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33A - Air cleanning System - Google Patents
Air cleann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833A KR20180003833A KR1020160083477A KR20160083477A KR20180003833A KR 20180003833 A KR20180003833 A KR 20180003833A KR 1020160083477 A KR1020160083477 A KR 1020160083477A KR 20160083477 A KR20160083477 A KR 20160083477A KR 20180003833 A KR20180003833 A KR 201800038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ction pipe
- cleaning device
- dust
- in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BAZGMLMVVQSCD-UHFFFAOYSA-N carbon dioxide;molecular oxygen Chemical compound O=O.O=C=O UBAZGMLMVVQSC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24F3/1603—
-
- F24F11/008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24F2011/0023—
-
- F24F2011/0026—
-
- F24F2011/0028—
-
- F24F2011/0091—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인 흡입관로에 흡입관로 청소장치, 공기 송출기와 공기 정화기를 연결하는 통로인 관로에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여, 관로의 내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고 송출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에 각각 결속부 또는 제2결속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송출되는 공기가 흡입필터, 흡입관로 청소장치, 관로 청소장치 및 3차필터를 거쳐 4중으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통해 에어컨 및 히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that includes a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 duct cleaning device in a duct which is a passage connecting an air blower and an air purifier to a suction pipe as a passage for sucking outdoor air,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pipe clean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structure of a binding portion or a second binding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air,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pipe cleaning device are connected to the fan so that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channel cleaning device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through one drive motor, The air pollutants can be quadrupled through air cleaners, pipeline cleaners, and tertiary fil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a clean air to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through a clean air injection 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인 흡입관로에 흡입관로 청소장치, 공기 송출기와 공기 정화기를 연결하는 통로인 관로에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여, 관로의 내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고 송출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에 각각 결속부 또는 제2결속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흡입관로 청소장치 및 관로 청소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송출되는 공기가 흡입필터, 흡입관로 청소장치, 관로 청소장치 및 3차필터를 거쳐 4중으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통해 에어컨 및 히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that includes a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 duct cleaning device in a duct which is a passage connecting an air blower and an air purifier to a suction pipe as a passage for sucking outdoor air,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pipe clean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structure of a binding portion or a second binding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air,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pipe cleaning device are connected to the fan so that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channel cleaning device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through one drive motor, The air pollutants can be quadrupled through air cleaners, pipeline cleaners, and tertiary fil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a clean air to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through a clean air injection duct.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청정한 공기로 바꾸어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converts contaminated air into clean air and supplies it to the room.
공기의 순환이 어려운 실내는 더욱 오염된 공기의 유입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황사먼지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창문을 닫는 것은 오염공기나 미세 먼지의 유입은 차단하지만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와 산소 농도의 감소를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창문을 닫아 오염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후에 청정한 공기의 공급이 필요하다.Indoor air-circulation rooms are vulnerable to inflow of more polluted air. Closing the window to prevent the entry of dust and dirt will block the inflow of polluted air or fine dust, but it can not prevent the increase of the indoor CO2 concentr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oxygen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clean air after closing the window to block the inflow of polluted air.
종래의 실내 공기 청정장치는 주로 실내에 유입된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거르는 방식이다. 따라서, 실외에서 실내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 또는 여과장치 등을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나, 실외기와 실내기를 이어주는 관로에 청소 장치가 없어, 관로에 먼지나 오물이 쌓일 수 있으며, 이 먼지는 공기 송출시에 함께 배출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indoor air cleaning apparatus is a method of filtering contaminants mainly in the air introduced into a roo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low of polluted air into the room outside the room can not be prevented. Further, the pollutant can be filtered through a filter or a filtration device. However, since there is no cleaning device in the pipeline connect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dust or dirt may accumulate in the duct, and the dust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air There is a problem.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공개특허공보 특2014-0074047 (2014. 06. 17, 공개)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Publication No. 2014-0074047 (Apr. 201, 2014, publishe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역시,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연결여부에 따라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고, 공기청정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장치로서, 실내의 공기청정 및 온도유지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을 뿐이다.The conventional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er"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also outputs an air clean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or not, and when the air clean signal is inputted, This is a device that filters the pollutants, and only focuses on air cleaning and temperature maintenance in the room.
