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048A -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048A
KR20180044048A KR1020160137634A KR20160137634A KR20180044048A KR 20180044048 A KR20180044048 A KR 20180044048A KR 1020160137634 A KR1020160137634 A KR 1020160137634A KR 20160137634 A KR20160137634 A KR 20160137634A KR 20180044048 A KR20180044048 A KR 2018004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ed
oats
extract
content
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500B1 (ko
Inventor
이유영
김형석
조지훈
김율호
김선림
이병원
박지영
함현미
박향미
한상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3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발아 귀리 추출물은 유용 활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감소되므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활성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므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germinated oats extract having high-content avenanthramides}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식품 트렌드는 "건강"과 "환경"으로 건강기능 향상과 원료 안정성을 고려한 식품 소비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도 귀리 종실의 높은 영양학적 가치로 인해 식용으로 인한 소비가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귀리 도입량은 2011년에 3,890톤이었으나 2012년 4,548톤, 2013년 5,019톤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15년 상반기 귀리 수입량은 20,000톤(700만달러)으로 지난해 대비 수입량이 478.1%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Customs import and export trade statistics 2015, KDI Economic Information Center 2015). 국내 귀리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2006년 2ha였던 재배면적은 2014년 350ha로 175배 증가하여 국내 생산량도 2006년에 6톤, 2011년에 600톤, 2012년에 820톤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귀리는 다른 곡물에 비해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 되어 있다. 라이신 등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비타민 B군, 비타민 E, 미네랄도 풍부하며,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
귀리에는 다양한 종류의 폴리페놀이 존재하는데 귀리의 특이적인 항산화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류는 아토피피부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Cai et al. 2011, Dimberg et al. 1993, Peterson et al. 2002), 아베난쓰라마이드류(Avenanthramides, AVAs)가 처음 밝혀진 후(Dimberg, 1993), AVAs를 분리 정제 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으나 완전히 성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AVAs는 현재까지 강력한 황산화제로 알려져 있으며, 잠재적인 항염증, 혈압 조절에 효능이 있음이 보고되었고(Lie, 2004; Nie, 2006), The Quaker Oats Company(식품회사, 미국)와 Saskatchewan 대학(캐나다)에서 AVAs 정제 관련한 국제 특허를 점유하고 있으며, 귀리의 아베난쓰라마이드 관련 식품소재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기억력, 사고력 및 행동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중 하나로, 치매 사례의 60-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Blennow et al.,2006, Lancet 368:387). 알츠하이머 질환은 조직병리학적으로는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터(신경섬유뒤틀림) 및 노인반(neuritic plaque)을 유발한다.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밀로이드-β 단백질의 축적에 의한 발명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아밀로이드-β 단백질의 축적은 신경 세포에 손상을 야기하며, GSK3β 효소를 활성화 시켜 기억 형성에 필요한 장기강화(Long Term Potentiation; LTP)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병 후 사망에 이르는 기간은 일반적으로 6~8년 정도이지만, 20년이 넘는 경우도 있다.
미국의 경우 5백만 명 이상이 알츠하이머 질환에 걸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내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알츠하이머 질환 및 기타 치매에 걸린 미국인의 수는 매년 커질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 노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은 2010년에 노령 인구가 전체의 11%를 차지하게 되어 치매환자의 증가가 예견되었으며, 실제 2012년에 보건복지부에서 행한 전국 치매환자 역학조사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발생률은 100명당 9.18명꼴인 540,755명으로 추정되었으며 알츠하이머 질환에 의한 치매는 전체 치매의 70.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의 선행 연구에서 조사된 전체 치매환자 중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가 50~70%로 나타난 것과 대비해서 높은 것으로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가 향후 노인인구 증가와 맞물린 중요한 해결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귀리 종실에는 일반적으로 내영과 외영이라는 껍질이 있어 가공시 이것을 제거해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귀리는 탈곡작업을 할 때 영이 제거되지 않는 겉귀리와 영의 제거가 용이한 쌀귀리로 나뉘어진다(Han et al. 2008, Han et al. 2014). 국내에서 쌀귀리는 겉귀리에 비하여 영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적어, 수확 후 가공 노력이 적게 들기 때문에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영이 잘 벗겨지는 탈부율이 높은 쌀귀리 품종이 유리한것으로 여겨지고 있다(Chae et al. 2008, Han et al. 2008, Han et al. 2014, Park et al. 1995).
