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793A - Undercover bolting device - Google Patents

Undercover bol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793A
KR20170138793A KR1020160071065A KR20160071065A KR20170138793A KR 20170138793 A KR20170138793 A KR 20170138793A KR 1020160071065 A KR1020160071065 A KR 1020160071065A KR 20160071065 A KR20160071065 A KR 20160071065A KR 20170138793 A KR20170138793 A KR 2017013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fastening means
nut runner
hang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2405B1 (en
Inventor
허현상
Original Assignee
허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상 filed Critical 허현상
Priority to KR102016007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05B1/en
Publication of KR2017013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0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커버가 장착된 차체(14)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오버헤드 행거(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레일(100)과; 상기 이송레일(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대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이송대차(102)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측면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에 상기 이송대차(102)를 고정하는 행거파지수단(120)과;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우측에 설치되며, 제1너트런너(172)가 장착되고,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A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1볼트체결수단(150)과;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너트런너(24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B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2볼트체결수단(200)과;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너트런너(254)가 장착되고, 상기 제3너트런너(25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C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3볼트체결수단(250)과;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4너트런너(282)가 장착되고, 상기 제4너트런너(28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D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4볼트체결수단(260)과;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5너트런너(294)가 장착되고, 상기 제5너트런너(29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E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5볼트체결수단(290);을 포함하는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는 작업자가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직접 들고 다닐 필요 없이,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다양한 볼트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차체의 사양에 따라 볼트의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차체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체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체를 운반하는 오버헤드 행거와 상기 이송대차의 이송속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행거파지수단이 측면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오버헤드 행거와 이송대차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이송대차의 이송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hanger (10) which is installed under an overhead hanger (10) for transporting a body (14) equipped with an under cover at a constant speed, 100); A conveyance truck 10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rail 100 and moving along the vehicle body conveyance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in the form of a bogie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hanger 10 fixed to the side frame 12 of the overhead hanger 10 and fixed to the overhead hanger 10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ogie 102, A gripping means 120; The first nut runner 17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ved up and down,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The second nut runner 24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nd the vehicle body 14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nut runner 242,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region B of the bolt; A third nut runner 25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and the third nut runner 254 is moved up and down and rotated to move the C-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250; A fourth nut runner 28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and the vehicle body 14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ourth nut runner 282,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D zon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260; A fifth nut runner 29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and the fifth nut runner 294 is mounted on the E-section of the vehicle body 14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carry the nut runner of a high load directly, various bolt fasten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so that the assembly work of the bolts The assemblability of the vehicle body is improved, and the assembling time of the vehicle body is shortened.
Further, the hanger holding means can selectively grasp the side fram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ntrol device and driving device to accurately match the conveying speed of the overhead hanger carrying the vehicle body and the overhead hanger, The hanger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bogie can be exactly matched with the conveying spe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conveyance accuracy of the conveying bogie is improved.

Description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Undercover bolting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cover bolting device,

본 발명은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다양한 각도로 너트런너를 이송시키는 볼트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볼트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송대차의 상측에 행거파지수단이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오버헤드 행거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일치시켜 이송대차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fastening apparatus for an under cover, and a bolt fastening means for transferring a nut runner at various angles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veyance truck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perform a bolt assembl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fastening device for an under cover in which a moving carriage can be moved by matching a conveying direction and a conveying direction of an overhead hang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시 바디에 엔진이 볼트로 가조립된 상태에서 자동조립라인 위에 매달린 행거에 의하여 여러 조립고정을 지나게 되고, 각각의 작업 공정간에서는 조립자인에 배치된 로봇 등에 의하여 바디에 가조립된 부품들을 토오크에 맞게 완전히 볼팅하는 등이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automobile is assembled, a plurality of assembling fixtures are passed by a hanging hanger on an automatic assembly line while the engine is assembled with a bolt to the body. Bolting the parts to the torque, and so on.

이러한 조립공정에서는 너트런너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립공정이 이루어진다. 너트런너는 볼트, 너트, 스크류나 피스의 나사부품에 의한 부품조립에 사용되는 체결공구로서 피스작업에 스크류드라이버, 볼트 및 너트 작업에는 임펙터 렌치 및 너트런너 등이 사용되며 안정된 죔 토크를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 전기 서보식 너트런너를 사용한다.In this assembling process, a bolt is assembled using a nut runner. Nut runner is a fastening tool used to assemble parts by screw parts of bolts, nuts and screw or pieces. Screwdriver is used for piece work, impactor wrench and nut runner are used for bolt and nut work and stable tightening torque is required. Use an electric servomechanical nut runner.

너트런너는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많이 사용됨에 따라 너트런너의 위치 제어 및 정확한 죔 토크에 대한 기술적 요고가 많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08016 '너트 런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자동 캘리브레이션 방법'에서는 토크 변동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변동 토크 값을 자동 보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50887 '너트런너의 부품 체결 방법'에서도 너트런너를 이용하여 체결된 부품의 체결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너트런너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Nutrunners are widely used in automated production lines, and there are many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position control and accurate tightening torque of the nut runn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108016 'Nut Runner System and Torque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Same' discloses that torque fluctuation is automatically checked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fluctuating torque value. Korean Patent No. 10-0750887 Also, in 'Nut runner component fastening method',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fastening quality of the parts fastened with the nut runner, and to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nut run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너트런너는 별도의 장치로 이루어져, 조립라인에서의 작업을 위해서는 이를 추가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적용되어야 하며, 신속한 볼트의 조립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But. In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 nut runner is formed as a separate device. Therefore, an apparatus for carrying the nut runner must be separately applied for the operation in the assembly line, and it is difficult to quickly assemble the bolt.

또한, 너트런너의 조립 작업을 위해서는 조립부위에 고중량의 너트런너의 정확히 위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너트런너를 위치시켜야 하므로 조립 작업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assemble the nut runner,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nut runner accurately at the assembly site, so that the worker must place the nut runner directly, which reduces the accuracy of the assembly work.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080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8016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5088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5088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다양한 각도로 너트런너를 이송시키는 볼트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볼트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송대차의 상측에 행거파지수단이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오버헤드 행거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일치시켜 이송대차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lt fastening means for transferring a nut runner at various angles to an upper surface of a conveyance truck, And a hanger gripping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ruck so that the conveying carriage can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는, 언더커버가 장착된 차체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오버헤드 행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의 이동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대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오버헤드행거의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의 측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오버헤드 행거에 상기 이송대차를 고정하는 행거파지수단과,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우측에 설치되며, 제1너트런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너트런너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A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1볼트체결수단과,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너트런너가 장착되고, 상기 제2너트런너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B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2볼트체결수단과,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너트런너가 장착되고, 상기 제3너트런너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C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3볼트체결수단과,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4너트런너가 장착되고, 상기 제4너트런너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D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4볼트체결수단과,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5너트런너가 장착되고, 상기 제5너트런너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E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lt fastening apparatus for an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fastening apparatus being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n overhead hanger for conveying a body equipped with an under cover at a constant speed, A conveying rail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veying rail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a conveying rail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rail and being moved along a vehicle body convey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A hanger grasp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for fixing the conveyance truck to the overhead hanger and fixed to a side frame of the overhead hanger, Wherein the first nut runner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nut runner, The first nut fastening means be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and having a second nut runner mounted thereon,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B region of the vehicle body; a third nut runn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for ful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C region of the vehicl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nut fastening means, a fourth nut runn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D region of the vehicl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left / right movement; and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And fifth bolt fastening means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E-zone of the vehicl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up-down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fth nut runner.