즉, 기존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들은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또는 여과부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부나 관로에 대한 청소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관로에 먼지가 쌓일수 있으며, 이 먼지는 공기 송출시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는 관로 청소를 위해 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관로의 청소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That is, the air cleaners disclosed in the prior art are focused only on a filter or a filtration part for filtering contaminants, and there is no cleaning device for a connection part or a channel of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his dust can be discharged together with air, or it is troublesome to separate the apparatus for cleaning the duct. Therefore, development of a pipe cleaning apparatu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공기 송출기와 실내 공기 정화기를 연결하는 관로에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고, 관로 청소장치가 관로를 깨끗하게 청소하여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that includes a duct cleaning device in a duct connecting an outdoor air discharger and an indoor air cleaner, and the duct cleaning device cleans a duct to provide clean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가 청정공급 시에는 이동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관로 필터의 기능을 하고, 관로 청소 시에는 내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어 깨끗한 공기를 송출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cleaning device for a duct cleaning device that functions as a duct filter for adsorbing contaminants in moving air when cleanly supplying the air, and discharges clean air by discharging pollutants adhering to the inside wall And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 공기 송출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구동시 발생하는 모터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which is installed outside an outdoor air dispenser to prevent indoor noise of motor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송출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o be sent out to the room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th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 공기 송출기에 있는 흡입 필터,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를 이용한 2차 필터, 실내 공기 정화기에 있는 3차 필터로 3중으로 미세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 air supply system for a room air purifier, which comprises a suction filter in an outdoor air dispenser, a second filter using a dust removing unit of a duct cleaning apparatus, and a tertiary filter in an indoor air purifi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막형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시 판막형 개폐장치가 열려서 실내의 청정한 공기를 관로에 유입하여 관로를 청소하고 관로내의 먼지를 제거 할 수 있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capable of cleaning clean a duct and removing dust in a duct by introducing clean indoor air into a duct by opening a valv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속부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cluding a bundling portion and connecting the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fan to clean the duct by a single driving mo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기 위한 공기송출기의 전반부에 흡입관로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 which a suction pipe is installed in a front part of an air discharger for discharging outside air to a room so that external air can be suck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관로의 끝단부에 흡입필터를 설치하여,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 which a suction filter is installed at an end portion of a suction pipe to prevent pollutants in the air entering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결속부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전자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며, 전자제어기에 따라 구동모터가 전방과 후방 중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 방향으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ct cleaning device and a fan that can be cleaned in a duct by a single driving motor by connecting the duct cleaning device and the fan to each other in a desired dir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pipeline can be cleaned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컨 및 히터의 냉온방용 공기 흡입구에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연결하여 에어컨 및 히터로 청정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that connects a clean air injection duct to an air intake port of a cold air heater and a heater to directly supply clean air to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 및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산소,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먼지의 포화도를 모니터에 그래프 및 수치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capable of visually check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carbon dioxide,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of dust detected by the oxygen senso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the dust senso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에 있는 흡입 필터,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 실내 공기 정화기에 있는 3차 필터로 4중으로 미세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o provide a clean air supply system.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기 위한 공기송출기와, 실내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정화기와, 상기 공기송출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인 흡입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에는 흡입관로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흡입관로 청소 기능을 갖는 흡입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discharger for discharging outside air to the room, an air purifi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room, and an air purifier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r, And a suction pipe line for sucking contaminants in the suction pipe line and having a function of cleaning the suction pipe by a suction pi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흡입관로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의 오물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인 흡입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ipe, and the inflow of dirt of air entering from the outside is primari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filter which is a component for shutting of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는, 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시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흡입관로의 내벽과 마찰되는 먼지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제거부는 촘촘한 솔잎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 유입시에는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흡입관로 청소시에는 흡입관로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includes a rotary shaft that i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channel cleaning device, And the dust removing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ne pine needles to function as a filter for removing dust when the outside air flows in. When the dust removing unit is cleaned by the suction pipe, And the dust adhered to the suction pipe passage is rem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송출기는, 공기를 송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을 탈착식으로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돌출부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로 청소장치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축 방향으로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팬의 회전방향에 따른 관로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안착부가 체결 또는 해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r includes a fan for sending air,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fa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And a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the proj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shaft in the direction of the channel cleaning device The seat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can be fastened or dis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duct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송출기는, 공기를 송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을 전자식으로 연결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부는,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회전축에 접합되어 있는 제1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제2결속부의 타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구동축에 접합되어 있는 제2동력전달장치와, 기어형태의 부품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는 축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축연결장치는 상기 제1동력전달장치가 제2동력전달장치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r includes a fan for sending air,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fa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the inside thereof,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which penetrat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inding portion to the driving shaft and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by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from the gear- Wherein the shaft connecting device allow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는, 에어컨 및 히터의 공기 흡입구에 청정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clean air injection pipe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clean air to the air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and heat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실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를 통해 공기의 송출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와, 상기 흡입관로에 쌓인 먼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를 통해 관로상의 먼지 제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흡입관로 먼지 센서와,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표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a room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air through the controller A dust sensor for detecting a dust accumulated in the suction pipe and for removing dust on the pipe through the controller, and a state expression unit for expressing the state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공기송출기와 공기정화기를 연결하는 통로인 관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관로에는 관로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관로 청소 기능을 갖는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uct which is a passage for connecting the air discharger and the air purifier, wherein the duct absorbs contaminants in the duct, And a pipe clean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실외 공기 송출기와 실내 공기 정화기를 연결하는 관로에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고, 관로 청소장치가 관로를 깨끗하게 청소하여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duct cleaning device is installed in a duct connecting the outdoor air discharger and the indoor air purifier, and the duct cleaning device cleans the duct to provide clean air.
