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242A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4242A KR20180044242A KR1020180039557A KR20180039557A KR20180044242A KR 20180044242 A KR20180044242 A KR 20180044242A KR 1020180039557 A KR1020180039557 A KR 1020180039557A KR 20180039557 A KR20180039557 A KR 20180039557A KR 20180044242 A KR20180044242 A KR 20180044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luid
- air
- tank
- flo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12295 chemical reaction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311 flocc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claims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42 bi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4 flocc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4—Diffusers consisting of flexible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e.g.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 B01F3/04248—
-
- B01F3/04269—
-
- B01F5/04—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01F2215/0052—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분리장치 제2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부상분리장치에 포함되는 유체 분산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이 구비된 반응조 및 부상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분리용 기포 발생수단이 구비된 반응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120... 처리수 수집부 130... 월류웨어
200... 반응조 300, 300a... 유체 분산기
310... 신축성 막 320... 미세공
330... 지지체 340... 유체 공급구
350... 프레임 360... 조절판
370... 조절봉 380... 탄성체
410... 이젝터 420... 수량 조절밸브
430... 송풍기 440... 송기관
450... 펌프 460... 유체 이송관
470... 과포화 용해수조 480... 풍량 조절밸브
500... 교반기 510...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
520... 송기부
Claims (10)
- 미세 기포가 부착된 고체 및 액체 입자가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부상분리조;와
상기 부상분리조의 하측 수중에서 부상용 유체를 분산시키는 유체 분산기;와
상기 유체 분산기에 부상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수단;과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 수면에서 부유물을 수집하는 부유물 수집기;와
상기 부상분리조의 하측 수중에 배치되어 고액 분리된 처리수가 수집 및 유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분산기는,
복수 개의 미세공이 형성되고 팽창 정도에 따라 미세공의 크기가 축소 및 확장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이 구비된 신축성 막;과
하나 이상의 유체 공급구가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공급수단의 토출구는 상기 유체 공급구와 서로 연통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산기는,
기포와 수체가 유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축성 막에 형성된 미세공 및 상기 미세공에서 분출되는 미세 기포의 입경이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성 막의 팽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산기는,
신축성 막의 표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봉에 의해 조절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신축성 막의 팽창을 조절함으로써 신축성 막에 형성된 미세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미세 기포의 입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산기는,
신축성 막의 표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에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신축성 막에 형성된 미세공 및 상기 미세공에서 분출되는 미세 기포 입경이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성 막의 팽창을 제어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수단은,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되는 압축 공기의 유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흡입하고 물방울과 압축 공기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생성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에 공급되는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밸브;와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와 이젝터 및 상기 유체 분산기의 유체 공급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와 이젝터는 유체 이송관 및 유체 공급구를 통하여 유체 분산기에 혼합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수량 조절밸브에 의해 물 흡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신축성 막과 미세공에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미세공에서 분출되는 공기와 물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미세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미세 기포의 입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수단은,
물을 이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압송되는 물의 유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 방울과 물이 혼합된 혼합 유체를 생성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밸브;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이젝터 및 상기 유체 분산기의 유체 공급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와 이젝터는 유체 이송관을 통하여 유체 분산기에 혼합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풍량 조절밸브에 의해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미세공에서 분출되는 공기와 물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미세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미세 기포의 입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수단은,
물에 공기를 포화 농도 이상으로 용해시키는 공기 과포화 용해장치이고,
상기 부상용 유체는,
공기 과포화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
- 수중에 함유된 입자들을 응집시켜 플럭(floc)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 내의 수체와 응집제를 혼합 및 교반시키고 동시에 공기를 용해시키는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과
수중의 고체 및 액체 입자에 미세 기포가 부착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부상분리조;와
상기 부상분리조의 하측 수중에서 부상용 유체를 분산시키는 유체 분산기;와
상기 부상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수단;과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 수면에서 부유물을 수집하는 부유물 제거수단;과
상기 부상분리조의 하측 수중에 배치되어 고액 분리된 처리수가 수집 및 유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은,