상기 행거파지수단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 하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파지부재와, 상기 제1파지부재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파지부재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1파지실린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파지부재와, 상기 제2파지부재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파지부재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13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2파지실린더를 포함한다.The hanger gripping means includes a vertical frame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and which is formed of a cylindr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o the left and right,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support frame fixed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a plurality of A first gripping member which is provid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pivo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which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frame, A first pivot shaft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guides the first gripping member in the leftward and rightward rotational movement, A first grasping cylinde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rotatably moving the first grasping member to the left or to the righ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rotation axis; A second grasping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frame, a second grasping shaft which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grasping member and guides the first grasping member (130) And a second gripping cylinder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rotat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to the left or to the left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turning shaft.

제1,5볼트체결수단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1상하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승강실린더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회전몸체와, 상기 제1회전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동바와, 상기 제1회동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1너트런너부재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mprise a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vertically and which is made of an iron frame and supports a plurality of parts, A first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having a first guide groove recessed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upper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first guide groove, A first vertical lift plat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to move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up and down, A first rotating body having a cylinder and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and being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A first rotating bar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dy and is horizontally protruded forwardly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a first nut runner member which is moved to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worker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bolt to completely assemble the bolt assembled.

상기 제2,4볼트체결수단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상하로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과, 상기 제3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2상하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승강실린더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2회전몸체와, 상기 제2회전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2너트런너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second and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mprises a first left and right guide rail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and which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second guide grooves recessed inwar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second upper guide hole provided inside the second guide groove and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left guide rail and having a third guide groove recessed inwar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vertical lift plate installed inside the third guide groove and vertically lifted up and down along the third guide groove; a second vertical lift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A second vertical lifting cylinder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to move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vertically; and a second vertical lifting cylind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A second rotating body which moves upward an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r lifting plate, and a second rotating body which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is horizontally protruded forwardly of the first rotating body, A second turning bar fixedly mounted on an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and moved to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worker and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bolt, And a second nut runner member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nut.

상기 이송대차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행거파지수단와 상기 오버헤드 행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이송대차를 원위치를 복귀시키는 이송대차복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차복귀수단은, 상기 이송대차의 중앙 하부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과 벨트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구동휠의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대차의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휠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동휠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지지브라켓을 연결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행거파지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휠이 선택적으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강제하는 구동휠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ransporting carriage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transporting carriage to its home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ger gripping means and the overhead hanger is released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ing carriage, A driving wheel installed on a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carriage a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to move the carriage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mo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wheel supports the opposite ends of the driving wheel, A drive wheel support bracket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a drive wheel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the drive wheel support bracket being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a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moves up and dow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to force the driving wheel to selectively contact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ger holding means .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olt fastening device of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다양한 각도로 너트런너를 이송시키는 볼트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볼트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송대차의 상측에 행거파지수단이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오버헤드 행거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일치시켜 이송대차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fastening means for transferring a nut runner at various angles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veying truck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perform a bolt assembling operation and a hanger holding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truck,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carriage can be performed by matchi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without installing the apparatus.

따라서, 상기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는 작업자가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직접 들고 다닐 필요 없이,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다양한 볼트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차체의 사양에 따라 볼트의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차체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체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directly carry the nut runner of a heavy load, various bolt fasten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so that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bolt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body,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body is improved, and the assembling time of the vehicle body is shortened.

또한, 차체를 운반하는 오버헤드 행거와 상기 이송대차의 이송속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행거파지수단이 측면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오버헤드 행거와 이송대차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이송대차의 이송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hanger holding means can selectively grasp the side fram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ntrol device and driving device to accurately match the conveying speed of the overhead hanger carrying the vehicle body and the overhead hanger, The hanger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bogie can be exactly matched with the conveying spe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conveyance accuracy of the conveying bogi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가 이송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행거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행거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6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8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볼트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해야하는 볼트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평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under cover bol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bol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under cover bol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onveyance rail;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nger hold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nger hold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lan view of a top view of a bolt assembling position where a bolt is to be fastened using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bolt fastening apparatus for an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bol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bol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bol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는, 언더커버가 장착된 차체(14)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오버헤드 행거(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레일(100)과, 상기 이송레일(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대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이송대차(102)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측면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에 상기 이송대차(102)를 고정하는 행거파지수단(120)과,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우측에 설치되며, 제1너트런너(172)가 장착되고,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A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1볼트체결수단(150)과,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너트런너(24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B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2볼트체결수단(200)과,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너트런너(254)가 장착되고, 상기 제3너트런너(25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C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3볼트체결수단(250)과,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4너트런너(282)가 장착되고, 상기 제4너트런너(28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D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4볼트체결수단(260)과,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5너트런너(294)가 장착되고, 상기 제5너트런너(29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E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5볼트체결수단(290) 등으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bolt fastening device of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overhead hanger 10 for transferring the body 14 equipped with the under cover at a constant speed, A conveyor rail 100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and a conveyor rail 1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rail 100 to form a car body, A conveyance truck 102 that is moved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supports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a conveyance truck 10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fixed to the side frame 12 of the overhead hanger 10 A hanger grasping means 120 installed on the overhead hanger 10 for fixing the transfer bogie 102 to the overhead hanger 10 and a first nut runner 172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bogie 102, And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ved up and down and rotated,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A zon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4 and a second nut fastening means 1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nd equipped with a second nut runner 242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for ful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region B of the vehicle body 14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econd nut runner 242, The third nut runner 25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lt fastening means 200 and the third nut runner 254 is moved up and down and rotated, A third nut fastening means 250 for fully assembling the bolts and a fourth nut runner 282 mounted on one side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and the fourth nut runner 282,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D-zone of the vehicle body 14 in accordance with the up-down movement and the rotation movement and the left- And a fourth nut fastening means 260 mounted on one side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and having a fifth nut runner 294 mounted thereon and the fifth nut runner 294 being vertically moved and rotated And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E zone of the vehicle body 14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상기 오버헤드 행거(10)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차체 이송장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오버헤드 행거(10)는 도 1과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의 상측에 설치되며, 측면프레임(12)의 하단에 차체가 장착되어 일정한 속도로 일방향으로 차체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verhead hanger 10 is a vehicle body transportation device generally used mainly in an automobile assembly li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the overhead hanger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 automobile assembly line, and the vehicle body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12 to move the vehicle body in one direction at a constant speed.

