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68U -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68U
KR20180002468U KR2020170000621U KR20170000621U KR20180002468U KR 20180002468 U KR20180002468 U KR 20180002468U KR 2020170000621 U KR2020170000621 U KR 2020170000621U KR 20170000621 U KR20170000621 U KR 20170000621U KR 20180002468 U KR20180002468 U KR 20180002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magnet
knee joint
arch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서
김종철
Original Assignee
박진서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서, 김종철 filed Critical 박진서
Priority to KR2020170000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68U/ko
Publication of KR2018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행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형상으로 상기 발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보행자의 족궁에 대응하여 아치형의 족궁부가 형성되고,
용천자리는 돌출모양으로 사출형성하고,
종골부분은 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사출하여 입체구조의 인솔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The shoes insole for the protection of the knee joint and the correction of right posture}
본원고안은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하는 인솔에 관련한 기술분야이다.
선행문헌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5에 따른 종래의 기술에 대한 교정용 신발깔창은,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 하면에 설치되는 교정부재(덧대는 것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발바닥에서 발의 전족부를 제외한 후족부와 중족부의 바닥만을 받쳐주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면(11)은 후족부와 중족부의 바닥과 밀착되어 바닥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형태로 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면(11)에서 발의 아치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지압돌부(12)를 형성하여 발바닥을 자극하여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며, 그 주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3)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하여 상면과 발바닥 사이에 통풍이 되어 땀이 나거나 냄새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족궁부가 아치형상으로 돌출되지도 않고 용천부분이 돌출되지도 않아 발을 교정하거나 편안하게 하는 면에서 문제점이 있어왔다.
1.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642347(2016.07.25) 2.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380298(2014.04.01) 3.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588621(2016.01.26)
인간의 발바닥 모양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발바닥 각 부위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주며 무게 중심을 분산시켜 신체의 밸런스를 맞추고 올바른 보행 습관과 근골격계를 바로 잡아주는 기능을 가지는 가지므로 인솔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인체에 유리한가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이에 대하여 본원고안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편안하고 몸을 치료하여 주는 역활을 하는 신발의 인솔로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기존의 깔창은 자석이나 돌출 부분을 본드 부착 형식으로 작업을 하여 작업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자석이 인솔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있어왔다.
여기서 생산성을 높이고 인솔에서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어왔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보행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형상으로 상기 발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보행자의 족궁에 대응하여 아치형의 족궁부가 형성되고,
용천자리는 돌출모양으로 사출형성하고,
종골부분은 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사출하여 입체구조의 인솔을 구성하여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인솔에 자석을 삽입하여 구성하여 효과를 극대화 한다.
여기서 상기 자석은 상기 종골부분과 상기 아치부분에 삽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자석은 많이 삽입할수록 좋을 수 있으나 5개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자석을 삽입하는 홀을 상기 인솔의 이면에 구성하여 상기 자석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몸의 체중을 분산시켜주어 평발의 진행을 방지하며 무릎의 퇴행성관절 유발을 예방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골반이 밑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주어 척추의 변형을 방지하고 골반통증, 허리디스크 원인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몸의 각 기관에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와서 각종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보행 시 발 뒤틀림 현상을 잡아주고 체중분산과 충격완화를 주어 활동성을 극대화한다.
입체구조 인솔 모양으로 사출하여 각종 신발로 인한 질병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여 발 질환에 큰 도움을 준다.
자석으로 인하여 발바닥 혈자리를 자극하게 하여서 혈액순환과 근육의 피로를 풀어 주는 효과가 있다.
발바닥 각 부위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주며 무게 중심을 분산시켜 신체 밸런스를 맞추고 올바른 보행 습관과 근골격계를 바로 잡아주는 역활을 한다.
자석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착화 후 자석이 밖으로 이탈되는 방지한다.
제1도는 인솔의 정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인솔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인솔의 앞부분에서 인솔의 뒷부분을 바라보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인솔의 뒷부분에서 인솔의 앞부분을 바라보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기술로 신발깔창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에서 전자장에 의하여 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위하여 자석이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부호는 141,142,143,144,145이다.
많은 부분을 하여도 무방하나 가장대표적으로 있어야 하는 위치를 선정한 것이다.
또한 족궁과 용천자리에 돌출모양으로 사출되어있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보행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형상으로 상기 발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보행자의 족궁에 대응하여 아치형의 족궁부(110)가 형성되고,
용천자리(120)는 돌출모양으로 사출형성하고,
종골부분(130)은 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사출하여 입체구조의 인솔(100)을 구성하여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솔(100)에 자석(141,142,143,144,145)을 삽입하여 효과를 더욱 발휘하게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종골부분(145)과 상기 아치부분(144)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자석은 5개(141,142,143,144,145)를 삽입한다.
도2는 자석을 삽입하기 위하여 홀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자석을 삽입하는 홀(151,152,153,154,155)을 상기 인솔의 이면에 구성하여 상기 자석을 삽입한다.
자석을 삽입하기 위하여 인솔의 이면(150)에 자석의 홀을 자석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구성한다.
인솔이 탄성이 있어 약간의 힘으로 억지로 밀어넣어 고정되도록 한다.
인솔의 정면(190)은 자석이 보이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인솔의 내면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아치(족궁)부분 자리를 발바닥 아치모양 반대쪽으로 돌출(110)시켜서 신발 착화시 몸의 체중을 분산시켜주어 평발의 진행을 방지하며 무릎의 퇴행성관절 유발을 예방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족궁의 형성으로 인하여 골반이 밑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주어 척추의 변형을 방지하고 골반통증, 허리디스크등의 원인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용천 자리(120)에 돌출모양으로 사출하여 신발 착화시 용천혈을 자극하여 몸의 각 기관에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와서 각종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20은 약간 볼록하게 형성하므로서 발바닥의 면과 대응되게 구성하거나 약간 볼록하게 하여 용천형을 자극하여 몸의 각 기관에 원할한 혈액순환을 도와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
종골 부분(130)은 우리 발모양(뒤꿈치)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하여 착화 후 보행 시 발 뒤틀림 현상을 잡아주고 체중분산과 충격완화를 주어 활동성을 극대화한다.
입체구조인 인솔 모양으로 사출하여 각종 신발로 인한 질병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여 발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여기서 자석을 깔창 속으로 부착하는 형태로 인솔을 사출한다.
이렇게 인솔을 구성하는 것은 인체의 축소판인 발바닥은 신체의 모든 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발바닥 혈자리를 자극하게 하여서 혈액순환과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인체에 적합한 본원고안의 인솔은 금형설계 때부터 자석이 인솔 속으로 들어가도록 설계하여 사출시 인솔 속으로 자석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생산되므로 착화 후 자석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160은 인솔의 낮은 위치로서 바닥부 도면부호 190과 바닥면을 동일하게 구성한다. 도면부호170은 아취부 및 용천자리와 바닥면 즉 160,190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한 부분이다.
도면부호180은 인솔의 뒷부분 단부에 해당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도면부호190 은 인솔의 앞부분으로 두께에 있어서 가장낮은 바닥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100:인솔 110:족궁부(아취부) 120:용천자리 130:종골지점
141,142,143,144,145: 자석이 구성된 위치 150:인솔의 이면
151,152,153,154,155: 자석이 삽입될 홀
160: 인솔의 낮은 위치 170:아취부 및 용천자리와 바닥면과의 경사진면
180: 인솔의 단부 190: 인솔의 앞부분

