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450A - 빗물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정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0450A KR20180060450A KR1020160159953A KR20160159953A KR20180060450A KR 20180060450 A KR20180060450 A KR 20180060450A KR 1020160159953 A KR1020160159953 A KR 1020160159953A KR 20160159953 A KR20160159953 A KR 20160159953A KR 20180060450 A KR20180060450 A KR 201800604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internal space
- discharge port
- inner space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3 secondary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를 만드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의 빗물 유입구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침전 여과된 정화된 빗물은 빗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 배출구를 통하여 침전물이 배출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특히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초기의 빗물은 본체에 형성된 초기 빗물 배출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배출된 후 초기 빗물 이외의 빗물부터 정화하여, 초기 빗물에 다량 포함되는 이물질로 인한 정화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를 만드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의 빗물 유입구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침전 여과된 정화된 빗물은 빗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 배출구를 통하여 침전물이 배출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특히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초기의 빗물은 본체에 형성된 초기 빗물 배출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배출된 후 초기 빗물 이외의 빗물부터 정화하여, 초기 빗물에 다량 포함되는 이물질로 인한 정화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산성성분이 포함된 빗물을 제외한 보통의 빗물은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지만, 빗물이 지면에 흐르는 동안 지면의 오염물질이 섞이게 되면 별도의 정화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빗물을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1519호의 "보도블록 설치용 빗물정화 배출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197호의 "무동력 우수 처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219호의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224호의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1519호의 "보도블록 설치용 빗물정화 배출장치"에는 빗물을 정화 처리한 후, 지하로 배출하여 지하수 고갈현상을 방지하고 부분적인 지반침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197호의 "무동력 우수 처리장치" 및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219호의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에는 무동력 구조를 적용하여 동력의 불필요한 낭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하고,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이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224호의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에는 탈착식 거름망을 통해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청소작업도 간편하게 가능한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하나의 필터링 단계만을 수행하여 필터링 효율성 및 효과가 저하되거나 내부 필터의 이물질 제거와 정화 장치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는 등의 단점을 가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빗물 정화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빗물 정화장치는 지붕과 같은 빗물 포집부에서 포집된 빗물을 곧바로 정화시키기 때문에, 초기에 내린 비에 의하여 씻겨진 지붕에 묻어있는 다량의 이물질이 그대로 빗물 정화장치로 유입되어, 초기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빗물 정화장치의 정화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상기와 같은 초기 빗물에 다량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여과필터가 빗물 정화처리의 초기부터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아울러 빗물 정화장치에 빗물이 지나치게 많이 유입된 경우, 과량의 빗물로 인하여 빗물의 정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공간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 유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빗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의 일측에는 빗물 유입구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초기 빗물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빗물 정화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는 지붕과 같은 빗물 포집부에서 포집된 빗물 중 초기에 포집된 초기 빗물은 내부공간에 수용시키지 않고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켜, 초기 빗물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로 인한 빗물 정화장치의 정화능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초기 빗물을 본체의 외부로 곧바로 배출시킴으로써 초기 빗물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로 인하여 내부공간에 구비된 다공성 여과필터가 쉽게 막힐 수 있는 우려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내부공간에 수용된 빗물이 최고 수위를 초과한 경우에, 내부공간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최고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의 빗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 가능하여, 내부공간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빗물이 유동되어 빗물의 정화성이 저하될 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에 다공성 여과필터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의 여과필터부재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에 다공성 여과필터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
