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887A -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887A
KR20180004887A KR1020160084532A KR20160084532A KR20180004887A KR 20180004887 A KR20180004887 A KR 20180004887A KR 1020160084532 A KR1020160084532 A KR 1020160084532A KR 20160084532 A KR20160084532 A KR 20160084532A KR 20180004887 A KR20180004887 A KR 2018000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ontrol
household
informatio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812B1 (ko
Inventor
손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코스텍
Priority to KR102016008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 통신망을 통해 사물 인터넷 방식으로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웹서버에 의해 빅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된다

Description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auto control typ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적합한 세대환경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에서의 세대환경 제어 기술은 냉방비, 난방비, 전력, 수도, 또는 가스 등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매우 필요하다.
에너지 절약을 위한 조절 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들 중 하나는 2014년 5월 9일자로 대한민국에 등록된 특허 등록번호 10-1395784 호의 제목 "세대환경 자동 제어형 온도 조절 장치" 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에너지 절약관련 조절 장치는 사용자 개별로 세대환경의 제어가 어렵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세대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거주하는 경우에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맞춤형 세대환경의 제어가 수행되기 힘들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워치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인식한 후 그에 따라 세대환경을 최적 제어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세대환경의 자동 제어가 어려웠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빅 데이터 기반 세대환경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 통신망을 통해 사물 인터넷 방식으로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웹서버에 의해 빅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세대 내에 설치된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사물 인터넷 통신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웹서버에 의해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가 중계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웹서버에 의해 빅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가 구현된다. 따라서, 세대환경이 개별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최적으로 생성된 빅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의 개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가 전등 및 대기전력 차단스위치와 결합된 경우에 보여지는 외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의 난방온도 제어동작을 보여주는 타임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4는 도 1중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의 데이터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세대환경 조절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기능 모듈 구성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빅데이터 기반 최적 데이터 결정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들의 예시적 리스트 도면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 스마트 폰, 또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에 관한 세부 구성 혹은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와, 블루투스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또한 복수의 서브 제어부들(210,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월패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웹서버(300), 종합수신 제어기(400), 및 무선 AP(80:억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수 있다.
세대환경 자동 제어의 수행은 통신 단말기 그룹(10)내의 스마트 폰들(11-1~1n)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서의 상기 스마트 폰들(11~1n)은 세대환경 자동 제어의 수행을 위한 사용자 감지부 혹은 재실 감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와 복수의 서브 제어부들(210,211,212)간의 통신은 RS-485 통신이나 Z-Wave 통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Z-Wave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이다. Z-Wave는 지그비와 경쟁하고 있는 기술이다. Z-Wave는 덴마크 회사인 Zensys에서 개발되었다. Z-Wave는 Z-Wave Alliance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Z-Wave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더불어 홈 IoT의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Z-Wave는 900MHz 통신 대역을 사용한다. Z-Wave는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통신신호를 사용하므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보다 전파 도달 거리가 길다. Z-Wave는 소비전력도 100mW 미만이므로 전력 소모량도 와이파이 보다 적다.
Z-Wave 프로토콜은 낮은 대역폭의 반이중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제어 유닛에서 하나 혹은 여러 대의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노드에게 짧은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다. Z-Wave 프로토콜은 4 계층으로 구성된다. 4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라우팅 레이어, 트랜스퍼 레이어, 및 MAC 레이어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는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적재를 제어하는 계층이고, 라우팅 레이어(Routing Layer)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의 라우팅을 컨트롤하는 계층이다. 트랜스퍼 레이어(Transfer layer)는 프레임을 받거나 보내는 것을 제어하는 계층이고, MAC 레이어는 RF 매체를 제어하는 계층이다.
스마트 폰들(11~1n)은 웹서버(300)와 3G, 4G, 혹은 와이파이 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에 관련된 어플(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 폰들(11~1n)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들(11~1n)은 세대 환경 자동 제어부(200)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 폰들(11~1n)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스마트 폰들(11~1n)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설정된 타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 모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로 동작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TCP/IP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TCP/IP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무선 AP(8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블루투스 모듈(220)은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적용받기 위한 세대에 설치된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스마트 폰(예 11)으로 송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세대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의 역할을 한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양방향 BLE 통신을 수행하는 "HBT2X3N"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모듈(220)은 송신 전용의 싱글 모드, 혹은 수신 전용의 싱글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모듈(220)은 송신 및 수신을 모두 행하는 듀얼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기(이하 편의상 스마트 폰)로부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미리 학습 및/또는 설정된 환경으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한다.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도 2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블록 연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1)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콘(beacon)신호일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이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최대 7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5~10㎝ 단위의 위치 구별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브루투스 4.0 이상 프로토콜 기반의 블루투스 모듈은 전력 소모가 적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로서의 비콘 장치는 사물 인터넷(IoT) 구현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비콘 장치는 IoT 시대를 맞아 블루투스 기술을 다시 부활시키고 있는 통신 장치이다.