귀리 재배 및 가공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중국에서 21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101.7 내지 151.9 mg/100 g의 수준으로 폴리페놀 화합물이 포함되어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TONG, Li-tao, et al. 2014, 13.8: 1809-1816.). 이와 관련되어 국내에서도 귀리 품종이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귀리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 또한 계속되고 있다. 국제공개특허 WO 2010/108277호에서는 증가된 아베난쓰라마이드 농도를 가지는 귀리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귀리를 먼저 휴면성을 향상시커거나(휴면 귀리) 휴면성을 유도한 다음(비휴면 귀리), 상기 휴면 귀리 또는 비휴면 귀리를 발아처리하였을 때 아베난쓰라마이드 농도가 증가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휴면 귀리 또는 휴면화를 유도한 비휴면 귀리를 대상으로 하는 단계를 필수적으로 구성하고 있어, 발아처리 이전의 전처리 단계를 필수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귀리 품종의 이용 증진을 위해 귀리 내 유용 활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귀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국내에서 개발된 다양한 품종의 귀리 중 대양 품종의 추출물에 아베난쓰라마이드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함량으로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양 귀리를 발아처리한 후 추출한 발아 귀리 추출물에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증가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발아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발아 귀리 추출물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개발된 품종의 추출물 중 대양 품종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아처리한 대양 귀리의 추출물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처리한 대양 귀리의 추출물에서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발아 귀리는 귀리 종자를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발아 귀리는 귀리 종자에 SA(Salicilic acid), IAA(Indole acetic acid) 및 H2O2(Hydrogen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도인자를 처리하여 발아 유도한 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귀리는 선양, 대양, 조양, 수양 및 중모 200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쌀귀리; 또는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겉귀리; 중 어느 하나의 품종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농도는 1500㎍/g 잔사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농도는 400 ㎍/g 잔사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이 0.01 내지 2.0 g/100g 잔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전두측두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피질기저 퇴행증(corticobasal degener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다계통 위축병(multiple system atrophy),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치아적색창백핵 뤼체 위축병(dentato-rubro-pallido-luysian atrophy), 척수소뇌 실조병(spinocerebellar ataxia), 근육위축 가쪽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원발성 가쪽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척수 근육 위축병(spinal muscular a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유용 활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므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활성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므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국내 개발 품종 중 대양 품종의 귀리 추출물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므로, 대양 품종의 귀리를 발아귀리 추출물로서 제조하였을 때 아베난쓰라마이드에 의한 효과가 증가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쌀귀리와 겉귀리의 각 품종별 아베난쓰라마이드를 정량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귀리 발아처리에 따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에 관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10ppm 및 100ppm에서 5종 시료의 BACE1 inhibition activity를 비교한 결과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밀로이드-β 및 귀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 LTP가 유도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50nM의 아밀로이드-β를 처리시 LTP가 유도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50nM의 아밀로이드-β와 50nM의 D48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D48-1, D48-2에서는 LTP가 유도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9은 50nM의 아밀로이드-β와 50nM의 G48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G48-1, G48-2에서는 LTP가 유도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귀리가 기능성 식품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개발된 귀리 품종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용 증진을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귀리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함량 증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개발의 귀리 품종에서 유용 활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발아처리된 귀리 추출물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국내 개발 품종 중 대양 귀리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발아처리된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 장기기억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 귀리를 발아시키는 단계; 및
ii) 상기 발아시킨 귀리를 용매 추출하여 발아 귀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의 발아는 귀리 종자를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으로 귀리 종자를 발아시키기 위해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온도, 시간 및 수분 공급의 조건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다.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5 분 동안 살수; 및 20 분 동안 살수 정지를 반복 수행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의 발아에서, 유도인자를 처리하는 경우에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더욱 증진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유도인자는 SA(Salicilic acid), IAA(indole acetic acid) 및 H202(Hydrogen peroxid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인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귀리 종자의 발아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유도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i)의 용매 추출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 추출에 사용하기 위한 물은 순수한 물 외에도 완충 용액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ii) 의 용매 추출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귀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귀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i) 이후, iii) 귀리 잔사에 용매를 가하여 귀리 잔사 추출물을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i)의 용매 추출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 추출에 사용하기 위한 물은 순수한 물 외에도 인산 완충액과 같은 완충 용액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리"는 선양, 대양, 조양, 수양, 중모 2005,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귀리 품종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대양, 중모 2005, 수양 및 선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귀리 품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대양 품종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귀리 품종 중에서, 선양, 대양, 조양, 수양 및 중모 2005 품종은 쌀귀리이며,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 품종은 겉귀리이다. 상기 귀리 품종은 모두 국내(대한민국)에서 개발 품종으로, 캐나다산 및 호주산과 같은 수입산 귀리에 비해 아베난쓰라마이드 및 페놀화합물을 높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수준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아베난쓰라마이드(avenanthramide)"는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아베난쓰라마이드 C, 아베난쓰라마이드 O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C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안트라닐산 아미드(Anthranilic acid amides)로도 명명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상기 화학식에서,
n=1이고, R1은 H이며, R2는 OH이고, R3는 H이며, R4는 OH이고, R5은 H인 경우는 아베난쓰라마이드 A며;
n=1이고, R1은 H이며, R2는 OH이고, R3는 OCH3이며, R4는 OH이고, R5은 H인 경우는 아베난쓰라마이드 B이며; 및
n=1이고, R1은 H이며, R2는 OH이고, R3는 OH이며, R4는 OH이고, R5은 H인 경우는 아베난쓰라마이드 C이다.)
