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190A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Google Patents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5190A KR20180045190A KR1020160139030A KR20160139030A KR20180045190A KR 20180045190 A KR20180045190 A KR 20180045190A KR 1020160139030 A KR1020160139030 A KR 1020160139030A KR 20160139030 A KR20160139030 A KR 20160139030A KR 20180045190 A KR20180045190 A KR 20180045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rice
- powder
- cake
- germin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07558 Avena sp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41000209763 Aven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41000209761 Aven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8369 fruit flav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519695 Ilex integ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371652 Curvularia clav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21152 breakfas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9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BA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60003692 aminobuty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13945 gamma-Aminobuty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0
- FYGDTMLNYKFZSV-WFYNLLPO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3S,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H]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WFYNLLPOSA-N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30 anti-depres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37 anti-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35 antidepress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1 cardio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49 good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754 grap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33 grap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9 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은 발아귀리 분말, 과일맛이 나는 분말, 쌀을 혼합하여 식이섬유와 항산화 효과의 기능성이 증진되어 종래의 떡과 차별화하고, 과일떡의 최종 제품이 4개의 과일맛이 나는 떡을 볼 형태로 제조하여 아침 대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아귀리 분말, 과일맛이 나는 분말, 쌀을 혼합하여 식이섬유와 항산화 효과의 기능성이 증진되어 종래의 떡과 차별화하며 떡의 부드러운 식감과 소비자들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에 관한 것이다.
귀리는 심장 혈관에 의한 사망률이 높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곡물 중 하나이다.
귀리의 세포벽에는 베타글루칸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떡은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으로 농경 문화의 정착 시대부터 발달된 토착성과 전통성이 깊은 음식이지만 식생활의 서구화와 핵가족화로 인하여 의례 음식이 간소화되고 제과 제빵 기술의 발달로 떡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쌀 소비의 증대와 전통 음식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전통 식품의 개발과 연구에 역점을 두고 현대인의 기호를 충족시키도록 쌀 가공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면서 떡이 식사 대용이나 간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귀리는 맛이 독특하고 영양이 풍부하며 많은 건강 성분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귀리를 이용한 음식물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귀리에 함유된 풍부한 영양 성분과 독특한 맛을 국내의 소비자들이 손쉽게 섭취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아귀리 분말, 과일맛이 나는 분말, 쌀을 혼합하여 식이섬유와 항산화 효과의 기능성이 증진되어 종래의 떡과 차별화하며 떡의 부드러운 식감과 소비자들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은,
발아싹이 일정 길이로 자란 발아귀리를 물에 불린 다음 물기를 제거하여 제분하는 단계;
상기 제분된 발아귀리 분말과 과일맛이 나는 분말과 쌀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반죽을 찌는 단계; 및
상기 쪄서 나온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동그란 모양의 과일떡을 복수개를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과일떡을 순차적으로 막대에 꽂아 과일떡 꼬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에 의해 과일떡 제품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발아귀리를 이용하여 과일떡을 제조하여 식이섬유와 항산화 효과의 기능성이 증진되어 종래의 떡과 차별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일떡의 최종 제품이 4개의 과일맛이 나는 떡을 볼 형태로 제조하여 아침 대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리와 발아된 귀리의 GABA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제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리와 발아된 귀리의 GABA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제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리와 발아된 귀리의 GABA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제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떡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10)의 제조 방법은 발아귀리를 불린 다음 물기를 제거하여 제분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발아귀리 분말과 다른 재료를 혼합, 배합하는 제2 단계(S102)와,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제3 단계(S104)와, 상기 반죽을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4 단계(S106)와, 상기 성형된 반죽을 찌는 제5 단계(S108)와, 상기 쪄서 나온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동그란 모양의 과일떡(10)을 복수개를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과일떡(10)을 순차적으로 막대에 꽂아 과일떡 꼬지를 제조하는 제6 단계(S11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0)는 발아귀리를 불린 다음 물기를 제거하여 제분한다.
제1 단계(S100)는 밤에 햇귀리를 물에 담궈놓고, 아침에 채반을 이용하여 담아 26 내지 28℃ 온도, 습도를 50 내지 80% 조건으로 통기가 가능한 곳에서 36시간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다.
귀리의 불림 공정은 도정되지 않은 귀리 원곡의 내부에 수분이 충분히 흡수될 수 있게 하여 후술되어질 가열 공정에서 열이 신속히 귀리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공정이다.
불림 공정은 소금이 소량 첨가된 온수에 귀리의 원곡을 넣어 물에 불리게 된다. 이때, 불림 공정을 마친 후 그대로 다시 가열할 때, 증기로 찌는 경우 원곡과 물의 비율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삶아 가열하는 경우 원곡과 물의 비율이 상당히 중요하다.