초기에 블루투스 기술은 스마트폰 도입 초기에 근거리 파일 공유 등의 기능 보유에 힘입어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블루투스 기술은 와이파이 망의 확산과 3G(3세대), LTE(4세대 이동통신) 요금 인하로 인해 사라져가는 기술로 전락했다. 그랬던 블루투스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은 LTE 등과는 달리, 고정 위치 기반 근거리 통신 기술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애초에 IoT 시대를 이끌 기술로 10㎝ 미만의 거리에 적용되는 태그 방식의 NFC(근접무선통신)가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NFC를 사용자들이 외면하면서 다시 비콘 장치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비콘 장치는 NFC보다 가용거리가 길다. GPS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실내 위치 정보 제공도 비콘 장치 만의 장점이다.
상기 스마트 폰(예 11)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들을 통해 세대환경 자동제어부(예 2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혹은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으며, 상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블루투스 4.0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비콘 기술이다. 애플의 비콘 기술인 아이비콘(iBeacon)이 발표된 이후부터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반의 비콘 기술을 일반적으로 비콘이라고 부른다. 비콘 기술의 경우 소량의 패킷 전송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비콘 기술은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광대역 통신(UWB)의 전송 주파수대역은 수㎓ 이상이다. 초광대역 통신(UWB)은 30Mbps∼50Mbps급인 무선랜에 비해 최소 100Mbps∼1Gbps급 속도를 보장한다. UWB는 무선랜보다 100Mbps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변동 없이 전송할 수 있어 HDTV 영상을 전송하는 데 적합한 기술로 평가 받으며, 전력소모도 무선랜의 10분의 1 수준이다. 반면 도달거리는 10m 정도이다. 상기 UWB는 초기 군사용도의 통신, 레이더 등에 응용됐지만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에서 생산되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요구가 커지면서 무선 홈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은 기존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WLAN 또는 UWB에 비해 10배 이상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갖고 있어 수 기가급 초고화질(풀HD급) 무압축 영상의 순간 전송이 가능하다. 60GHz 대역 초고속 무선전송기술표준은 전 세계 밀리미터파 대역 중 57∼66GHz 대역에 걸쳐 적게는 3.5GHz, 많게는 총 7∼9GHz에 달하는 넓은 대역을 이용한다. 이 통신 기술은 초고화질 영상을 Gbps급으로 초고속 무선 전송을 가능케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이다. 밀리미터파 통신에 의하면 스마트 폰에 저장된 2시간 분량의 영화(약 650Mb)를 10m 이내에 있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으로 단 1초 만에 전송할 수 있고 전송지연이나 화질 저하없이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을 가능케 한다. ISO/IEC 13156 표준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규격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하는 규격, 통신거리 및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화한 규격 등 총 3가지 타입의 규격으로 분류하고 있어 적용 기기 종류와 구현 기능 및 서비스를 고려해 기기의 최적 설계를 가능케 한다.
도 24는 도 1중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UART 라인(L11)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220)에 연결될 수 있다.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MCU(201), 제1 통신부(202), 제2 통신부(203),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204-1~ 204-n), 및 버튼 입력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MCU(201)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세대환경 자동 제어에 관련된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CU(2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ATmega64A"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는 예컨대 RS-485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는 월패드(60) 및 서브 제어부들(210,211,212)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는 "MAX485"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03)는 무선통신 망 예컨대 WiFi 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03)는 "ESP8266"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204-1~ 204-n)은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일괄 소등 스위치, 전등 스위치, 급기/환기 스위치, 냉방기, 난방 제어기, 또는 적외선 통신제어기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통신 제어기는 무선 청소기, T/V, 오디오, 에어컨, 또는 선풍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일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5)는 사용자의 설정 및 조작에 따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5)는 수신된 입력을 UART 또는 I/O 라인(L32)을 통해 MCU(201)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한 비콘 신호의 데이터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콘 데이터의 사이즈는 47byte이다. 도면에서, PDU(Protocol Data Unit) 중 비콘에서 정의한 Data 규격은 총 31 byte 이다.  Major 및 Minor는 각각 2byte 씩 할당된다. Major는 서비스그룹 또는 지역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Minor 는 같은 지역내에서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Tx power는 송출단에서 1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된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나타낸다. 비콘 신호의 송출 주기는 일반적으로 500ms(즉 1초에 2번)이며, 송출 주기는 1초에 10번부터 1.5초에 1번까지로 변경가능하다. 블루투스 모듈에 속하는 비콘 장치는 BLE로도 동작을 하고, BR/EDR로도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의 개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사용자가 세대 진입을 한후 거실 진입을 하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거실에 위치된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지닌 스마트 폰(예 11)으로부터 사용자 ID를 수신할 수 있다.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별로 미리 학습 및/또는 설정된 환경으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 세대환경 자동 제어는 세대 난방 시스템 가동, 세대 냉방 시스템 가동, 세대 전등 온, 세대 컨센트 온, 기타 세대 편의 장치 온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 스마트 폰(11)은 세대환경 조절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스마트 폰(11)은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1)은 세대환경 자동 제어에 관련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스마트 폰(11)으로부터 사용자 ID를 더 이상 수신하지 못한다. 외출로 인식된 경우에 세대환경 자동 제어는 세대 난방 시스템 조절, 세대 냉방 시스템 조절, 세대 전등 오프, 세대 컨센트 오프, 기타 세대 편의 장치 오프가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가 전등 및 대기전력 차단스위치와 결합된 경우에 보여지는 외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등 및 대기전력 차단스위치(2000A)와 세대환경 조절장치(2000B)가 하나의 제품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전등 및 대기전력 차단스위치(2000A)는 복수의 전등 버튼들과 복수의 콘센트 버튼들을 포함한다. 전등 및 대기전력 차단스위치(2000A)는 또한 설정 버튼 및 ALL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버튼은 특정한 전등이나 특정한 콘센트를 자동 제어의 대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ALL 버튼은 모든 전등이나 모든 콘센트를 자동 제어의 대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세대환경 조절장치(2000B)는 오토 어웨이 버튼(B2001)과 학습 버튼(B2002)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버튼(B2002)이 눌려진 경우에 세대환경 조절장치(2000B)는 학습 모드에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오토 어웨이 버튼(B2001)이 눌려진 경우에 세대환경 조절장치(2000B)는 외출 모드에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세대환경 조절장치의 난방온도 제어동작을 보여주는 타임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이전의 일반 모드, 학습 중 모드, 학습 모드 동작, 귀가별 동작 제어 모드에 대한 예시가 시간대별로 나타나 있다. 학습 중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각방 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된다. 학습 모드 동작에서는 학습된 온도로 각방 온도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귀가 혹은 외출인지의 유무에 따라 예를 들어 온도 제어가 현저히 다르게 수행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마스터 튠, 스마트 폰(예를 들어 도 1의 11), 및 웹서버(예 도 1의 300) 간의 연동 동작 제어 흐름이 통합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튠은 도 1의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를 가리킨다. 마스터 튠은 서브 제어부들(210~212)에 대한 마스터 튜닝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세대환경 조절장치의 버튼 입력부(도 24의 205)내에 마련된 사용자 등록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동작 S111이 수행된다.
동작 S112에서,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MCU(201)에 내장되거나 MCU(201)에 연결된 메모리를 검색하고 특정한 메모리 영역을 사용자 등록에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S113에서,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 등록을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
