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071A -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 Google Patents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071A
KR20180047071A KR1020160142743A KR20160142743A KR20180047071A KR 20180047071 A KR20180047071 A KR 20180047071A KR 1020160142743 A KR1020160142743 A KR 1020160142743A KR 20160142743 A KR20160142743 A KR 20160142743A KR 20180047071 A KR20180047071 A KR 2018004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ty
coil
coil body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창근
Original Assignee
염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창근 filed Critical 염창근
Priority to KR102016014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071A/en
Publication of KR2018004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0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팽이의 외곽과 내곽의 극성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 팽이와의 충돌 시 팽이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코일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길 수 있도록 코일 권취홈이 형성되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외곽과 내곽에 각각 다른 극성이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코일바디; 내부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 및 중심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과 연결되며,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바디의 자기 극성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수 있도록 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that i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To a top capable of remote control of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ils are arranged in a circle, a coil wind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coil so that the coil can be wound at least once, and an arc- body; A central axis formed at an inner center; And a control boar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axis and connected to the coil and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radio communication to selectively change the magnetic polarity direction of the coil body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provide a top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Description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Top capable of controlling polarity direction remotely,

본 발명은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팽이의 외곽과 내곽의 극성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 팽이와의 충돌 시 팽이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that i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To a top capable of remote control of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팽이는 중심축이 형성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균형잡힌 구조로 형성되어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소정 시간동안 회전하다가 멈추는 것으로서, 주로 놀이용으로 이용된다. The top is formed in a symmetrical and balanced structure with a central ax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axis, rotated using a hand or other tool,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stopped, and used mainly for play.

팽이를 이용한 게임으로는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2개의 팽이르 상호 밀어 마찰에 의해 상대편의 팽이의 회전력을 떨어뜨려 회전을 멈추어 쓰러뜨리는 쪽이 이기는 방법이 있다. In the game using the top, there is a way to stop the rotation by dropping the rotation force of the top of the opponent by the friction between the two pistons by using the hand or other tools and winning the win.

최근에는 팽이 내부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극성을 형성하는 자석 팽이가 있으나, 충돌이 발생함에 따라 팽이의 움짐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Recently, there is a magnet top which forms a polarity by attaching a magnetic substance to the inside of the top,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actively control the motions of the top as the collision occurs.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0899호(2003.10.13.등록), '자기팽이'(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30899 (registered on Oct. 13, 2003), "Magnetic 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has been disclosed.

선행기술 1은 팽이 내부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기장의 원리를 이용한 자기 팽이에 관한 것으로, 자기 팽이는 중심축에 대칭구조이고, 내부에는 원판의 자석이 들어 있으며, 사람의 손에 의해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고, 손에 잡고 있는 자석으로 회전하는 자기 팽이에 갖다대면 다른 극성일 때에는 끌어 당겨져 따라오고, 같은 극성일 때에는 서로 밀어 자기 팽이를 원하는 곳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ior art 1 relates to a magnetic top using a magnetic field by providing a magnet inside a top. The magnetic top is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a central axis, and a magnet of a disc is contained in the inside, and a rotary knob is rotated If you put it on a magnetic top that rotates with a magnet held in your hand, it pulls it when it has a different polarity, and when it is the same polarity, it pushes each other so that it can move to a desired place.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1139호(2003.04.08.등록), '자석이 장착되어 상대를 찾아 싸우는 전투팽이'(이하, 선행기술 2)가 개시되어 있다. As another prior art document,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11139 (registered on Apr. 4, 2003.), "Combat top to which a magnet is attached and fights for an op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is disclosed.

선행기술 2는 완구용 팽이에 관한 것으로, 두 개 이상의 팽이를 근접해서 돌리게 되면 두 팽이가 속도의 감속없이 상대를 찾아가 공격하여 게임을 하는 것으로, 팽이에 자석을 넣어 자석의 상극끼리 당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또는 같은 극끼리 미는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같기 다른 극의 팽이에 접근하여 공격하여 회전을 멈추게 하거나 넘어뜨려 게임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Prior Art 2 relates to a toy top. When two or more tops are turned close to each other, the two tops attack the target without attacking the speed, so that a game is played. Or by using the force of the magnetic force to push the same pole to approach the same top of the same pole to stop the rotation or to tilt the game to be able to play.

