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83A -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83A
KR20180003083A KR1020160082441A KR20160082441A KR20180003083A KR 20180003083 A KR20180003083 A KR 20180003083A KR 1020160082441 A KR1020160082441 A KR 1020160082441A KR 20160082441 A KR20160082441 A KR 20160082441A KR 20180003083 A KR20180003083 A KR 20180003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nnection
steel plate
corrugated steel
vertical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941B1 (ko
Inventor
정성만
신강수
송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to KR102016008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9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형태를 갖는 파형강판을 도로의 곡선부 및 하천의 곡선부를 따라 같이 휘어지도록 굴절하여 연결할 수 있는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접합부위가 최소화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높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플렌지부에 의해 상방으로 적층되는 토양 또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수직변형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curved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형태를 갖는 파형강판을 도로의 곡선부 및 하천의 곡선부를 따라 같이 휘어지도록 굴절하여 연결할 수 있는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평판형태의 강판은 이를 여러 형태로 절곡 또는 탄성 변형 시키고, 이를 측방향으로 연속되는 터널형태를 갖도록 조립함으로써 터널, 생태통로, 지하통로 및 용수, 배수로에 사용되어지며 기타 호안용 셀, 배수로, 지붕, 창고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강판은 구조물의 크기가 작을 경우 벤딩된 하나의 강판을 이용하며, 그 크기가 커질 경우 벤딩공정에서 지름을 크게함과 동시에 단위파형강판을 여러장으로 나뉘어 제조하고, 제조된 여러장을 겹치거나 볼팅 등의 조립공정을 통해 용도에 맞는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얇은 두께의 강판에 측방향, 휨방향, 종방향 및 다방향으로 부터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력을 여러곳으로 분산시켜 균등하게 작용 즉, 내하력을 크게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상 평평한 강판에 주름공정을 통해 주름이 성형된 강판인 파형강판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파형강판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구조물이 시공되어질 지반 즉, 바닥을 일정한 깊이로 굴착하여 기조지반을 다지고 거푸집과 철근을 배근하고, 이어 매설앵커와 채널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거푸집을 해체한다. 거푸집이 해체된 채널에 파형강판의 하부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고정구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고, 채널에 하부가 결합된 파형강판 사이에 다른 파형강판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볼팅작업을 반복하여 완성된 파형강판 구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형강판 구조물은 직선인 형태를 갖는 곳에 설치가 용이할 뿐 직선형태 이외에 즉, 도로의 곡선부 및 하천의 곡선부를 따라 같이 휘어지도록 시공할 수가 없으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도로의 구조를 변경하게 됨으로써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4019호에는 도로의 곡선부에 파형강판 조립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이음방법 및 이음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조립구조물은 접합부위가 많아 충격이나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4019호 : 파형강판 조립구조물의 이음방법 및 이음구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20-0410474호 ;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합부위를 최소화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에 따라 향후 예상되는 부식을 줄일 수 있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소정의 굴절 각도로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각 단부가 같은 각도로 절단된 제1 및 제2절단면이 각각 형성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과;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이 각각 결합 될 수 있게 상기 제1절단면 및 제2절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부에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플렌지부가 마련된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과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재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플렌지부와, 상기 제1절단면을 따라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의 폭을 갖는 제1수직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렌지부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된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방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누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2플렌지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의 제2절단면과 결합되며 타면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수직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연결부와 함께 상방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누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의 각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은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로부터 상기 관통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렌지부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3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을 통해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와, 상기 제1수직연결부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1플렌지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4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을 통해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수직연결부결합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수직연결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연결부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가 상호 결합된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가 접촉되는 틈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접합부위가 최소화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높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플렌지부에 의해 상방으로 적층되는 토양 또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수직변형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접합부위가 최소화 되므로 부식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분리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구조(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1)는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 20)과,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3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 20)은 호형곡률이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하나의 파형강판 또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결합되어 반원형상을 이루는 구조물이다.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20)은 도로나 하천의 곡선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기 위해서 도로나 하천의 곡선부의 굴절각도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20)이 곡선부의 굴절 각도(a)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될 각 단부에 같은 각도로 절단된 제1 및 제2절단면(11, 21)이 각각 형성된다.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30)은 양측에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 20)이 각각 결합 될 수 있게 제1절단면(11) 및 제2절단면(21)의 연장방향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어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30)은 제1 및 제2절단면(11,21)과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위(13,23) 하방에 결합부위(13,23)의 부식을 가리거나 부식에 따른 누수가 연장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양측에 유로(49,59)가 각각 형성되게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30)은 제1연결부재(40), 제2연결부재(50) 연결부재결합유닛(60)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재(40)는 일측으로 제1파형강판구조물(10)과 결합되며 타측으로 제2연결부재(50)와 결합된다. 제2연결부재(50)는 일측으로 제2파형강판구조물(20)과 결합되며, 타측으로 제1연결부재(40)의 타측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연결부재(40,50)는 연결부재결합유닛(60)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40)는 제1수직연결부(41)와 제1플렌지부(45)를 구비한다.