본 발명은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가 청정공급 시에는 이동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관로 필터의 기능을 하고, 관로 청소 시에는 내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어 깨끗한 공기를 송출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charging clean air by discharging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inner wall at the time of pipeline cleaning, while functioning as a channel filter for adsorbing contaminants in the moving air when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channel cleaning apparatus is cleanly supplied .
본 발명은 실외 공기 송출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구동시 발생하는 모터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n outdoor air dispenser outdoors to shut off the indoor noise of motor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본 발명은 실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송출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o be sent out to the room from outside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the room.
본 발명은 실외 공기 송출기에 있는 흡입 필터,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를 이용한 2차 필터, 실내 공기 정화기에 있는 3차 필터로 3중으로 미세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fine dust in triple by the suction filter in the outdoor air dispenser, the second filter using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duct cleaning apparatus, and the third filter in the indoor air purifier.
본 발명은 판막형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시 판막형 개폐장치가 열려서 실내의 청정한 공기를 관로에 유입하여 관로를 청소하고 관로내의 먼지를 제거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lve-typ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has an effect that when a pipe is cleaned, a valve-type opening / closing device is opened, clean air in the room flows into a pipe to clean the pipe and remove dust in the pipe.
본 발명은 결속부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necting a pipe cleaning device and a fan, including a binding portion, to enable cleaning in a channel with a single drive motor.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기 위한 공기송출기의 전반부에 흡입관로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suction pipe can be installed in a front part of an air discharger for discharging outside air to a room so that outside air can be sucked.
본 발명은 흡입관로의 끝단부에 흡입필터를 설치하여,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suction filter at an end portion of a suction pipe to prevent pollutants in the air entering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전자결속부를 포함하여, 관로 청소장치와 팬을 전자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며, 전자제어기에 따라 구동모터가 전방과 후방 중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 방향으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includes an electronic binding unit, and is capable of cleaning the duct by a single driving motor by connecting the duct cleaning apparatus and the fan electronically, so that the driving motor can wind in a desired dire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cleaning in the piping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은 에어컨 및 히터의 냉온방용 공기 흡입구에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연결하여 에어컨 및 히터로 청정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clean air injection pipe is connected to a cold air supply and air intake port of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and clean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본 발명은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 및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산소,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먼지의 포화도를 모니터에 그래프 및 수치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concentration of oxygen, carbon dioxide,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of dust, which are detected by the oxygen senso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the dust sensor, on a monitor in a graph and a numerical value.
본 발명은 실외에 있는 흡입 필터,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 관로 청소장치의 먼지 제거부, 실내 공기 정화기에 있는 3차 필터로 4중으로 미세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fine dusts in a quadruple filter in the outdoor suction filter,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suction pipe cleaning unit,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duct cleaning unit, and the indoor ai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기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기에서 관로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송출기에서 결속부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기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송출기에서 제2결속부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기의 횡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기의 관로 청소시 오염물질 배출 방법을 나타낸 횡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nnel portion in an indoor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nding portion in an outdoor air deliv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binding portion in the air dis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llutant discharge method in cleaning a duct of an indoor cle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실외의 공기를 송출해 주는 실외 공기 송출기(1)와,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내 공기 정화기(3)와, 이를 연결해주는 관로(2)를 포함하며, 특히 관로 내의 먼지를 청소해 주는 관로 청소장치(23)를 추가로 포함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관로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깨끗하게 하여 실내로 청정한 공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to 3,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실내 공기 청정기는 주로 실내에 유입된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거르는 방식이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켰다. 