상기 오버헤드 행거(10)는 상기 측면프레임(12)의 하단에 차체(14)가 걸어진 상태에서 각 파트의 조립라인을 따라 차체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킨다.The overhead hanger 10 moves the vehicle body along the assembly line of each part at a constant spe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body 14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12. [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에 장착되는 상기 차체(14)의 하부에는 언더커버(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차체(14)의 하부에 상기 언더커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볼트가 상기 언더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차체(14)에 상기 언더커버의 고정이 이루어진다.An under cover (not shown) is provided under the vehicle body 14 mounted on the overhead hanger 10 and a plurality of bolts are fixed to the under cover to fix the under cover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4. [ And the under cover is fixed to the body 14.

이러한 상기 언더커버의 고정 작업을 위해서는 도 29와 같이 상기 언더커버의 A구역~E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체결 위치에 볼트를 조립하여 상기 차체(14)에 상기 언더커버가 견고하게 고정된다.29, bolts are assembled at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located in the A to E zones of the under cover, and the under cover is firmly fixed to the body 14.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하부에는 이송레일(10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100)은 일반적인 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레일(100)은 상기 오버헤드 행거(10)가 이송되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100)은 바닥면에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후술할 이송대차(102)의 이동을 안내한다.A conveying rail (100) is installed below the overhead hanger (10). The conveyance rail 100 is a general rai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nveying rail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overhead hanger 10 is conveyed. The conveying rail 1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carriage 10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대차가 이송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re is shown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ance truck constituting an example is mounted on a conveyance rail.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100)의 상부에는 이송대차(10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대차(102)는 대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레일(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대차(102)의 하부면 양측에는 각각 바퀴(104)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104)가 상기 이송레일(10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이송대차(102) 바퀴(104)의 구름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102)가 상기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송된다.4 to 6, a conveyance truck 102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ance rail 100. The conveyance truck 10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rail 100 in the form of a train. Wheels 10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the wheels 104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veyance rail 100. The conveyance truck 102 is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rail 100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motion of the conveyance truck 102.

상기 이송대차(102)의 중앙에는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중앙 하부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10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휠(112)과, 상기 구동휠(11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112)과 벨트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1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3)와, 상기 구동휠(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구동휠(112)의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112)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휠(11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동휠 지지브라켓(114)과, 상기 지지브라켓(114)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지지브라켓(114)을 연결하는 고정플레이트(11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휠(112)이 선택적으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강제하는 구동휠조절실린더(118) 등으로 이루어진다.A conveyance truck returning means (1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transporting carriage returning means 110 includes a driving wheel 112 installed on a lower central surface of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a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to move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movement, A driving motor 113 installed on the driving wheel 112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12 to rotate the driving wheel 112,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nveying carriage 102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riving wheel 112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112, A driving plate support bracket 114 for guiding the supporting brackets 114 and a fixing plate 116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racket 114 and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and connects different supporting brackets 114, (116), and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6)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for selectively urging the driving wheel 112 in contact with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and the like.

상기 구동휠(112)은 일반적인 바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휠(112)은 이송대차(102)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송대차(102)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riving wheel 112 is a general whee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riving wheel 11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close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o move the conveyance truck 102.

상기 구동휠(112)의 양측에는 지지브라켓(114)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14)은 도 4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14)은 좌측편에는 상기 구동휠(112)의 중심축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14)의 우측단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중앙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112)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Supporting brackets 11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wheel 112.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bracket 114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narrower toward the right. A center axis of the driving wheel 112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14. The right end of the support bracket 114 is vertically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o move the drive wheel 112 up and down.

상기 지지브라켓(114)의 상부면에는 고정플레이트(11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6)는 직사각형 판내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휠(112)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브라켓(114)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6)는 상부에는 후술할 구동모터(113)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A fixing plate 116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14. The fixing plate 116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and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14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wheel 112. The fixing plate 116 is a portion in which a driving motor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에 의해 서로 다른 두개의 지지브라켓(114)이 연결된다.In addition, two support brackets 114 are connected by the fixing plate 116.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좌측 하부에는 구동휠조절실린더(11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휠조절실린더(118)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휠조절실린더(118)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is install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fixing plate 116. The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is installed at the lower left of the fixed plate 116 and moves the fixed plate 116 up and down.

즉,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휠조절실린더(118)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에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휠조절실린더(118)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시킨다.That is, when the driving wheel 1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moves the fixing plate 116 downward to closely contact the driving wheel 112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driving wheel 112 is separated from the floor surface, the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moves the fixing plate 116 in the upward direction to separate the driving wheel 112 from the floor surface .

따라서, 상기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은 측면프레임(12)에 후술할 행거파지수단(120)이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과 이격시키고, 측면프레임(12)에 후술할 행거파지수단(120)이 고정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휠(112)을 바닥면에 위치시켜 상기 이송대차(10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when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side frame 12, the transporting carriage returning means 11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driving wheel 112 is separated from the floor surface, When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is released, the driving wheel 112 is positioned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행거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행거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er hold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er hold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중앙에는 행거파지수단(120)이 설치된다.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124)과, 상기 수평프레임(124)의 좌우 양단에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6)과, 상기 지지프레임(126)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28)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하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파지부재(130)와,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1회동축(132)과,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축(132)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13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1파지실린더(13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상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파지부재(136)와,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2회동축(138)과 ,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회동축(138)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13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2파지실린더(14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includes a vertical frame 122 vert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formed of a cylindrical frame, A support frame 126 protruding i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4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support plate 128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6 and made of a rectangular plate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grasping member 130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being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and a second grasping member 130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grasping member 130, The member 130 is moved in the left-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rotates to move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32. [ A second gripping member 136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nd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laterally and which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A second pivot shaft 138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pawl member 136 and guiding the pivotal movement of the first pawl member 1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6 for rotat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turning shaft 138.

상기 수직프레임(12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2)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중앙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후술할 수평프레임(124)의 하부를 지지한다.The vertical frame 12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122 is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vertical frame 122.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부면에는 수평프레임(124)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4)은 원토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4)의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4)은 후술할 지지프레임(126)을 하부를 지지한다.A horizontal frame 12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2. The horizontal frame 1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ement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2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horizontal frame 124. The horizontal frame 124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평프레임(124)의 양단에는 지지프레임(12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6)은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프레임(124)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6)은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우측 상부면에 후술할 지지플레이트(128)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6)은 후술할 지지플레이트(128)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Support frames 126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4. The support frame 12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and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4. The support frame 126 is formed of a cylindrical frame, and a support plate 1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upper right surface. The support frame 126 serv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지지프레임(126)의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128)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26)의 우측 상부면에 수평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6)은 상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A support plate 128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6. The support plate 12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and fixed horizontally on the upper righ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6. The support frame 126 supports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에는 제1파지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130)는 도 8과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단이 좌측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13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하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 first holding member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s shown in FIG. 8, the first holding member 13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ding member 130 is protruded lef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holding member 130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nd is rotatably installed laterally.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상단은 후술할 제1파지실린더(134)와 연결되어 상기 제1파지실린더(134)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130)는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좌측면에 밀착된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connected to a first gripping cylinder 134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s the first gripping cylinder 134 moves left and right. The first holding memb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상측에는 제1회동축(1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축(13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상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축(132)의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A first pivot shaft 13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rip member 130. The first pivot shaft 1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grip member 130. And serves as a turning shaf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when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moves left and right.