수중에서 공기 방울을 분출하고 분출하는 공기 방울의 교반력에 의하여 반응액을 혼합 및 교반시키고 동시에 분출되는 상기 공기 방울과 반응액 간의 기액 접촉에 의하여 반응액에 공기를 용해시켜서 용존공기 농도를 증가시키는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 및 공기용해 수단은, 반응액 중의 질소와 산소의 용존량을 증대시켜서 후속 공정인 부상분리조의 유체 분산기에서 발생되는 용존공기 또는 미세 기포로부터 상기 반응조에서 유입되는 반응액으로 용존하여 이전 및 유실되는 공기 용해량을 최소화시켜서 유체 분산기에서 공급되는 용존공기 및 미세 기포들이 반응액에 용해되지 않고 최대한 미세 기포로 분리되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생성용 유체 공급유량과 에너지 소요를 최소화하고 기포 생성용 유체 공급량 대비 부상분리 효율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수중에 함유된 입자들을 응집시켜 플럭(floc)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반응조;와
수중의 고체 및 액체 입자에 미세 기포가 부착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부상분리조;와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부상용 유체를 분산시키는 유체 분산기;와
상기 유체 분산기에 부상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수단;과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에 설치되고 부상된 부유물을 수집하는 부유물 수집기;와
상기 부상분리조의 하측 수중에 배치되어 고액 분리된 처리수가 수집 및 유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수집부;와
상기 반응조에서 상기 부상분리조로 반응액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반응조는,
유입수 중에 함유된 입자들과 투입된 응집제와 상기 유체 분산기에서 발생된 미세 기포를 혼합 및 교반하여 고형물과 응집제 및 미세 기포가 함께 결합되어 겉보기 비중이 작은 부유성 플럭을 형성하고, 상기 부유성 플럭과 반응액은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부상분리조로 유입되고,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비중이 작은 부유성 플럭은 수면 측에서 상기 부유물 수집기에 의해 제거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수체는 부상분리조의 하부 측 처리수 수집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반응조와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에 배치된 월류웨어;이며,
상기 반응조에서 플럭이 형성된 반응액이 반응조의 수면에서 상기 월류웨어를 월류하여 상기 부상분리조의 수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557A KR101890843B1 (ko) | 2018-04-05 | 2018-04-05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557A KR101890843B1 (ko) | 2018-04-05 | 2018-04-05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7855A Division KR101852029B1 (ko) | 2016-10-21 | 2016-10-21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242A true KR20180044242A (ko) | 2018-05-02 |
KR101890843B1 KR101890843B1 (ko) | 2018-08-22 |
Family
ID=6218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9557A Active KR101890843B1 (ko) | 2018-04-05 | 2018-04-05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08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757B1 (ko) * | 2020-12-02 | 2022-02-28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모듈화된 선박의 폐세정수 처리 장치 |
KR102410908B1 (ko) * | 2022-03-14 | 2022-06-22 | 이에스피 주식회사 | 고압충돌식 급속혼화기 |
KR20220121515A (ko) * | 2021-02-25 | 2022-09-01 | 주식회사 에네트 | 수로 설치형 수질 정화 시스템 |
KR102530352B1 (ko) * | 2022-01-10 | 2023-05-09 | 한석진 | 부상분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0119Y1 (ko) | 2001-06-05 | 2001-11-16 | 주식회사 씨앤지 | 멤브레인 산기장치용 산기관 |
JP3983098B2 (ja) * | 2002-05-07 | 2007-09-26 | 日本碍子株式会社 | メンブレン散気装置 |
JP4323531B2 (ja) * | 2007-03-23 | 2009-09-02 | 扶桑建設工業株式会社 | 凝集加圧浮上分離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KR100989779B1 (ko) * | 2009-11-27 | 2010-10-26 | 주식회사 엔텍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
2018
- 2018-04-05 KR KR1020180039557A patent/KR101890843B1/ko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757B1 (ko) * | 2020-12-02 | 2022-02-28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모듈화된 선박의 폐세정수 처리 장치 |
KR20220121515A (ko) * | 2021-02-25 | 2022-09-01 | 주식회사 에네트 | 수로 설치형 수질 정화 시스템 |
KR102530352B1 (ko) * | 2022-01-10 | 2023-05-09 | 한석진 | 부상분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
KR102410908B1 (ko) * | 2022-03-14 | 2022-06-22 | 이에스피 주식회사 | 고압충돌식 급속혼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0843B1 (ko)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0843B1 (ko)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
KR101054087B1 (ko) | 하수의 총인 제거장치 | |
US20080029459A1 (en) |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ter treatment equipment | |
US6960294B2 (en) |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from liquids by dissolved gas floatation | |
KR100989779B1 (ko)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
US9095826B2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in activated sludge systems | |
US20180282187A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128679B1 (ko) |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도수처리방법 | |
US20170297924A1 (en) |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 |
JP2001009446A (ja) | 加圧浮上分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US4738784A (en) | Flotation device | |
KR101852029B1 (ko) | 부상분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
CN207451794U (zh) | 一种溶气逆流浮选式脱硫废水处理系统 | |
JP3548105B2 (ja) | 加圧浮上装置 | |
CN111847563B (zh) | 一种污水气浮处理方法 | |
KR200212210Y1 (ko) |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 |
JPH07108295A (ja) | 廃水の加圧ばっ気処理装置 | |
KR101762181B1 (ko) |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 |
CN211664755U (zh) | 分级气浮废水处理系统 | |
KR200335075Y1 (ko) | 양어장 사료찌꺼기 및 오물 제거장치 | |
JPH10151475A (ja) | 接触酸化型生物処理装置 | |
KR100759201B1 (ko) | 계면활성제의 특성과 이송펌프의 압력분사를 이용하여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방법 | |
KR102110508B1 (ko) | 유기물 회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존공기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방법 | |
CN112028161A (zh) | 一种气浮设备及污水处理系统 | |
JP2006297239A (ja) | 廃水処理における加圧浮上分離装置、汚泥濃縮システム及び加圧浮上分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10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3785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