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16U - 화장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16U
KR20180001716U KR2020160006988U KR20160006988U KR20180001716U KR 20180001716 U KR20180001716 U KR 20180001716U KR 2020160006988 U KR2020160006988 U KR 2020160006988U KR 20160006988 U KR20160006988 U KR 20160006988U KR 20180001716 U KR20180001716 U KR 201800017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tem
cosmetic
outer member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538Y1 (ko
Inventor
정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6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3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내부에 화장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솔대에 묻은 상기 화장품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 도구{Cosmetic Device}
본 고안은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립글로즈,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품을 묻히기 위한 솔대의 팁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 등으로 그 인상으로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 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직접적으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도구 중에서,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고형의 립스틱을 사용하거나 겔 상의 립글로즈를 사용하고 있다.
고형의 립스틱은 널리 알려진 형태로서 소비자의 편리를 고려해 여러가지 구조의 립스틱 용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립글로즈는 겔 상의 립스틱으로서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즈를 입술에 도포하는 데 이용된다.
립글로즈와 유사하게 속 눈썹 등과 같이 눈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기 위해 마스카라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립글로즈와 마스카라는 한 손에 수용되는 10ml 내지 20ml 내외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 화장 도구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는 솔대와 일체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솔대에 묻어나는 화장품은 발림성 및 사용성 등에 의해 일정한 점성을 이룬다. 그런데 사용자가 요구하는 용량 이상으로 화장품이 배출되면, 입술에 화장품이 과도하게 묻어져 흘러내리지 않도록, 솔대에 묻어난 화장품을 다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과도하게 화장품이 묻어나온 솔대를 다시 용기에 넣는 경우, 화장품의 외부 노출 방지를 위해 협소하게 마련되는 출입구 주변에 솔대의 화장품이 묻어나 지저분해질 우려가 있다.
게다가, 솔대에 마련되는 팁을 입술 등에 문지를 경우, 입술에 묻은 먼지가 달라붙을 수 있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외부로 노출된 팁에 묻게 되어, 팁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를 위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솔대의 팁에 묻은 이물질 또는 과도하게 묻은 화장품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내부에 화장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솔대에 묻은 상기 화장품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면이 내부에 마련되는 외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은 상기 솔대의 일측 영역을 이루는 제1 영역과 타측 영역을 이루는 제2 영역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외곽부재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이웃한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은 상기 외곽부재의 바닥면을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외곽부재의 둘레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부재는, 둘레면을 이루는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가로지르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격벽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구획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은 상기 솔대의 좌측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솔대의 우측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찰부는 상기 외곽부재의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탈부착되도록 제1 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부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뚜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제1 단턱의 반대편에 제2 단턱이 마련되어,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제1 단턱 또는 상기 제2 단턱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일측과 타측 또는 중심과 외곽의 높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부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은, 상기 뚜껑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도구는, 함께 마련되는 마찰부에 팁을 문질러 세척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물을 이용한 세척의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장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장 과정에서 팁에 뭉쳐진 화장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화장의 번짐 등이 없이 수월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부에 묻은 먼지나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팁에 묻을 경우, 마찰부에 팁을 문질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티슈 등을 준비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쉽게 찢어지는 티슈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티슈가 팁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로 인한 오염 발생이나 이물질이 묻은 화장 도구를 몸체부 내의 화장품에 닿게 하지 않으므로 화장품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과도하게 배출된 화장품을 다시 몸체부 내부에 덜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화장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소하게 마련된 몸체부의 출입구에 화장품이 묻은 팁을 다시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팁에 묻은 화장품으로 인해 용기 본체의 출입구가 지저분해질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몸체부에 마찰부를 끼우는 단순 동작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며, 마찰부에 전이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몸체부와 마찰부를 분리하여 마찰부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균 번식의 우려 없이 위생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찰부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하므로, 솔대와의 접촉이 조절될 수 있어 솔대의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솔대의 길이방향으로 마찰면에 솔대를 문질러 솔대의 바에 묻은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몸체부에 마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마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00)는 몸체부(110) 및 마찰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내부에 화장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출입구와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또는 다각면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몸체부(110)에 수용된 화장품은 립글로즈, 마스카라와 같이 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얼굴, 손 등 이외의 곳에 묻어나면 내용물을 닦아내야 하므로, 화장품을 손으로 묻힐 필요 없이 솔대(111)를 입술, 속 눈썹, 여드름 자국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 묻히는 동작만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는 솔대(111)가 마련되는 뚜껑(112)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일정한 색상을 갖는 립글로즈, 마스카라, 컨실러 등의 화장품이 담길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내부를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빛이 차단되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투명한 재질에 스티커 등이 감싸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립글로즈, 마스카라 컨실러 화장품 용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몸체부(110)와 뚜껑(112)의 결합, 뚜껑(112)과 솔대(111)의 결합 형태 등은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솔대(111)에 묻은 화장품을 덜어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마찰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솔대(111)는 팁(1111)과 바(1112)로 이루어질 수 있어 바(1112)의 하단부에 팁(1111)이 설치된 형태일 수 있으며, 팁(1111)에 화장품이 덜어져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팁(1111)은 사용자의 입술 등에 직접 맞닿는 구성으로서, 화장품을 사용자의 입술에 묻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술에 묻은 먼지, 각질 등의 이물질이 묻어날 수 있다.