본 발명은 빗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를 만드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14)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 배출구(12)가 하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내부공간(14)의 일측에는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14)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빗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는 산업용 건물, 공장 건물, 관공서 건물, 상업용 건물, 플랜트 또는 일반 주택 등과 같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부속물로 설치되어, 옥상 또는 지붕 등과 같은 건물의 일부 또는 구조물의 일부를 통하여 흘러내린 빗물을 포집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이고, 본 발명에 의하여 정화된 빗물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관리수 또는 조경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에는 일반적인 제어부가 구비되어 본 발명에 포함된 전기적인 장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거나 관리자에 의한 제어명령을 전기적인 장치에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는 내부공간(14)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 배출구(12)가 하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체(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내부공간(14)에 수용된 정화되고 있는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수밀의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외부로부터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건물의 일부 또는구조물의 일부(이하, '지붕'이라 칭함.)를 통하여 포집된 빗물이 직접 배관을 통하여 유동된 것일 수도 있고, 1차적으로 정치되거나 여과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빗물 유입구(11)는 도 1와 같이 본체(10) 상부의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빗물의 자중에 의하여 빗물이 내부공간(14)으로 자연 유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빗물 유입구(11)에는 유입관이 장착되어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빗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의 상부는 상기 빗물 유입구(11)와 직접 체결되거나 빗물 유입구(11)의 상부로 관통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유입관의 하부는 내부공간(14)의 바닥쪽으로 길이를 형성하여 위치되어 유입관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내부공간(14)에서 최대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빗물 유입구(11)에는 여과필터부재(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필터부재(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에 체결되는 하우징(31); 어느 한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상기 하우징(31)의 중공 상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여과필터(32);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31) 중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31)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여과필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1)의 측부에는 이물질 배출구(3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 필터링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여과필터부재(30)는 거시적으로 하우징(31), 제1여과필터(32) 및 제2여과필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1)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여과필터(32) 및 제2여과필터(33)를 빗물 유입구(11)에 장착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빗물 유입구(11)에 유입관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1)의 유입관의 일정부분에 해당되거나 유입관의 일정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하우징(3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은 제1여과필터(32) 및 제2여과필터(33)와 기밀될 수 있도록 하는 내경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여과필터(32)는 어느 한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상기 하우징(31)의 중공 상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구성으로서,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여과필터(32)는 하부와 상부를 관통하는 다공성의 여과홀이 형성되어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고,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 필터링된 이물질들은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 해당하는 하우징(31)의 측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31a)를 통하여 하우징(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여과필터(32)는 하우징(31)의 중공 내부에 어느 한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일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우징(31)의 중공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필터링되어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을 하우징(31)의 이물질 배출구(31a)를 통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딩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여과필터(33)는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31) 중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1차 여과 필터와 동일한 크기 또는 제1여과필터(32)보다 더 작은 크기의 다공성 여과홀(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제2여과필터(33)는 상기 제1여과필터(32)를 통과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유동되는 빗물에 포함된 크기가 큰 이물질을 다시 한 번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여과필터(33)는 하우징(31) 중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면적으로 형성하며 하우징(31) 중공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31)에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31)의 측부에는 상기 제2여과필터(33)를 내입시키기 위한 필터내입홈(34)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내입홈(34)에 제2여과필터(33)가 내입된 상태에서는 필터내입홈(34)과 제2여과필터(33)의 사이를 통하여 빗물이 하우징(31)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수밀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여과필터(33)를 통과한 빗물은 본체(10)의 내부공간(14)으로 유동되어 침전 여과된 후 하기의 빗물 배출구(13)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침전물 배출구(12)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내부공간(14)에서 침전되어 빗물로부터 분리되면, 이물질의 집합상태인 침전물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공간(14)에서 자중에 의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전물 배출구(12)는 내부공간(14)에 수용되는 빗물의 수용능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침전물 배출구(12)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내부공간(14)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의 양에 따라 상기 밸브의 여닫힘 여부 및 여닫음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전물 배출구(12)에 구비되는 밸브는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와 같은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작동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빗물 배출구(13)는 내부공간(14)에서 정화된 