그러나, 선행기술 1은 1개의 팽이에 자석을 내장하고, 외부에서 별도의 자석을 갖다대면 팽이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방식이고, 선행기술 2는 팽이의 몸체와 머리부분에 극이 다른 자석을 내장하는 것으로, 선행기술 1 내지 2는 자성의 극성 방향이 한쪽으로 정해져 있어 팽이 내부의 극성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prior art 1, a magnet is embedded in one top and a top is rotated when the magnet is placed on the outside. In the prior art 2, a magnet having a pole at the top and a body In the prior arts 1 to 2,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sm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polarity direction inside the top can not be arbitrarily chan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극성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팽이에 형성되는 자기 극성을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상대 팽이와의 충돌 시 팽이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changing a magnetic polarity formed on a top by transmitting a polarity control signal,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remotely so as to be actively control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는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코일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길 수 있도록 코일 권취홈이 형성되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외곽과 내곽에 각각 다른 극성이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코일바디; 내부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 및 중심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과 연결되며,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바디의 자기 극성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수 있도록 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of a coi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coil winding groove in the coil, An arc-shaped coil body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er coil, A central axis formed at an inner center; And a control boar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enter shaft and connected to the coil and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radio communication to selectively change the magnetic polarity direction of the coil body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have.

또한,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코일바디가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코일바디 삽입홈이 구비되는 하부 커버; 코일바디, 중심축, 제어보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바디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over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The lower cover has a plurality of coil body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coil body in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op cover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il body to protect the coil body, the central axis, and the control board.

또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와 팽이를 무선통신으로 연결시켜 연동한 후,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팽이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보드로 전송하고. 제어보드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팽이의 코일바디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극성을 반대 극성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mote control device is used to connect the remote control device with the top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n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top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board may include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converting the polarit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il body of the top to an opposite polarity.

본 발명에 의하면 팽이가 회전한 이후로는 상대 팽이와의 충돌이 임의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팽이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없었던 종래의 팽이와는 다르게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팽이의 외곽과 내곽의 극성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 팽이와의 충돌 시 팽이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top which can not a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top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counter top after the top is rotated, the top control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radio communication, The polarity of the outer edge and inner edge of the top can be switched by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so that the top movement can be actively controlled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top.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하부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하부 커버와 코일바디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3 are internal views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detachment state of a top cover and a coil body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하부 커버와 코일바디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n electromagnet polar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3 illustrate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of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over and the coil body.

기존에 팽이 내부에 자성체가 장착된 자석 팽이는 자성의 극성 방향이 한쪽으로 정해져 있어서 필요에 따라 극성 방향을 바꿀 수 없었던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팽이 외곽에 형성된 극성과 내곽에 형성된 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top mounted with the magnetic body inside the top has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 fixed to one side, so that the polarity direction can not be changed if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t is a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olarit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polarit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100)는 코일바디(10), 코일(20), 중심축(30), 제어보드(40), 배터리(50), 상부 커버(60), 하부 커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5, a top 100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e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body 10, a coil 20, a central axis 30, a control board 40, a battery 50, an upper cover 60, and a lower cover 70.

코일바디(10)는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내측에 코일(20)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길 수 있도록 코일 권취홈(12)이 형성되며, 코일(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바디(10)의 외곽(14)과 내곽(16)에 각각 다른 극성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il bodies 10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a coil winding groove 12 is formed inside the coil body 20 so that the coil 20 can be wound at least once mor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0, 10 have different polarities on the outer side 14 and the inner side 16 of the housing.

코일바디(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il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바디(10)는 90도 각도로 나뉘어져 총 4개의 코일바디(10)가 원 형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며, 45도 각도로 나뉘어져 총 8개의 코일바디(10)가 원 형상을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2 to 3, the coil body 10 is divided into an angle of 90 degrees so that a total of four coil bodies 10 can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re divided into a total of eight coil bodies (10) may have a circular shape.

즉, 코일바디(10)는 원 형상을 이루도록 N등분으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바디(10)의 갯수를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at is, the coil body 10 may be divided into N equal parts so as to have a circular shape. Here, the number of the coil bodies 1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중심축(30)은 코일바디(10)의 내측 중심에 형성되고, 무게중심추의 기능을 가진다. The central axis 30 is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oil body 10 and functions as a weight center weight.

이 때, 외력은 사람의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가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by using a human hand or other tools.