즉, 도 8과 같이, 상기 제1파지부재(130)는 상기 제1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이동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first pivot shaft 132.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상부에는 제1파지실린더(1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실린더(134)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파지실린더(134)는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바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상기 제1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A first gripping cylinder 134 is installed on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The first gripping cylinder 134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gripping cylinder 134 is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moves the first swinging member 130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swinging member 13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파지실린더(134)이 이송바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에 밀착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frame 12, the first gripping cylinder 134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moves vertical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frame 12.

반대로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밀착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파지실린더(134)의 이송바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수평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과의 밀착이 해제된다.When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released from the close contact with the side frame 12, the transfer bar of the first gripping cylinder 134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horizontal And the close contact with the side frame 12 is released.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에는 우측에는 제2파지부재(136)가 설치된다. 상기 제2파지부재(136)는 도 8과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단이 좌측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파지부재(136)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우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8, the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protruded lef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nd is rotatably installed laterally.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상단은 후술할 제2파지실린더(140)와 연결되어 상기 제2파지실린더(14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재(136)가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제2파지부재(136)는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우측면에 밀착된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is connected to a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is moved left and right as the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moves left and right. The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상측에는 제2회동축(138)이 설치된다. 상기 제2회동축(138)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상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2회동축(138)의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좌우 이동시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And a second pivot shaft 138 is provided on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The second rotating shaft 138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nd serves as a turning shaft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when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of the second turning shaft 138 moves left and right.

즉, 도 8과 같이, 상기 제2파지부재(136)는 상기 제2회동축(138)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이동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holding member 136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second rotating shaft 138.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상부에는 제2파지실린더(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파지실린더(140)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파지실린더(140)는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바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재(136)가 상기 제2회동축(138)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된다.A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is installed on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The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is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moves the second swinging member 136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제2파지부재(136)가 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파지실린더(140)이 이송바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파지부재(136)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우측면에 밀착된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is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frame 12, the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moves verticall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반대로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밀착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파지실린더(140)의 이송바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130)가 수평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과의 밀착이 해제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is disengaged from the side frame 12, the transfer bar of the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is moved to the left so that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is horizontal And the close contact with the side frame 12 is releas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에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파지부재(130)와 상기 제2파지부재(136)는 회동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이 고정된다.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re rotated so that the side frame 12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is fixed to the overhead hanger 10. [ And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is fixed to the side frame 12. [

또한,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이송대차(102)와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1파지부재(130)와 상기 제2파지부재(136)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2)과의 고정이 해제된다.When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of the under cover is completed,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re connected to the overhead hanger 10 in order to disconnect the transfer carriage 102 from the overhead hanger 10,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is rotated and the fixing with the side frame 12 is released.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은 도 2와 같이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과,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156)이 형성되는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과, 상기 제1가이드홈(156)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156)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와,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승강실린더(160)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회전몸체(162)와,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동바(164)와, 상기 제1회동바(164)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1너트런너부재(17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9 to 12,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s shown in FIG.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includes a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formed of an iron frame and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o support a plurality of parts, A first upper feeding guide rail 15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and having a first guide groove 156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recessed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groove 156 and vertically lift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56 and a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158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A first vertical lifting cylinder 160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to move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up and down, and a second vertical lifting cylinder 160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down lifting plate 158 A first rotating body 162 which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a second rotating body 162 which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is horizontally protruded forwardly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 first rotating bar 164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center axi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a second rotating bar 164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164, And a first nut runner member 170 which is moved to the fastening position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bolt to completely assemble the bolts assembled therein.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은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은 다수의 부품이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is formed of a steel fram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serves to support a plurality of parts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의 측면에는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이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의 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15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56)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And a first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154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The first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154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A first guide groove 156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154 so as to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vertical guide plate 156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56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의 측면에는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양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홈(15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에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는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A first vertical lift plate 158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transfer guide rail 154. The first vertical lifting and lowering plate 158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56 so that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can be moved up and down Respectively. The first up-and-down lifting plate 158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up-and-down guide rail 154.

상기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의 측면에는 제1상하승강실린더(1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승강실린더(160)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상하승강실린더(160)는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first vertical lift cylinder 160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transfer guide rail 154. The first up-down cylinder 160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vertical lifting cylinder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to move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up and down.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상단에는 제1회전몸체(162)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몸체(16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1회동바(164)가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162)를 중심으로 후술할 제1회동바(16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몸체(162)는 후술할 제1회동바(16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A first rotating body 162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The first rotating body 16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rotating bar 16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a first rotating bar 164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irst rotating body 162 . The first rotating body 162 rotatably supports a first rotating bar 16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주면에는 제1회동바(164)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바(164)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우측단에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바(164)의 우측단은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바(164)는 상기 제1회전몸체(16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바(164)는 상기 제1회전몸체(162)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돌출 설치되며, 후술한 제1너트런너부재(170)를 방사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A first turning bar 16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he first turning bar 164 is made of a steel frame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The right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64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he first rotating bar 164 protrudes radially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he first turning bar 164 is horizontally protruded about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serves to radially rotate the first nut runner member 170 described later.

상기 제1회동바(164)의 끝단에는 제1너트런너부재(17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너트런너부재(170)는, 볼트에 장착되어 일정한 토크로 회전되고 볼트를 일정한 조임력으로 조립하는 제1너트런너(172)와,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측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너트런너(172)를 지지하는 제1너트런너지지판(174)과,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판(174)의 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판(174)을 지지하는 제1수직지지판(175)과,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판(174)읠 하부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작동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작동을 조절하고,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작동손잡이(176)와, 상기 제1수직지지판(175)의 측면에 상하측에 돌출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제1간격조절바(178)와, 상기 제1수직지지판(175)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조절바수용부(182)을 포함하는 제1간격조절플레이트(180)와, 상기 제1간격조절바(178)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간격조절바(178)의 좌우 이동시 상기 제1간격조절바(178)를 탄성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스프링(184) 등으로 이루어진다.A first nut runner member 17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64. The first nut runner member 170 includes a first nut runner 172 mounted on the bolt and rotated at a constant torque to assemble the bolt with a predetermined tightening force and a second nut runner 17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nut runner 172, A first nut runner support plate 174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supporting the first nut runner 172 and a second nut runner support plate 174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plate 174, A first vertical support plate 175 for supporting the first nut runner 174 and a first nut support plate 174 for supporting the first nut 184, A first operating knob 176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runner 172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nut runner 172 and a second operating knob 176 project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plate 175, The first nut runner 172 has a cylindrical shape, (182) which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plate (175) and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control bar receiving portion (182) The first gap adjusting bar 178 is formed of a spring material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ap adjusting bar 178. When the first gap adjusting bar 178 is moved left and right, A first gap adjusting spring 184 and the like.