빗물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본체(10)의 측부 또는 하부 일정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 배출구(13)에는 펌프와 연결된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빗물은 저류조로 이송되어 임지저장된 후 관리수 또는 조경수로 이용되거나 관리수 또는 조경수로 직접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빗물 배출구(13) 또는 배출관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내부공간(14)에서 배출되는 정화수의 배출여부 및 배출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17b)와 같은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침전시켜 정화하는 방식을 주된 정화방식으로 채택하는데, 이때 상기 빗물 유입구(11)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빗물 배출구(13)는 본체(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침전되는 빗물은 내부공간(14)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내부공간(14)의 일측에 구비되어,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14)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초기의 빗물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일반적으로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지붕의 표면에는 다량의 이물질이 묻어 있게 되고, 비가 오면 상기 이물질은 초기에 내린 비(초기 빗물)에 의하여 씻겨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초기 빗물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은 초기 빗물과 함께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내부공간(14)의 하부에 침적 및 적층되어 빗물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정화되는 빗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염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본체(10)의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14)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초기 빗물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로 인한 빗물 정화장치의 정화능력이 저하 문제 및 하기 다공성 여과필터(18)가 빗물 정화처리의 초기부터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상기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초기 빗물이 유입된 경우, 일정량의 초기 빗물 또는 일정시간 동안의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14)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17c)와 같은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빗물 유입구(11)에는 빗물 감지센서(20)가 구비되고,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상기 빗물 감지센서(20)에 의하여 센싱된 빗물 유입정보를 이용하여 여닫힘이 조절되어 초기 빗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빗물 감지센서(20)는 빗물이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이송되지 않을 경우에는 빗물 유입정보를 미생성하고, 초기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빗물 유입정보를 생성하여, 내부공간(14)으로의 초기 빗물 유입여부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빗물 감지센서(2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류의 전항 차이를 이용한 센서 또는 빛을 이용한 센서 등과 같은 공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빗물 유입구(11) 또는 빗물 유입구(11)에 장착된 유입관의 일정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빗물 감지센서(20)는 빗물 유입구(11), 또는 유입관)에 구비되어 초기 빗물이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빗물 유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빗물 유입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초기 빗물 배출구(15)에 구비된 닫혀있던 솔레노이드 밸브(17c)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열린 솔레노이드 밸브(17c)는 강수량 및 지붕의 면적에 따라 닫히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로 유입되는 빗물을 포집하는 지붕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7c)의 열림 시간을 지붕의 면적이 좁은 경우보다 길게 구성하고, 동일한 지붕 면적을 가지는 경우에는 강수량이 적을수록 솔레노이드 밸브(17c)의 열림 시간을 길게 구성하여, 지붕의 표면에 묻어 있던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 빗물이 초기 빗물 배출구(15)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강수량 및 지붕의 면적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7c)의 여닫힘 시간을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4)은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의 일측에 배치되어 빗물을 1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초기 빗물 배출구(15) 및 제1침전물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14a); 상기 내부공간(14)의 중간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14a)의 상부로부터 1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2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2침전물 배출구(12b)가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14b) 및; 상기 내부공간(14)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14b)의 측부로부터 2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3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3침전물 배출구(12c)가 형성되며, 하부 또는 측부에 상기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제3내부공간(14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4)은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을 빗물 배출구(13)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빗물이 유동되는 동안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 여과방식 또는 여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식으로 걸러낼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및 제3내부공간(14c)으로 구획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14a)은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의 일측에 배치되어 빗물을 1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초기 빗물 배출구(15) 및 제1침전물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된 빗물을 1차적으로 침전 여과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내부공간(14a)의 상부에 형성된 빗물 유입구(11), 하부에 형성된 초기 빗물 배출구(15)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또한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는 상기에서 설명한 침전물 배출구(12)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어느 하나의 침전물 배출구(12)에 해당되고,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에는 