그러나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관로의 청소장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공기가 이동하는 관로내에 먼지가 쌓이거나, 관로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로 청소장치를 설치하여 관로 내의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에서 관로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송출시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필터 역할을 하여 청정한 공기를 송출 하고, 실외의 오염공기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indoor air purifier mainly purifies the air by using a filter in the process of filtering pollutant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or in the process of mov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However, since there is no cleaning device for the duct connect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ust accumulates in the duct where the air moves, or that the air cleaner needs to be separated in order to clean the duct. A duct cleaning device is installed to prevent accumulation of dust in the duct, and when the air is sent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through a duct, it serves as a filter for adsorbing contaminants, thereby delivering clean air,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from occurring.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1)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일측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실외에 설치하여 송출기 구동시 발생하는 모터의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 공기를 실내로 송출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1)는 공기를 송출하는 팬(12)과 이 팬(1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1)와 구동모터(11)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13)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팬(12)은 외부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관로(2)로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1)의 가장 바깥 측면에는 흡입 필터(14)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의 오물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The
또한, 상기 제어기(13)는 실외 공기 송출기(1)의 상측 일부에 위치해 있으며,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및 먼지 센서(24)의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11)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를 통해 실내에 산소 농도가 감소하여 공기 송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송출하며, 먼지 센서(24)를 통해 관로(2)내에 기준치 이상의 먼지가 쌓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관로 청소 절차를 시행한다.The
상기 실내 공기 정화기(3)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실외에서 관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실내 공기 정화기(3)는 교체가능한 3차 필터(32)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 필터(14)와 관로 청소장치(23)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은 3차 필터(32)를 통과 하면서 삼중으로 걸러서 청정공기로 만들어 청정 공기 배출구(33)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한다.A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the
또한, 실내 공기 정화기(3)는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를 부착하여 실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기 (13)에 정보를 보내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3)는 공기의 송출량을 제어한다.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산소농도가 감소할 경우에 청정공기 공급으로 실내의 산소농도 유지 및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관로(2)는 실외와 실내를 연결하여 실내로 공기를 송출 하는 것으로,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1)와 실내 공기 정화기(3)를 연결한다. 상기 관로(2)는 실외에 있는 외부공기 송출관로(21)와 실내에 있는 공기 유입관로(22)가 이어져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관로(2)에는 관로 청소장치(23)와 먼지 센서(24)를 포함하고 있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로 청소장치(23)는 실내로 공기 송출시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관로필터 기능을 수행하고, 관로 청소 절차 시행시에는 관로를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관로 청소장치(23)는 회전기능이 있는 회전축(231)과 상기 회전축(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관로의 내벽과 마찰되는 먼지 제거부(232)를 포함한다. The
상기 먼지 제거부(232)는 비닐소재의 재질로 소나무의 촘촘한 솔잎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 유입시에는 2차적으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관로(2) 내부에 먼지 센서(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먼지 센서(24)는 관로내에 먼지가 쌓이는 정도를 측정하고, 일정 기준치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제어기(13)로 수집한 정보를 보낸다. 상기 제어기(13)는 수집된 정보로 오염정도를 판단하여 관로청소 절차를 시행할 수 있다.A
관로 청소절차 시행 시에는, 상기 관로 청소장치(23)가 상기 구동모터(11)와 결합하여 회전하고,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비닐소재의 잎의 형태를 갖는 상기 먼지 제거부(232)가 관로의 외벽과 마찰하여 내벽에 붙은 분진을 털어내고, 잎에 흡착된 오염물질 또한 털어낼 수 있다.
In the conduit cleaning procedure, the
또한,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1)는 상기 팬(12)과 관로 청소장치(23)을 연결하는 결속부(15)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15)는 상기 관로 청소장치(23)가 회전하도록 하여 관로를 청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15)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151)와 안착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51)는 상기 관로 청소장치(23)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축(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52)는 상기 구동축(111)방향으로 상기 관로 청소장치 (23)의 회전축(2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13)의 제어하에 상기 결속부(15)의 돌출부(151)와 안착부(152)가 체결 또는 해체 가능하다.The
상기 결속부(15)는 상기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에서 수집된 정보로 실내에 청정공기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를 이동시키고, 공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압력은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때 상기 팬(12)은 공기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받아 상기 팬(12)과 구동축(111)은 모터방향으로 이동되어 결속부(15)가 해체된다. 상기 먼지 센서(24)에서 수집된 정보로 오염 정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1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실내에서 실외로 공기를 이동시키고, 공기의 이동방향에 따라 압력은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때 상기 팬(12)은 공기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받아 상기 팬(12)과 구동축(111)은 관로 청소장치(23)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축(111)과 관로 청소장치(23)의 회전축(231)이 결합되어 결속부(15)가 결합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clean air to the room is required by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oxygen / carbon dioxide
상기 결속부(15)는 팬의 방향에 따라 공기의 방향과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한 것으로, 실내로 청정공기 공급시 구동모터(11)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공기가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고 팬(12)은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구동모터(11)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부(15)는 해제되고, 관로 청소 절차 시행시에는 상기 구동모터(11)는 역회전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실내에서 실외로 전환하여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팬(12)은 결속부(15)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부(15)의 구동축(111)과 관로청소장치(23)의 회전축(231)을 결합시키고, 관로 청소장치(23)의 회전축(231)을 회전시킨다. 상기 결속부(15)는 제어하는 추가장치 없이 압력의 변화로 결속부(15)를 ON/OFF 할 수 있다.When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the air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상기 결속부(15)는 관로 청소장치(23)와 팬(12)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모터 (11)로 관로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로 청소 절차를 시행할 때 관로 청소장치(23)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모터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 등을 예방할 수 있다.The