아베난쓰라마이드는 귀리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페놀계 알칼로이드군의 활성 성분으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양배추, 나비 또는 포자가 감염된 카네이션 등에도 일부 포함되어있다. 아베난쓰라마이드는 항-염증, 항산화, 가려움증 억제, 피부 자극 억제 및 항동맥경화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귀리 추출물을 피부, 모발 또는 자외선차단 제품에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당업계에 다수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에 "고함량"으로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총 함량의 농도는 1500 내지 75000 ㎍/g 잔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1500 내지 55000 ㎍/g 잔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3500 내지 15000 ㎍/g 잔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에 있어서, 항치매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성분은 아베난쓰라마이드 C이므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에서 포함되는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아베난쓰라마이드 C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고함량으로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농도는 100 내지 20000 ㎍/g 잔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400 내지 7000 ㎍/g 잔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귀리 추출물"은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이 0.01 내지 2.0 g/100g 잔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아귀리 추출물 내에 베타글루칸의 함유량이 낮을수록 발아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에 의한 치매 저해 효과가 증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발아귀리 추출물은 종래 귀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증가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감소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은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신경계의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퇴행성 신경질환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억 상실, 기억력 손상, 습득력 결함, 활동 기억 상실 및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전두측두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피질기저 퇴행증(corticobasal degener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다계통 위축병(multiple system atrophy),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치아적색창백핵 뤼체 위축병(dentato-rubro-pallido-luysian atrophy), 척수소뇌 실조병(spinocerebellar ataxia), 근육위축 가쪽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원발성 가쪽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척수 근육 위축병(spinal muscular a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예는 알츠하이머 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은 일상 생활을 방해할 정도의 심각한 기억력 및 기타 지적 능력의 상실이 발생하는 병으로 조직병리학적으로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터(신경섬유뒤틀림)와 노인반(neuritic plaque) 등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은 뇌에 아밀로이드-β(β-amyloid)의 축적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아밀로이드-β"는 36-4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로 APP(amyloid precursor protein)가 세크레테이즈(secretase)와 같은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다. 생성된 아밀로이드-β는 응집되면서 몇 가지 형태가 이루어지고, 그 중 잘못된 형태로 접힌 다량체에 의해 신경독성을 갖는 플라크(plaque)가 발생되어 신경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장기강화(Long-term potentiation: LTP)"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기강화(LTP)는 신경세포를 동시에 자극하는 것에 의하여 두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장기강화는 학습과 기억에 있어 주요 세포학적 기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장기강화의 형성은 새로운 단백질 합성에 의해 신경세포간의 연접(synapse)을 강화시켜 시냅스전 뉴런(presynaptic neuron)과 시냅스후 뉴런(postsynaptic neuron)이 시냅스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장기강화는 고전적 조건화에서부터 복잡한 고등 인지 작용까지 다양한 종류의 학습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국내 개발된 귀리 품종을 대상으로 귀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표 1), 다양한 품종의 귀리 추출물 내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표 2), 대양 품종의 귀리 추출물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1).
또한, 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귀리 종자를 발아처리하여 이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24 내지 72 시간 동안 발아처리한 귀리의 추출물에서 발아처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표 4). 이러한 증가는 귀리 종자에 유도인자를 처리하여 발아처리하였을 때 더욱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발아처리를 통해 귀리 추출물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5).
또한, 발아처리된 대양 귀리의 추출방법에 있어서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증류수를 처리하고 물층을 제거한 후 잔존물에 다시 80%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D48 시료에서 잔사당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가장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표 7). 이와 관련하여, D48 시료에서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발아처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8, 표 9).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증가된 발아 귀리 추출물의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치매 활성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유의적인 β-secretase(BACE 1)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치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아 귀리 추출물의 장기강화(LTP) 효과를 확인한 결과, 아밀로이드-β를 처리한 마우스 모델의 해마절편 샘플에서 유의적으로 장기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내지 도 9, 표 10).