제1수직연결부(41)는 제1파형강판구조물(10)의 제1절단면(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절단면(11)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는 호형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다. 제1수직연결부(41)의 일측면에 제1파형강판구조물(10)이 결합되며 타측면에 후술되는 제2연결부재(50)의 제2수직연결부(51)와 접촉결합된다.
제1파형강판구조물(10)은 제1 절단면(11)과 제1수직연결부(41)의 일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한 접합 방법을 통해 결합부위(13)에서 제1수직연결부(41)와 상호 결합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형강판구조물(10)과 제1수직연결부(41) 사이에 제1용접부(48)가 형성된다.
제1수직연결부(41)는 상부와 하부에 후술되는 제2수직연결부(51)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공(42,43)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제1결합공(42,43)은 제1수직연결부에 결합된 제1파형강판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결합공(42,43)은 후술되는 연결부재결합유닛(60)이 관통장착되는 부분이다.
제1플렌지부(45)는 제1수직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의 하방에 형성된다. 제1플렌지(45)는 제1절단면(11)과 결합된 제1수직연결부(41)의 일면에 대해 제1파형강판구조물(10)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제1수직연결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제1플렌지부(4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연결부(41)의 각 하부에 제1수직연결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제1수직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플렌지부(45)는 제1수직연결부(41)의 하단과 연결되는 일단에서 제1수직연결부(41)에서 멀어지는 타단으로 갈수록 제1파형강판구조물에 대해 가까워지게 각각 연장형성되어 제1수직연결부(41)와 함께 제1연결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유로(49)를 형성한다.
제2연결부재(50)는 제1연결부재(40)에 대칭되게 형성되는데, 제2수직연결부(51)와 제2플렌지부(55)를 구비한다.
제2수직연결부(51)는 제2파형강판구조물(20)의 제1절단면(21)과 결합 될 수 있도록 제2절단면(21)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는 호형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다. 제2수직연결부(51)의 일측면에 제2파형강판구조물(20)이 결합되며 타측면에 후술되는 제1연결부재(40)의 제1수직연결부(41)와 접촉결합된다.
제2파형강판구조물(20)은 제2 절단면(21)과 제2수직연결부(51)의 일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한 접합 방법을 통해 결합부위(23)에서 제2수직연결부(51)와 상호 결합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형강판구조물(20)과 제2수직연결부(51) 사이에 제2용접부(58)가 형성된다.
