 제1 회수 파이프(940) 및 제2 회수 파이프(9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unit 900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pipe 920, a first collecting pipe 940 and a second collecting pipe 960.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 하수(또는 폐수)는 각 분리막 모듈의 중공사막(730)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여과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집수부(711)에 집수된다. 23, when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disposed inside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sewage (or waste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of each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of the upper frame.

상기 각 상부 프레임(710)의 상측에는 1개 이상의 배출홀(714)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714)을 통해 상기 집수배관(920)이 각 분리막 모듈의 집수부(711)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배관(920)은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을 가로지르며 각 집수부(711)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각 집수부(711)에 집수된 여과수를 하나의 집수배관(920)으로 모을 수 있다. One or more discharge holes 714 are formed on the upper frame 710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920 is communicated with the collecting part 711 of each separator module through the discharge hole 71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ater collecting pipe 920 is installed across the plurality of the separator module 700 and communicates with the water collecting part 711, so that the filtered water collected in each water collecting part 711 is supplied to one water collecting pipe (9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수배관(920)은 각 상부 프레임(710)의 중심에 형성된 하나의 배출홀(714)을 통해 각 집수부(711)와 연통되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을 기준으로 1개씩 설치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 프레임(710)의 길이 등에 따라 상측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집수배관(92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pipe 920 is communicated with the water collecting part 711 through one discharge hole 714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upper frame 710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920 is connected with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long the length of the upper frame 710 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pipes 920 may be installed.

상기 집수배관(920)에 모인 여과수를 외부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집수배관(920)에는 1개 이상의 제1 회수 파이프(9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수배관(920)의 양끝단에 2개의 제1 회수 파이프(940)가 결합되고 있다. 상기 제1 회수 파이프(940)는 강성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S자 형상, 일자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One or more first recovery pipes 94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collection pipe 920 to recover the filter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pipe 920. In this embodiment, And two first recovery pipes 940 are coupled to both ends. The first recovery pipe 940 is made of a rigid pipe, and may be any shape such as an S shape or a straight shape.

다음, 상기 제1 회수 파이프(940)에는 각각 제2 회수 파이프(960)가 연결되되, 상기 제2 회수 파이프(960)는 플렉서블(flexible)한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여과수배출부(900)가 파손되지 않으며 여과수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a second recovery pipe 9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overy pipe 94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ecovery pipe 960 is a flexible pipe. Accordingly, despit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900 is not broken and the filtered water can be easily recovered.

상기 제2 회수 파이프(960)에는 유입수를 중공사막(73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하여 여과시키기 위한 흡입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수 파이프(960)를 통해 회수된 여과수는 별도의 탱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A suction pump (not shown) for sucking the inflow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to the insid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pipe 960, and the suction pipe The recovered filtered water can be stored in a separate tank (not shown).

즉, 상기 분리막 모듈의 중공사막(73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며 여과된 여과수는 우선 상기 상부 프레임(710)의 집수부(711)에 모이게 되고, 각 집수부(711)에 모인 여과수는 다시 하나의 집수배관(920)으로 모여 상기 제1 회수 파이프(940) 및 제2 회수 파이프(960)를 거쳐 외부로 회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ltered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reof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of the upper frame 710 and the collec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Collected in one water collecting pipe 920 and recovered to the outside via the first recovery pipe 940 and the second recovery pipe 960.

본 실시예에서는 집수배관에 연결되는 강성의 제1 회수 파이프와 플렉서블한 연성의 제2 회수 파이프를 따로 구성하고 있으나, 플렉서블한 관이 바로 상기 집수배관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igid first retur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the flexible second return pipe are separately formed, but a flexible pip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9를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배출부(19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도 2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막지지프레임 및 분리막 모듈의 배치구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Next,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unit 19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embodiment is based on that applied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th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여과수배출부(1900)는 제1 회수 파이프(1940) 및 제2 회수 파이프(19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1900 may include a first recovery pipe 1940 and a second recovery pipe 1960.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은 상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여과배관(6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여과배관(640)의 양측으로 다수의 분리막 모듈(700)이 결합되고 있다. 이때, 상기 각 분리막 모듈의 상부 프레임(710)은 상기 여과배관(640)에 형성된 결합홀(642)에 끼워져 결합되는바, 이에 따라 상기 각 집수부(711)에 집수된 여과수는 하나의 여과배관(640)에 모일 수 있다. 24,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ncludes a filtration pipe 640 form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70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ltration pipe 640 .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710 of each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42 formed in the filtration pipe 640, so that the filtered water collected in each of the collection portions 711 is connected to one filtration pipe (640).