따라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유용 활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므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활성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므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하는 주사제; 경피 투여제; 또는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으로는, 비경구 투여 시 발아 귀리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 시는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 귀리를 발아시키는 단계; 및
ii) 상기 발아시킨 귀리를 용매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의 발아는 귀리 종자를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으로 귀리 종자를 발아시키기 위해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온도, 시간 및 수분 공급의 조건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다.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5 분 동안 살수; 및 20 분 동안 살수 정지를 반복 수행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의 발아에서, 유도인자를 처리하는 경우에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더욱 증진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유도인자는 SA(Salicilic acid), IAA(indole acetic acid) 및 H202(Hydrogen peroxid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인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귀리 종자의 발아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유도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i)의 용매 추출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 추출에 사용하기 위한 물은 순수한 물 외에도 완충 용액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리"는 선양, 대양, 조양, 수양, 중모 2005,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귀리 품종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대양, 중모 2005, 수양 및 선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귀리 품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대양 품종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귀리 품종 중에서, 선양, 대양, 조양, 수양 및 중모 2005 품종은 쌀귀리이며,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 품종은 겉귀리이다. 상기 귀리 품종은 모두 국내(대한민국)에서 개발 품종으로, 캐나다산 및 호주산과 같은 수입산 귀리에 비해 아베난쓰라마이드 및 페놀화합물을 높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수준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아베난쓰라마이드(avenanthramide)"는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아베난쓰라마이드 C, 아베난쓰라마이드 O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C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에 "고함량"으로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총 함량의 농도는 1500 내지 75000 ㎍/g 잔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1500 내지 55000 ㎍/g 잔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3500 내지 15000 ㎍/g 잔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에 있어서, 항치매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성분은 아베난쓰라마이드 C이므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에서 포함되는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아베난쓰라마이드 C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고함량으로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농도는 100 내지 20000 ㎍/g 잔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400 내지 7000 ㎍/g 잔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귀리 추출물"은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이 0.01 내지 2.0 g/100g 잔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아귀리 추출물 내에 베타글루칸의 함유량이 낮을수록 발아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에 의한 치매 저해 효과가 증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발아귀리 추출물은 종래 귀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증가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감소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퇴행성 신경질환"은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신경계의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퇴행성 신경질환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억 상실, 기억력 손상, 습득력 결함, 활동 기억 상실 및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전두측두 치매, 루이소체 치매, 피질기저 퇴행증, 파킨슨병, 다계통 위축병, 진행성 핵상 마비, 헌팅턴병, 치아적색창백핵 뤼체 위축병, 척수소뇌 실조병, 근육위축 가쪽 경화증, 원발성 가쪽 경화증 및 척수 근육 위축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유용 활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므로, 아베난쓰라마이드의 활성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및 LTP(장기기억강화)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므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과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근 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건강음료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귀리 추출물은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발아 귀리 추출물과 함께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 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 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 실험 재료
(1) 재료준비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쌀귀리 5품종과 겉귀리 4품종을 사용한 것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사용한 귀리의 품종 및 이의 특성
품종명 특성
육성년도 품종특성 적응지역
쌀귀리 선양 2003 껍질 없는 쌀귀리 1월 최저기온 평균 -4℃선
이남 지역(추파)
대양 2007 식용, 대립, 다수,
탈부율 매우 높은 쌀귀리
1월 최저평균기온 -4℃이상
조양 2007 식용, 조숙, 다수,
탈부율 매우 높은 쌀귀리
1월 최저평균기온 -4℃이상
수양 2010 극조숙, 다수성,
쌀귀리
1월 최저기온 평균 -4℃선
이남 지역
중모2005 2010 내한성 강,
재생기 이후 분얼력 강
1월 최저기온 평균 -4℃선
이남 지역
겉귀리 삼한 2001 중생, 조사료용, 추파용 1월 최저평균기온 -6℃이상
동한 2001 중생, 조사료용, 추파용 1월 최저평균기온 -8℃이상
하이스피드 2005 여름재배용, 조숙,
다얼성, 청예다수성
여름 파종용 조숙성 품종
조풍 2009 내재해성이 있으며,
TDN 수량이 높음, 총체용
1월 최저평균기온 -6℃이상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인 익산(쌀귀리 품종)과 김제(겉귀리 품종)에서 2013년 10월 중순에 파종하여 2014년 6월에 수확하였고, 농촌진흥청 표준 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으며, 수확한 귀리는 분석 전까지 14 저장고에 저장하였다.
쌀귀리는 탈곡 후 겉껍질(영)이 벗겨지는 탈부율이 100%에 달하기 때문에 정선과정만 거쳤고, 겉귀리는 겉껍질을 벗기기 위해 간이 도정기(FC2K, Yamamoto, Japan)을 이용하여 도정하였다. 도정된 시료는 분쇄기(HMF-3100S, 한일, Korea)를 이용하여 분쇄 후 1.0mm체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2) 귀리 품종별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 분석
분쇄한 품종별 귀리 분말 1g을 10mM Phosphate buffer(pH 2.8)에 80% 에탄올 100㎖ 침지하여 37에서 16시간 동안 Shaking Incubator(240rpm)에서 교반 추출 3회를 실시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은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감압농축기(N-1000, EYELA 사, 일본)를 이용하여 50에서 용매 성분을 제거하여 귀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거한 고형분을 80% 에탄올로 재용해 하고, 위와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하여 귀리 잔사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귀리 추출물 및 귀리 잔사 추출물의 보관 시에는 질소 충전 후 -20에서 보관하였다.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UPLC 조건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분석한 것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성분 분석에 사용한 UPCL 이동상 분석 조건
유속 % A % B
초기 0.6 85 15
3 0.6 80 20
4 0.6 75 25
6 0.6 70 30
8 0.6 65 35
9 0.6 60 40
10 0.6 20 80
11 0.6 85 15
컬럼: Acquity UPLCHSS C18 1.8㎛ (2.1 X 100mm),
Solvent A: 0.01M phosphate buffer(pH 2.8) / Solvent B: 100% CAN
유속(Flow late): 0.6ml/min
Injection: 1㎕
Wavelength: 340nm
아베난쓰라마이드 표준물질은 아베난쓰라마이드 C, 아베난쓰라마이드 B, 아베난쓰라마이드 A를 각각 DMSO에 녹여 위의 UPLC 조건에서 분석후 검량선을 얻었으며, 본 발명의 귀리 추출물 또는 귀리 잔사 추출물을 동일 조건에서 UPLC 분석후 얻은 Peak area값을 표준물질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품종별 귀리 추출물 내에 포함된 아베난쓰라마이드 정량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도 1 참고).