Claims (5)

  1. 보행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형상으로 상기 발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보행자의 족궁에 대응하여 아치형의 족궁부가 형성되고,
    용천자리는 돌출모양으로 사출형성하고,
    종골부분은 뒤꿈치를 감싸는 형태로 사출하여 입체구조의 인솔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에 자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종골부분과 상기 아치부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자석은 5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을 삽입하는 홀을 상기 인솔의 이면에 구성하여 상기 자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20170000621U 2017-02-06 2017-02-06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180002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21U KR20180002468U (ko) 2017-02-06 2017-02-06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21U KR20180002468U (ko) 2017-02-06 2017-02-06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68U true KR20180002468U (ko) 2018-08-16

Family

ID=6340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621U KR20180002468U (ko) 2017-02-06 2017-02-06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051A (ko) * 2021-09-02 2023-03-09 백재진 평발치료를 위한 교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98B1 (ko) 2012-06-18 2014-04-01 임성용 단계별 족궁 지지용 패드가 접합구성된 신발깔창
KR101588621B1 (ko) 2015-10-12 2016-01-26 문홍희 교정용 신발깔창
KR101642347B1 (ko) 2015-02-11 2016-07-25 주식회사 지지코리아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98B1 (ko) 2012-06-18 2014-04-01 임성용 단계별 족궁 지지용 패드가 접합구성된 신발깔창
KR101642347B1 (ko) 2015-02-11 2016-07-25 주식회사 지지코리아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101588621B1 (ko) 2015-10-12 2016-01-26 문홍희 교정용 신발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051A (ko) * 2021-09-02 2023-03-09 백재진 평발치료를 위한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KR20180002468U (ko) 무릎관절 보호 및 바른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0948537B1 (ko) 국민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1200165B1 (ko)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200461630Y1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JP3230647U (ja) 健康シューズ
KR20090028341A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지압 운동화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KR200404513Y1 (ko) 신발용 발 교정구
KR10162071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0B1 (ko) 발가락 교정구
KR200412025Y1 (ko) 다기능 신발 안창
KR200378057Y1 (ko) 바이오 마그네트가 내장된 발 교정용 건강 깔창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402603Y1 (ko) 피로 방지용 신발깔창
KR20180034975A (ko) 기능성 밑창 및 그것이 포함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