상기 여과배관(640)에 모인 여과수를 외부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여과배관(640)에는 1개 이상의 제1 회수 파이프(19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배관(640)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2개의 제1 회수 파이프(1940)가 결합되고 있다. 상기 제1 회수 파이프(1940)는 강성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S자 형상, 일자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At least one first recovery pipe 1940 may be coupled to the filtration pipe 640 in order to recover the filtrate collected in the filtration pipe 640. In this embodiment, And two first recovery pipes 1940 are coupl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covery pipe 1940 is made of a rigid pipe, and may have any shape such as an S shape or a straight shape.

다음, 상기 제1 회수 파이프(1940)에는 각각 제2 회수 파이프(1960)가 연결되되, 상기 제2 회수 파이프(1960)는 플렉서블(flexible)한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여과수배출부(1900)가 파손되지 않으며 여과수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a second recovery pipe 19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overy pipe 1940, and the second recovery pipe 1960 is a flexible pipe. Accordingly, despit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ortion 1900 is not damaged and the filtered water can be easily recovered.

상기 제2 회수 파이프(1960)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입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수 파이프(1960)를 통해 회수된 여과수는 별도의 탱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A suction pump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pipe 1960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ltered water recovered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ipe 1960 by a suction force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tank (not shown) Lt; / RTI >

즉, 상기 분리막 모듈의 중공사막(73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며 여과된 여과수는 우선 상기 상부 프레임(710)의 집수부(711)에 모이게 되고, 각 집수부(711)에 모인 여과수는 다시 하나의 여과배관(640)으로 모여 상기 제1 회수 파이프(1940) 및 제2 회수 파이프(1960)를 거쳐 외부로 회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ltered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730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reof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of the upper frame 710 and the collec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711 And is collected into one filtration pipe 640 and recovered to the outside via the first recovery pipe 1940 and the second recovery pipe 1960.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배관에 연결되는 강성의 제1 회수 파이프와 플렉서블한 연성의 제2 회수 파이프를 따로 구성하고 있으나, 플렉서블한 관이 바로 상기 여과배관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igid first return pip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pipe and the flexible second return pipe are separately formed, but a flexible pip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ltration pipe.

다음으로는, 도 30 내지 도 33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이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referring to FIGS. 30 to 33,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are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300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는 하수(또는 폐수)의 여과용량 등에 따라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부지면적 등에 따라 상기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은 일렬로 길게 배열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열로 나뉘어 배열될 수도 있다. In the treatment tank 300,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are generally disposed in accordance with filtration capacity of sewage (or wastewat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may be arranged long in a row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umns according to a site area or the like.

아래에서는,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rovision of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inside the treatment tank 300.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일렬로 배열되되,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어 일체로 왕복운동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treatment tank 300, and are connected to one reciprocating means 200 to reciprocate integrally.

이는 상기 처리조(300)가 설치되는 부지가 길이는 길지만 폭이 여유롭지 않을 때 적용될 수 있다. This can be applied when the site where the treatment tank 300 is installed is long but the width is not sufficient.