동작 S114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등록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115에서,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상기 등록 버튼을 스마트 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누르면 스마트 폰은 버튼 누름을 인식한다.
동작 S116에서, 스마트 폰은 등록 버튼의 누름을 인식하고 스마트 폰의 고유한 기기 정보와 등록 인증 정보를 세대환경 조절장치로 전송한다.
동작 S117에서,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와 등록 인증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동작 S118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와 등록 인증 정보를 미러링한다. 여기서 미러링은 전송된 데이터의 복사본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마스터 튠과 데이터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작 S119에서, 웹서버는 웹서버의 메모리에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와 등록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의 제어흐름에 따라 세대 구성원들 중 임의의 한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마스터 튠과 웹서버에 등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예 도 1의 220)은 송/수신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 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도 6에서, 학습 모드 동작에서의 통신은 웹서버(300)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2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2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213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예컨대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와 학습 시작 커맨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214에서, 마스터 튠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학습 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
동작 S215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저장한다. 동작 S215 부터는 1주 또는 한달 등과 같이 일정한 기간동안 학습 모드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동작 S216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에서 상기 등록된 스마트 폰을 찾는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튠으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218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스마트 폰이 재실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217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219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존재 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2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221에서,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221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215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222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스터 튠은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223에서, 스마트 폰은 백업 후 학습된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스마트 폰은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224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로만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모드(비콘 모드)로 동작한다. 즉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도 7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웹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3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3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313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예컨대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와 학습 시작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314에서, 마스터 튠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학습 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
동작 S315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저장한다. 동작 S315 부터는 1주 또는 한달 등과 같이 일정한 기간동안 학습 모드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동작 S316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에서 스마트 폰의 존재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기기 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즉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317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전송 타이머를 시작하고 전송 타이머 값을 증가시킨다.
동작 S318에서, 스마트 폰은 전송 타이머에 의한 전송 시간이 도래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319에서, 스마트 폰은 전송 시간의 도래 시 기기 정보를 마스터 튠으로 기기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동작 S3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32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즉 스마트 폰)가 있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즉 스마트 폰)가 재실 상태인 것으로 설정한다.
동작 S322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322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315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323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스터 튠은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324에서, 스마트 폰은 백업 후 학습된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스마트 폰은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325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만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한편,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도 8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웹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4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4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413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예컨대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와 학습 시작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414에서, 마스터 튠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학습 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
동작 S415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저장한다. 동작 S415 부터는 1주 또는 한달 등과 같이 일정한 기간동안 학습 모드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동작 S416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에서 상기 등록된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를 찾는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튠으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기기 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인 스마트 폰이 외출 상태임을 인식하고 현재의 상태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417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418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가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419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4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420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415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42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스터 튠은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422에서, 스마트 폰은 백업 후 학습된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스마트 폰은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423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만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한편,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로만 동작한다. 도 9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외부 경로 예컨대 홈넷 서버 및 웹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5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RS-485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12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학습 접속 커맨드를 수신하여 LAN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13에서, 웹서버는 상기 학습 접속 커맨드를 수신하여 3G, 4G, 혹은 LTE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상기 3G,4G, 및 LTE는 이하 이동통신망이라 칭해진다.
