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093A - 금속캔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캔 선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4093A KR20180054093A KR1020160151613A KR20160151613A KR20180054093A KR 20180054093 A KR20180054093 A KR 20180054093A KR 1020160151613 A KR1020160151613 A KR 1020160151613A KR 20160151613 A KR20160151613 A KR 20160151613A KR 20180054093 A KR20180054093 A KR 20180054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 drum
- support frame
- rotary drum
- iron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캔 선별시에는 자석드럼의 선별능력을 벗어나지 않는 적정량만 자석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선별효율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캔의 재질이나 회전드럼의 크기 등에 따라 자석드럼을 변형시켜 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다수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캔투입구; 상기 캔투입구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비자성체재질의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회전드럼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다수의 영구자석이 부착설치되어 고정설치된 자석드럼; 상기 캔투입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분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걸린 금속캔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고, 선별된 금속캔 중 철캔이 철캔배출구로 떨어지게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다수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캔투입구; 상기 캔투입구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비자성체재질의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회전드럼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다수의 영구자석이 부착설치되어 고정설치된 자석드럼; 상기 캔투입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분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걸린 금속캔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고, 선별된 금속캔 중 철캔이 철캔배출구로 떨어지게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속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며, 캔 선별시 자석드럼의 선별능력을 벗어나지 않는 적정량만 자석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선별효율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캔의 재질이나 회전드럼의 크기 등에 따라 자석드럼의 위치를 변형시켜 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개발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대량생산 및 소비문화의 변화에 따라 쓰레기 발생량의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무한으로 생각되었던 자연의 정화능력과 복원력에도 한계가 드러나고 있어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를 시행하여 금속 캔, 수지 제품, 폐지 등의 자원을 재활용하도록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그런데 금속 캔이나 병, 수지 제품, 폐지 등과 같이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들은 재활용 분류센터에서 그 종류별, 크기별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선별하는 작업을 통해 분류하는 작업을 거쳐 선별하였으나 수작업을 통한 선별 작업은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지지 못하므로 근래에는 이들을 자동으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들 중에서도 금속 재질의 캔은 재질에 따라 각종 과일, 육류, 어류 등을 수용하기 위한 스틸캔과, 주로 음료, 술 등을 수용하기 위한 알루미늄캔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알루미늄캔은 재활용하여 사용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원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얻는데 필요한 에너지에 비해 1/26 정도이므로 원석 절감은 물론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캔은 재활용 단계에서 사전에 선별하여 재질에 따라 재활용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금속캔 선별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9690호 "금속 캔 선별 시스템"과 같이 이송수단을 따라 공급된 금속 캔에 풍력을 가하여 재질 사이의 비중 차이에 따라 다른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390호 "캔 선별기"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자석 드럼을 설치하여 이송되는 캔 폐기물 중 비철캔인 알루미늄 캔은 자석 드럼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컨베이어로부터 그대로 낙하하고, 철캔은 자석드럼의 자력이 미치는 부분까지 더 이송되어 낙하되게 하여 자력으로 캔을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들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439690호와 같은 기술은 이송된 금속 캔을 풍력을 이용하여 비중 차이에 의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금속 캔들을 균일한 크기로 선별하는 공정 등의 다른 공정을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수단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선별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과 많은 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420390호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벨트의 단부에 자석드럼을 설치한 종래의 선별기는 그 설치공간이 상당히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자석 드럼의 표면에 직접 캔 폐기물이 접촉하기 때문에, 캔에 의한 자석의 손상이 증대되어 사용기간이 증가할수록 자석 드럼의 자력이 저하되고, 특히 캔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잔존음료 등이 드럼의 자석표면에 부착 응고되면서 자력을 저하시키게 되어, 선별기를 사용할수록 캔의 선별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작은 크기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을 적게 필요로 하며, 사용자가 쉽게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고, 선별대상 캔들이 자석드럼으로 정량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선별효율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자석드럼의 각도조절을 통해 선별된 철캔이 떨어지는 지점를 조절하여 선별이 완료된 캔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드럼 내부로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다수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캔투입구; 상기 캔투입구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비자성체재질의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회전드럼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다수의 영구자석이 부착설치되어 고정설치된 자석드럼; 상기 캔투입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분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걸린 금속캔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고, 선별된 금속캔 중 철캔이 철캔배출구로 떨어지게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드럼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를 매개로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자석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철캔이 배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는 삼각대가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측면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힌지결합된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삼각대와 