상기에서 살펴보았듯이, 상기 왕복수단(200)은 왕복프레임(250)과 구동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연결되어 막지지프레임을 왕복시키도록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iprocating unit 200 may include a reciprocating frame 250 and a driving unit 205, and is connected to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o reciprocate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

구체적으로,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과 연결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상기 구동부(205)는 상기 처리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프레임(25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frame 250 is connected to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o support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The driving unit 205 is disposed in the processing bath 300, A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250 to move the reciprocating frame 2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하나의 왕복프레임(250)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하나의 틀을 가지는 왕복프레임(250)의 내부에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모두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설치될 막지지프레임(600)의 개수만큼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즉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각각의 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지지프레임(600)이 손상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개별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가 보다 간편하다. Since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connected to one reciprocating means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a row in one reciprocating frame 250. At this time,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may be all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single row, but the reciprocating frame 250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30,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hambers so that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formed to have a number of chambers equal to the number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to be formed. Accordingly,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damaged or a problem occurs,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and installation is simpl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을 하나의 왕복수단(200)에 의해 왕복 운동시켜야 하므로 큰 구동력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large driving force is required since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should be reciprocated by one reciprocating means 200.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일렬로 배열되되, 양측으로 5개씩 나뉘어 각각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측에 각각 5개씩 나뉜 막지지프레임(600) 세트는 별개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즉, 양측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는 같은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treatment tank 300, and are divided into five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means 20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et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which are divided into five on each side, can be reciprocated separately. That is, the sets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on both sides may reciprocate in the same direction, but may reciprocate in different directions.

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처리조(300)가 설치되는 부지가 길이는 길지만 폭이 여유롭지 않을 때 적용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can be applied when the site where the treatment tank 300 is installed is long but the width is not sufficien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양쪽에 2개의 세트로 나뉘어 각각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왕복수단(200)은 상기 처리조(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씩 각각 하나의 왕복프레임(250)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divided into two sets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one of the reciprocating means 200, And are arranged in a line within each of the two reciprocating frames 250,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five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이때, 하나의 틀을 가지는 왕복프레임(250)의 내부에 상기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가 모두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설치될 막지지프레임(600)의 개수만큼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즉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각각의 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지지프레임(600)이 손상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개별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가 보다 간편하다. In this case, the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may be all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single row, but the reciprocating frame 250, as shown in FIG. 31,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hambers so that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formed to have five chamb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damaged or a problem occurs,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and installation is simpler.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왕복수단에 의해 10개의 막지지프레임을 일체로 왕복운동시키지 않고,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씩 분리하여 각각 왕복수단(200)과 연결하고 있는바, 큰 구동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되며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 간 간격을 두고 각 세트를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소용돌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슬러지 부양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are not reciprocated integrally by one reciprocating means, but are separated by the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nd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means 200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large driving force, and each set is recipr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intervals between the sets of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thereby generating a swirling effect, thereby obtaining a sludge lifting effect.

[제3 실시예]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5개씩 2열로 나뉘어 배열되되,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어 일체로 왕복운동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treatment tank 300, and are connected to one reciprocating means 200 to reciprocate integrally.

이는 상기 처리조(300)가 설치되는 부지가 폭은 넓지만 길이가 여유롭지 않을 때 적용될 수 있다. This can be applied when the site where the treatment tank 300 is installed is wide but the length is not sufficien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하나의 왕복프레임(250) 내부에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connected to one reciprocating means 200, so tha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two rows in one reciprocating frame 250 Are arranged side by side.

이때, 하나의 틀을 가지는 왕복프레임(250)의 내부에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2열로 5개씩 나뉜 상태로 모두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설치될 막지지프레임(600)의 개수만큼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즉 본 실시예에서는 2열로 5개씩 나뉘어 총 10개의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각각의 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지지프레임(600)이 손상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개별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가 보다 간편하다. At this time,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five rows in two rows in the reciprocating frame 250 having one frame. However, as shown in FIG. 32,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 600 is formed to have a number of cha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to be installed, that is, five chambers divided into two row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damaged or a problem occurs,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and installation is simpl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막지지프레임(600)을 하나의 왕복수단(200)에 의해 왕복 운동시켜야 하므로 큰 구동력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large driving force is required since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should be reciprocated by one reciprocating means 200.

[제4 실시예] [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조(300)의 내부에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이 5개씩 2열로 나뉘어 배열되되, 각 열마다 별개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열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는 별개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즉, 각 열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는 같은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en film support frames 600 are arranged in two rows by five in the treatment tank 300, and each column is connected to a separate reciprocating means 200. Thus, the set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in each row can be reciprocated separately. That is, the sets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in each row may reciprocate in the same direction, but may reciprocate in different directions.

