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296A -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296A
KR20170137296A KR1020160069223A KR20160069223A KR20170137296A KR 20170137296 A KR20170137296 A KR 20170137296A KR 1020160069223 A KR1020160069223 A KR 1020160069223A KR 20160069223 A KR20160069223 A KR 20160069223A KR 20170137296 A KR20170137296 A KR 2017013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ing
collet
driving whee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덕
Original Assignee
신성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공업(주) filed Critical 신성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06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7296A/ko
Publication of KR2017013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재배 및 조경 목적에 주로 이용되는 전지(剪枝)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엇갈리게 밀착 교차시켜 그 중심을 칼대결합구(1')로 결합구성하는 제1,2칼대(1)(2)와, 제1칼대(1)와 연결시켜 제2칼대(2)의 지레 작용을 도모하는 구동대(3)로 구성하여 상기 구동대(3)의 구동휠(31)이 제2칼대(2)와 연결된 그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동시에 제1칼대(1)와 연결된 제2칼대(2)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면서 제2칼대(2)의 지레 원리가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가위{Secateurs}
본 발명은 과수재배 및 조경 목적에 주로 이용되는 전지(剪枝)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위의 절단력을 향상시켜 전지 작업과 작업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가위는 가위의 칼날이 엇갈려 있는 2개의 다리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손으로 2개의 다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아귀의 힘으로 오므려 지레의 원리로 전지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므로 얇은 나뭇가지가 아닌 굵은 나뭇가지 등의 전지작업시 작업자가 매우 힘들어 하였음은 물론 나뭇가지의 절단이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저해시켰던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종래의 전기가위는 작업자의 손아귀 힘만으로 전지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지작업하고자 하는 나뭇가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손아귀에 힘이 많이 들어가 장시간의 작업이 어렵게 되고 또 피로 적층으로 인한 부상의 우려를 가질 수 있어, 작업의 곤란성 및 효율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통상의 전지가위는 2개의 칼날을 지레의 원리로 교차구성하되, 사북을 이용하여 2개의 칼날이 서로 밀착된 결합구성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장기간 또는 잦은 사용으로 칼날의 밀착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그 밀착결합력이 저하되었을 때, 칼날의 밀착면 사이에서 미세한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미세한 틈은 후 사용시 가위의 특성인 교차 썰기의 효율성을 저해하여 작업자의 손에 많은 힘을 요하게 됨은 물론 절단물을 지저분하게 절단할 우려를 가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출원 제2009-0010496호
본 발명은 전기한 종래의 전지가위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는 전지가위로 기어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작은 손아귀 힘에도 기어회전력에 의한 큰 절단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가위의 칼날 밀착상태를 상시 유지시켜 전지가위의 절단효율이 일정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하는 본 발명의 전지가위는 엇갈리게 밀착 교차시켜 그 중심을 칼대결합구(1')로 결합구성하는 제1,2칼대(1)(2)와, 제1칼대(1)와 연결시켜 제2칼대(2)의 지레 작용을 도모하는 구동대(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칼대(1)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1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12)와, 중심부에 하 방향 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외주연에 기어부(13)를 가지게 하는 작동휠(14)로 구성하고,
상기 제2칼대(2)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2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2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대(3)는 일측에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연결하는 구동휠(31)과,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32))로 구성하되,
구동휠(31)은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대칭되는 호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외주연에 상기 작동휠(14)의 기어부(13)와 물림되는 기어부(33)를 가지게 구성하고, 동시에 구동휠(31) 중심부를 제2칼대(2)의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구동대(3)의 구동휠(31)에 구성하는 기어부(13)(33)를 상호 대칭되는 베벨기어 형태로 구성하여 직선 선상에서 마주보게 치합 구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동대(3)의 연결부(31)를 제2칼대(2)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 절곡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통해 제1칼대와 제2칼대의 지레 원리를 자전과 공정을 하는 구동대의 구동휠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작은 손아귀 힘으로도 굵은 나뭇가지 등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려운 작업(굵은 가지작업) 및 장시간 작업에도 작업자의 손 피로를 덜어 주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1칼대와 제2칼대의 칼날부가 잦은 사용 및 장기간 사용에도 상호 벌어짐 없이 상시 밀착된 상태 그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도모하여 각종 작업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벌림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오므림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가위의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어부를 참고하기 위한 베벨기어 참고도,
도 7은 가 - 가' 선단면도,
도 8은 가 - 가' 선단면도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전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의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 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하여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 기재,설명토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은 구성을 도 1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엇갈리게 밀착 교차시켜 그 중심을 칼대결합구(1')로 결합구성하는 제1,2칼대(1)(2)와, 제1칼대(1)와 연결시켜 제2칼대(2)의 지레 작용을 도모하는 구동대(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칼대(1)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1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연결부(12)와, 중심부에 하 방향 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외주연에 기어부(13)를 가지게 하는 작동휠(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칼대(1)의 타측에 형성하는 연결부(12)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그 외주연으로 합성수지의 손잡이(101)를 가진다.
또 작동휠(14)은 외주연 일정범위 내에 기어 이와 기이 홈으로 이루어진 기어부(33)를 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칼대(2)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2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연결부(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칼대(2)는 그 타측에 형성하는 연결부(22)를 제1칼대(1)의 연결부(12)보다 짧게 형성한다. 또 제1칼대(1)와 제2칼대(2)는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중심부를 칼대결합구(1')로 결합구성하여 지레의 작용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대(3)는 일측에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연결되는 구동휠(31)과, 타측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32)로 구성하되, 구동휠(31)은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일직선상에서 대칭되는 호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외주연에 상기 작동휠(14)의 기어부(13)와 물림 대응되는 기어부(33)를 가지게 구성하고, 동시에 구동휠(31) 중심부를 제2칼대(2)의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구동대(3)의 타측에 형성하는 연결부(32)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그 외주연으로 합성수지의 손잡이(101)를 가진다.