제어보드(40)는 중심축(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코일과 연결되며, 원격제어장치(미도시)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바디(10)의 자기 극성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board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er shaft 30 and connected to the coil. The control board 40 is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by radio communication, Thereby selectively changing the magnetic polarity direction of the body 10.

일례로, 팽이 외곽이 S극을 띄고, 팽이 내곽이 N극을 띄는 경우, 전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여 외곽이 N극, 내곽이 S극을 띄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has the S p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has the N pole, the current direction may be reversed to make the outer surface N pole and the inner surface have the S pole.

제어보드(40)에는 원격제어장치(미도시)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통신모듈(미도시)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기 극성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정역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 board 40 can selectively switch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polarity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ctifying circuit.

제어보드(40)는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극성방향 제어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board 40 can be implemented with a polarity direction control algorithm based on Arduino.

원격제어장치(미도시)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스마트기기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원격 제어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may b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notebook,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handheld PC -Held PC),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DMA-2000 phone and smart phone. You can use it or you can use it to run the embedded application.

배터리(50)는 제어보드(40)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battery 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ard 40 and supplies power for driving.

상부 커버(60)는 코일바디(10), 중심축(30), 제어보드(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바디(10) 상측에 장착된다. The upper cover 60 is mounted above the coil body 10 to protect the coil body 10, the central axis 30, and the control board 40.

상부 커버(60)의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hape of the upper cover 6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상부 커버(60)의 하부에는 커버링(62)이 구비된다. A cover ring 6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60.

여기서, 커버링(62)은 필수 장착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covering 62 is not an essential mounting element and can be selectively mounted.

하부 커버(70)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코일바디(10)가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코일바디 삽입홈(72)이 구비된다. The lower cover 70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coil body insertion grooves 72 are formed on a top surface of the lower cover 70 so that the coil body 10 can be inserted.

이 때, 코일바디 삽입홈(72)은 코일바디(10)의 갯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oil body insertion groove 72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il bodies 10.

하부 커버(70)의 저면 중앙에는 중심축(30)이 관통되는 중심축 관통홈(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고, 하부 커버(70)로부터 소정길이 외부로 돌출형성된 중심축(30)이 하부 커버(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 center shaft 3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70 may be provided with a center shaft 30 through which the center shaft 30 passe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7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를 이용한 대결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erform confrontation using a top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lar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팽이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을 시키고 상대 팽이와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팽이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극성 제어 신호를 보낸다. First, a polarity control signal is sen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o a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top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otation occurs and a collision with the top occurs.

이 때, 원격제어장치(미도시)에는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극성선택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At this time,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polarity selection module (not shown) for selecting the polarity of either the N pole or the S pole.

가령, 팽이가 N극으로 형성되어 S극으로 형성된 상대편 팽이와 이종의 극으로 인해 흡인력이 작용한다면, 극성선택모둘(미도시)에서 팽이의 코일바디(10)의 외측을 S극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팽이가 S극으로 전환되면서 상대편 팽이와 반발력이 작용하여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top is formed by the N pole and the attracting force acts due to the opposite pole formed by the S pole, the outer side of the coil body 10 of the top is switched to the S pole in the polarity selection mode (not shown). As a result, the top is converted to the S pole, and the opposing top and the repulsive force act so that the collision can be avoided.

상술한 방식을 통해 경기가 진행됨으로써 종래의 놀이용 팽이보다 보다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경기의 몰입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As the game progresses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more active control is possible than in the conventional play top, so that the game can be more immers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코일바디 12 - 코일권취홈
14 - 외곽 16 - 내곽
20 - 코일 30 - 중심축
40 - 제어보드 50 - 배터리
60 - 상부 커버 62 - 커버링
70 - 하부 커버 72 - 코일바디삽입홈
100 -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
10 - Coil body 12 - Coil winding groove
14 - Outer 16 - Outer
20 - Coil 30 - Center axis
40 - Control board 50 - Battery
60 - Top cover 62 - Covering
70 - Lower cover 72 - Coil body insertion groove
100 - Top that can control electromagnet polar direction remotely