동작 S514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515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예컨대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와 학습 시작 커맨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16에서, 웹서버는 상기 학습 시작 커맨드를 수신하여 LAN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17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학습 시작 커맨드를 수신하여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518에서, 마스터 튠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학습 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
동작 S519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저장한다. 동작 S519 부터는 1주 또는 한달 등과 같이 일정한 기간동안 학습 모드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동작 S5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에서 상기 등록된 기기 즉 스마트 폰을 찾는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튠으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기기 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521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22에서, 웹서버는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홈넷 서버로 LAN을 통해 전송한다.
동작 S523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RS-485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524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525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526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526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은 동작 S519로 리턴된다.
동작 S527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스터 튠은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RS-485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28에서, 홈넷 서버는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LAN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529에서, 웹서버는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하고 학습된 데이터의 미러링을 위해 학습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530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일 실시 예의 학습 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 6 내지 도 9의 플로우챠트들과는 학습 시작의 주체가 다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도 송/수신 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도 10의 경우에 학습을 위한 통신은 웹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6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6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613에서, 스마트 폰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학습 시작 커맨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614에서, 마스터 튠은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서칭 신호에 포함한다.
동작 S615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에서 등록된 기기를 찾는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튠으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기기 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616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617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가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618에서, 스마트 폰은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동작 S619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 수신 후에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6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62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622에서, 마스터 튠은 튠 스위치에 상태 변화가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623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623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614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624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 종료 커맨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625에서, 스마트 폰은 종료 신호 수신 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동작 S625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된 데이터를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626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즉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도 11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웹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7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7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713에서, 스마트 폰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학습 시작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714에서, 마스터 튠은 해당 기기에 대한 학습 모드를 시작하고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여기서, 스마프 폰의 기기정보는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일 수 있다.
동작 S715에서, 스마트 폰은 기기정보(비콘 신호에 포함)의 전송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기기정의 전송 타이머의 값을 증가시킨다.
동작 S716에서, 스마트 폰은 기기 정보의 전송시간이 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717에서 스마트 폰은 기기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블루투스 통신은 전용 송신 모드 즉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하는 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718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719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가 있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720에서, 마스터 튠은 튠 스위치에 상태 변화가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721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722에서, 스마트 폰은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동작 S722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723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714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724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 종료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725에서, 스마트 폰은 종료 신호 수신 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동작 S725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된 데이터를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726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도 12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웹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8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812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813에서, 스마트 폰은 메모리를 할당하고 학습 시작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814에서, 마스터 튠은 해당 기기에 대한 학습 모드를 시작하고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여기서, 스마프 폰의 기기정보는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일 수 있다. 마스터 튠은 등록된 기기의 서칭신호를 스마트 폰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은 비콘 신호를 송신만하게 되는 싱글 모드를 의미한다.
동작 S815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신호를 수신 후 기기정보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816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학습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817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가 있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818에서, 마스터 튠은 튠 스위치에 상태 변화가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819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820에서, 스마트 폰은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동작 S82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821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814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822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 종료 커맨드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823에서, 스마트 폰은 종료 신호 수신 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미러링한다. 동작 S823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된 데이터를 3G,4G,혹은 WiFi 통신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824에서, 웹서버(설치된 경우에 한함)는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학습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학습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한다.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도 13에서, 학습을 위한 통신은 외부 경로 예컨대 홈넷 서버 및 웹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911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버튼이 예를 들어 길게 눌려졌을 경우에 학습 접속 커맨드를 RS-485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12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학습 접속 커맨드를 수신하여 LAN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13에서, 웹서버는 상기 학습 접속 커맨드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914에서, 스마트 폰은 앱의 학습 버튼을 활성화한다.
동작 S915에서, 스마트 폰은 메모리 할당 후에 학습 시작 커맨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16에서, 웹서버는 상기 학습 시작 커맨드를 수신하여 LAN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17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학습 시작 커맨드를 수신하여 RS-485 통신을 통해 상기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918에서, 마스터 튠은 마스터 튠은 해당 기기에 대한 학습 모드를 시작하고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여기서,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는 스마트 폰 ID, 또는 스마트 폰의 BDA일 수 있다. 마스터 튠은 등록된 기기의 서칭신호를 스마트 폰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은 비콘 신호를 송신만 하게 되는 싱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S919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서칭신호를 수신 후 기기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20에서, 웹서버는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홈넷 서버로 LAN을 통해 전송한다.
동작 S921에서, 홈넷 서버는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RS-485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922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될 대상의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가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923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기기가 있는 경우에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학습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924에서, 마스터 튠은 튠 스위치에 상태 변화가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925에서, 마스터 튠은 상기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RS-485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26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27에서, 웹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하고 이를 스마트 폰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동작 S928에서, 스마트 폰은 전등 상태, 전열 상태, 및 난방 온도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동작 S929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929에서, 학습 종료가 아니면 동작 S918로 동작은 리턴된다.
동작 S93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종료인 경우에 학습 종료 커맨드를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RS-485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31에서, 홈넷 서버는 학습된 데이터가 미러링되도록 학습된 데이터를 LAN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932에서, 웹서버는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백업하고 학습된 데이터의 미러링을 위해 학습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동작 S933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학습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제부터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이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 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1011에서,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0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013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S1014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인지를 체크한다.
동작 S1015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이 아니면 일반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한다.
동작 S1016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이면 학습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한다.
동작 S1017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동작 S1018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가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019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제어 대상 기기를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020에서, 마스터 튠은 학습 모드로 동작 중인 스마트 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1021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학습 모드 하에서 수행한다.