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정량 분석 결과
타입 품종 (단위) C (ug/g) A (ug/g) B (ug/g) Total (ug/g)
쌀귀리 선양 14.5±0.3 16.6±0.3 13.7±0.3 44.8±0.2
대양 86.7±3.6 63.0±2.7 57.7±3.1 207.4±9.4
조양 9.1±0.3 11.0±0.2 16.5±0.2 36.6±0.4
수양 15.5±0.7 14.7±1.3 24.4±0.9 54.6±3.0
중모2005 26.8±0.7 30.6±1.0 19.5±1.3 76.8±3.0
겉귀리 삼한 1.6±0.2 0.0±0.1 1.3±0.1 2.9±0.4
동한 3.4±1.1 3.7±1.0 7.5±1.9 14.7±3.9
하이스피드 3.3±0.1 2.4±0.1 3.6±0.1 9.3±0.3
조풍 3.6±0.1 3.0±0.0 3.5±0.1 10.1±0.2
그 결과, 귀리 품종 중 '대양'품종의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농도는 C가 86.7ug/g, A가 63.0 ug/g, 및 B가 57.7 ug/g 이었으며, 아베난쓰라마이드 총 함량이 207 ug/g으로 품종 중 아베난쓰라마이드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 '중모 2005'품종이 높았으며, 귀리 타입별로는 쌀귀리(naked)가 겉귀리(hulled) 보다 전체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귀리 발아 처리에 따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높은 '72시간 대양' 귀리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발아처리하여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양' 귀리 500g을 발아처리장치에서 살수처리(온도 21, 살수시간 5분, 살수정지시간 20분) 시스템을 통해 발아처리 하였다. 처리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발아처리된 귀리를 각각 500g씩 꺼낸 후 상온에서 약 10분간 표면 물기를 제거 후 건조기에 넣어 40 온도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발아 귀리는 -20에서 보관 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 방법으로 80% 에탄올을 사용해 귀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UPLC 분석을 통해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발아 48∼72시간 동안 발아 처리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C, A, B 타입 모두 증가하는 것을 [표 4]에 나타내었다(도 2 참고).
발아 처리 시간에 따른 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정량 분석 결과
발아처리 시간 C (ug/g) A (ug/g) B (ug/g) Total (ug/g)
0hr 84.3±3.1 64.1±2.3 58.1±2.2 206.5±7.6
24hr 75.5±1.7 49.9±0.6 46.4±1.2 171.9±3.4
48hr 107.3±0.7 74.2±2.2 67.1±1.4 248.6±4
72hr 109.8±4 82.2±2.9 81.1±4.2 273±11
(4) 귀리 발아처리시 유도인자에 따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
조양귀리를 대상으로 발아시 다양한 유도인자(Elicitor)를 처리하였다. 0.01% SA(Salicilic acid), 0.01% IAA(Indole acetic acid), 0.01% H2O2(Hydrogen peroxide) 처리시 발아 전에 비해 모두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발아 48시간에 SA 처리시 원곡에 비해 37배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유도인자 처리에 따른 발아 귀리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정량 분석
 시료 AVA C (ug/g) AVA A (ug/g) AVA B (ug/g) Total (ug/g)
조양귀리 원곡(발아전) 2.7±0.4 7.5±0.5 4.3±0.3 14.4±1.1
12hr발아, DW 8.5±0.2 9.5±0.4 6.0±0.3 23.9±0.8
12hr발아, 0.01% SA 5.8±0.3 7.4±0.3 4.0±0.1 17.1±0.8
12hr발아, 0.01% IAA 5.8±0.2 6.3±0.1 5.0±0.0 17.2±0.2
12hr발아, 0.01% H2O2 8.4±0.4 9.1±0.4 5.1±0.3 22.6±1.0
24hr발아, DW 22.8±0.1 18.1±0.2 10.9±0.1 51.8±0.1
24hr발아, 0.01% SA 23.1±0.4 17.7±0.4 10.6±0.3 51.4±1.0
24hr발아, 0.01% IAA 19.9±1.4 13.2±1.0 11.2±0.9 44.3±3.2
24hr발아, 0.01% H2O2 25.0±0.7 19.3±0.1 11.2±0.5 55.4±1.3
48hr발아, DW 50.9±2.0 32.3±1.0 21.4±1.4 104.6±4.3
48hr발아, 0.01% SA 88.7±0.8 46.5±0.4 26.7±0.3 161.9±0.8
48hr발아, 0.01% IAA 68.8±2.6 37.9±1.2 27.0±0.9 133.8±4.7
48hr발아, 0.01% H2O2 60.7±4.2 39.2±1.3 24.4±0.2 124.3±5.6
24hr발아, DW 24.2±1.8 18.8±1.4 11.0±1.0 54.0±4.1
24hr발아, 0.01% SA 34.6±3.3 25.0±2.5 11.7±0.9 71.3±6.7
24hr발아, 0.01% IAA 27.4±0.5 21.5±0.4 11.2±0.2 60.0±1.0
24hr발아, 0.01% H2O2 25.6±1.3 21.0±1.1 13.3±0.6 59.9±3.0
41hr발아, DW 51.2±1.0 32.1±1.0 18.8±0.5 102.1±2.5
41hr발아, 0.01% SA 100.1±0.9 58.3±0.4 27.0±0.3 185.4±1.6
41hr발아, 0.01% IAA 83.6±0.3 49.6±0.3 25.5±0.0 158.6±0.6
41hr발아, 0.01% H2O2 55.7±0.9 37.2±0.8 20.1±0.3 113.0±2.0
(5) 추출물 제조