상기 제1너트런너부재(170)의 제1간격조절플레이트(180)에 상기 제1회동바(164)의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실린더(16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너트런너부재(17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회전몸체(162)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The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64 is fixed to the first gap adjusting plate 180 of the first nut runner member 170 so that the first nut 18 is fixed to the first nut 18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up- The runner member 170 can move up and down and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ody 162.

또한,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제1작동손잡이(176)에 작동스위치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상하승강실린더(160)의 반자동으로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operating switch is provided on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of the first nut runner 172 so that the operating knob 176 of the first nut runner 172 is operated semi- Up and down movement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미세한 위치 변경을 위해서는 상기 조절바수용부(182)에 상기 제1간격조절바(178)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너트런너(172)를 좌우로 이동시켜 미세한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nut runner 172,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first gap adjusting bar 178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bar receiving portion 182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nut runner 172 can be finely moved.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측면에는 제1회전각도조절키(19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각도조절키(19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일부부은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외부에 돌출된다. 상기 제1회전각도조절키(190)는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제1회동바(164)을 측면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회동바(164)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rotation angle adjusting key 19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he first rotation angle adjusting key 19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a part of the first rotation angle adjusting key 19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nd the remaining part thereof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first rotation angle adjusting key 19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rotation bar 164 which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body 162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rotation bar 164 .

상기와 같은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은 볼트의 체결위치에 작업자가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회전시켜 방사상으로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grips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a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o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nut runner 172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nut runner 172 can be adjusted in a radial direction by rotating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따라서,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은 도 29의 A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위치에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확한 볼트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can easily move the nut runner of a high weight to a plurality of bolt positions located in the A-zone of FIG. 29 by a simple operation to assemble the correct bolt.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22)이 형성되는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제2가이드홈(2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상하로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221)이 형성되는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과, 상기 제3가이드홈(2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홈(22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와,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승강실린더(226)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2회전몸체(228)와, 상기 제2회전몸체(228)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동바(270)와, 상기 제2회동바(27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2너트런너부재(24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3 to 16,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is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s shown in FIG.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includes a first left and right conveying guide 2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carriage and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second guide grooves 222, A rail 210 installed inside the second guide groove 222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left and right guide rail 210, A second upper transferring guide rail 220 in which a third guide groove 221 i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and a second upper transferring guide rail 220 installed inside the third guide groove 221, A first vertical lift plate 224 and a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A second vertical lift cylinder 226 for vertically moving the second vertical lift cylinder 226, A second rotating body 22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lifting and lowering plate 224 and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A second rotating bar 270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axi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270 and moved to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bolt, Lt; / RTI >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은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은 다수의 부품이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is made of a steel fram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serves to support a plurality of parts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의 상측에는 제1좌우이송실린더(20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는 일반적인 로드레스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는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의 상단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제1좌우이송몸체(206)가 설치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A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 20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The first left-right transfer cylinder 204 is a general rodless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204 are install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A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body 20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 204, and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 204.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의 상부면에는 제1좌우이송몸체(206)가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 양측에 돌출부(20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는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돌출부(208) 사이에 후술할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이 삽입되어 후술할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A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body 206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 204. The first left-right transfer body 206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protrusions 208 ar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ing body 206 is moved laterally along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ing cylinders 204 and a first rotating body supporting plate 226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208, Thereby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support plate 226.

즉,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의 이동에 따라 후술할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이 이동되고, 이로 인해 후술할 제2너트런너(24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That is, the first rotating body support plate 2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ing body 206, so that the second nut runner 242 to be described later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의 상단 측면에는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은 상기 제2너트런너지지프레임(202)의 상부 측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의 후술할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A first right and left guide rail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The first left and right guide rails 2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nut runner support frame 20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conveyance guide rails 220 of the first left and right conveyance guide rails 210 described later.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의 내부에는 제1좌우이송바(2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바(212)는 환봉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바(21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바(212)의 외주면에는 좌우이송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이송브라켓이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의 후면을 지지한다.A first right and left transport bar 212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 guide rails 210.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 bars 212 have a round bar shape, and are installed long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 bars 212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 guide rails 210.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 bar 212, and the left and right transport brackets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transfer guide rail 2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가 작동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좌우이송바(212)에 고정 설치되는 후술할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이 상기 제1좌우이송바(21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left-right transferring cylinder 204 is operated to move the first left-right transferring body 206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left- The upper transfer guide rail 22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bars 212.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의 전면에는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의 전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의 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222)의 내부에는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A second upper transfer guide rail 2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guide rail 210. The second upper transfer guide rail 22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fer guide rail 210. A second guide groove 22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220 so as to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222.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의 전면에는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양측면은 상기 제2가이드홈(2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에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는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eeding guide rail 220. The second up-down lifting plate 224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222 so that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can be moved up and down to the second upper vertical transfer guide rail 220 Respectively.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upper feeding guide rail 220.

상기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의 측면에는 제2상하승강실린더(22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상하승강실린더(226)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상하승강실린더(226)는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nd a second up-and-down lifting cylinder 226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upper transmission rail 220. The second vertical lifting cylinder 226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econd vertical lift cylinder 226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to move the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up and down.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부에는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이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을 외부로 돌출 된다. 상기 제1회전몸체지지판(206)는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의 좌우 이동시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first rotating body supporting plate 22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224. The first rotating body support plate 226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first rotating body support plate 20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eft and right transporting body 206 so that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is moved leftward and rightward And to move it.

상기 제1회전몸체지지판(226)의 상부에는 제2회전몸체(228)가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몸체(228)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몸체(228)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2회동바(270)가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몸체(228)를 중심으로 후술할 제2회동바(2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몸체(228)는 후술할 제2회동바(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A second rotating body 228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support plate 226.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and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rotatably supports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회전몸체(228)의 외주면에는 제1회동플레이트(2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우측단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의 후단은 상기 제2회전몸체(228)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는 상기 제2회전몸체(228)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는 상기 제2회전몸체(228)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돌출 설치되며, 후술한 제2너트런너부재(240)를 방사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rotating plate 23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is made of a steel frame, and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back, and the right end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rear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protrudes radially from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horizontally protrudes about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and functions to radially rotate the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described later.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의 일측에는 제2너트런너부재(2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너트런너부재(240)는,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에 고정 설치되며, 언더커버에 가조립된 볼트에 장착되어 일정한 토크로 회전되고 볼트를 일정한 조임력으로 조립하는 제2너트런너(242)와,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작동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실린더(226)의 작동을 조절하고,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작동손잡이(244)와, 상기 제1회동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버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와 연결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206)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는 제1좌우이송스위치(246) 등으로 이루어진다.A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plate 230. The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includes a second nut runner fix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and mounted on a bolt assembled to the under cover to rotate at a constant torque and to assemble the bolt with a predetermined tightening force And an operating switch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up-and-down moving cylinder 226, A second operating knob 244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nut runner 242 and a second operating knob 244 disposed on the first rotating plate 230 and configured in a button shape, And a first left / right feed switch 246 for controlling the left / right movement of the first left / right feed body 206.