이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처리조(300)가 설치되는 부지가 폭은 넓지만 길이가 여유롭지 않을 때 적용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ite where the treatment tank 300 is installed can be applied when the width is wide but the length is not sufficien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10개의 막지지프레임(600)은 2열로 나뉘어 각각 하나의 왕복수단(200)과 연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왕복수단(200)은 상기 처리조(300)의 일측에 나란하게 2개가 설치되며,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씩 각각 하나의 왕복프레임(250)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divided into two rows and connected to one of the reciprocating means 200, so that the reciprocating means 200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tank 300 And five membrane supporting frames 600 are arranged in a line within each one of the reciprocating frames 250.

이때, 하나의 틀을 가지는 왕복프레임(250)의 내부에 상기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가 모두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프레임(250)은 설치될 막지지프레임(600)의 개수만큼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즉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칸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막지지프레임(600)이 각각의 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지지프레임(600)이 손상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개별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가 보다 간편하다. In this case, the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may be all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single row, but the reciprocating frame 250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row,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hambers so that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formed to have five chamb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when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is damaged or a problem occurs,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and installation is simpler.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왕복수단에 의해 10개의 막지지프레임을 일체로 왕복운동시키지 않고, 각 열에 5개의 막지지프레임(600)씩 분리하여 각각 왕복수단(200)과 연결하고 있는바, 큰 구동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되며 각 열의 막지지프레임(600) 세트 간 간격을 두고 각 세트를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소용돌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슬러지 부양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en membrane support frames are not integrally reciprocated by one reciprocating means, but the five membrane support frames 600 are separated into the respective columns,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large driving force and the sludge lift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generating swirls by reciprocating each set in opposite directions at intervals between sets of membrane support frames 600 in each row.

또한, 각 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왕복 운동에 따른 진동을 상쇄할 수 있어, 상기 처리조(300)에 발생하는 진동이 저감되며 안정적이다. Further, as each row reciprocates in different directions, vibration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can be canceled, an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treatment tank 300 is reduced and stable.

아래에서는, 본원발명의 제어부(1000) 및 이에 따른 막 여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ntrol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막 여과 시스템은,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 또는 진동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000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r frequenc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상기 제어부(1000)는 운전조건, 분리막 모듈의 오염도 등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에서 분리막이 왕복 운동하는 거리 또는 진동수를 조절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측정부(1200) 및 상기 오염측정부(1200)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 또는 진동수를 제어하는 조절제어부(1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distance or frequency of reciproc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adjustment control unit 1400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r frequenc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easured by the contamination measurement unit 1200, Lt; / RTI >

상기 오염측정부(1200)는 분리막의 막간차압(TMP)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막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초기운전 시나 역세척(bachwash)을 진행한 후의 운전 시에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낮게 측정될 것이고, 여과가 상당시간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높게 측정될 것이다. The contamination measuring unit 1200 can measur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by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tial TMP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s. In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will be measure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r after the bachwash operation, and after the filtration has been performed for a considerable time, 700) will be measured highly.

이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진동수를 늘리고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진동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주기를 줄이고, 상기 오염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주기를 늘릴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creases, the regulation control unit 1400 increases the frequenc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and decreas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reduced. That is,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creases, the reciprocating cycle of the separator module 700 may be reduced and the reciprocating cycle of the separator module 700 may be increased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wered.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진동수를 늘리면 분리막이 더 빠른 속도로 왕복하게 되면서 분리막에 부여되는 관성이 더 커짐에 따라 분리막에 부착된 오염물이 분리, 제거될 수 있다. When the frequenc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the separation membrane is reciprocated at a higher speed and the inertia impart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becomes larger, so that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다만, 진동수를 높이면 에너지 소모량이 더 커지게 되므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하면서도 왕복운동에 의한 분리막의 파울링(fouling) 제거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frequenc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ul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du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while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