동작 S1022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수행한다. 여기서, 일반동작 모드는 학습 모드가 아닌 제어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동작 모드에서는 학습된 모드로 제어동작이 실시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된 빅 데이터 따라 제어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 로 동작한다. 즉,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1111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1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 즉 학습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113에서, 스마트 폰은 기기정보 전송 타이머의 타임 카운트를 시작하고 카운트 값을 증가시킨다.
동작 S1114에서, 스마트 폰은 비콘 신호의 전송 시간이 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115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모드가 학습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인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학습 모드의 동작이면 동작 S1117이 수행되고, 학습 모드의 동작이 아니면 동작 S1116이 수행된다.
동작 S1116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변경한다.
동작 S1118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일반 모드 혹은 학습 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1119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120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121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중인 스마트 폰이 학습 모드로 동작 중인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122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학습 모드 하에서 동작시킨다.
동작 S1123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실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 로 동작한다.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1211에서,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2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213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전송한다.
동작 S1214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215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216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중인 스마트 폰이 학습 모드로 동작 중인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217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학습 모드 하에서 동작시킨다.
동작 S1218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일반동작 모드에서는 학습된 모드로 제어동작이 실시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된 빅 데이터 따라 제어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 로 동작한다.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제1 외부 경로 예컨대 웹서버를 통하여 수행된다.
동작 S1311에서,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3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313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1314에서, 웹서버는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S1315에서, 웹서버는 상기 수신된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1316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317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318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중인 스마트 폰이 학습 모드로 동작 중인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319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학습 모드 하에서 동작시킨다.
동작 S1320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일반동작 모드에서는 학습된 모드로 제어동작이 실시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된 빅 데이터 따라 제어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마스터 튠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 로 동작한다. 도 18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제2 외부 경로 예컨대 웹서버 및 홈넷 서버를 통하여 수행된다.
동작 S1411에서,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4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을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413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1414에서, 웹서버는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S1415에서, 웹서버는 상기 수신된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LAN 통신을 통해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1416에서, 홈넷 서버는 상기 수신된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TCP/IP 통신(RS-485 통신)망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1417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418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419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중인 스마트 폰이 학습 모드로 동작 중인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420에서, 학습 모드임을 인식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학습 모드 하에서 동작시킨다.
동작 S1421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일반동작 모드에서는 학습된 모드로 제어동작이 실시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된 빅 데이터 따라 제어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수신 모드 즉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도 19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1511에서, 마스터 튠은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15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스마트 폰 즉 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513에서, 스마트 폰은 서칭 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S1514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인지를 체크한다.
동작 S1515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이 아니면 일반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한다.
동작 S1516에서, 스마트 폰은 학습 모드가 동작 중이면 현재 시간에 제어 옵션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517에서, 스마트 폰은 제어 커맨드를 전송 신호에 싣는다. 즉, 탑재한다.
동작 S1518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제어 옵션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학습 모드로 변경한다.
동작 S1519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동작 S1520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상태 인지를 체크한다.
동작 S1521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결국, 현재의 상태는 사용자가 세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재실 상태로 설정된다.
동작 S1522에서, 마스터 튠은 제어 명령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523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제어 이벤트에 따라 수행한다. 즉,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를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반동작 모드에서는 학습된 모드로 제어동작이 실시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된 빅 데이터 따라 제어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도 20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동작 S1611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612에서, 마스터 튠은 카운트 다운이 오버되면 해당 스마트 폰 즉 기기를 외출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613에서, 스마트 폰은 기기정보 전송 타이머의 타임 카운트를 시작하고 카운트 값을 증가시킨다.
동작 S1614에서, 스마트 폰은 비콘 신호의 전송 시간이 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615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모드가 학습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인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학습 모드의 동작이면 동작 S1617이 수행되고, 학습 모드의 동작이 아니면 동작 S1616이 수행된다.
동작 S1616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변경한다.
동작 S1617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시간에 제어 옵션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618에서, 스마트 폰은 제어 커맨드를 전송될 비콘 신호에 탑재한다.
동작 S1619에서, 스마트 폰은 현재의 동작 모드를 학습 모드로 변경하고 그에 따라 전송될 신호를 변경한다.
동작 S1620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일반 모드 혹은 학습 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동작 S1621에서, 마스터 튠은 재실 기기 즉 스마트 폰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622에서,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이 재실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카운트 다운을 초기화하고 스마트 폰을 재실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 S1623에서, 마스터 튠은 제어 명령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1624에서, 마스터 튠은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이벤트를 수행한다.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각방의 전등, 전열, 난방 온도 제어가 학습 모드 또는 일반동작 모드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 로 동작한다. 도 21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웹서버를 통함이 없이 내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도 21에서의 동작들은 아래의 2 동작을 제외하면 도 20의 동작들과 실질적으로 같다.
동작 S1711에서, 마스터 튠은 마스터 튠은 기기 서칭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튠은 스마트 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 수신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동작 S1719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일반 모드 혹은 학습 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 로 동작한다. 도 22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제1 외부 경로 예컨대 웹서버를 통하여 수행된다.
도 22에서의 동작들은 아래의 동작들을 제외하면 도 21에서의 동작들과 실질적으로 같다.