손잡이가 덮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철판으로 형성되어 자력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금속캔이 투입되면 캔의 무게 및 상기 돌출구가 캔을 미는 힘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작은 크기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이 적게 필요하고, 사용자가 작업하기 편리한 장소로 쉽게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석드럼이 회전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등에 의한 자석드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캔의 재질이나 회전드럼의 크기에 따라 자석드럼의 위치 등을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드럼 측으로 금속캔들이 공급될 때 자석드럼의 선별능력을 벗어나지 않는 적정량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선별효율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석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자력이 미치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선별된 철캔이 떨어지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어 선별이 완료된 캔의 수거가 편리하며, 아울러 개폐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드럼 내부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덮개가 삼각대 위에 올려져 지지되면 호퍼형의 캔투입구가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단면을 절단하여 보인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의 자석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구동수단의 미작동 상태에서 캔투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시 캔선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철캔의 배출시 돌출구의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면.
도 8은 도 7에서 자석드럼이 회전되었을 때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면.
도 2는 도 1에서 A-A' 단면을 절단하여 보인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의 자석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구동수단의 미작동 상태에서 캔투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시 캔선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철캔의 배출시 돌출구의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면.
도 8은 도 7에서 자석드럼이 회전되었을 때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선별기는 다수의 수직바(110)와 수평바(120)가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100);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캔투입구(200); 캔투입구(200)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300); 회전드럼(30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돌출구(350); 회전드럼(30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수단(400); 회전드럼(300)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자석드럼(500); 캔투입구(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개폐플레이트(600); 및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된 분리플레이트(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0)은 다수의 수직바(110)와 수평바(120)가 결합되어 내부에 설치된 다른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하부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바퀴(1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은 4개의 수직바(110)에 복수의 수평바(120)가 용접 등의 결합방법으로 수직바(110)들을 연결하며 결합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인 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이동바퀴(130)는 캐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장치의 이동이나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되, 장치의 사용시에는 장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미도시) 등이 함께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 일측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는 삼각대(140)가 결합되고, 삼각대(140)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150)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150)가 설치된 측면의 지지프레임(100) 상부에는 힌지결합된 덮개(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삼각대(140)와 손잡이(150)는 덮개(160)를 개방하였을 때 삼각대(140)와 손잡이(150)가 덮개(16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구성되면 덮개(160)를 장치의 미사용시 지지프레임(100)의 상부를 덮어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 외에도, 선별작업을 위해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덮개(160) 위에 선별대상물이 담긴 자루 등을 올려놓은 후 사용자가 장치 내부로 캔 공급을 밀어넣는 작업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0)에는 수직바(110)와 수평바(120) 사이의 공간을 막아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플레이트(17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캔투입구(200)는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부로 투입된 금속캔이 하부로 모여 떨어질 수 있도록 단면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조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드럼(300)은 비자성체재질로 형성되어 캔투입구(200)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드럼(300)은 원통형상으로서 후술할 구동수단(4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축(310)이 설치되며, 회전드럼(300)이 지지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플랜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출구(350)는 회전드럼(300)의 일측에서 소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구(350)는 회전드럼(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개폐플레이트(600)에 의해 걸린 금속캔을 하방으로 밀어 자석드럼(500)에 의해 선별될 수 있도록 하고, 선별된 금속캔 중 철캔(C1)이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획된 철캔배출구(190)로 떨어지도록 밀어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돌출구(350)는 하나 이상 구비되되, 회전드럼(300)의 단면직경크기에 따라 다수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회전드럼(300)의 단면직경이 Φ150 내지 170의 크기로 형성될 경우에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회전드럼(300)에 이보다 더 많은 돌출구(350)가 구비되면 캔 선별능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며, 단면직경크기가 Φ300 내지 350인 경우에는 두 쌍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금속캔 선별효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동수단(400)은 회전드럼(30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수단(400)은 모터(410)와, 모터(41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회전드럼(3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420)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전달수단(420)으로는 벨트와 풀리가 사용되었으나, 기어, 스프라켓과 체인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석드럼(500)은 다수의 영구자석(510)이 부착설치되어 회전드럼(300) 내부에 고정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석드럼(500)은 단면이 반원궤도를 따라 절곡된 자석부착플레이트(520)에 다수의 영구자석(510)이 부착설치되어 구성되었다.