즉, 원곡에 비해 물이 적으면 반죽할 때 반죽물이 푸석푸석해 반죽이 잘 되지 않으며, 원곡에 비해 물이 많으면 물기가 많아 반죽이 묽어지는데 기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26 내지 28℃의 온도를 갖는 온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원곡 60 내지 70 중량부와 소금 0.8 내지 1,8 중량부를 투입하여 36 내지 48시간 동안 불린 후 70 내지 80분 동안 용기에 넣어 삶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같이 원곡과 물의 비율을 맞추면 반죽물이 푸석푸석하거나 묽게 되지 않고 반죽이 잘 이루어진다. 이때 불림 시간은 귀리 원곡의 도정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도정을 많이 하면 물의 흡수가 빨라 짧은 시간만 불려도 되나, 도정하지 않은 귀리 원곡의 경우 물의 흡수가 느려 15 내지 20시간의 불림 시간이 필요하다.
이때 첨가되는 소금의 비율이 0.8 중량부 이하가 되면 소금의 기능이 떨어지고, 소금의 비율이 1.8 중량부 이상이 되면 떡이 경화되므로 온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0.8 내지 1,8 중량부의 비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첨가되는 소금, 즉 염분은 물과 함께 귀리 원곡의 내부에 흡수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흡수된 염분은 추후 떡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아싹이 5 내지 10mm 정도 자란 발아귀리를 38℃ 건조기에서 넣고 건조시켜 물기를 일정 정도로 제거시킨 후, 곱게 빻아서 분말화하여 발아귀리 분말을 제조한다.
불림 공정을 통해 충분히 물을 흡수한 귀리 원곡에 대한 가열은 증기로 찌거나 삶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증기로 찌는 시간을 양이나 원곡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렇게 증기로 찌거나 삶아 가열하게 되면, 불림 공정을 통해 귀리 원곡의 내부 속까지 충분히 흡수된 물 및 염분에 의해서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귀리 원곡의 내부 속까지 익어 떡의 점성과 연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계(S102)는 상기 발아귀리 분말과 다른 재료를 혼합, 배합한다.
제2 단계(S102)는 발아귀리 분말 10%, 멥쌀 25%, 찹쌀 45 내지 50%, 설탕, 소금이 혼합된 기본 곡물 분말과 과일 분말 및 당절임 과일을 혼합한다.
하얀떡의 경우 기본 곡물 분말에 사과당절임 5%을 혼합하고, 검정떡의 경우 기본 곡물 분말에 흑미찹쌀 10%와 포도당절임 5%을 혼합하여 색과 과일맛을 낸다.
노란떡의 경우 기본 곡물 분말에 단호박분말 5%와 딸기당절임 5%를 혼합하고, 초록떡의 경우 기본 곡물 분말에 쑥분말 25%와 사과당절임 5%와 감말랭이를 혼합하여 색과 과일맛을 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일맛을 내기 위하여 과일 분말 및 당절임 과일을 혼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과일 분말 대신에 과일즙을 이용하는 것이다. 과일즙을 즙짜는 기계로 압착하여 과일로부터 과일즙을 분리한다.
분리한 과일즙은 살균 단계와 냉각 단계를 거친 후, 기본 곡물 분말에 혼합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과일을 푹 삶아서 걸러 과즙을 만드는 것이다. 과즙이 만들어지면 설탕과 소금을 넣고 졸인다. 예를 들면, 사과의 경우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긴 뒤 씨를 제거하고 푹 삶아서 고운 채에 걸른 후, 설탕과 소금을 적절히 추가하면서 졸인다.
다음으로, 설탕과 소금을 넣고 졸인 결과물에 녹말을 푼 물을 넣고 혼합하여 졸이고 졸이다가 젤리 상태가 되면 불을 낮추어 뜸을 들이며 뜸을 들인 후 불을 끄고 김이 나가면 몰드에 부은 후 냉동실에서 굳혀 과즙소를 완성한다.
제2 단계에서 설탕 대신에 솔비톨을 사용할 수 있다.
떡의 종류에 따라 당의 첨가되는 양이 다르지만 영양성과 맛을 고려하여 발아귀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솔비톨의 첨가는 단맛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솔비톨의 흡습성으로 인해 떡이 빨리 굳지 않고 촉촉함이 오래가는 보존재 역할을 하여 유통 기한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단계(S104)는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한다.
제3 단계(S104)는 통상적인 반죽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발아귀리를 우려낸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라차와 같은 방식으로 발아귀리를 볶은 후 이를 사용해 물을 끊여 발아귀리의 영양 성분이 우러 나온 물을 반죽에 사용하는 것이다.
제4 단계(S106)는 상기 반죽을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한다.
제5 단계(S108)는 상기 성형된 반죽을 찐다.