동작 S1819에서,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이동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한다.
동작 S1820에서, 웹 서버는 상기 스마트 폰의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S1821에서, 웹서버는 수신된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일반 모드 혹은 학습 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이 세대환경 제어 데이터를 메인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즉, 마스터 튠의 블루투스 모듈은 비콘신호를 송신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도 23에서, 세대환경 제어 모드 동작은 제2 외부 경로 예컨대 웹서버 및 홈넷 서버를 통하여 수행된다.
도 23에서의 동작들은 아래의 동작들을 제외하면 도 22에서의 동작들과 실질적으로 같다.
동작 S1921에서, 웹서버는 수신된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일반 모드 혹은 학습 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홈넷 서버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는 LAN 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동작 S1922에서, 홈넷 서버는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를 마스터 튠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의 기기 정보는 TCP/IP(RS-485)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빅 데이터 기반 세대환경 조절장치에 관한 개시가 설명될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세대환경 조절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세대환경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예 11)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콘(beacon)신호를 이용한 통신일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폰에서 수신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세대환경 조절장치는 또한, 상기 통신 모듈(220)과 연결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예 11)의 위치 및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들은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소리 센서, 냄새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상기 생성된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중계 통신망을 통해 사물 인터넷 방식으로 웹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예 11)에 대응하여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예 난방기 204-1)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웹서버(300)에 의해 빅 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는 무선 또는 유선(예를 들어 RS 485)을 통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204-1, 204-2, 204-n)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대상 기기들은 난방기, 냉방기, 세탁기, 청소기, 도어록, 정수기, 금고, 가스밸브, 전등 스위치, 컨센트, 홈블랙박스, 가습기, 및 요리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예 11)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300)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예 11)는 도 26에서 통신 단말기 그룹(10)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스마트 폰들(11-1~n)은 웹서버(300)와 3G, 4G, 혹은 와이파이 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들(11~1n)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스마트 폰들(11-1n)은 세대환경 자동 제어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활성화 모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로 동작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월패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환경 조절 시스템은 웹서버(300), 수집서버들(320,330), 종합수신 제어기(400, 또는 홈넷 서버), 및 무선 AP(80: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통합 네트워크(310)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 및 무선 AP(8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 및 월패드(6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예 11)간의 통신은 이동 통신망을 개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합 네트워크(310)는 상기 중계 통신망으로서 기능하며, 유무선 통합 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20)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세대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의 역할을 한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양방향 BLE 통신을 수행하는 "HBT2X3N"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가 구현되므로, 개별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최적으로 생성된 빅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대환경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기능 모듈 구성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300)는, 수집 서버로서 기능하는 기상 서버와 연결되어 날씨나 기후 등의 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환경 정보 추출 모듈(301)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추출 모듈(302)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모듈 및 건물 에너지 지수 추출 모듈(303)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재실, 외출, 및 취침의 상태를 결정하는 행동 패턴 추출 모듈(304)과, 상기 세대 내의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를 추출하는 성능 지수 추출 모듈(3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 추출 모듈(301)은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가 위치된 지역의 날씨, 외기 온도, 습도, 기타 기후 관련 환경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추출 모듈(302)은 상기 세대의 아파트 브랜드 네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브랜드 네임이 "내미안" 또는 "휠 스테이투" 인지에 따라 89, 94를 브랜드 네임 팩터 값으로서 각기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고 팩터 값은 예를 들어 100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상기 브랜드 네임 팩터 값은 상기 세대가 속해 있는 지역마다 상이하게 주어진다. 상기 브랜드 네임 팩터 값은 아파트의 공사기간, 아파트 건축 시의 콘크리트 양성 시기, 분양 단가, 평당 관리비, 주민 선호도 등과 같은 팩터들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복동 2차 휠 스테이투는 브랜드 네임 팩터 값이 상기 내미안의 팩터 값 보다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모듈 및 건물 에너지 지수 추출 모듈(303)은 상기 세대에 관련된 고유 팩터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브랜드의 아파트라고 하더라도 남향이냐 동향이냐 등에 따라 건물 위치별 팩터 값이 다르게 될 수 있다. 또한, 아파트의 동, 층, 호수에 따라 건물 위치별 팩터 값이 다르게 될 수 있다. 건물 위치별 팩터 값이 추출되면 이에 의존하여 건물 에너지 지수가 각 세대별로 고유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행동 패턴 추출 모듈(304)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재실, 외출, 및 취침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예 11)가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외출 중인 것으로 결정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예 11)와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범위 이내이고 근거리 통신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재실 중인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그러한 재실 중인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동체 감지 센서 및/또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의 감지출력을 분석함에 의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취침 중 인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세밀한 행동 패턴 추출은 에너지 절감을 기본적으로 행하는 가운데 보다 최적인 세대환경 자동제어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해준다.