수동방식의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17a-1)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여닫힘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1내부공간(14a)은 내부공간(14)의 일측 일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을 1차적으로 침전시켜 빗물에 포함된 무게가 무거운 이물질들을 먼저 걸러내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제1내부공간(14a)은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빗물을 전처리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되는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으로부터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후처리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2침전물 배출구(12b)가 형성되는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1내부공간(14a)은 거시적으로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은 제1내부공간(14a)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빗물 유입구(11)에 구비된 유입관의 하부 말단은 초기 빗물 배출구(15)의 상부와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전처리 내부공간(14a-1)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이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전체적인 부분에 묻지 않고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된 일정부분에만 묻으며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초기 빗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다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빗물이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 채워지고, 채워진 빗물에서 이물질이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하부에 침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전처리 내부공간(14a-1)은 제1내부공간(14a) 중에서 빗물이 먼저 유입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제1내부공간(14a)에서 침전 여과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을 전처리 침전 여과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빗물을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할 뿐만 아니라,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후처리 내부공간(14a-2)은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으로부터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후처리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1침전물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내부공간(14a)의 주된 침전 여과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처리 내부공간(14a-2)은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의 사이에 배치된 격벽(16a)을 통하여 구분됨으로써 제1내부공간(14a)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 채워진 빗물(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일부는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하부로 침전된 상태임.)을 유동받아 이물질을 침전 여과시킨다.
이때,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유동되는 빗물은 후처리 내부공간(14a-2)과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구분시키는 격벽(16a)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통공(미도시) 또는 격벽(16a)의 상부를 통하여 넘치는 상태로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유동될 수 있고, 하부에 형성된 제1침전물 배출구(12a)를 통하여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구분시키는 격벽(16a)에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공은 격벽(16a)의 상부 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침전되는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부유하여 통공을 통하여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구분시키는 격벽(16a)의 상부를 넘치는 형태로 빗물이 유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16a)의 상부는 마루(16a-1)와 골(16a-2)을 가지는 요철 형태로 구성되고, 상지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은 상기 타측벽의 상부를 통하여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격벽(16a) 상부는 마루(16a-1)와 골(16a-2)을 가지는 요철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이 낮은 수평 위상을 가지는 골(16a-2)을 통하여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유동되고, 마루(16a-1)에 해당되는 부분으로는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부유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 후처리 내부공간(14a-2) 쪽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부공간(14b)은 상기 내부공간(14)의 중간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14a)의 상부로부터 1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2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2침전물 배출구(12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내부공간(14b)에서 침전 여과된 빗물을 재차 침전 여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내부공간(14b)과 제1내부공간(14a)을 구분시키는 격벽(16b)을 통하여 제2내부공간(14b)으로 유동되는 침전 여과된 빗물은 상기 격벽(16b)의 상부를 통하여 제2내부공간(14b)으로 유동될 수도 있고, 상기 격벽(16b)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통공(16b-3)을 통하여 제2내부공간(14b)으로 유동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내부공간(14b)과 제1내부공간(14a)을 구분시키는 격벽(16b)에 형성되는 통공(16b-3)은 도 4와 같이 상기 격벽(16b)의 중간 부분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내부공간(14b)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침전물 배출구(12b)는 제2내부공간(14b)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와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한 침전물 배출구(12)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다른 어느 하나의 침전물 배출구(12)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제2침전물 배출구(12b)에는 수동방식의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17a-2)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여닫힘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2내부공간(14b)은 내부공간(14)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내부공간(14a)에서 유동된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동받아 2차적으로 침전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제1내부공간(14a)이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내부공간(14b)으로 유동되는 침전 여과된 빗물은 상기 후처리 내부공간(14a-2)에서 침전 여과된 빗물이 된다.