제2수직연결부(51)는 상부와 하부의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수직연결부(41)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결합공(52,53)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제2결합공(52,53)은 제2수직연결부(51)에 결합된 제2파형강판구조물(20)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2결합공(52,53)은 제1결합공(42,43)을 관통한 연결부재결합유닛(60)의 관통부재(61,62)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제2플렌지부(55)는 제2수직연결부에 결합된 제2파형강판구조물의 하방에 형성된다. 제2플렌지부(55)는 제2절단면(21)과 결합된 제2수직연결부(51)의 일면에 대해 제2파형강판구조물(20)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제2수직연결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제2플렌지부(55)는 제2수직연결부(51)의 각 하부에 제2수직연결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제2수직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플렌지부(55)는 제2수직연결부(51)의 하단과 연결되는 일단에서 제2수직연결부(51)에서 멀어지는 타단으로 갈수록 제2파형강판구조물에 대해 가까워지게 각각 연장형성되어 제2수직연결부(51)와 함께 제2연결부재(50) 길이방향으로 유로(59)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플렌지부(45,55)는 제 1 및 제2수직연결부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10,20) 및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30)의 상방으로 깔리거나 타설되는 토양 또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수직변형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결부재결합유닛(60)은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1수직연결부(41)와 제2수직연결부(51)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제1 및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61,62)와, 관통부재(61,62)와 나사결합되어 제1수직연결부(41)와 제2수직연결부(51)로부터 관통부재(61,6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재(65,66)를 구비한다.
관통부재는 제1 및 제2수직연결부(41,51)의 상부에 각각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결합공(42,52)을 관통하는 제1볼트(61)와, 제1 및 제2수직연결부(41,51)의 하부에 각각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결합공(43,53)을 관통하는 제2볼트(62)로 구분된다.
그리고 결합부재는 제1 및 제2수직연결부를 관통한 제1볼트(61)와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65)와, 제2볼트(62)와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66)로 구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의 상부는 탄성에폭시수지계를 이용한 도막방수층(70)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1)는 제1 및 제2수직연결부(41,51)의 하단에 제1 및 제2플렌지부(45,55)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높다. 이로 인해 상방에 깔리는 토양이나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수직 변형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1)는 접합부위가 최소화 되므로 부식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제1연결부재(140)는 서로 분리구조를 갖는 제1수직연결부(41)와 제1플렌지부(145)를 구비한다. 제1플렌지부(145)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와 제1유로형성부(148)를 구비한다.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는 제1수직연결부(4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고 제1수직연결부(41)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는 제1결합공(4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제2볼트(62)가 관통되는 제3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유로형성부(148)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의 상단에서 제1수직연결부(4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제1파형강판구조물(10)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제1수직연결부(41)의 일면과 함께 유로(49)를 형성한다.
제2플렌지부(155)는 제1플렌지부(145)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2수직연결부결합부(156)와 제2유로형성부(158)를 구비한다.
제2수직연결부결합부(156)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2수직연결부(51)의 일면에 접촉되며 제2결합공 및 제3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제2볼트(62)가 관통되는 제4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유로형성부(158)는 제2수직연결부결합부(156)의 상단에서 제2수직연결부(5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제2파형강판구조물(20)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제2수직연결부(51)의 일면과 함께 유로(59)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2)는 제1 및 제2 플렌지부가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에 분리되어 있으나 연결부재결합유닛의 제2볼트와 제2너트에 의해 결합되므로 용접에 의한 접합방법보다 구조적 강도가 높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3)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대한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2)와 비교시 제1 및 제2유로형성부(248,258)가 제1 및 제2수직연결부결합부(146,156)의 하단에 형성되는 차이점이 있다.
제1연결부재(240)는 서로 분리구조를 갖는 제1수직연결부(41)와 제1플렌지부(245)를 구비한다.
제1플렌지부(245)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와 제1유로형성부(248)를 구비한다. 제1유로형성부(248)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의 하단에서 제1수직연결부(4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제1파형강판구조물(10)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제1수직연결부(41)의 일면과 함께 유로(49)를 형성한다.
제2플렌지부(255)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46)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156)와, 제2유로형성부(258)를 구비한다. 제2유로형성부(258)는 제2수직연결부결합부(156)의 하단에서 제2수직연결부(5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제2파형강판구조물(20)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제2수직연결부(51)의 일면과 함께 유로(59)를 형성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4)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곡선부 결합구조(4)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상단을 덮는 방수부재(170)를 더 구비한다. 방수부재(170)는 제1 수직연결부(41)와 제2수직연결부(5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되되 제1수직연결부(41)와 제2수직연결부(51)가 상호 결합된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방수부재(170)는 상호 결합된 제1연결부재(40)와 제2연결부재(5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삽입홈(171)이 형성된다.