한편, 성능 지수 추출 모듈(305)은 상기 세대 내의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난방기기 예를 들어 경덩 콩뎅싱 보일러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서 제어할 경우에 구입 시기 및 제조 시기가 언제 되었는 지의 유무에 따라 성능 지수는 다르게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모듈들(301-305)로 부터 추출된 멀티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최적으로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 결정 모듈(3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제어동작 모드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망을 통해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로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세대환경 관련 빅 데이터 저장 서버로서 기능한다. 상기 웹서버(300)는 도 26의 세대 환경 자동제어부(200)와 IoT 방식으로 연결되어 세대환경 관련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7의 빅데이터 기반 최적 데이터 결정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동작 S2910에서 상기 웹서버(300)는 환경 정보,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건물 에너지 지수, 행동 패턴, 및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 중의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는 각종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각종 자료 및 정보는 IoT 통신 방식으로 수집서버들(320,330)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제어부(2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동작 S2920에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수집된 자료 및 정보에 근거하여 세대환경 자동 제어관련 멀티 정보를 추출한다.
동작 S2930에서, 상기 웹서버(300)는 데이터 제공 시점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데이터 제공 시점은 상기 웹서버(300)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200)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시점이 되면 동작 S2940에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구성한다. 동작 S2950에서 상기 웹서버(300)는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결정 및 제공한다. 결국, 동작 S2950에서 각 세대별 멀티 정보(외출/재실,취침 여부, 동, 층, 향, 브랜드 네임, 제어대상 기기 성능 등)에 대응되는 최적의 제어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동작 S2960에서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 구성을 새롭게 갱신할 필요가 있는 지를 결정하는 갱신 필요의 여부가 체크된다.
갱신 필요로 체크될 경우에 갱신 준비를 수행하는 동작 S2970을 통해,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새로이 갱신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들의 예시적 리스트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다양한 IoT 장치들이 인터넷(140)과 연결된 제어장치(110)에 연결된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제어장치(110)는 도 26의 세대환경 자동제어부(200)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1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다양한 IoT 장치들(120-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110)는 단독 기기(stand-alone device)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110)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home networking controller), 셋탑박스(set-top box), 미디어 장치((예를 들어, 삼성 홈싱크TM, 구글 TVTM, 애플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XBOXTM, 소니 플레이스테이션TM),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network access point), 보안 제어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또는 홈 환경 제어 장치(home climate controller)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10)는 다양한 외부 전자장치들(IoT 장치들)(120 내지 130)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신 방식들의 예들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BLE(bul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transmission, IR) 또는 초음파 통신(ultrasoun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110)는 상기 IoT 장치들(120-130)과 연결되어, 상기 IoT 장치들(120-130)을 제어하고, 상기 IoT 장치들(120-130)과 데이터를 통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110)는 상기 IoT 장치들(120-13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버 또는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들)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clou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에서는, 상기 제어장치(110)와 유사한 다른 장치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특정 목적(예를 들어, 광고)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110)은, 개인 클라우드 (예를 들어, DropboxTM, iCloudTM, SugarSyncTM,SkydriveTM, Google DriveTM 등)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IoT 장치들(120 내지 130)은, 가정용 기기(예: TV(120), 냉장고(123), 오븐(125), 세탁기, 건조기 등), 전등 시스템(122), 화재 경보 시스템(121), 계량기(예: 전기계량기(electricity meter)(126), 가스 계량기 등), 태양광 발전 시스템(solar power system), 스프링클러 시스템(sprinklersystem)(124), 온도 조절 시스템(thermostat)(127), 또는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다양한 IoT 장치들이 상기 제어장치(1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장치(100-1, 100-2)(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컴퓨팅 장치) 및/또는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 (129) 또는 스마트워치 (130))은, 상기 제어 장치(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1 또는 100-2)는, 상기 제어장치(110)를 통하여, 다양한 IoT 장치들(120 내지 1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1)는 상기 제어장치(110)와 근거리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 블루투스,BLE, 지그비, 적외선 통신(IR) 또는 초음파 통신 등)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0-2)는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자장치(100-1)은, 위치에 따라, 통신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장치(100-1)은, 상기 제어장치(110)와 가까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고, 상기 제어장치(110)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장치(110)는, 선택적으로, 상기 TV (12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TV(12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의 통신 방식이나 세부 구성이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7)

  1.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 통신망을 통해 사물 인터넷 방식으로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웹서버에 의해 빅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는 상기 세대 내의 온도 조절 및/또는 전등 온오프가 수행되도록 구성된 세대환경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망은 유무선 통합망인 세대환경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세대환경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는 난방기, 냉방기, 세탁기, 청소기, 도어록, 정수기, 금고, 가스밸브, 전등 스위치, 컨센트, 홈블랙박스, 가습기, 및 요리기 중 적어도 하나인 세대환경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기상 서버와 연결되어 날씨나 기후 등의 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환경 정보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모듈 및 건물 에너지 지수 추출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재실, 외출, 및 취침의 상태를 결정하는 행동 패턴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 내의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를 추출하는 성능 지수 추출 모듈과;
    상기 모듈들로 부터 추출된 멀티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최적으로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 결정 모듈과;
    상기 제어동작 모드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망을 통해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로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환경 정보,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건물 에너지 지수, 행동 패턴, 및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 중의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는 각종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자료 및 정보에 근거하여 멀티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제공 시점이 되면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구성하고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결정 및 제공하고;