또한 상기 제3내부공간(14c)은 상기 내부공간(14)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14b)의 측부로부터 2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3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3침전물 배출구(12c)가 형성되며, 하부 또는 측부에 상기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내부공간(14b)에서 침전 여과된 빗물을 최종적으로 3차 침전 여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3내부공간(14c)과 제2내부공간(14b)을 구분시키는 격벽(16c)을 통하여 제3내부공간(14c)으로 유동되는 침전 여과된 빗물은 상기 격벽(16c)의 상부를 통하여 제3내부공간(14c)으로 유동될 수도 있고, 상기 격벽(16c)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통공(16c-3)을 통하여 제3내부공간(14c)으로 유동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내부공간(14c)과 제2내부공간(14b)을 구분시키는 격벽(16c)에 형성되는 통공(16c-3)은 도 4와 같이 상기 격벽(16c)의 중간 부분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통공(16c-3)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다공성 여과필터(18)가 장착되는 구성을 하여, 제2내부공간(14b)에서 제3내부공간(14c)으로 유동되는 빗물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이물질도 필터링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3내부공간(14c)과 제2내부공간(14b)을 구분시키는 격벽(16c)에는 상기 통공(16c-3)에 상기 다공성 여과필터(18)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여과필터 케이싱(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여과필터 케이싱은 다공성 여과필터(18)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다공성 여과필터(18)를 일정의 주기로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3내부공간(14c)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침전물 배출구(12c)는 제3내부공간(14c)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 및 제2침전물 배출구(12b)와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한 침전물 배출구(12)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또 다른 하나의 침전물 배출구(12)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제3침전물 배출구(12c)에는 수동방식의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17a-3)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한 작동신호로 여닫힘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내부공간(14c)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구(13)는 상기에서 설명한 빗물 배출구(13)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즉, 상기 구성의 제3내부공간(14c)은 내부공간(14)의 타측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내부공간(14b)에서 유동된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동받아 최종적으로 침전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제1내부공간(14a)과 제2내부공간(14b)을 분리시키는 격벽(16a) 및 제2내부공간(14b)과 제3내부공간(14c)을 분리시키는 격벽(16c)은 일정의 면적으로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으로 일정의 요철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보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과 인접된 다른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여 생긴 수압에 의하여 격벽(16a)(2, 3)이 어느 한쪽 내부공간(14)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3내부공간(14c)에는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1a, 21b)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빗물 배출구(13)와 연결된 배수펌프(40)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에 의하여 센싱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배출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는 제3내부공간(14c)의 일정부분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3차 침전 여과되는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데, 이때,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는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빗물의 수위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빗물의 저수위와 최고 수위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빗물의 저수위와 최고 수위는 관리자에 의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는 저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센서(21a)와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센서(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21a)는 상부는 제3내부공간(14c)의 일정부분에 고정체결되고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된 하부는 저수위에 해당하는 제3내부공간(14c)의 일정부분에 위치되는 제1가이드로드(22a)의 하부 말단에 제1수위감지센서(21a)가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제2수위감지센서(21b)는 상기 제1가이드로드(22a)보다 길이가 더 짧은 제2가이드로드(22b)의 하부 말단에 제2수위감지센서(21b)가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펌프(40)는 상기 빗물 배출구(13)와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어 빗물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이하, '정화수'라 칭함.)을 본체(10)의 외부로 펌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 제1수위감지센서(21a)와 제2수위감지센서(21b))에서 생성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이때,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제1수위감지센서(21a))에서 저수위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저수위정보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배수펌프(40) 정지정보를 생성하여 배출펌프를 정지시킴으로써 제3내부공간(14c)에서의 정화수 배출을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3내부공간(14c)의 빗물 수위가 저수위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경우, 즉, 제3내부공간(14c)의 빗물 수위가 일정의 저수위보다 더 높을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40)는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정화수를 계속적으로 본체(10)의 외부로 펌핑하게 된다.