또한, 실내 공기 정화기(3)는 판막형 개폐장치(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막형 개폐장치(34)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실내로 청정공기 공급시 구동모터(11)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가 이동할 때는 상기 판막형 개폐장치(34)가 닫혀있고, 관로 청소절차 시행시에는 구동모터(11)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실내에서 실외로 공기가 이동할 때는 상기 판막형 개폐장치 (34)가 열리게 된다. 관로 청소시에 구동모터(11)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판막형 개폐장치(34)가 열리면서 실내의 청정한 공기가 관로(2)내에 유입되고, 유입된 청정공기는 관로 청소장치(23)를 통과하면서 관로(2)내의 먼지 및 분진을 털어내면서 실외로 이동하여 관로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the
한편,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경우, 상기 관로(2)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센서(24)가 관로에 쌓인 먼지를 감지하여 제어기(13)로 수집된 정보를 보낸다. 상기 제어기(13)는 먼지 센서(24)에서 수집된 정보로 오염정도를 판단하여 관로 청소 절차를 시행한다. 관로 청소 절차는 상기 구동모터(11)가 역회전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실내에서 실외로 전환하여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팬(12)이 결속부(15)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부(15)의 돌출부(151)와 안착부(152)를 체결하고, 이에 따라 구동축(111)과 회전축(231)이 결합하는 바, 구동모터(11)의 회전이 회전축(231)으로 이동하면서 관로 청소장치(23)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15)에 의해 체결된 상기 관로 청소장치(23)가 회전하면서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비닐소재의 소나무 솔잎 형태의 먼지제거부(232)가 관로 외벽을 마찰하여 내벽에 붙은 분진을 털어내고 잎에 흡착된 오염물질 또한 털어낸다. 실내에서 실외로 흐르는 공기 흐름에 따라 관로의 압력이 줄어들고 판막형 개폐장치(34)가 열리면서 실내의 청정한 공기가 관로에 유입되어, 청정한 공기로 관로 청소를 하여 관로 내의 먼지를 털어내어 관로를 깨끗하게 함으로써 실내로 공기 송출시 더욱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산소농도 유지 및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e case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기존 실내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실내에 유입된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거르는 방식으로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방지하지 못하는 방식이 많았다.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 송출시 장치 내에 청소장치가 없어 장치 내에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송출되어, 완전히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실외의 오염공기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먼지 센서(24)와 관로 청소장치(23)를 통해 장치를 분리하지 않고도 관로(2)내에 쌓여 있는 먼지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door air cleaner, the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room from outside the room can not be prevented by filtering pollutants from the air entering the room. Or when there is no cleaning device in the apparatus when the air is blown out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the air is blown out with the dust or contaminants piled up in the apparatus,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completely clean air. However,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ssentially blocks indoor air inflow of outdoor air, and is installed in the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경우, 상기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가 실내 공기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기로 정보를 보내 공기의 송출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실내의 산소 농도 감소가 측정되면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 송출량을 증가시킨다. 청정기능 작동시에는 구동모터(11)가 정방향 회전을 하고 공기의 이동과 팬의 이동방향에 따라 결속부(15)가 해제되고, 판막형 개폐장치(34)는 닫혀있는 상태이다.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 필터(14)를 통해 오염물질이 한번 걸러진 후 상기 실외 공기 송출기 (1)로 유입되고, 팬(12)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관로(2)로 송출한다. 관로에 송출된 외부공기는 관로 청소장치(23)를 지나면서 먼지 제거부(232)가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2차적으로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관로(2)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상기 실내 공기 정화기(3)로 유입되고, 3차 필터에 의해 최종적으로 오염물질이 걸러진 후, 청정공기 배출구(33)를 통해 청정공기가 배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 in the case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xygen / carb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실외 공기 송출기(1)의 흡입 필터(14)를 통하면서 1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지고, 관로 청소장치(23)의 필터 기능을 통해 2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지고, 실내 공기 정화기(3)의 3차 필터(22)까지 거쳐서 3중으로 먼지를 걸러내서 실내로 청정한 공기를 송출할 수 있으며, 실내의 3차 필터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정 기준치의 먼지가 쌓이게 되면 필터 교체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imarily filter dust while passing through the
따라서, 외부의 소음(공장소음, 교통소음, 인공소음, 자연소음 등)으로 창문의 개방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청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Therefore, clean air can be suppli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windows are difficult to open due to external noise (factory noise, traffic noise, artificial noise, natural noise, etc.).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 송출기(1)의 구성을 실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흡입관로(4), 흡입관로 청소장치(43), 청정공기 분사관로(35) 및 상태표현부(36)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흡입관로(4)는 상기 공기 송출기(1)의 전단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이며, 실외에서 실내로 통과되어 설치될 수 있고 외부의 지형 및 벽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가 가능하다.The
상기 흡입관로(4)에는 흡입관로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흡입관로 청소기능을 갖는 흡입관로 청소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관로 청소장치(23)와 그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이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43)는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하는 흡입관로(4)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깨끗하게 하여 흡입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흡입관로(4)의 끝단부에는 흡입필터(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가 상기 흡입관로(4)에 도달하기 전 공기 내부의 오물이 시스템에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기 흡입관로(4)에 흡입관로 청소장치(43)의 작동이 저하될 만큼의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sucking