상기 제2너트런너부재(240)는 상기 제1좌우이송실린더(204)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상하승강실린더(226)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너트런너부재(240)가 상하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너트런너부재(240)는 상기 제2회전몸체(228)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The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left and right feed cylinder 204 and the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can be moved in the left- (240) is moved up and down. The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is rotatabl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그리고,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제2작동손잡이(244)에 작동스위치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상하승강실린더(226)의 반자동으로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on the second operating knob 244 of the second nut runner 242 to operate the second nut runner 242 semi-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by semi-automatic operation of the second up- Up and down movement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은 볼트의 체결위치에 상기 제2너트런너(242)르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도 29의 B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를 작업자가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can move the second nut runner 242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to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olt, Can be easily fastened.

따라서,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확한 볼트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ve the nut runner with a high weight easily by simple operation, and to assemble the correct bolt.

도 1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은,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17 to 20,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is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as shown in FIG.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은 볼트의 체결위치에 작업자가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3너트런너(25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회전시켜 방사상으로 상기 제3너트런너(25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hird nut runner 254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grasps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a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olt, The position of the third nut runner 254 can be adjusted in a radial direction by rotating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따라서,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은 도 29의 C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위치에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확한 볼트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can easily move the nut runner of a high weight to a plurality of bolt positions located in the C zone of FIG. 29 by a simple operation to assemble the correct bolt.

도 2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4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은,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is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as shown in FIG.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와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과의 차이점은 제3회전몸체(262)의 측면에는 추가적으로 전후이송레일(264)이 설치된다.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in that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rails 264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third rotating body 262.

상기 전후이송레일(264)은 일반적인 이송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264)은 상기 제3회전몸체(262)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and rear conveying rails 264 are general conveying rails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rails 264 are rotatable about the third rotating body 262 by 360 degrees.

상기 전후이송레일(264)의 상부에는 전후이송몸체(266)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몸체(26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전후이송레일(26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The front and rear conveying rails 264 are provided at the upper part thereof with a front and rear conveying body 266.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body 266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forward and rearward conveying rails 264.

즉, 상기 전후이송레일(264)을 따라 상기 전후이송몸체(266)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제4너트런너(282)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forward and rearward conveying body 266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forward and rearward conveying rails 264, an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ourth nut runner 282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전후이송몸체(266)의 상부면에는 제4회전몸체(268)가 설치된다. 상기 제4회전몸체(268)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4회전몸체(268)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2회동바(270)가 설치되어, 상기 제4회전몸체(268)를 중심으로 후술할 제2회동바(2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4회전몸체(268)는 후술할 제2회동바(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A fourth rotating body 26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ward and rearward conveying body 266.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and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rotatably supports a second rotating bar 2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4회전몸체(268)의 외주면에는 제2회동바(2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회동바(270)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우측단에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바(270)의 우측단은 상기 제4회전몸체(268)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회동바(270)는 상기 제4회전몸체(268)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바(270)는 상기 제4회전몸체(268)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돌출 설치되며, 후술한 제4너트런너부재(280)를 방사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A second rotating bar 27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The second pivoting bar 270 is formed of a steel frame,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at the right end.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27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The second rotating bar 270 protrudes radially from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The second turning bar 270 protrudes horizontally about the fourth rotating body 268 and serves to radially rotate the fourth nut runner member 280 described later.

상기 제2회동바(270)의 끝단에는 힌지축(272)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27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좌우로 관통되는 회동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72)은 상기 제2회동바(270)의 끝단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후술한 회동블럭(274)의 일단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hinge shaft 272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270. The hinge shaft 27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rotation hole (not shown) penetrating right and left at an upper end thereof. The hinge shaft 272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270 to support one end of the rotation block 274 described later.

상기 힌지축(272)의 상단에는 회동블럭(274)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블럭(274)은 직육면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블럭(274)의 우측단은 상기 힌지축(272)의 상단에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삽입 고정된다. 상기 회동블럭(274)은 상기 힌지축(272)의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된다.A pivot block 274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inge shaft 272. The rotation block 274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right end of the rotation block 274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inge shaft 272 by a fixing pin (not shown). The pivot block 274 is vertically rotated on the basis of the hinge shaft 272.

상기 회동블럭(274)의 하부에는 각도조절실린더(276)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76)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76)는 상기 회동블럭(27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블럭(27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n angle adjusting cylinder 276 is installed below the pivot block 274.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276 is a general cylind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276 is installed below the pivot block 274 to move the pivot block 274 up and down.

즉, 상기 회동블럭(274)은 후술할 제4너트런너부재(280)와 연결되며,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76)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블럭(274)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이동되어 후술할 제4너트런너부재(28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pivot block 274 is connected to a fourth nut runner member 28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ivot block 274 is mov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276, The angle of the nut runner member 280 can be adjusted.

상기 회동블럭(274)의 끝단에는 제4너트런너부재(280)가 설치된다. 상기 제4너트런너부재(280)는 도 9의 제1너트런너부재(17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fourth nut runner member 28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pivot block 274. The fourth nut runner member 28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nut runner member 170 of FIG. 9,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은 볼트의 체결위치에 작업자가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4너트런너(282)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회전시켜 방사상으로 상기 제4너트런너(28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grips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a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o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urth nut runner 282 And the position of the fourth nut runner 282 can be adjusted in a radial direction by rotating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또한,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은 상기 전후이송레일(264)과, 전후이송몸체(266) 그리고, 회동블럭(274)과 각도조절실린더(276)에 의해 상기 제4너트런너부재(280)의 좌우, 상하 이송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전후 이송과 각도조절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is connected to the fourth nut runner member 264 by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rails 264 and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bodies 266 and the pivoting block 274 and the angle adjusting cylinder 276. [ 280, as well as forward and backward feed and angle adjustment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따라서,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은 도 29의 D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위치에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확한 볼트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can easily move the nut runner with a high weight to a plurality of bolt positions located in the D zone in FIG. 29, thereby easily performing the assembly work of the bolts.

도 2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5볼트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볼트체결수단(29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의 하부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5볼트체결수단(290)은,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5 to 28,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center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as shown in FIG.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5볼트체결수단(290)은 볼트의 체결위치에 작업자가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5너트런너(29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작동손잡이(176)를 회전시켜 방사상으로 상기 제5너트런너(29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adjusts the height of the fifth nut runner 294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grasps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at the bolt fasten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fifth nut runner 294 can be adjusted in a radial direction by rotating the first operating knob 176.

따라서, 상기 제5볼트체결수단(290)은 도 29의 E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위치에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확한 볼트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can easily move the nut runner of a high weight to a plurality of bolt positions located in the E zone of FIG. 29 by a simple operation to assemble an accurate bolt.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lt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9.

먼저, 오버헤드 행거(10)의 측면프레임(12)에 차체(14)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차체(14)의 내부에는 언더커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 위치에는 복수개의 볼트가 가조립된 상태에 장착되어 있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body 14 is mounted on the side frame 12 of the overhead hanger 10, the vehicle body 14 is moved from left to right as shown in Fig. An under cove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14, and a plurality of bolts are attached to the bolt fastening position of the under cover.