더불어 제3내부공간(14c)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빗물이 수용된 경우, 즉,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제2수위감지센서(21b))에서 최고 수위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40)는 더 빠르게 정화수를 펌핑하여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빗물을 빠른 속도로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제2수위감지센서(21b))가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최소 수위를 감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 제2침전물 배출구(12b) 또는 제3침전물 배출구(12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침전물 배출구(12)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제2수위감지센서(21b))에 의하여 센싱된 최고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강수량이 지나치게 많아 내부공간(14) 중 최종 내부공간(14)에 해당하는 상기 제3내부공간(14c)에 지나치게 많이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제2수위감지센서(21b))에서 최고 수위정보를 생성하여 내부공간(14) 전체에 수용된 빗물을 강제 배출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정화장치에서 정화되는 빗물의 정화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내부공간(14)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면, 내부공간(14)에서의 빗물 유동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고, 그 결과 내부공간(14)에서의 빗물의 침전 여과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성의 수위감지센서(21a, 21b)(제2수위감지센서(21b))에서 생성된 최고 수위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침전물 배출구(12)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를 열게 하는 작동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작동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가 열리게 되면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및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빗물 및 침전된 이물질이 강제적으로 배출되어 내부공간(14) 전체에 수용된 빗물이 강제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내부공간(14)에 수용되는 빗물의 수량 및 유동 속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에 솔레노이드 밸브(17c)가 구비되고 침전물 배출구(12)에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 및 침전물 배출구(12a, 12b, 12c) 각각에는 탁도감지센서(8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탁도감지센서(80)는 저항차이를 이용한 센서 또는 레이저와 같은 빗을 이용한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어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제3내부공간(14c)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여 탁도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탁도감지센서(80)에 의하여 감지된 내부공간의 탁도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내부공간(14)의 하부에 수용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탁도가 일정수준 이상의 값을 가지면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7c), 침전물 배출구(12a, 12b, 12c)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를 각각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의 탁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일정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의 탁도감지센서(80)는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제3내부공간(14c) 각각의 하부에 수용된 침전된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을 본체(10)의 외부로 각각 또는 일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침전 여과되는 빗물에 포함된 바이러스, 미생물 또는 세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UV램프(5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V램프(50)는 상기 내부공간(14)을 구성하는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또는 제3내부공간(14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공간(14)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UV램프(50)가 내부공간(14)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 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내입되는 구성을 하여,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UV램프(50)가 빗물에 잠기도록 내부공간(14)에 구비되면, UV램프(5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의 전체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쳐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내부공간(14)에는 빗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빗물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폭기장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의 외부에는 폭기장치의 공기공급기(60)가 배치되고, 내부공간(14)에는 상기 공기공급기(60)와 공기공급배관(61)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내부공간(14)에 폭기시키는 폭기 노즐(미도시)이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기(60)는 내부공간(14)에 빗물이 침전 여과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공기를 폭기 노즐을 통하여 내부공간(14)을 주입할 수도 있고, 관리자 또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의하여 필요시에만 주기적 또는 수시로 작동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공간(14)에는 내부공간(14)을 주기적 또는 수시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관(70)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관(70)은 