상기 청정공기 분사관로(35)는 실내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3)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 청정기(3)의 3차 필터(32)가 있는 부분의 일단에 통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끝단을 에어컨 및 히터의 공기 흡입구에 연결하여, 청정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청정공기는 상기 흡입필터(14), 흡입관로 청소장치(43) 및 3차 필터(32)를 거친 외부의 공기로써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다.The clean
상기 상태표시부(36)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하는 구성으로, 더 상세하게는 산소·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31) 및 흡입관로 먼지 센서(4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센서들에서 감지한 산소·이산화탄소의 농도와 흡입관로(4)에 쌓인 먼지의 정도를 그래프 또는 수치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 장치이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36)는 관로 청소시 관로내에서 분리된 오염물질의 송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오염물질 송출방향 선택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낼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태표시부(36)의 모니터에 나타난 특정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송출하는 방향을 흡입필터(14)가 있는 외부 방향 또는 3차 필터(32)가 있는 내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The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관로(2) 및 흡입관로(4)의 구성을 모두 갖고있는 바, 외부에서 송출된 공기가 흡입필터(14), 흡입관로청소장치(43), 관로청소장치(23) 및 3차 필터(32)를 거쳐 4중으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는 구성은 흡입관로(4)의 일부 및 흡입필터(14)인 바, 공기 청정기(1)를 외부에 설치해야 하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외에 필요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has both the structur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의 흡입관로 청소장치(43) 및 관로 청소장치(23)와 체결되는 결속부(15)의 구성 대신 제2결속부(16)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상기 제2결속부(16)는,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43) 또는 관로 청소장치(23)의 회전축과 구동모터(11)의 구동축을 전자식으로 체결함으로써, 구동모터(11)의 회전을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관로를 청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결속부(16)는 제1동력전달장치(161)와, 제2동력전달장치(162)와, 축연결장치(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상기 제1동력전달장치(161)는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회전축에 접합되어있는 구성으로, 상기 제2동력전달장치(162)와 연결 될 경우 구동축의 회전을 회전축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2동력전달장치(162)는 타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구동측에 접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상기 제1동력전달장치(161)와 연결 될 경우 구동축의 회전이 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축연결장치(163)는 기어형태의 부품으로 상기 제어기(1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을 시 제1동력전달장치(161)와 제2동력전달장치(162)를 접속하게 하여 구동축의 회전을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상기 제2결속부(16)는, 흡입 관로(4)에 일정 기준치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먼지 센서(24)가 제어기(13)로 수집한 정보를 보내고, 상기 제어기(13)는 수집된 정보로 오염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축연결장치(163)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여 관로청소 절차를 시행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결속부(16)는 제어기(13)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동력전달연결장치(163)로 구동축이 회전축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돌출부(151)와 안착부(152)를 체결 또는 해체하는 기계식의 결속부(15)와 비교하여 모터 회전 전달의 정확도가 향상된 효과가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공기 송출기(1)와 공기 정화기(3)를 연결하는 통로인 관로(2) 및 관로 청소장치(23)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6,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uc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도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내에 필요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required in the indoor space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4,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이하에서는, 도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관로 청소시, 관로 내에서 분리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할 과정은 제2결속부의 구성을 포함한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실시예에만 해당하는데, 이는 분리된 오염물질을 배출할 시, 구동모터(11)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과 상관없이 관로청소장치(23) 및 흡입관로 청소장치(43)를 모두 작동시키기 위함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pollutants separated in the pipeline during cleaning of the piping of the clean room air supply system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only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inding por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separated pollutants are discharged, irrespective of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으로 관로청소를 시행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먼지센서(24)가 측정한 관로(2) 및 흡입관로(4)내의 먼지량에 대한 정보를 상태표시부(36)에 전달하고, 이를 상태표시부(36)가 모니터에 그래프화 또는 수치화 된 상태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확인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상태표시부(36)의 모니터에 배치된 관로청소 시행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관로청소를 시행한다.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hannel cleaning by a user's choice. 7A,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ust in the
이 때, 상기 상태표시부(36)의 모니터에 배치된 관로청소 시행 버튼은 오염물질 외부 배출 버튼과 오염물질 내부필터 배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nnel cleaning enforcement button disposed on the monitor of the
도 7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오염물질 외부 배출 버튼을 터치할 시, 상태표시부(36)로부터 제어기(13)로 신호가 전달되며, 다시 제어기(13)로부터 구동모터(11)로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모터(11) 및 팬(12)이 역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가 실내에서 실외로 흐르고, 제2결속부(16)로부터 구동모터(11)의 회전을 전달받은 관로청소장치(23) 및 흡입관로 청소장치(43)가 작동하게 되어 관로(2) 및 흡입관로(4)에 쌓여있던 오염물질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흡입필터(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7B, when the user touches the pollutant discharge butto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또한, 도 7의 c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오염물질 내부필터 배출 버튼을 터치할 시, 상태표시부(36)로부터 제어기(13)로 신호가 전달되며, 다시 제어기(13)로부터 구동모터(11)로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모터(11) 및 팬(12)이 정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가 실외에서 실내로 흐르고, 제2결속부(16)로부터 구동모터(11)의 회전을 전달받은 관로청소장치(23) 및 흡입관로 청소장치(43)가 작동하게 되어 관로(2) 및 흡입관로(4)에 쌓여있던 오염물질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기청정기(3)의 3차필터(32)로 이동하여 쌓이게 된다. 사용자는 관로(2) 및 흡입관로(4)의 내부에 오염물질이 제거되었음을 상태표시부(36)로부터 확인한 후, 3차필터(32)를 공기청정기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후 재사용하거나 폐기 후 새 3차필터(32)를 설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아파트, 사무실 등의 밀집된 가옥에서는 오염물질이 실외로 방출될 경우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민원을 유발하는 피해를 만들 수 있는 바, 오염물질을 실외가 아닌 공기청정기 내부의 3차필터로 송출하여 상기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7C, when the user touches the pollutant internal filter discharge butto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 : 공기 송출기