자석드럼(500)은 반원통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체의 자석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자석드럼(500)을 제작하거나 가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선별대상인 금속캔의 재질이나 회전드럼의 크기 등에 따라서 자력 조절을 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자석부착플레이트(520)에 다수의 영구자석(510)이 부착설치된 형태로 형성되면 자석드럼(500)의 제작 및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영구자석(510) 부착시 영구자석(510)의 수량을 조절하거나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자석들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체형 자석에 비해 자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드럼(500)은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530)을 매개로 상기한 회전드럼(3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각도조절수단(530)을 통해 회전드럼(300) 내부에서 영구자석(510)들이 위치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철캔이 떨어지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수단(530)은 사용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한 후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는 조절홀이 일측에 구비된 축으로 형성되어 자석부착플레이트(520)와 결합되며, 축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자석드럼(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 작업자가 회전드럼(300)에서 자석의 자력이 미치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별된 철캔이 떨어지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루, 바구니, 박스 등으로 형성되어 철캔배출구(190)에 설치된 철캔수납수단 내에 수납되는 철캔의 수량에 따라 철캔이 떨어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개폐플레이트(600)는 캔투입구(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플레이트(600)는 자성체인 철판으로 형성되어 자석드럼(500)의 자력을 받아 일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캔투입구(200)의 하부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폐플레이트(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투입구(200)의 하부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금속캔이 투입되고 회전드럼(300)이 회전하면 투입된 캔의 무게와 돌출구(350)가 하방의 금속캔을 미는 힘에 의해 도 6과 같이 타측으로 젖혀져 캔투입구(200)의 하부를 열도록 구성되며, 열렸던 개폐플레이트(600)는 자석드럼(500)의 자력에 의해 다시 일측으로 기울어져 캔투입구(200)의 하방을 닫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플레이트(600)에 의해 캔투입구(200)의 하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면 투입된 금속캔이 자성이 있는 철캔과 비자성체인 비철캔으로의 선별이 이루어지는 구성인 회전드럼(300) 및 자석드럼(500) 측으로 공급될 때, 자석드럼(500)의 자력에 맞는 적정 수량만이 공급되므로 자석드럼(500)의 자력 이상으로 금속캔이 공급되어 금속캔의 선별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플레이트(600)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드럼의 입구를 막아 내부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분리플레이트(700)는 자석드럼(500)에 의해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플레이트(700)는 지지프레임(100)의 하부를 비철캔배출부(180)와 철캔배출부(190)로 분할하여 선별된 금속캔의 재질에 따라 비철캔배출부(180)와 철캔배출부(190)로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배출된 캔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었다. 이때, 분리플레이트(700)에는 선별된 금속캔들이 비철캔배출부(180)와 철캔배출부(190)로 각각 배출될 때 떨어지는 캔들을 모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슈트(71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의 작동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선별대상인 금속캔들을 캔투입구(200)에 쉽게 투입할 수 있는 작업위치로 장치를 이동시킨 후, 덮개(160)에 1차 분리수거된 금속캔이 담긴 자루 등을 올려서 고정한다. 이때,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선별된 금속캔이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루, 박스, 바구니 등을 비철캔배출부(180)와 철캔배출부(190)에 각각 설치한다.