이러한, 팁(1111)에 묻은 이물질이나 사용 후 남은 화장품은 입술에 닿아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거될 필요가 있어, 팁(1111)에 묻은 이물질이나 잔여 화장품을 제거하도록 팁(1111)은 마찰면(123)에 문질러질 수 있다.
그리고 팁(1111)은 사용자의 신체(피부)에 화장품을 전달하는 구성이므로, 곡면, 경사면 등 신체에 전달이 용이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스펀지, 모, 솔 등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찰부(120)는 솔대(111)에 묻은 화장품의 양을 조절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외곽부재(121)와 뚜껑부재(122)를 포함하고, 마찰면(123)을 가질 수 있는데, 다만 뚜껑부재(122)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찰부(120)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 일례로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돌기(예를 들어, 빨래판과 같이 오돌토돌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은 높은 온도의 물에도 재질이 변성되지 않으므로 끓는 물 등에 마찰부(120)를 담글 수 있어 세척 및 세균제거가 용이할 수 있고, 마찰부(120)의 복수의 돌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마찰부(120)의 돌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쉽게 찢어지는 티슈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티슈가 팁(1111)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찰부(120)는 연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마찰부(120)를 잡고 움켜지는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솔대(111)의 형상에 관계없이 마찰부(120)의 마찰면(123)에 솔대(111)를 밀착시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120)의 외곽부재(121)는 내측에 마찰면(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부(1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부재(121)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곽부재(121)가 몸체부(110)에 탈부착되도록 제1 단턱(1211)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단턱(1211)의 반대편에 제2 단턱(1212)이 마련되어, 제1 단턱(1211) 또는 제2 단턱(1212)에 몸체부(110)가 끼움됨으로써 외곽부재(121)가 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120)가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나, 이와 달리, 몸체부(110)에 설치된 뚜껑(112)에 탈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마찰부(120)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몸체부에 대응)에 마찰부(120)만 추가되도록, 마찰부(120)에 제1 단턱(1211)이 마련되어 제1 단턱(1211)이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단순히 끼움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몸체부(110)에 돌출된 리브(몸체부(11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 또한 마찰부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음) 등이 마련되어 마찰부(120)가 연결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마찰부(120)와 몸체부(110)의 연결, 결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외곽부재(121)의 제1 단턱(1211) 또는 제2 단턱(1212)에 선택적으로 뚜껑부재(122)가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외곽부재(121)는 제1 단턱(1211)과 제2 단턱(1212)이 마련되어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일체로 보관될 수 있으면서도 뚜껑부재(122)가 외곽부재(121)를 폐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부재(122)는 마찰부(12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뚜껑부재(122)가 외곽부재(121)에 연결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이때, 뚜껑부재(122)와 외곽부재(121)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줄의 형태로 연결되어 뚜껑부재(122)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제1 단턱(1211) 또는 제2 단턱(1212)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마찰면(123)은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솔대(111)에 묻은 화장품의 양을 조절하도록 솔대(111)와 마찰될 수 있다.
특히, 마찰면(123)은 솔대(111)의 일측 영역을 이루는 제1 영역(예를 들어 팁(1111)의 끝)과 타측 영역을 이루는 제2 영역(예를 들어 팁(1111)의 둘레면)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외곽부재(12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면(1231)과 제1 면(1231)과 이웃한 제2 면(123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실시예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면(1231)은 외곽부재(121)의 천장면(또는 바닥면)을 이룰 수 있고, 제2 면(1232)은 외곽부재(121)의 내측 둘레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실시예로, 도 2를 참조하면, 마찰면(123)은 중심과 외곽의 높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찰면(123)은, 뚜껑부재(122)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마찰부(120)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사용자가 마찰부(120)를 누르거나 솔대(111)로 가압하더라도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마찰면(123)이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 경사진 형태의 팁(1111)을 눕힐 필요없이, 마찰면(123)에 대향 및 밀착시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뚜껑(112)을 잡게 되는 방향에 대해 손목을 꺾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외곽부재(121)는, 둘레면을 이루는 격벽부재(1213)와 격벽부재(1213)를 가로지르는 구획부재(1214)를 포함하고, 제1 면(1231)은 격벽부재(1213)에 마련되고, 제2 면(1232)은 구획부재(1214)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1232)은 구획부재(1214)의 양면에 모두 마련될 수 있어, 마찰부(120)를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마찰부(120)를 세척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간편하다.