제6 단계(S110)는 상기 쪄서 나온 반죽을 일정한 크기의 볼 형태로 절단하여 동그란 모양의 과일떡(10)을 복수개를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과일떡(10)을 순차적으로 꼬지(20)에 꽂아 과일떡 꼬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과일떡(10)은 발아귀리를 포함하므로 GABA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신경생리활성 물질의 하나인 GABA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미량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물질 중의 하나이며 특히 항우울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DHA와 더불어 활발한 두뇌에도 관계가 있는 관심이 많은 생리활성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GABA(Gamma Aminobutyric Acid)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귀리분말 또는 발아귀리분말를 분쇄한 시료 200 ㎕에 Methanol:Chloroform:Water(12:5:3)를 섞어 제조한 혼합액 800㎕를 첨가하여 섞은 후, 원심 분리(3000rpm, 15min, 4℃)하여 상등액을 따내어 따로 분리해 놓았다.
상등액을 따낸 후 남은 하등액에 물 400㎕와 Chloroform 200㎕를 가하여 2차 추출을 하였고 1차, 2차 원심 분리로부터 얻은 상등액을 혼합하여 -70℃에서 급속 냉동시킨 후 동결 건조한다. 이어서, 건조된 시료를 멸균수 200㎕로 용해한 후 0.45㎛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필터로 여과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을 이용하여 GABA를 분석한다.
베타글루칸은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면역력 증진, 항암 효과, 혈관 강화 등의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성분으로 귀리에 다량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귀리 원물과 일정 조건에 따라 발아한 귀리를 Beta-Glucan Assay Kit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리는 멥쌀과 유사한 찰기를 가지고 있으며 베타글라칸 함량 4%(4g/100g)으로 높은 함량을 가진다. 그러나 귀리는 좋은 건강 성분에 비해 거친 식감으로 식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귀리를 발아하게 되면 식감이 부드러워질 뿐만 아니라 신경전달물질로 혈관을 강화하고 콜레스테롤 관리에 도움을 주는 GABA의 함량이 발아전보다 117%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일떡(10)은 베타글루칸과 GABA 함량이 높은 발아귀리와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로회복, 면역력 증강에 좋은 딸기와 포도, 딸기, 사과 등을 당절임하여 식이섬유 및 단맛을 보정할 수 있는 과일을 이용하여 아침 대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떡(10)은 최종 제품의 형태가 꼬지 형태로 4개의 과일맛이 나는 떡을 볼 형태로 만들어서 한입 혹은 두입에 먹기 적합하도록 개발하였으며 팩 포장(12)을 통해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는 포장 기법을 통해 떡의 단점인 굳는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과일떡 제품(30)은 간편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현대인의 아침 식사를 공략하기 위하여 한손에 쥐고 걸어가면서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제형을 고민하였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추어 떡을 멥쌀과 찹쌀, 베타글루칸과 GABA 함량이 풍부한 귀리를 혼합하여 동그란 모양의 제형을 유지하며 해동 후에도 쫄깃하게 퍼짐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배합비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떡 제품(30)은 떡을 꼬지(20)에 끼워 들고 다니면서 혹은 바쁜 아침 시간에 출근, 등교를 준비하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였다.
발아귀리떡 제품의 기호도 검사를 위한 검사원은 (재)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20대에서 40대에 이르기까지 남성 10명, 여성 11명을 선발하였다.
관능검사 실시 검사원 각자에게 채점표를 나누어 주고 7점 척도에 의해 각 측정 항목의 기호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느낌(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등 총 5가지 항목에 대해 설명하였고, 척도는 7점 척도(1: 매우싫다, 4: 보통, 7: 매우 좋다)법을 사용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발된 발아귀리 과일떡(10)에 소비자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외관 6.1, 향 5.7, 맛 5.9, 질감 5.9에 대한 결과를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를 5.9로 받았으며, 외관을 간편식에 대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꼬지 제형이 아침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것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과일떡
12: 팩 포장
20: 꼬지
30: 과일떡 제품
12: 팩 포장
20: 꼬지
30: 과일떡 제품
Claims (6)
- 과일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아싹이 일정 길이로 자란 발아귀리를 물에 불린 다음 물기를 제거하여 제분하는 단계;
상기 제분된 발아귀리 분말과 과일맛이 나는 분말과 쌀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반죽을 찌는 단계; 및
상기 쪄서 나온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동그란 모양의 과일떡을 복수개를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과일떡을 순차적으로 막대에 꽂아 과일떡 꼬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분하는 단계는,