상기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 위치는 도 29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볼트 체결 위치는 A구역~E구역으로 나누어진다.The bolt fastening position of the under cover is shown in FIG. 29, and the bolt fastening position is divided into the A zone to the E zone.

상기 오버헤드 행거(10)는 조립 과정 중에 절대 정지되지 않으며, 일정한 속도로 일방향으로 차체를 이동시킨다.The overhead hanger 10 is never stopp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moves the vehicle body in one direction at a constant speed.

작업자는 행거파지수단(120)을 작동시켜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측면프레임(12)에 제1파지부재(130)와 제2파지부재(136)를 고정한다. 상기 제1,2파지부재(130,136)의 고정에 의해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이동에 따리 이송대차(102)가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The operator operates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to fix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to the side frame 12 of the overhead hanger 10.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is moved at the same speed as the overhead hanger 1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verhead hanger 10 by fixing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130 and 136. [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는 볼트체결수단(150,200,250,260,290)이 안착되어 자동으로 상기 오버헤드 행거(10)를 따라 이동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bolt fastening means 150, 200, 250, 260, and 290 are seated and automatically moved along the overhead hanger 10.

작업자는 상기 언더커버의 A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부터 조립을 실시한다. 작업자는 제1작동손잡이를 파지하여, 볼트 체결위치에 맞게 제1너트런너(17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제1회전몸체(162)를 기준으로 상기 제1회동바(164)을 회전시켜 볼트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제1너트런너(172)를 이동시키고, 추가적으로 상기 제1너트런너(172)를 상승시켜 볼트에 상기 제1너트런너(172)를 삽입하여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한다.The operator carries out assembly from a plurality of bolts located in the area A of the undercover. The operator grips the first operating knob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nut runner 172 to match the bolt fastening position. Whe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nut runner 172 is completed, the operator rotates the first turning bar 164 on the basi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to rotate the first nut runner 172 And the first nut runner 172 is further raised to insert the first nut runner 172 into the bolt to assemble the assembled bolt completely.

상기 언더커버의 A구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볼트 조립이 완료되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B구역부터 E구역에 위치한 볼트를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상기 언더커버에 가조립된 복수개의 볼트를 완전 조립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olts located in the A area of the under cover are completed and the bolts located in the E area from the B area are continuously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lurality of bolts assembled to the under cover can be fully assembled.

상기 언더커버의 볼트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의 제1파지부재(130)와, 상기 제2파지부재(136)를 회동시켜 상기 측면프레임(12)과의 고정을 해제한다.When the bolt assembly of the under cover is completed,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of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re rotat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ide frame 12 .

상기 행거파지수단(120)과 상기 측면프레임(12)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이송대차(102)의 이동은 정지된다. 상기 이송대차(102)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이송대차의 중앙에 설치된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이 작동되어 상기 이송대차(10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When the fixing of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and the side frame 12 is released,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truck 102 is stopped. When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is stopped, the transporting carriage returning means 11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ransporting carriage is operated to return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to the original position.

따라서, 상기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는 작업자가 고중량의 너트런너를 직접 들고 다닐 필요 없이,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다양한 볼트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차체의 사양에 따라 볼트의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차체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체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undercover bolt fastening apparatus, various bolt fasten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so that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bolt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body, without the operator having to directly carry the nut runner Therefore, the assemblability of the vehicle body is improved and the assembling time of the vehicle body is shortened.

또한, 차체를 운반하는 오버헤드 행거(10)와 상기 이송대차(102)의 이송속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이 측면프레임(12)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오버헤드 행거(10)와 이송대차(102)의 이송방향과 이송속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이송대차의 이송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hanger gripping means 120 on the side frames 12 without needing to install separate control devices and driving devices for exactly matching the overhead hanger 10 carrying the car body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ance truck 102 ) Can be selectively gripped to easily match the feed direction and the feed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and the feed truck 102 by a simple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feed accuracy of the feed truck .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송레일 102. 이송대차
120. 행거파지수단 150. 제1볼트체결수단
200. 제2볼트체결수단 250. 제3볼트체결수단
260. 제4볼트체결수단 290. 제5볼트체결수단
100. Feed rail 102. Feed rail
120. Hanger holding means 150. First bolt fastening means
200.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50. Third bolt fastening means
260.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90. The fifth bolt fastening means

Claims (5)