방수부재(170)는 제1수직연결부와 제2수직연결부의 상단이 삽입홈(171)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제1수직연결부(41)와 제2수직연결부(51)가 접촉되는 틈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방수부재(170)는 합성수지와 같은 녹이 슬지 않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접합부위가 최소화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높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플렌지부에 의해 상방으로 적층되는 토양 또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수직변형력에 저항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는 상방에서 유입될 수 있는 누수가 제1 및 제2연결부재(40,50)의 곡률을 따라 형성된 유로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하방으로 지나가는 보행자나 차량에 누수가 떨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조립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10 : 제1파형강판구조물 20 : 제2파형강판구조물
30 :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 40 : 제1연결부재
41 : 제1수직연결부 42.43 : 제1결합공
45 : 제1플렌지부 48 : 제1용접부
50 : 제2연결부재 51 : 제2수직연결부
52 :53 : 제2결합공 55 : 제2플렌지부
58 : 제2용접부 60 : 연결부재결합유닛
61 : 관통부재 65 : 결합부재

Claims (5)

  1. 소정의 굴절 각도로 상호 결합 될 수 있도록 각 단부가 같은 각도로 절단된 제1 및 제2절단면이 각각 형성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과;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이 각각 결합 될 수 있게 상기 제1절단면 및 제2절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부에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플렌지부가 마련된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구조물결합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과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재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플렌지부와,
    상기 제1절단면을 따라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의 폭을 갖는 제1수직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렌지부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된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방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누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2플렌지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의 제2절단면과 결합되며 타면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수직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연결부와 함께 상방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누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의 각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파형강판구조물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결합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은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로부터 상기 관통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렌지부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3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을 통해 상기 제1수직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수직연결부결합부와,
    상기 제1수직연결부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렌지부는
    상기 제1플렌지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4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유닛을 통해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수직연결부결합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수직연결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파형강판구조물에 가까워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연결부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가 상호 결합된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연결부와 상기 제2수직연결부가 접촉되는 틈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KR1020160082441A 2016-06-30 2016-06-30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KR10187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41A KR101870941B1 (ko) 2016-06-30 2016-06-30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41A KR101870941B1 (ko) 2016-06-30 2016-06-30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83A true KR20180003083A (ko) 2018-01-09
KR101870941B1 KR101870941B1 (ko) 2018-06-25

Family

ID=6100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441A KR101870941B1 (ko) 2016-06-30 2016-06-30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903B1 (ko) * 2018-09-12 2021-02-08 한국전력공사 강판으로 보강된 아치형 해저케이블 보호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941B1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35B1 (ko)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강판 전단벽 구조
KR101676707B1 (ko) 기둥-보 접합 구조
KR101509100B1 (ko) 시공성이 우수한 에이치빔 어댑터
CN107386432B (zh) 一种混凝土框架的钢-砼组合节点及其施工方法
JP5182251B2 (ja) 鋼矢板の継手構造および鋼矢板壁構造
KR101663135B1 (ko) 강재 절감형 h형 철골거더
KR101437859B1 (ko) 8각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20150093523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KR101518622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KR101870941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KR10071645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 구조
CN113789858A (zh) 一种h型钢结构榫卯自锁连接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7066702A (ja) 鋼矢板の縦継構造及び鋼矢板壁
CN113585456A (zh) 预制混凝土梁柱连接节点构造及施工方法
JP6589922B2 (ja) 梁の補強構造および梁の補強工法
CN105821903A (zh) 框架式组合结构综合管廊
KR20100052847A (ko) 말뚝연결장치
JP7156347B2 (ja) 鋼製壁体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KR101401071B1 (ko)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CN109281402B (zh) 工字钢梁与方钢管柱连接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700274A (zh) 一种机械连接的装配式立柱和立柱桩
KR20180120971A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KR102141798B1 (ko) 형강 내력벽체 및 형강 내력벽체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