제4 실시예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마찰면(123)은 중심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중심부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1231)은 솔대(111)의 일측 영역을 이루는 제1 영역(예를 들어좌측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면(1232)은 솔대(111)의 타측 영역을 이루는 제2 영역(예를 들어 우측 영역)에 대응되도록, 마찰면(123)은 외곽부재(12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면(1231)과 제2 면(1232)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외곽부재(121)는 앞뒤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거나 폐쇄된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앞뒤가 개방된 경우 마찰면(123)에 솔대(111)의 팁(1111)뿐만 아니라 솔대(111)의 바(1112)에 묻은 화장품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찰면(123)은 돌기가 이루어지고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팁(1111)과 바(1112)의 직경이 달리 이루어져도 마찰면(123)에 솔대(111)가 밀착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등의 제거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마찰부(120)에 팁(1111)을 문질러 세척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물을 이용한 세척의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장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장 과정에서 팁(1111)에 뭉쳐진 화장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화장의 번짐 등이 없이 수월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화장 도구 110 : 몸체부
120 : 마찰부 111 : 솔대
1111 : 팁 1112: 바
112 : 뚜껑 121 : 외곽부재
1211 : 제1 단턱 1212 : 제2 단턱
1213 : 격벽부재 1214 : 구획부재
122 : 뚜껑부재 123 : 마찰면
1231 : 제1 면 1232 : 제2 면

Claims (12)

  1. 내부에 화장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솔대에 묻은 상기 화장품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솔대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가지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면이 내부에 마련되는 외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은 상기 솔대의 일측 영역을 이루는 제1 영역과 타측 영역을 이루는 제2 영역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외곽부재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이웃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외곽부재의 바닥면을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외곽부재의 둘레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는, 둘레면을 이루는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가로지르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격벽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구획부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솔대의 좌측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솔대의 우측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찰부는 상기 외곽부재의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탈부착되도록 제1 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부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제1 단턱의 반대편에 제2 단턱이 마련되어,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제1 단턱 또는 상기 제2 단턱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일측과 타측 또는 중심과 외곽의 높이가 서로 달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부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은, 상기 뚜껑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KR2020160006988U 2016-12-01 2016-12-01 화장 도구 KR200489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88U KR200489538Y1 (ko) 2016-12-01 2016-12-01 화장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88U KR200489538Y1 (ko) 2016-12-01 2016-12-01 화장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16U true KR20180001716U (ko) 2018-06-11
KR200489538Y1 KR200489538Y1 (ko) 2019-07-02

Family

ID=6259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88U KR200489538Y1 (ko) 2016-12-01 2016-12-01 화장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3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931A (ja) * 1988-06-30 1999-04-20 L'oreal Sa 化粧品塗布器具セット
KR200242001Y1 (ko) * 2001-03-03 2001-09-26 배희숙 마스카라의 용기구조
JP3089440U (ja) * 2002-04-21 2002-10-25 株式会社コージー本舗 マスカラ用ブラシクリーナー
KR20130004418U (ko) * 2012-01-09 2013-07-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440B2 (ja) * 1991-11-13 2000-09-18 東芝電池株式会社 アルカリ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931A (ja) * 1988-06-30 1999-04-20 L'oreal Sa 化粧品塗布器具セット
KR200242001Y1 (ko) * 2001-03-03 2001-09-26 배희숙 마스카라의 용기구조
JP3089440U (ja) * 2002-04-21 2002-10-25 株式会社コージー本舗 マスカラ用ブラシクリーナー
KR20130004418U (ko) * 2012-01-09 2013-07-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38Y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207B2 (ja) マスカラおよびマスカラリムーバのためのパッケージ
KR100892323B1 (ko) 골무형 핑거브러쉬를 내장한 립케이스
US20060072963A1 (en) Twist up pen type dispenser with brush applicator
KR101922892B1 (ko) 어플리케이터 부착 캡 및 이를 구비한 패키징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101836208B1 (ko)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화장품 용기
KR102014337B1 (ko) 스크류 형상의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906395B1 (ko) 핑거 마스카라
US10595612B2 (en) Glove for facial treatment
KR101796832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9538Y1 (ko) 화장 도구
KR200436256Y1 (ko) 마스카라 브러쉬 세척용기
CN107072375A (zh) 用于涂抹美容产品或护理产品的涂抹器
CN215423264U (zh) 化妆品涂抹器
KR100930753B1 (ko) 휴대용 화장제거기구
KR101796820B1 (ko)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170001958U (ko) 화장품 용기
US11234504B2 (en) Systems and cosmetic kits for removing makeup from a region of an eye
KR20080001934U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단부구조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20180003265U (ko) 화장 용기
KR101444547B1 (ko) 반고형 마스카라 케이스
KR200484603Y1 (ko) 화장용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