    갱신 필요시에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8.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세대 내에 설치된 센서들의 센싱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사물 인터넷 통신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웹서버에 의해 결정된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가 중계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세대환경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중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멀티정보 기반 적응적 제어 데이터는 상기 중계 통신망에 연결된 기웹서버에 의해 빅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제공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동작 모드 정보는 재실, 취침, 및 외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는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일괄 소등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대환경 조절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는 적외선 통신 제어기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대환경 조절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망은 유무선 통합망을 통해 연결된 종합수신 제어기, 홈넷 서버, 및 월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일괄 소등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대환경 조절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통신 제어기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대환경 조절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내 제어대상 기기는 보일러,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전동커튼, 습도조절기, 도어록, 정수기, 금고, 가스밸브, 전등 스위치, 컨센트, 홈블랙박스, 가습기, 및 요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세대환경 조절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기상 서버와 연결되어 날씨나 기후 등의 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환경 정보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에 관련된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모듈 및 건물 에너지 지수 추출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재실, 외출, 및 취침의 상태를 결정하는 행동 패턴 추출 모듈과;
    상기 세대 내의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를 추출하는 성능 지수 추출 모듈과;
    상기 모듈들로 부터 추출된 멀티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최적으로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 결정 모듈과;
    상기 제어동작 모드 정보의 수신 시에 상기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망을 통해 상기 세대환경 자동 제어부로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환경 정보, 공동주택 브랜드 팩터, 건물 위치별 팩터 추출, 건물 에너지 지수, 행동 패턴, 및 제어대상 기기의 성능 지수 중의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는 각종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자료 및 정보에 근거하여 멀티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제공 시점이 되면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구성하고 적응적 제어 데이터를 결정 및 제공하고;
    갱신 필요시에 상기 멀티정보 기반 사용자별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KR1020160084532A 2016-07-05 2016-07-05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KR10185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32A KR101858812B1 (ko) 2016-07-05 2016-07-05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32A KR101858812B1 (ko) 2016-07-05 2016-07-05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887A true KR20180004887A (ko) 2018-01-15
KR101858812B1 KR101858812B1 (ko) 2018-05-16

Family

ID=6100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532A KR101858812B1 (ko) 2016-07-05 2016-07-05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3023A (zh) * 2018-12-19 2019-06-25 吉林大学 基于低功耗广域网的网联车管理系统
KR20190095616A (ko) * 2018-01-26 2019-08-16 주식회사 큐비츠 와이파이 엑세스 포인트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이용 시스템
KR102035818B1 (ko) * 2019-01-07 2019-10-24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클라우드 기반 건물 냉난방 제어로직 자동 생성방법
KR102083739B1 (ko) * 2018-10-01 2020-03-04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90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가 설치형 보안 시스템
KR20200028596A (ko) * 2018-09-07 2020-03-17 원종석 경첩을 이용한 스마트 환경 정보 모니터링 장치
WO2020085573A1 (ko) * 2018-10-23 2020-04-30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68861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동일 실내공간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68B1 (ko) * 2006-03-31 2007-11-07 (주)더싸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단말기
KR101395784B1 (ko) * 2012-07-02 2014-05-28 (주)한성테크놀러지 세대환경 자동 제어형 온도 조절 장치
CN106196416B (zh) * 2014-08-15 2019-07-2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智能空调控制系统及其智能控制方法
KR101543651B1 (ko) * 2015-03-13 2015-08-11 원시스템주식회사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 자동전력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16A (ko) * 2018-01-26 2019-08-16 주식회사 큐비츠 와이파이 엑세스 포인트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이용 시스템
KR20200028596A (ko) * 2018-09-07 2020-03-17 원종석 경첩을 이용한 스마트 환경 정보 모니터링 장치
KR102083739B1 (ko) * 2018-10-01 2020-03-04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90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가 설치형 보안 시스템
WO2020085573A1 (ko) * 2018-10-23 2020-04-30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68861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동일 실내공간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CN109933023A (zh) * 2018-12-19 2019-06-25 吉林大学 基于低功耗广域网的网联车管理系统
CN109933023B (zh) * 2018-12-19 2024-02-13 吉林大学 基于低功耗广域网的网联车管理系统
KR102035818B1 (ko) * 2019-01-07 2019-10-24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클라우드 기반 건물 냉난방 제어로직 자동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12B1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12B1 (ko) 빅 데이터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KR101858811B1 (ko) 사용자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US11324074B2 (en)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US20240121133A1 (en) Wireless internet of things, climate control and smart home system
CN103499960B (zh) 智能家居无线控制系统
CN103604198B (zh) 智能空调控制系统
US9521614B2 (en) Power efficient method for Wi-Fi home automation
CN103529782B (zh) 智能家居无线控制系统
CN103095903B (zh) 一种通过手机遥控机顶盒的方法及系统
KR101405688B1 (ko) 지그비 시스템
CN102932216A (zh) 智能家居无线网元管理系统
KR101840112B1 (ko)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CN203054541U (zh) 家用电器控制系统
CN110796844A (zh) 一种无线遥控的方法
US11425199B2 (en) Home network u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ing protocols
CN107632594B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电器集中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204215175U (zh) 一种多开关模式的智能插座
KR20190076332A (ko) 지능형 IoT 기반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모델
CN105204455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系统
KR20180004885A (ko) 사용자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CN205787972U (zh) 楼宇节能控制装置
KR102335420B1 (ko)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CN203773294U (zh) 智能家居无线控制系统
CN205581536U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204392303U (zh) 一种基于安卓系统的智能家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