48시간 발아처리된 대양귀리에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분쇄기(Auto-mill disintegrator, Tokken, Japan)에서 200s로 분쇄하였다. 분말 시료 15g 내지 20g에 n-Hexane 시료 무게량의 10배 부피로 첨가하여 37에서 Homogenizer로 30분간 추출한 후 헥산층을 제거하고, 12시간 흄후드에 정치하여 탈지하였다(이 과정 3회 실시).
탈지된 귀리 분말 시료 1g에 80% 에탄올을 10 mL를 첨가하여 Shaking incubator에서 16시간 추출후 상등액을 얻고, 다시 2시간씩 2회 추출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감압농축(N-1000, EYELA 사, 일본)하여 처리물 G48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탈지된 귀리 분말 시료 1g에 증류수 10 mL를 처리하여 증류수에 용해된 수용성의 베타글루칸이 포함된 물층을 제거한 후, 잔존물에 다시 80% 에탄올 10 mL를 첨가하여 위의 추출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D48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G48 추출물 또는 D48 추출물 각각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UPLC 분석하여 각각의 추출물 내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G48 및 D48 시료 내 아베난쓰라마이드(AVA) 함량 분석
추출물
(단위)
AVA C
(ug/g)
AVA A
(ug/g)
AVA B
(ug/g)
AVA T
(ug/g)
시료1g당 잔사(g)
G48 104.2±4.6 69.3±2.9 67.3±2.8 240.9±10.2 0.0398
D48 23.2±2.5 15.8±1.7 21.2±1.9 60.2±6.1 0.0150
이에, 제조된 추출물의 잔사 당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G48이 2623.4 ug/g 잔사 및 D48은 6982.2 ug/g 잔사인 것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G48, D48 시료의 잔사당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함량 분석
추출물 잔사당 AVA C 함량
(ug/g residue)
G48 2623.4
D48 6982.2
(6) 베타글루칸 함량
각 추출물에 대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Oat β-Glucan kit((K-BGLU, Megazyme Pty. Ltd. Australi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0 내지 72 시간 동안 발아처리한 귀리를,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분쇄기(Auto-mill disintegrator, Tokken, Japan)에서 200s로 분쇄하였다. 이 분쇄 가루 0.1g에 50 % EtOH 0.2 mL와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6.5) 4 mL을 추가한 후 강하게 혼합하여 100 항온수조에서 1분간 반응 시켰다. 반응한 시료는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다시 2분간 반응하고 재교반하여, 상층액을 추출물로서 수득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은 50 항온수조에서 5분 냉각 후 Lichenase 200 ㎕를 넣고 혼합한 다음, 50 항온수조에 1 시간 동안 반응하고, 반응 종료 즉시 찬물에서 냉각시켰다. 그 다음 각 튜브에 200 Mm sodium acetate buffter(pH 4.0) 5 ㎖를 첨가하고 완전히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5 분간 방치하고 10 분동안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상징액을 얻었다. 상징액 100 ㎕에 β-Glucosidase 100 ㎕를 넣어 혼합하고, 50 항온수조에서 15 분간 방치배양하였다. 이때 무처리 대조군(blank)은 Glucosidase 대신 Sodium acetate buffer를 사용하였다. 최종 반응시킨 튜브에 Glucose oxidase/peroxidase(GOPOD) reagent 3 mL 첨가하고 다시 50 항온수조에 20 분 반응시킨 후 즉시 냉각시켜 각 반응이 끝난 시료를 대상으로, 51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100∼500 ppm 농도 β-glucan 용액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대양 귀리의 발아시간에 따른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 8]에 전체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시간에 따른 귀리 추출물 내 베타글루칸 함량 감소 효과의 확인
 베타글루칸 함량 발아시간
0 24 48 72
% (g/100g) 4.640±0.009 4.394±0.022 3.443±0.130 2.663±0.009
또한, 실시예 (5)에서 제조된 G48 및 D48 추출물에 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G48 또는 D48 시료 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추출물 베타글루칸 함량 % (g/100g)
G48 2.022±0.184
D48 0.410±0.045
이에, 베타글루칸 함량은 D48 시료에서 G48 시료에 비해 0.41%(g/100g)으로 양이 5배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7) 실험동물의 준비
C57BL/6 마우스(중앙실험동물)는 온도 23±3, 습도 60±10%, 12시간 light/dark cycle의 통제된 사육실에서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반입 후 7일 동안 적응시킨 후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관리와 유지 및 실험 절차는 전남대학교 실험동물 윤리위원회의 승인하에 실시되었다.