이때, 상기 분리막 모듈(700)은 분리막 모듈(700)이 설치되는 상기 막지지프레임(600) 및 막지지프레임(600)을 지지하는 상기 왕복프레임(250)과 함께 왕복운동하므로,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 및 진동수(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리막 모듈(700)도 조절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reciprocates with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on which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stalled and the reciprocating frame 250 supporting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also adjustable by adjusting the reciprocating distance and the frequency (cycl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이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왕복수단(200)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모터(210)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djustment control unit 1400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210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unit 200 to transmit the pow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막 모듈(700)은 0.5Hz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분리막의 오염도에 따라 1Hz까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진동수가 1Hz를 넘어가게 되면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지고 막 여과 시스템의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set to reciprocate at 0.5 Hz and can be adjusted to 1 Hz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However, if the frequency exceeds 1 Hz, the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may be damaged.

또한,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늘이고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줄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0 increases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separator module 700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or module 700 increases and decreas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or module 700, ) Can be reduced.

즉, 진동수가 동일하게 유지될 때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늘리게 되면 분리막이 왕복 운동하는 속도가 빨라져 진동수를 높인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며, 진동수를 너무 높이게 되면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시스템의 구조물이 손상될 위험이 있으므로 왕복운동거리를 늘려줄 수 있다. That is, if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when the frequency is kept the sam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accelerated and the effect similar to that of increasing the frequency is exhibited. If the frequency is increased too much, Can increase the reciprocating distance because of the risk of damaging the structure of the system.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늘리면 분리막이 더 빠른 속도로 왕복하게 되면서 분리막에 부여되는 관성이 더 커짐에 따라 분리막에 부착된 오염물이 분리, 제거될 수 있다. If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the separation membrane is reciprocated at a higher speed and the inertia impart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becomes larger, so that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이때, 상기 분리막 모듈(700)은 상기 막지지프레임(600) 및 상기 왕복프레임(250)과 함께 왕복운동하므로,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거리도 조절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왕복수단(200)과 연결되어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 제어할 수 있다. Since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reciprocally moves together with the membrane support frame 600 and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is adjusted, Is also adjustable. Accordingly, the adjustment control unit 1400 may be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unit 200 to control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5)는 모터(210), 제1 풀리(211), 제2 풀리(213), 로터(230) 및 링크로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210)와 로터(230)는 상기 제1 풀리(211) 및 제2 풀리(21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로드(220)는 상기 로터(230)와 왕복프레임(250) 간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205 includes a motor 210, a first pulley 211, a second pulley 213, a rotor 230, and a link rod 220, The motor 210 and the rotor 230 ar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ulley 211 and the second pulley 213. The link rod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or 230 and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o convert the rotary motion into the reciprocating motion.

이때, 상기 로터(230)에는 상기 링크로드(22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2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링크로드(220)가 상기 로터에 연결되는 연결구(233)를 달리하면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rotor 2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233 connected to the link rod 220 so that the connection rod 233 connecting the link rod 220 to the rotor is different, ) Can be adjusted.

즉,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늘려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간격이 큰 연결구(233b)에 상기 링크로드(22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increased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creases, the adjustment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increased by connecting the link rod 220 to the connecting port 233b.

반대로,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터(230)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은 연결구(233a)에 상기 링크로드(22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contrast, if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to be reduced as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lowered, the regulation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reduced by connecting the link rod 220 to the link 233a.

더욱이, 상기 링크로드(220)는 링크몸체(221), 상기 링크몸체(2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의 연결구(233)에 결합되는 제1 링크홀(223) 및 상기 링크몸체(221)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왕복프레임(250)에 결합되는 제2 링크홀(225)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링크홀(223)은 상기 링크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가공될 수 있다. The link rod 220 includes a link body 221, a first link hole 223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ink body 221 and coupled to a connection port 233 of the rotor, And a second link hole 225 which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body 221 and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frame 250. The first link hole 223 is formed by machining a plurality of .

이에 따라, 상기 로터의 연결구(233)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링크홀(223)의 부위를 달리하면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조절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link hole 223 of the link rod connected to the rotor connection port 233.