언더커버가 장착된 차체(14)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오버헤드 행거(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레일(100)과;
상기 이송레일(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대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이송대차(102)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측면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에 상기 이송대차(102)를 고정하는 행거파지수단(120)과;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우측에 설치되며, 제1너트런너(172)가 장착되고, 상기 제1너트런너(17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A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1볼트체결수단(150)과;
상기 제1볼트체결수단(1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너트런너(24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너트런너(24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B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2볼트체결수단(200)과;
상기 제2볼트체결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너트런너(254)가 장착되고, 상기 제3너트런너(25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C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3볼트체결수단(250)과;
상기 제3볼트체결수단(2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4너트런너(282)가 장착되고, 상기 제4너트런너(282)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그리고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D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4볼트체결수단(260)과;
상기 제4볼트체결수단(2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5너트런너(294)가 장착되고, 상기 제5너트런너(29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차체(14)의 E구역에 위치한 가조립된 볼트들을 완전 조립하는 제5볼트체결수단(290);을 포함하는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
A conveyor rail 10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verhead hanger 1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for conveying the body 14 equipped with the under cover at a constant speed, ;
A conveyance truck 10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rail 100 and moving along the vehicle body conveyance direction of the overhead hanger 10 in the form of a bogie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hanger 10 fixed to the side frame 12 of the overhead hanger 10 and fixed to the overhead hanger 10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ogie 102, A gripping means 120;
The first nut runner 17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The first nut runner 172 is moved up and down, A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The second nut runner 24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150 and the vehicle body 14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nut runner 242, A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region B of the bolt;
A third nut runner 25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lt fastening means 200 and the third nut runner 254 is moved up and down and rotated to move the C- A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250;
A fourth nut runner 28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rd bolt fastening means 250 and the vehicle body 14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ourth nut runner 282, A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for complete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D zone of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260;
A fifth nut runner 29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60 and the fifth nut runner 294 is mounted on the E-section of the vehicle body 14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a fifth bolt fastening means (290) for fully assembling the assembled bolts located in the first bolt fastening means (29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124)과;
상기 수평프레임(124)의 좌우 양단에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6)과;
상기 지지프레임(126)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28)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하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파지부재(130)와;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1회동축(132)과;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축(132)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13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1파지실린더(13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8)의 상부면 상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파지부재(136)와;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재(130)의 좌우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제2회동축(138)과;
상기 제2파지부재(13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회동축(138)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파지부재(13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2파지실린더(140);를 포함하는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
The hanger holding device (1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A vertical frame 122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and having a cylindrical frame;
A horizontal frame 124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2 and having a cylindrical frame;
A support frame 126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 letter "at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4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support plate 128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6 and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gripping member 130 install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and selective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A first pivot shaft 132 vertically penetrating the first pawl member 130 and guiding rotation of the first pawl member 1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gripping cylinder 134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and rotat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to the left an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swinging shaft 132;
A second gripping member 136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8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being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frame 12;
A second pivot shaft 138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pawl member 136 to guide the first pawl member 130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gripping cylinder 140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gripping member 136 and rotat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130 to the left and to the left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swinging shaft 138 The under cover bolt faste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제1,5볼트체결수단(150,29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과;
상기 제1너트런너지지프레임(152)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156)이 형성되는 제1상하이송가이드레일(154)과;
상기 제1가이드홈(156)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156)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와;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승강실린더(160)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하승강플레이트(15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회전몸체(162)와;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동바(164)와;
상기 제1회동바(164)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1너트런너부재(170);를 포함하는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lt fastening means (150,
A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made of a steel frame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A first upper transmission guide rail 154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side of the first nut runner support frame 152 and has a first guide groove 156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first vertical lifting plate 158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groove 156 and vertically lift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56;
A first vertical lift cylinder 158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158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158 to vertically move the first vertical lift plate 158 )Wow;
A first rotating body 162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down moving plate 158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down movement of the first up-down moving plate 158;
The first rotary body 162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rotary body 162 and is horizontally protruded forward of the first rotary body 16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rotary body 162 A first turning bar 164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64;
A first nut runner member 170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turning bar 164 and moved to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lts inserted in the outer side of the bolt, And a bolt fastening device for an unde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4볼트체결수단(200,260)은,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22)이 형성되는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제2가이드홈(2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좌우이송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상하로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221)이 형성되는 제2상하이송가이드레일(220)과;
상기 제3가이드홈(2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홈(22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와;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승강실린더(226)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하승강플레이트(22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2회전몸체(228)와;
상기 제2회전몸체(228)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16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동바(270)와;
상기 제2회동바(27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 체결위치에 이동되고, 볼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가조립된 볼트를 완전 조립하는 제2너트런너부재(240);를 포함하는 언더커버의 볼트 체결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nd fourth bolt fastening means (200, 260)
A first left and right conveyance guide rails 210, which ar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and which have second guide grooves 222 which are recessed inwardly in the lateral direction;
A second guide groove 22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222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left and right guide rail 210, A second upper shunt guide rail 220 on which a groove 221 is formed;
A second vertical lift plate 224 installed in the third guide slot 221 and vertically lifted up and down along the third guide slot 221;
A second vertical lifting cylinder 226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224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224 to move the second vertical lifting plate 224 up and down, )Wow;
A second rotating body 228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lifting plate 224 and being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lifting plate 224;
The first rotating body 162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rotating body 228 and is horizontally protruded forwardly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62 A second rotating bar 270 which is formed on the first rotating bar 270;
A second nut runner member 240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turning bar 270 and moved to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sition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worker and fully inserted into the bolt to assemble the assembled bolt, And a bolt fastening device for an unde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102)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와 상기 오버헤드 행거(1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이송대차(102)를 원위치를 복귀시키는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차복귀수단(110)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중앙 하부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10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휠(112)과;
상기 구동휠(11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112)과 벨트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1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3)와;
상기 구동휠(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구동휠(112)의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대차(102)의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112)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휠(11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동휠 지지브라켓(114)과;
상기 지지브라켓(114)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지지브라켓(114)을 연결하는 고정플레이트(11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일측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행거파지수단(1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휠(112)이 선택적으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강제하는 구동휠조절실린더(118);를 포함하는 언더커버 볼트 체결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enter of a low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ing carriage returning means (110) for returning the transporting carriage (102)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and the overhead hanger (10)
The conveyance truck returning means (110)
A drive wheel 112 installed on a lower central surface of the conveyance truck 102 a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to move the conveyance truck 102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motion;
A driving motor 113 installed on the driving wheel 112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12 to rotate the driving wheel 112;
One end of the driving wheel 112 is connected to the center axis of the driving wheel 11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driving carriage 102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riving wheel 112 A drive wheel support bracket 114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wheel 112;
A fixing plate 116 formed on a top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14 and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connecting different support brackets 114;
The hanger holding means 12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6 so that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6 is lifted up and down so that the driving wheel 112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driving wheel adjusting cylinder (118) for forcing the driving wheel.
KR1020160071065A 2016-06-08 2016-06-08 Undercover bolting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822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65A KR101822405B1 (en) 2016-06-08 2016-06-08 Undercover bol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65A KR101822405B1 (en) 2016-06-08 2016-06-08 Undercover bol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93A true KR20170138793A (en) 2017-12-18
KR101822405B1 KR101822405B1 (en) 2018-03-08

Family

ID=6092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0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2405B1 (en) 2016-06-08 2016-06-08 Undercover bol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4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697A (en) * 2018-07-27 2018-11-09 惠州市银宝山新实业有限公司 Automobile adjustment seat knob assembling device
WO2021184669A1 (en) * 2020-03-15 2021-09-23 南京根田科技有限公司 Bolt and nut automatic assembly system for flat cultivation container
KR102671483B1 (en) * 2024-01-22 2024-06-03 승림전자 주식회사 Automation device for bolt and nut assembly of overcurrent circuit brea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697A (en) * 2018-07-27 2018-11-09 惠州市银宝山新实业有限公司 Automobile adjustment seat knob assembling device
WO2021184669A1 (en) * 2020-03-15 2021-09-23 南京根田科技有限公司 Bolt and nut automatic assembly system for flat cultivation container
KR102671483B1 (en) * 2024-01-22 2024-06-03 승림전자 주식회사 Automation device for bolt and nut assembly of overcurrent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405B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582B2 (en) Vehicular component apparatus
JP4367666B2 (en) Screw tightening device
US4734979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US9592611B2 (en) Workpiece mounting system, workpiece mounting method, sunroof unit holding device, and sunroof unit holding method
KR101998389B1 (en) Device for assembling tire wheel automatically
KR101822405B1 (en) Undercover bolting device
JP2018008651A (en) Mounting method of front end module, and device of the same
KR20120083980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s of vehicle
US7197810B2 (en) Transport system
WO2008075897A1 (en) Rail type transportation apparatus
JP2546126Y2 (en) Auxiliary device for wheel mounting in automobile assembly line
US11185976B2 (en) System for automatic wheel alignment adjustment
WO2016151836A1 (en) Jig for conveying separate-type control panel
CN105438751A (en) Automobile component conveyer
JP3686514B2 (en) Suspension damper assembly equipment
KR20210001462A (en) Cargo loading unit of hand lift apparatus
JPS6124679A (en) Wheel fitting system in automoble assembly line
JP2007253813A (en) Supporting device for assembling vehicle, carrying truck, vehicle assembl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JP3719063B2 (en) Work positioning device
JP2019072782A (en) Fastening device
US7568279B2 (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n instrument panel
JP2005177910A (en) Screw tightening device
JP2018009443A (en) Clamping member tensioner and socket for clamped member tensioner
US12227247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body during assembly
JP2001047338A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