(8) 해마절편의 준비
상기 실시예 (7)에서의 실험마우스를 마취 후 참수(decapitation)해 뇌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뇌는 냉각시킨 aCSF(124mM NaCl, 3mM KCl, 26mM NaHCO3, 2mM CaCl2, 1mM MgSO4, 10mM Glucose, 1.25mM NaH2PO4 및 2mM CaCl2)에 95%의 산소를 공급하여 보관하였으며, 상기 뇌에서 해마 절편을 채취해 400 ㎛ 두께로 절편을 제작한 후 95%의 산소를 공급하여 22~25 aCSF(124mM NaCl, 3mM KCl, 26mM NaHCO3, 2mM CaCl2, 1mM MgSO4, 10mM Glucose, 1.25mM NaH2PO4, 및 2mM CaCl2)에서 1시간 동안 절편을 회복 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 실험방법
(1)시약 및 기구
본 발명의 시약은 DMSO (Daejung, Korea) 및 BACE1 assay kit (Invitrogen, USA)을 사용하였으며, 기구는 장갑, 저울, 마이크로 피펫, 384 well plate (SPL, Korea), ICE 등을 사용하였다.
(2)발아처리한 귀리 추출물의 항치매 활성
기질과 효소는 분주하여 각각 냉동보관과 -70 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으며, BACE1 assay buffer [50 mM sodium acetate (pH 4.5) + proprietary reagents]는 상온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4종 Sample(D48, G48)은 10,000ppm Stock solution (in DMSO)를 Bace1 assay buffer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종농도 10ppm, 100ppm), 384 well에 3X Sample 10㎕, 750 nM BACE1 substrate Rh-EVNLDAEFK-Quencher, in 50 mM ammonium bicarbonate) 10㎕, BACE1 enzyme (1.0 U/ml) 10㎕를 넣었다. 그런 다음, Control은 3X sample 을 대신 사용하였으며, 25, 암실에서 60분간 반응시킴과 동시에 시간별(0-60분, 10분 interval)형광 측정을 수행하였다. 형광리더기(Fluorecence reader)는 excitation 530nm와 emission 590 nm로 측정하였다.형광 리더기로 측정한 결과는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저해율(Inhibition)을 계산하였고, 이를 β-secretase(BACE 1) 저해 활성으로서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저해율(Inhibition) ( % ) = [1-{(S-S 0 )/(C-C 0 )}] × 100
(C : fluorecence of control after 60 min;
C0 : fluorecence of control after 0 min;
S : fluorecence of tested sample after 60 min; 및
S0 : fluorecence of tested sample after 0 min)
또한, 실험치는 평균값과 표준오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였다. 평균간 비교를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고, 유의성이 있을 경우 5% 유의수준에서 Duncan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였다.
용매 대조군은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DMSO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500 nM의 OM99-2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OM99-2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제공된 시료에 대한 항치매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100 ppm의 농도일때 D48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3)귀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장기강화(Long-term potentiation, LTP) 유도 효과의 비교
4개월령 C57BL/6 마우스의 해마절편에 대해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밀로이드-β 및 귀리 추출물을 2시간 전에 처리하여 LTP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귀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장기강화 효과 비교를 위한 시료 조성
추출물 No. 아밀로이드-β 추출물농도
D48 D48-1 500 nM 50 μM
D48-2 500 nM 50 μM
G48 G48-1 500 nM 50 μM
G48-2 500 nM 50 μM
LTP 유도는 상기 해마절편 샘플을 각각 기록용 챔버에 위치시킨 후 섀퍼 곁섬유(Schaffer-Collateral fiber) 자극에 의한 필드 흥분성 시냅스 후전위(field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fEPSP)를 분석하여 관찰하였다 (자극은 100Hz로 200ms마다 가해졌으며, 90분동안 시행함). 실험 중에는 30 aCSF를 2-3ml/분의 속도로 관류시켜 공급하였으며, 얻어진 실험결과는 업계에 공지된 ANOVA 테스트를 이용해 비교 분석하여, 이를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β 및 귀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 LTP가 유도되었으나(도 4 참고), 50nM의 아밀로이드-β를 처리시 LTP가 유도되지 않았다(도 5 참고). 50nM의 아밀로이드-β와 50 μM의 D48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D48-1, D48-2에서는 LTP가 유도되었다(도 6 내지 도 7 참고). 반면, 50nM의 아밀로이드-β와 50 μM 의 G48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G48-1, G48-2에서는 LTP가 유도되지 않았다(도 8 내지 도 9 참고). 즉, 50 μM의 D48 제조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은 아밀로이드-β에 의한 LTP 형성 방해를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귀리 추출물 1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귀리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귀리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귀리 추출물 10 m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3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귀리 추출물 10 mg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귀리 조성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귀리 추출물 1 mg을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귀리 추출물 1 mg을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 및 제조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 효능에 따라 인체에 얇게 도포하여 바를 수 있는 약제 즉, 연고로 제조에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귀리는, 귀리 종자를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귀리는, 귀리 종자에 SA(Salicilic acid), IAA(Indole acetic acid) 및 H2O2(Hydrogen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도인자를 처리하여 발아 유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는 선양, 대양, 조양, 수양 및 중모 200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쌀귀리; 또는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겉귀리; 중 어느 하나의 품종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아베난쓰라마이드 A, 아베난쓰라마이드 B 및 아베난쓰라마이드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농도는 1500 ㎍/g 잔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아베난쓰라마이드 C의 농도가 400 ㎍/g 잔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귀리 