즉,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늘려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로드(220)에서 상기 제2 링크홀(225)에 상대적으로 먼 제1 링크홀(223b)에 상기 로터의 연결구(23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to be increased as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ncreases, the regulation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second link holes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increased by fastening the connecting port 233 of the rotor to the first link hole 223b relatively far from the reciprocating frame 250.

반대로,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오염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왕복운동거리를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로드(220)에서 상기 제2 링크홀(225)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링크홀(223a)에 상기 로터의 연결구(23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왕복프레임(250)의 왕복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reciprocating motion distan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to be reduced as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is lowered, the regulation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second link holes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frame 250 can be reduced by fastening the connecting port 233 of the rotor to the first link hole 223a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link hole 225.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1400)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역세척(backwash) 시에는 진동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막 모듈(700)의 역세척 시 진동수가 0.7Hz까지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djustment control unit 1400 can control the frequency of the backwash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to be hig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equency of backwashing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700 can be adjusted to be as high as 0.7 Hz,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이상의 사항은 막 여과 시스템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foregoing only show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막 여과 시스템
200:왕복수단 205:구동부
210:모터 211:제1 풀리
212:동력전달벨트 213:제2 풀리
220:링크로드 221:링크몸체
223:제1 링크홀 225:제2 링크홀
230:로터 233:연결구
250:왕복프레임
300:처리조 310:유입구
320:유출구
400:슬러지부양부
410:베인부재 411:베인몸체
413:부양날개 420:슬러지 부양수단
421:제1 베인몸체 425:제1 실링패드
430:승강유닛 431:유압실린더
433:승강로드 441:제2 베인몸체
450:탄성체 455:제2 실링패드
460:완충패드 470:제3 베인몸체
480:부양날개
500:활주수단
[제1 실시예]
511:가이드레일 512:스토퍼
513:휠블록 514:구름휠
514a:중앙휠부 514b:회전축
514c:서포트휠부 515:구름부재
[제2 실시예]
521:가이드레일 522:스토퍼
523:휠지지체 524:테이퍼휠
524a:회전축 525:구름부재
[제3 실시예]
531:리니어가이드 532:스토퍼
533:이동빔 534:볼베어링
[제4 실시예]
551:가이드레일 552:제1 돌출부
561:휠블록 571:구름휠
572:제2 돌출부 580:서포트유닛
581:제1 바디부 582:제1 서포트휠
583:제2 바디부 584:제2 서포트휠
600:막지지프레임 620:보조프레임
640:여과배관 642:결합홀
700:분리막 모듈 710:상부 프레임
711:집수부 720:하부 프레임
712,722:간격유지부 714:배출홀
730:중공사막
[제1 실시예]
740:길이조절부 742:유압실린더
744:계산부 746:구동부
[제2 실시예]
1740:길이조절부 1742:샤프트
1744:캠 1746:모터
810:간격측정유닛 811:제1 간격측정센서
813:제2 간격측정센서 820:제1 간격조절부
820a:이동유닛 821:조절실린더
822:이동블록 823:이동바퀴
825:이동레일 826:제1 구동부
827:제1 유압량산출부 828:제1 간격산출부
829:제1 근접센서 850:제2 간격조절부
851:제2 근접센서 852:제2 간격산출부
853:제2 유압량산출부 854:제2 구동부
860:간격조절수단
[제1 실시예]
900:여과수배출부 920:집수배관
940:제1 회수 파이프 960:제2 회수 파이프
[제2 실시예]
1900:여과수배출부 1940:제1 회수 파이프
1960:제2 회수 파이프
1000:제어부 1200:오염측정부
1400:조절제어부
100: membrane filtration system
200: reciprocating means 205:
210: motor 211: first pulley
212: power transmission belt 213: second pulley
220: link rod 221: link body
223: first link hole 225: second link hole
230: rotor 233: connector
250: reciprocating frame
300: Treatment tank 310: Inlet port
320: Outlet
400: sludge lifting portion
410: Vane member 411: Vane body
413: Floating wing 420: Sludge floatation means
421: first vane body 425: first sealing pad
430: lift unit 431: hydraulic cylinder
433: lifting rod 441: second vane body
450: elastic body 455: second sealing pad
460: buffer pad 470: third vane body
480: Floating wings
500: Sliding means
[First Embodiment]
511: Guide rail 512: Stopper
513: Wheel block 514: Cloud wheel
514a: center wheel portion 514b:
514c: Support wheel part 515: Rolling member
[Second Embodiment]
521: guide rail 522: stopper
523: wheel support 524: tapered wheel
524a: rotating shaft 525: rolling member
[Third Embodiment]
531: Linear guide 532: Stopper
533: moving beam 534: ball bearing
[Fourth Embodiment]
551: guide rail 552: first protrusion
561: Wheel block 571: Cloud wheel
572: second protrusion 580: support unit
581: first body part 582: first support wheel
583: second body part 584: second support wheel
600: membrane support frame 620:
640: Filtration piping 642: Coupling hole
700: separator module 710: upper frame
711: collecting part 720: lower frame
712, 722: space maintaining portion 714: discharge hole
730: hollow fiber membrane
[First Embodiment]
740: Length adjuster 742: Hydraulic cylinder
744: Calculator 746:
[Second Embodiment]
1740: length adjuster 1742: shaft
1744: Cam 1746: Motor
810: interval measuring unit 811: first interval measuring sensor
813: second interval measuring sensor 820: first interval adjusting unit
820a: mobile unit 821: regulating cylinder
822: Moving block 823: Moving wheel
825: moving rail 826: first driving part
827: First oil pressure calculation unit 828: First interval calculation unit
829: first proximity sensor 850: second interval adjusting unit
851: second proximity sensor 852: second interval calculating section
853: Second hydraulic pressure calculating section 854: Second driving section
860:
[First Embodiment]
900: filtered water discharge part 920: water collecting pipe
940: First recovery pipe 960: Second recovery pipe
[Second Embodiment]
1900: Filtration water discharge part 1940: First recovery pipe
1960: Second collection pipe
1000: control unit 1200: pollution measuring unit
1400:

Claims (10)

처리조;
상기 처리조에 배치되고, 여과막이 장착되는 막지지프레임; 및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고, 처리조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제공되는 베인부재;
을 포함하는 막 여과 시스템.
Treatment tank;
A membrane support fram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and on which a filtration membrane is mounted; And
A vane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provided to float sludge accumul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재는,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베인몸체; 및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베인몸체의 하단에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부양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ne member
A vane bod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nd
A floating bla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ane body at an angle so as to float the sludge between reciprocating movement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Wherein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comprises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처리조;
상기 처리조에 배치되고, 여과막이 장착되는 막지지프레임; 및
처리조의 하부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양시키도록,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러지 부양수단;
을 포함하는 막 여과 시스템.
Treatment tank;
A membrane support frame disposed in the treatment tank and on which a filtration membrane is mounted; And
A sludge floatation mean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so as to be stretchable so as to float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베인몸체;
상기 제1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베인몸체; 및
상기 제1 베인몸체와 상기 제2 베인몸체간에 연동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인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ludge lifting means comprises:
A first vane bod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A second vane bod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ane body; And
An elevating unit arranged to be interlocked between the first vane body and the second vane body, the elevating unit elevating the second vane body;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베인몸체에 배치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베인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승강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disposed in the first vane body; And
A lifting rod disposed in the second vane body and connected to a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Wherein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comprises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제2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 베인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ludge lif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third vane bod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an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막지지프레임의 왕복운동간에 슬러지가 부양되도록, 상기 제3 베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부양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ludge lif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float blad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third vane body such that sludge is floated between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membrane support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날개는 상기 제3 베인몸체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oating vane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the third van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부양날개가 처리조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제2 베인몸체와 상기 제3 베인몸체간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ludge lifting means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ane body and the third vane body to mitigate the impact applied by the floating wings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vessel upon impac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부양수단은,
상기 부양날개가 처리조의 바닥에 충돌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부양날개의 단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ludge lifting means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ushioning pad disposed at an end of the flotation wing to relieve the impact applied by the flotation wing upon impact to the bottom of the treatment bath.