상기 배출펌프와 연결되어 정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내부공간(14)에 내입된 세척관(70)의 일부분에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세척관(70)으로 유동된 정화수를 내부공간(14)의 측벽(또는 격벽(16a))으로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빗물 배출구(13)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빗물을 공급받고, 평상시에는 본체(10)의 외부로 정화수를 배출하며, 내부공간(14)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부 또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로 본체(10) 외부로의 정화수 배출을 중단하거나 배출되는 정화수의 일부를 세척관(7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관(70)을 통하여 내부공간(14)을 분사되는 정화수는 내부공간(14)에 빗물이 적게 수용된 경우에 분사되어 내부공간(14)의 측벽(또는 격벽(16a))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공간(14)에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 중 저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센서(21a)에 의한 저수위정보를 이용하여 배수펌프(40)가 작동되어 세척관(70)에 정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화수를 이용하여 내부공간(14)이 세척된 경우에는 상기 내부공간(14)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 배출구(12)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7a-1, 17a-2, 17a-3)를 열어 정화수에 의하여 세척된 오염수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에는 내부공간(14)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시창(19)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시창(19)은 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본체(10)의 상부, 측부 또는 하측부 일정부분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내부공간(14)이 제1내부공간(14a), 제2내부공간(14b) 및 제3내부공간(14c)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14) 각각에 관시창(19)이 구비되어 내부공간(14)에서 정화되는 빗물 및 침적된 이물질의 양의 살펴볼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1 : 빗물 유입구
12 : 침전물 배출구 12a : 제1침전물 배출구
12b : 제2침전물 배출구 12c : 제3침전물 배출구
13 : 빗물 배출구 14 : 내부공간
14a : 제1내부공간 14a-1 : 전처리 내부공간
14a-2 : 후처리 내부공간 14b : 제2내부공간
14c : 제3내부공간 15 : 초기 빗물 배출구
16a, 16b, 16c : 격벽 16a-1 : 마루
16a-2 : 골 16b-3 : 통공
16c-3 : 통공 17a-1, 17a-2, 17a-3 : 솔레노이드 밸브
17b : 솔레노이드 밸브 17c : 솔레노이드 밸브
18 : 다공성 여과필터 19 : 관시창
20 : 빗물 감지센서 21a, 21b : 수위감지센서
22a : 제1가이드로드 22b : 제2가이드로드
30 : 여과필터부재 31 : 하우징
31a : 이물질 배출구 32 : 제1여과필터
33 : 제2여과필터 34 : 필터내입홈
40 : 배수펌프 50 : UV램프
60 : 공기공급기 61 : 공기공급배관
70 : 세척관 80 : 탁도감지센서
100 : 지지구조체
12 : 침전물 배출구 12a : 제1침전물 배출구
12b : 제2침전물 배출구 12c : 제3침전물 배출구
13 : 빗물 배출구 14 : 내부공간
14a : 제1내부공간 14a-1 : 전처리 내부공간
14a-2 : 후처리 내부공간 14b : 제2내부공간
14c : 제3내부공간 15 : 초기 빗물 배출구
16a, 16b, 16c : 격벽 16a-1 : 마루
16a-2 : 골 16b-3 : 통공
16c-3 : 통공 17a-1, 17a-2, 17a-3 : 솔레노이드 밸브
17b : 솔레노이드 밸브 17c : 솔레노이드 밸브
18 : 다공성 여과필터 19 : 관시창
20 : 빗물 감지센서 21a, 21b : 수위감지센서
22a : 제1가이드로드 22b : 제2가이드로드
30 : 여과필터부재 31 : 하우징
31a : 이물질 배출구 32 : 제1여과필터
33 : 제2여과필터 34 : 필터내입홈
40 : 배수펌프 50 : UV램프
60 : 공기공급기 61 : 공기공급배관
70 : 세척관 80 : 탁도감지센서
100 : 지지구조체
Claims (8)
- 내부공간(14)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 배출구(12)가 하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내부공간(14)의 일측에는 빗물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을 내부공간(14)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빗물 유입구(11)에는 빗물 감지센서(20)가 구비되고,
상기 초기 빗물 배출구(15)는,
상기 빗물 감지센서(20)에 의하여 센싱된 빗물 유입정보를 이용하여 여닫힘이 조절되어 초기 빗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유입구(11)에는 여과필터부재(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필터부재(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 유입구(11)에 체결되는 하우징(31);
어느 한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상기 하우징(31)의 중공 상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여과필터(32);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31) 중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빗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31)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여과필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1)의 측부에는 이물질 배출구(3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여과필터(32)의 상부에 필터링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4)은,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공간(14)의 일측에 배치되어 빗물을 1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초기 빗물 배출구(15) 및 제1침전물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14a);
상기 내부공간(14)의 중간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14a)의 상부로부터 1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2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2침전물 배출구(12b)가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14b) 및;