추출물은,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이 0.01 내지 2.0 g/100g 잔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전두측두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피질기저 퇴행증(corticobasal degener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다계통 위축병(multiple system atrophy),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치아적색창백핵 뤼체 위축병(dentato-rubro-pallido-luysian atrophy), 척수소뇌 실조병(spinocerebellar ataxia), 근육위축 가쪽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원발성 가쪽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척수 근육 위축병(spinal muscular a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귀리는, 귀리 종자를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는 선양, 대양, 조양, 수양 및 중모 200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쌀귀리; 또는 삼한, 동한, 하이스피드 및 조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겉귀리; 중 어느 하나의 품종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농도는 1500 내지 7000 ㎍/g 잔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전두측두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피질기저 퇴행증(corticobasal degener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다계통 위축병(multiple system atrophy),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치아적색창백핵 뤼체 위축병(dentato-rubro-pallido-luysian atrophy), 척수소뇌 실조병(spinocerebellar ataxia), 근육위축 가쪽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원발성 가쪽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척수 근육 위축병(spinal muscular a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137634A 2016-10-21 2016-10-21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34A KR101935500B1 (ko) 2016-10-21 2016-10-21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34A KR101935500B1 (ko) 2016-10-21 2016-10-21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48A true KR20180044048A (ko) 2018-05-02
KR101935500B1 KR101935500B1 (ko) 2019-01-04

Family

ID=6218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634A KR101935500B1 (ko) 2016-10-21 2016-10-21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65A (ko) * 2019-06-26 2021-0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발아 팽화 처리에 의해 증가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쌀귀리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75450A1 (en) * 2020-03-06 2021-09-10 Symrise Ag COMPOSITION OR OAT EXTRACT COMPRISING AVENANTHRAMIDE AND ß-GLUCAN
WO2021206436A1 (ko) * 2020-04-07 2021-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활성유도제를 이용한 아베난쓰라마이드 고함유 귀리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559B1 (ko) 2021-02-02 2024-07-01 (주)애터미오롯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증가된 발아귀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055A1 (en) * 2003-11-21 2007-11-01 Trustees Of Tufts College Therapeutic Avenanthramide Compoun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65A (ko) * 2019-06-26 2021-0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발아 팽화 처리에 의해 증가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쌀귀리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75450A1 (en) * 2020-03-06 2021-09-10 Symrise Ag COMPOSITION OR OAT EXTRACT COMPRISING AVENANTHRAMIDE AND ß-GLUCAN
CN115279333A (zh) * 2020-03-06 2022-11-01 西姆莱斯股份公司 包含燕麦蒽酰胺和β-葡聚糖的组合物或燕麦提取物
JP2023516452A (ja) * 2020-03-06 2023-04-19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アベナンスラミドおよびβ-グルカンを含む組成物またはエンバク抽出物
WO2021206436A1 (ko) * 2020-04-07 2021-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활성유도제를 이용한 아베난쓰라마이드 고함유 귀리의 제조 방법
CN115768257A (zh) * 2020-04-07 2023-03-07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利用活性诱导剂的富含燕麦蒽酰胺的燕麦制备方法
CN115768257B (zh) * 2020-04-07 2024-06-04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利用活性诱导剂的富含燕麦蒽酰胺的燕麦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500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59B1 (ko)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KR101935500B1 (ko)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3669B1 (ko)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귀리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3111B1 (ko)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1110145B2 (en) Composition for protecting cell from oxidative stress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KR20240023560A (ko)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44807A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0436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823673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KR101822393B1 (ko) 새싹땅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소야사포닌 i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7428A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3014A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56256A (ja) 経口投与組成物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KR102380295B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0868A (ko) 명월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를 기반으로 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5263B1 (ko) 양귀비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