Claims (3)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코일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길 수 있도록 코일 권취홈이 형성되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외곽과 내곽에 각각 다른 극성이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코일바디;
내부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 및
중심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과 연결되며,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바디의 자기 극성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수 있도록 하는 제어보드
를 포함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
An arc-shaped coil body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ly arranged coil spiral grooves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il can be wound at least one time, and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il body formed on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ce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A central axis formed at an inner center; And
A control board connected to the coil and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by radio communication to selectively change the magnetic polarity direction of the coil body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Which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n electromagnet polarity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코일바디가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코일바디 삽입홈이 구비되는 하부 커버;
코일바디, 중심축, 제어보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바디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cover having a top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n inverted triangular pyramid that is narrowed toward the bottom and having a plurality of coil body insertion grooves so that a coil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top surface;
An upper cover mounted above the coil body for protecting the coil body, the central axis, and the control boar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operable to control the electromagnet pole direction remotely.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와 팽이를 무선통신으로 연결시켜 연동한 후,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팽이의 극성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보드로 전송하고. 제어보드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팽이의 코일바디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극성을 반대 극성으로 전환시키는 원격으로 전자석 극성 방향 제어가 가능한 팽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mot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n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top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The control boar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 remotely to switch the polarit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il body of the top to the opposite polarity.
KR1020160142743A 2016-10-31 2016-10-31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KR20180047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43A KR20180047071A (en) 2016-10-31 2016-10-31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43A KR20180047071A (en) 2016-10-31 2016-10-31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071A true KR20180047071A (en) 2018-05-10

Family

ID=6218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43A KR20180047071A (en) 2016-10-31 2016-10-31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07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21B1 (en)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for remotely adjustable direction
CN111481943A (en) * 2019-01-10 2020-08-04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Gyroscope and toy for fighting against gyro
KR20210146031A (en)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Smart top with three whee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456Y1 (en) * 2003-01-18 2003-07-12 강재화 controlled by magnetic force a top
KR20040094060A (en) * 2003-05-01 2004-11-09 정병태 Movable electronical tops
KR20040096298A (en) * 2003-05-09 2004-11-16 정병태 Movable electronical tops horizontally
KR20050030678A (en)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Trave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 plaything
KR100975707B1 (en) * 2007-09-04 2010-08-12 강현구 Doll driv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
US20110009028A1 (en) * 2008-03-04 2011-01-13 Jonathan M. GURDIN Rotational-magnetic construction s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456Y1 (en) * 2003-01-18 2003-07-12 강재화 controlled by magnetic force a top
KR20040094060A (en) * 2003-05-01 2004-11-09 정병태 Movable electronical tops
KR20040096298A (en) * 2003-05-09 2004-11-16 정병태 Movable electronical tops horizontally
KR20050030678A (en)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Trave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 plaything
KR100975707B1 (en) * 2007-09-04 2010-08-12 강현구 Doll driv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
US20110009028A1 (en) * 2008-03-04 2011-01-13 Jonathan M. GURDIN Rotational-magnetic construction 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21B1 (en)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for remotely adjustable direction
CN111481943A (en) * 2019-01-10 2020-08-04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Gyroscope and toy for fighting against gyro
KR20210146031A (en)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Smart top with three whe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7071A (en)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US10494094B2 (en) Handheld aircraft with adjustable components
JP2005185548A (en) Remote-controlled top toy
US20140362592A1 (en) Portable electric candle having a lamp pendulating and rotating simulataneously
US20120293288A1 (en) Electromagnetic energy transducer
KR101611193B1 (en)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EP2390494A1 (en) Power generator
CN210033919U (en) Multifunctional handheld fan
WO2018194047A1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program
US11108282B2 (en) Powered joint with wireless transfer
KR2021013607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powered interactive spectator devices
US6530845B1 (en) Golf swing plane trainer
US7205677B2 (en) Automated motion provider for self powered cell phones
CN209475551U (en) A kind of gyro and gyro are fought team's toy
JP6749536B1 (en) Simple flying object
JP6377015B2 (en) Fluctuating magnetic field magnetic therapy device
WO2012165895A2 (en) Rotary type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device
CN2884695Y (en) Waterproof multi-dimensional magnetic switch
JP3203624U (en) Power ball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EP1115192A3 (en) Vibrator
CN109780109A (en) Electromagnetic damper structure and electromagnetic damper
KR102206024B1 (en) Smart top with dual spin structure
CN220711635U (en) Flip location structure and TWS box that charges
KR102104273B1 (en) Energy harvesting wireless control device
KR200274456Y1 (en) A top having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