상기 내부공간(14)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14b)의 측부로부터 2차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3차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3침전물 배출구(12c)가 형성되며, 하부 또는 측부에 상기 빗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제3내부공간(14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14a)은,
상기 빗물 유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빗물을 전처리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초기 빗물 배출구(15)가 형성되는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으로부터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을 유입받아 후처리 침전 여과시키며, 하부에 제1침전물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후처리 내부공간(14a-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내부공간(14a-1)과 후처리 내부공간(14a-2)은 격벽(16a)에 의하여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벽(16a)의 상부는 마루(16a-1)와 골(16a-2)을 가지는 요철 형태로 구성되며,
상지 전처리 내부공간(14a-1)에서 전처리 침전 여과된 빗물은 상기 타측벽의 상부를 통하여 후처리 내부공간(14a-2)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내부공간(14c)에는,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1a, 21b)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빗물 배출구(13)와 연결된 배수펌프(40)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에 의하여 센싱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배출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는,
제3내부공간(14c)에 수용된 3차 침전 여과된 빗물의 최고 수위를 감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침전물 배출구(12a), 제2침전물 배출구(12b) 또는 제3침전물 배출구(12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침전물 배출구(12)는 상기 수위감지센서(21a, 21b)에 의하여 센싱된 최고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내부공간(14)에 수용된 빗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953A KR20180060450A (ko) | 2016-11-29 | 2016-11-29 | 빗물 정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953A KR20180060450A (ko) | 2016-11-29 | 2016-11-29 | 빗물 정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450A true KR20180060450A (ko) | 2018-06-07 |
Family
ID=6262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953A KR20180060450A (ko) | 2016-11-29 | 2016-11-29 | 빗물 정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0450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1519B1 (ko) | 2005-06-21 | 2005-11-29 | 석성기업주식회사 | 보도블록 설치용 빗물정화 배출장치 |
KR101511219B1 (ko) | 2014-10-28 | 2015-04-13 | 김성태 |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
KR101511197B1 (ko) | 2014-08-04 | 2015-04-13 | 김성태 | 무동력 우수 처리장치 |
KR20150114224A (ko) | 2014-04-01 | 2015-10-12 | 삼성파워텍주식회사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59953A patent/KR20180060450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1519B1 (ko) | 2005-06-21 | 2005-11-29 | 석성기업주식회사 | 보도블록 설치용 빗물정화 배출장치 |
KR20150114224A (ko) | 2014-04-01 | 2015-10-12 | 삼성파워텍주식회사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KR101511197B1 (ko) | 2014-08-04 | 2015-04-13 | 김성태 | 무동력 우수 처리장치 |
KR101511219B1 (ko) | 2014-10-28 | 2015-04-13 | 김성태 |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960B1 (ko) |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
KR101242275B1 (ko) |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061208B1 (ko) | 빗물 이용 장치 | |
KR101316530B1 (ko) | 우수 저류조 | |
KR200431389Y1 (ko) | 초기 우수 정화장치 | |
KR102365033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637562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KR101661997B1 (ko) |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 |
KR101546880B1 (ko) |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784496B1 (ko) | 초기 우수 정화장치 | |
KR20120022028A (ko) |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729580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1785975B1 (ko) | 역세척이 가능한 상향류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향류식 비점오염 저감 방법 | |
KR102009847B1 (ko) |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1743540B1 (ko) | 우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 |
KR101585575B1 (ko) | 빗물 재이용 장치 | |
KR20150135812A (ko) | 초기우수 처리수단을 갖는 우수재활용장치 | |
KR101555447B1 (ko) |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 |
KR101730411B1 (ko) | 우수 또는 잡배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는 일체형 여과장치 | |
KR20190031973A (ko) |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 |
KR100511208B1 (ko) |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 |
KR101546879B1 (ko) |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 |
KR101764398B1 (ko) |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760856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899996B1 (ko) | 유수분 분리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