밤에 햇귀리를 물에 담궈놓고, 아침에 채반을 이용하여 담아 26 내지 28 온도, 습도를 50 내지 80% 조건으로 통기가 가능한 곳에서 36시간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발아싹이 5 내지 10mm 정도 자란 발아귀리를 38 건조기에서 넣고 건조시켜 물기를 일정 정도로 제거시킨 후, 곱게 빻아서 분말화하여 발아귀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과 쌀을 혼합하는 단계는,
발아귀리 분말 10%, 멥쌀 25%, 찹쌀 45 내지 50%, 설탕, 소금이 혼합된 기본 곡물 분말과 과일 분말 및 당절임 과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과 쌀을 혼합하는 단계는,
하얀떡의 경우 상기 기본 곡물 분말에 사과당절임 5%을 혼합하고, 검정떡의 경우 상기 기본 곡물 분말에 흑미찹쌀 10%와 포도당절임 5%을 혼합하여 색과 과일맛을 내며, 노란떡의 경우 상기 기본 곡물 분말에 단호박분말 5%와 딸기당절임 5%를 혼합하고, 초록떡의 경우 상기 기본 곡물 분말에 쑥분말 25%와 사과당절임 5%와 감말랭이를 혼합하여 색과 과일맛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떡 꼬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하얀떡, 상기 검정떡, 상기 노란떡, 상기 초록떡의 4개의 과일맛이 나는 떡을 순차적으로 꼬지에 꽂은 후, 팩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과일떡 제품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9030A KR101882992B1 (ko) | 2016-10-25 | 2016-10-25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9030A KR101882992B1 (ko) | 2016-10-25 | 2016-10-25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5190A true KR20180045190A (ko) | 2018-05-04 |
KR101882992B1 KR101882992B1 (ko) | 2018-08-07 |
Family
ID=6219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9030A KR101882992B1 (ko) | 2016-10-25 | 2016-10-25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29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4061B1 (ko) * | 2018-11-09 | 2019-04-30 | 주식회사 드림스컴트루 | 중심부에 소시지를 포함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6714A (ko) * | 2006-10-24 | 2008-04-29 | 정 민 임 | 꼬치형 가래떡 구이 및 그 조리방법 |
KR20140016025A (ko) * | 2012-07-30 | 2014-02-07 | 이경환 | 발아현미 지식종이 떡의 제조방법 |
KR20160065606A (ko) * | 2014-12-01 | 2016-06-09 | 김은옥 | 딸기 인절미의 제조방법 |
-
2016
- 2016-10-25 KR KR1020160139030A patent/KR101882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6714A (ko) * | 2006-10-24 | 2008-04-29 | 정 민 임 | 꼬치형 가래떡 구이 및 그 조리방법 |
KR20140016025A (ko) * | 2012-07-30 | 2014-02-07 | 이경환 | 발아현미 지식종이 떡의 제조방법 |
KR20160065606A (ko) * | 2014-12-01 | 2016-06-09 | 김은옥 | 딸기 인절미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tisxh/101565(2015.10.03.)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4061B1 (ko) * | 2018-11-09 | 2019-04-30 | 주식회사 드림스컴트루 | 중심부에 소시지를 포함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2992B1 (ko) | 2018-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2079B1 (ko) |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 |
KR20180137449A (ko) | 천연 발효 배양 액종을 사용한 고구마 도넛 및 그 제조방법 | |
CN105104661A (zh) | 一种含面条的巧克力 | |
KR101515419B1 (ko) | 라이스 펄의 제조 방법 | |
KR20190101017A (ko) | 홍삼분말을 포함하는 홍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10104965A (ko) | 해조류를 주제로 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 |
CN104522285A (zh) | 一种桂花雪糕及其制备方法 | |
KR101585188B1 (ko) |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 |
Whitely | Biscuit manufacture: fundamentals of in-line production | |
KR101882992B1 (ko) |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 |
KR101999551B1 (ko) | 기능성 구기자 한과 제조방법 및 구기자 한과 | |
JP5265690B2 (ja) | 天然栄養補給食品のトロロアオイ食品 | |
KR101723527B1 (ko) | 산수유 생과 퓨레를 이용한 산수유 젤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수유 젤리 | |
KR101771308B1 (ko) |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 |
KR20090074386A (ko) |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밀가루 음식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14442B1 (ko) | 발효 찹쌀을 이용한 천년초 함유 매생이 부각의 제조 방법 | |
CN102630718B (zh) | 一种蚕蛹多维面包的制作方法 | |
KR101395221B1 (ko) | 복분자를 포함하는 쿠키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59954B1 (ko) | 캐슈 분말을 함유하는 떡의 노화 억제용 조성물 | |
KR20190114159A (ko) | 꽃게과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102616A (ko) | 건강기호 식품을 활용한 수분이 함유된 식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빵 | |
KR101398107B1 (ko) | 개두릅 찹쌀떡의 제조방법 | |
KR102325757B1 (ko) | 통영 딸기 꿀빵의 제조방법 | |
KR101245401B1 (ko) | 율무청국장을 함유하는 쿠키바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00693B1 (ko) |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