11 : 구동모터
111 : 구동축
12 : 팬
13 : 제어기
14 : 흡입 필터
15 : 결속부
151 : 돌출부
152 : 안착부
16 : 제2결속부
161 : 제1동력전달장치
162 : 제2동력전달장치
163 : 축연결장치
2 : 관로
21 : 외부공기 송출관로
22 : 공기 유입관로
23 : 관로 청소장치
231 : 회전축
232 : 먼지 제거부
24 : 먼지 센서
3 : 공기 정화기
31 : 산소·이산화탄소농도 측정 센서
32 : 3차 필터
33 : 청정 공기 배출구
34 : 판막형 개폐장치
35 : 청정공기 분사관로
36 : 상태표현부
4 : 흡입관로
41 : 제2외부공기 송출관로
42 : 제2공기 유입관로
43 : 흡입관로 청소장치1: air blower 11: drive motor
111: drive shaft 12: fan
13: Controller 14: Suction filter
15: Coupling unit 151:
152: seat part 16: second binding part
161: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162: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163: Axial connection device 2:
21: external air delivery pipe 22: air inlet pipe
23: channel cleaning device 231: rotary shaft
232: Dust removal 24: Dust sensor
3: air purifier 31: oxygen /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32: tertiary filter 33: clean air outlet
34: valve type switching device 35: clean air injection pipe
36: state expression unit 4: suction pipe
41: second outside air delivery pipe 42: second air inflow pipe
43: Suction tube cleaning device
Claims (8)
외부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기 위한 공기송출기와,
실내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정화기와,
상기 공기송출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인 흡입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에는 흡입관로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흡입관로 청소 기능을 갖는 흡입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1. An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An air blower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An air purifier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room,
And a suction pipe which is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r and is a passage for sucking air outdoors,
Wherein the suction pipe includes a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suctioning contaminants in the suction pipe and cleaning the suction pipe with a suction pipe.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흡입관로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외에서 들어오는 공기의 오물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인 흡입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filter located at an end of the suction pipe and configured to primarily block the inflow of dirt from the outside of the room.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는, 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시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흡입관로의 내벽과 마찰되는 먼지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제거부는 촘촘한 솔잎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 유입시에는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흡입관로 청소시에는 흡입관로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includes a rotating shaft serving a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channel cleaning device and a dust removing part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Wherein the dust removing unit is formed in a pine pillar shape to function as a filter for removing dust wh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removes dust adhering to the suction pipe when cleaning with a suction pipe.
상기 공기송출기는, 공기를 송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을 탈착식으로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돌출부;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로 청소장치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축 방향으로 상기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팬의 회전방향에 따른 관로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안착부가 체결 또는 해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discharger includes a fan for sending air,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fa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and a binding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cleaning device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Wherein the bind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in the direction of the channel cleaning device,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uction pipe clean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can be fastened or dis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duct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an. Supply system.
상기 공기송출기는, 공기를 송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흡입관로 청소장치의 회전축을 전자식으로 연결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부는,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회전축에 접합되어 있는 제1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제2결속부의 타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오는 구동축에 접합되어 있는 제2동력전달장치와, 기어형태의 부품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는 축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축연결장치는 상기 제1동력전달장치가 제2동력전달장치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discharger includes a fan for sending air,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fa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and a second binding member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to the rotary shaft of the suction- ≪ / RTI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that penetrates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the inside thereof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penetrat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shaft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receiving rotation of the drive motor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gear type part,
Wherein the shaft connection device connect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device.