금속캔이 캔투입구(200)에 투입되고 회전드럼(300)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플레이트(600)에 의해 캔투입구(200)의 하부가 금속캔이 통과할 수 없도록 좁혀져 닫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금속캔은 캔투입구(200) 내부에 모여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캔을 캔투입구(200)에 투입한 후 구동수단(400)을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력을 받아 회전드럼(300)이 회전되며, 돌출구(350)가 회전드럼(4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캔투입구(200) 하부에 모인 금속캔과 함께 개폐플레이트(600)를 밀게 되고, 금속캔의 무게와 돌출구(350)가 미는 힘에 의해 개폐플레이트(600)가 타측으로 밀리면서 캔투입구(200) 하부가 개방되어 캔투입구(200) 내부에 모인 금속캔들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열렸던 개폐플레이트(600)는 자석드럼(500)의 자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며, 금속캔의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금속캔의 무게 및 돌출구(350)의 회전력과, 자석드럼(500)의 자력에 의해 캔투입구(200)의 하부를 계속 개폐하게 되므로 회전드럼(300) 측으로 떨어지는 금속캔의 수량이 자석드럼(500)의 선별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방으로 떨어지는 캔들 중에서 알루미늄 재질 등의 비철캔은 수직으로 떨어져 지지프레임(100) 하부의 비철캔배출구(180)로 배출되며, 자성체인 철캔은 회전드럼(300) 내부에 설치된 자석드럼(500)의 자력을 받아 회전드럼(300)에 붙어 소정 각도 회전하여 비철캔배출구(180)의 반대측에 형성된 철캔배출구(190) 측으로 이동된 후 자석드럼(500)의 자력이 약해지는 지점에서 돌출구(350)가 철캔을 떨어트리면서 철캔배출구(190)로 배출된다.
이때, 철캔배출구(190)로 선별될 금속캔의 재질이나 선별된 캔이 수납되는 수납용기 또는 자루 등에 수납된 철캔의 수납량에 따라 각도조절수단(530)을 조작하여 자석드럼(500)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자석드럼(50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를 조절하여 선별된 철캔이 회전드럼(300)으로부터 떨어지는 지점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선별대상인 금속캔이 소량일 경우, 금속캔 선별되는 동안 덮개(160) 위에 설치된 자루 등에 담긴 금속캔을 캔투입구(200) 측으로 쉽게 밀어 금속캔을 지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해둘 수 있으며, 선별할 금속캔이 대량일 경우 캔투입구(200) 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더 사용될 수도 있다.
금속캔의 선별이 완료되면 비철캔배출부(180)와 철캔배출부(190)를 통해 배출되어 각각 수납된 캔들을 수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의 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캔 선별장치는 작은 크기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이 적게 필요하며, 사용자가 작업하기 편리한 장소로 쉽게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석드럼(500)이 회전드럼(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등에 의해 자석드럼(5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별대상인 캔의 재질이나 회전드럼(300)의 크기에 따라 자석드럼(500)을 변형시켜 자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캔들이 자석드럼(500)의 선별능력을 벗어나지 않는 적정량이 자석드럼(5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선별효율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석드럼(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자력이 미치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캔의 재질이나 수납수단의 상태에 따라 선별된 철캔이 떨어지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별이 완료된 캔의 수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개폐플레이트(600)가 드럼 내부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덮개(160)가 삼각대(140) 위에 올려지면 삼각대(140)에 의해 지지되어 호퍼형의 캔투입구(200)가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바
120 : 수평바 130 : 이동바퀴
140 : 삼각대 150 : 손잡이
160 : 덮개 170 : 커버플레이트
180 : 비철캔배출구 190 : 철캔배출구
200 : 캔투입구 300 : 회전드럼
350 : 돌출구 400 : 구동수단
410 : 전동모터 420 : 동력전달수단
500 : 자석드럼 510 : 영구자석
520 : 자석부착플레이트 530 : 각도조절수단
600 : 개폐플레이트 700 : 분리플레이트
710 : 배출슈트 C1 : 철캔
C2 : 비철캔
120 : 수평바 130 : 이동바퀴
140 : 삼각대 150 : 손잡이
160 : 덮개 170 : 커버플레이트
180 : 비철캔배출구 190 : 철캔배출구
200 : 캔투입구 300 : 회전드럼
350 : 돌출구 400 : 구동수단
410 : 전동모터 420 : 동력전달수단
500 : 자석드럼 510 : 영구자석
520 : 자석부착플레이트 530 : 각도조절수단
600 : 개폐플레이트 700 : 분리플레이트
710 : 배출슈트 C1 : 철캔
C2 : 비철캔
Claims (4)
- 다수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금속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캔투입구;
상기 캔투입구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비자성체재질의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회전드럼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다수의 영구자석이 부착설치되어 고정설치된 자석드럼;