KR1020160162328A 2016-11-30 2016-11-30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28A KR101902642B1 (en) 2016-11-30 2016-11-30 Membrane filtration system
CN201710087257.9A CN108114605B (en) 2016-11-30 2017-02-17 Membrane filtration system
PCT/KR2017/006255 WO2018101559A1 (en) 2016-11-30 2017-06-15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reactor comprising same
US15/694,302 US10434474B2 (en) 2016-11-30 2017-09-01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 reactor including the same
SG10201707938VA SG10201707938VA (en) 2016-11-30 2017-09-27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 reactor including the same
US16/558,256 US11071950B2 (en) 2016-11-30 2019-09-02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 reac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28A KR101902642B1 (en) 2016-11-30 2016-11-30 Membrane filtr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63A true KR20180062263A (en) 2018-06-08
KR101902642B1 KR101902642B1 (en) 2018-09-28

Family

ID=6222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328A KR101902642B1 (en) 2016-11-30 2016-11-30 Membrane filtr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2642B1 (en)
CN (1) CN10811460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1755A (en) * 2022-10-31 2022-12-23 江苏源邦环境科技有限公司 High-efficient antipollution energy-saving ultrafiltration membrane element easy to disassemb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2121B1 (en) * 2004-05-28 2006-10-17 Jiang Ji Advanced submerged membrane modules, systems and processes
US20090250394A1 (en) * 2005-11-17 2009-10-08 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 Sewage treatment
WO2012083390A2 (en) * 2010-12-20 2012-06-28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Fouling control in membrane filtration processes
US8287733B2 (en) 2008-08-28 2012-10-16 Nick Juergen T Membrane bioreactor
KR101437818B1 (en)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Hollow fiber membrane fram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101479904B1 (en)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Membrane moule having improved discharge capacity
KR20170117247A (en) * 2016-04-12 2017-10-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ewage Treatment Apparatus with Granular Activated Sludge and Bio Membrane-reactor and a Method for Treating Sewage Thr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399B2 (en) * 1997-12-16 2007-01-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1318738A (en) * 2008-07-15 2008-12-10 郑州蓝德环保科技有限公司 Membrane filtration separation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equipment thereof
CN205472922U (en) * 2016-04-06 2016-08-17 辽宁工业大学 Intelligent control gas lift formula SBBR sewage treatment pla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2121B1 (en) * 2004-05-28 2006-10-17 Jiang Ji Advanced submerged membrane modules, systems and processes
US20090250394A1 (en) * 2005-11-17 2009-10-08 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 Sewage treatment
US8287733B2 (en) 2008-08-28 2012-10-16 Nick Juergen T Membrane bioreactor
WO2012083390A2 (en) * 2010-12-20 2012-06-28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Fouling control in membrane filtration processes
KR101479904B1 (en) *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Membrane moule having improved discharge capacity
KR101437818B1 (en)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Hollow fiber membrane fram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20170117247A (en) * 2016-04-12 2017-10-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ewage Treatment Apparatus with Granular Activated Sludge and Bio Membrane-reactor and a Method for Treating Sewage Threrewi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1755A (en) * 2022-10-31 2022-12-23 江苏源邦环境科技有限公司 High-efficient antipollution energy-saving ultrafiltration membrane element easy to disassemble
CN115501755B (en) * 2022-10-31 2023-08-22 江苏源邦环境科技有限公司 High-efficiency pollution-resistant and easy-to-detach energy-saving ultrafiltration membran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14605A (en) 2018-06-05
KR101902642B1 (en) 2018-09-28
CN108114605B (en)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636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1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11071950B2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 reactor including the same
US10730019B2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 reactor including the same
US10668434B2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reactor including the same
US10668433B2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reactor including the same
KR101902642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4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37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39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0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38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10639589B2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membrane bioreactor including the same
KR101913083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3B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