상기 공기정화기는, 에어컨 및 히터의 공기 흡입구에 청정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청정공기 분사관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clean air injection duct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clean air to the air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eater.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실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를 통해 공기의 송출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와,
상기 흡입관로에 쌓인 먼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를 통해 관로상의 먼지 제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흡입관로 먼지 센서와,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표현부(3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cludes:
An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space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air through the controller,
A suction pipe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dust accumulated in the suction pipe line to remove dust on the pipe through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state expression unit (36) for expressing the state of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상기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공기송출기와 공기정화기를 연결하는 통로인 관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관로에는 관로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관로 청소 기능을 갖는 관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청정공기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clean air supply system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onduit as a passage for connecting the air discharger and the air purifier,
Wherein the channel includes a channel cleaning device that adsorbs contaminants in the channel to have a channel cleaning f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3477A KR101860634B1 (en) | 2016-07-01 | 2016-07-01 | Air cleann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3477A KR101860634B1 (en) | 2016-07-01 | 2016-07-01 | Air cleann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833A true KR20180003833A (en) | 2018-01-10 |
KR101860634B1 KR101860634B1 (en) | 2018-05-23 |
Family
ID=6099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34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0634B1 (en) | 2016-07-01 | 2016-07-01 | Air cleann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0634B1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34311A (en) * | 2018-04-26 | 2018-09-14 | 广州艾思高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resh air adjusting method based on air fine particles |
KR102002247B1 (en) * | 2018-03-04 | 2019-07-22 | 주식회사 신생 | Ventilator and Air Cleaner |
CN110657540A (en) * | 2018-06-29 | 2020-01-07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A fresh air purification device |
CN111678214A (en) * | 2020-05-29 | 2020-09-18 | 威发智能科技(江门)有限公司 | Autonomous mobile indo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
CN112283845A (en) * | 2020-09-29 | 2021-01-29 | 特斯联科技集团有限公司 | Intelligent wind purifying system |
CN112325423A (en) * | 2020-04-30 | 2021-02-05 | 综合病毒防护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 Purification device with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CN114244072A (en) * | 2021-12-10 | 2022-03-25 | 华能酒泉发电有限公司 | Frequency converter optimization cooling air intake cleaning structure in small space |
KR20220117371A (en) * | 2021-02-15 | 2022-08-24 | 윤영현 | Eco-friendly air cleaning apparatus based on gas detection |
US11446600B2 (en) | 2020-12-10 | 2022-09-20 | Hourani Ip, Llc | Detox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pathogens |
US12330107B2 (en) | 2020-04-30 | 2025-06-17 |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 Pur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US12337271B2 (en) | 2020-04-30 | 2025-06-24 |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 Mobile pur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2603A (en) * | 2006-09-27 | 2008-04-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throom ventilating, drying and heating device |
KR100799307B1 (en) | 2007-01-12 | 2008-02-01 | 대한민국 | Collector |
-
2016
- 2016-07-01 KR KR1020160083477A patent/KR1018606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247B1 (en) * | 2018-03-04 | 2019-07-22 | 주식회사 신생 | Ventilator and Air Cleaner |
CN108534311A (en) * | 2018-04-26 | 2018-09-14 | 广州艾思高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resh air adjusting method based on air fine particles |
CN110657540A (en) * | 2018-06-29 | 2020-01-07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A fresh air purification device |
CN112325423B (en) * | 2020-04-30 | 2023-04-18 | 综合病毒防护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 Purification device with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US12337271B2 (en) | 2020-04-30 | 2025-06-24 |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 Mobile pur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CN112325423A (en) * | 2020-04-30 | 2021-02-05 | 综合病毒防护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 Purification device with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US12330107B2 (en) | 2020-04-30 | 2025-06-17 |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 Pur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biological species, including COVID-19 |
CN111678214A (en) * | 2020-05-29 | 2020-09-18 | 威发智能科技(江门)有限公司 | Autonomous mobile indo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
CN112283845A (en) * | 2020-09-29 | 2021-01-29 | 特斯联科技集团有限公司 | Intelligent wind purifying system |
US11446600B2 (en) | 2020-12-10 | 2022-09-20 | Hourani Ip, Llc | Detox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pathogens |
US12226728B2 (en) | 2020-12-10 | 2025-02-18 |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 Detoxification device having heated filter for killing pathogens |
KR20220117371A (en) * | 2021-02-15 | 2022-08-24 | 윤영현 | Eco-friendly air cleaning apparatus based on gas detection |
CN114244072A (en) * | 2021-12-10 | 2022-03-25 | 华能酒泉发电有限公司 | Frequency converter optimization cooling air intake cleaning structure in small sp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0634B1 (en) | 2018-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0634B1 (en) | Air cleanning System | |
CN113864958B (en) | Air purifier with intelligent sensor and air flow | |
KR102242771B1 (en) | Window type Air cleaner | |
CN101088449B (en) |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dust | |
CN105698279B (en) | A kind of multifunction environment-protection type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 |
KR101676955B1 (en) | Air cleanning System | |
KR102256209B1 (en) |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 |
US20100192768A1 (en) |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0908474B1 (en) | Wet air cleaner | |
JP2017524119A (en) | Air conditioning filter cleaning device and filter cleaning system | |
WO2008009024A3 (en) | A portable vacuum system with self-cleaning filter system | |
CN111111342B (en) | Filter assembly and filter screen filth blockage detection method | |
KR102321002B1 (en) |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491354Y1 (en) | A seatback cover assembly having air purifying apparatus of built-in type and a vehicle seat including the same | |
JP2007212073A (en) | Ventilating device | |
KR20160045563A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0902921B1 (en) | Air purifie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 |
JP3755010B2 (en) | Air purifier | |
JP2009019336A (en) | Air purifier for toilet | |
KR101532936B1 (en) | clean pavilions for smoking | |
US8539638B2 (en) | Filt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uch a filter | |
KR102307537B1 (en) | Air condensing system for preventing inflow of out air | |
KR100544875B1 (en) | Air cleaner to check filter replacement time | |
KR20110041692A (en) | air cleaner | |
KR20170082850A (en) | Air purifier and sensor clean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