상기 캔투입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캔이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분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구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걸린 금속캔을 하방으로 밀어 상기 자력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고, 선별된 금속캔 중 철캔이 철캔배출구로 떨어지게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 선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드럼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를 매개로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자석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철캔이 배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 선별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는 삼각대가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측면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힌지결합된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삼각대와 손잡이가 덮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 선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철판으로 형성되어 자력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금속캔이 투입되면 캔의 무게 및 상기 돌출구가 캔을 미는 힘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 선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613A KR20180054093A (ko) | 2016-11-15 | 2016-11-15 | 금속캔 선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613A KR20180054093A (ko) | 2016-11-15 | 2016-11-15 | 금속캔 선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4093A true KR20180054093A (ko) | 2018-05-24 |
Family
ID=6229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1613A KR20180054093A (ko) | 2016-11-15 | 2016-11-15 | 금속캔 선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409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79895A (zh) * | 2024-05-15 | 2024-06-14 | 太原理工大学 | 一种筛分不同级配颗粒物料的旋转装置 |
-
2016
- 2016-11-15 KR KR1020160151613A patent/KR20180054093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79895A (zh) * | 2024-05-15 | 2024-06-14 | 太原理工大学 | 一种筛分不同级配颗粒物料的旋转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01236B2 (ja) | 穀物の選別システム | |
KR101434571B1 (ko) |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 |
CN103934204B (zh) | 垃圾处理预分选装置 | |
KR101556406B1 (ko) |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 |
KR20100100362A (ko) |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 |
KR100492696B1 (ko) |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 |
CN110733773A (zh) | 可自动检测分拣归类的生活垃圾回收箱及系统 | |
JPH0985124A (ja) | 磁力選別装置 | |
CN110152798A (zh) | 垃圾分类系统及工艺 | |
JPH11104506A (ja) | 破砕機,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及び該収集装置を搭載した収集車両 | |
KR20180054093A (ko) | 금속캔 선별장치 | |
JPH09248551A (ja) | ガラス製品のリサイクルプラント | |
KR20200023026A (ko) |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 |
CN219441931U (zh) | 一种具有自动分拣功能的废铁回收加工用破碎装置 | |
KR100904303B1 (ko) |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 |
CN203124399U (zh) | 一种废旧打印机的拆解装置 | |
CN112791990B (zh) | 一种装修垃圾分选系统及分选工艺 | |
KR200203552Y1 (ko) |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 |
RU2155108C1 (ru) |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20150123546A (ko) |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 |
JP2000084425A (ja) | 破砕機,及び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 | |
RU2201815C2 (ru) |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к вторичному использованию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20030024761A (ko) |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 |
KR200202836Y1 (ko) | 캔 재활용 장치 | |
BE1030119B1 (nl) | Compacte 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het verhogen van de kwaliteit van recuperatiematerial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