참고로, 상기의 구동대(3)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칼대(1)의 연결부(12) 하부에 일직선상으로 위치되어 구동휠(31)의 기어부(33)가 제1칼대(1)의 작동휠(14)에 구성된 기어부(13)와 치합되게 한다. 또 상기 구동휠(31)의 중심부를 제2칼대(2)의 타측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결합하여 구동대(3)의 작동에 따라 제2칼대(2)가 지레 작용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구동대(3)의 구동휠(31)에 구성하는 기어부(13)(33)를 기어 이와 기어 홈이 일 방향 경사지게 치합된 도 6의 베벨기어 형태로 각각 대칭 구성하여 직선 선상에서 마주보게 치합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동대(3)의 연결부(32)를 제2칼대(2)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 절곡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3과 같은 전지가위 벌림 상태와 도 4와 같은 전지가위의 오므림 상태의 실시 예를 가진다.
상세하게, 도 3의 전지가위 벌림 상태는 절단대기상태로 사용자의 손아귀 힘이 해지되었을 때, 제1칼대(1)의 연결부(12)와 구동대(3)의 연결부(32) 사이에 구성된 탄성스프링(102)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대(3)는 그 일측의 구동휠(31)이 제2칼대(2)의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회전 가능케 연결구성되면서 그 외주의 기어부(33)가 제1칼대(1)의 작동휠(13)에 구성된 기어부(33)와 상호 치합 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탄성스프링(102)의 탄성력으로 제1칼대(1)의 연결부(12)로부터 구동대(3)의 연결부(32)가 밀림(회전)되면 일측 구동휠(31)이 구동대결합구(34)를 중심으로 하여 자전하고 동시에 제2칼대(2)의 칼대결합구(1')를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제2칼대(2)의 지레 작용을 도모하여 제2칼대(2)의 칼날부(21)가 제1칼대(1)의 칼날부(1)에서 벌어지게 한다.
다시 말하자면, 구동대(3)의 연결부(32)가 탄성스프링(102)에 의해 제1칼대(1)의 연결대(12)로부터 밀림(회전)되면, 제2칼대(2)의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연결된 일측 구동휠(31)에 구동대결합구(34)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전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상호 기어부(13)(33)로 치합된 구동휠(31)은 상기 자전력에 의해 작동휠(14)을 따라 하방향 기어 회전하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은 제2칼대(2)의 연결부(22)에 모멘트를 전달하여 제2칼대(2)가 칼대결합구(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지레의 작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칼대(2)의 회전은 다시 상기 구동휠(31)에 공전을 부여하여 상기 구동휠(31)이 탄성스프링(102)에 의한 자전과 상기 제2칼대(2)의 회전에 의한 공전으로 제2칼대(2)의 지레 원리를 실시하여 제2칼대(2)의 칼날부(21)를 제1칼대(1)의 칼날부(11)로부터 벌어지게 한다.
이를 요약하면 도 3에서와 같이 구동대(3)의 구동휠(31)은 제2칼대(2)와 연결된 그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동시에 제1칼대(1)와 연결된 제2칼대(2)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면서 제2칼대(2)의 지레 원리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도 4의 전지가위 오므림 상태는 나뭇가지 등의 절단상태로 사용자가 손아귀 힘을 가하였을 때, 위 설명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대(3)의 연결부(32)가 제1칼대(1)의 연결부(12)로 당김(회전)되면 그 일측 구동휠(31)이 작동휠(14)을 따라 상 방향 기어 회전하려는 회전력(자전)을 가지게 되고, 동시에 그 회전력은 제2칼대(2)의 연결부(22)에 모멘트를 전달하여 제2칼대(2)가 칼대결합구(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구동대(1)의 구동휠(31)에 회전력(공전)을 부여하여 상기 구동휠(3)이 사용자에 의해 그 중심에서의 자전과 상기 제2칼대(2) 회전에 의한 공전으로 제2칼대(2)의 지레 원리를 실시하여 제2칼대(2)의 칼날부(21)가 제1칼대(1)의 칼날부(11)로 교차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예는 구동대의 구동휠과 제1칼대의 작동휠을 상호 기어부로 연결하여 구동휠의 자전과 공전을 통해 제2칼대의 지레 원리를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 구동대의 구동휠과 제1칼대의 작동휠 간 기어부 회전작용에 의해 얻어지는 힘으로 제2칼대에 높은 모멘트를 전달하여 지레의 원리에 의해 발생되는 칼날부의 절단력을 크게 향상시켜 사용자의 작은 손아귀 힘으로도 굵은 나뭇가지 등이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대(3)의 구동휠(31)과 제1칼대(1)의 작동휠(14)에 상호 직선 선상으로 물림 구성하는 기어부(13)(33)를 각기 대칭되는 방향의 베벨기어로 구성하여 제2칼대(2)의 칼날부(21)가 제1칼대(1)의 칼날부(31)에 보다 높은 밀착력을 가지게 하면서 그로 인한 절단효율이 증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상호 대칭방향으로 위치시켜 직선상 마주보게 치합한 베벨기어를 참고도면으로 도시한 도 6과 같이 구동휠(31)의 기어부(33)와 작동휠(14)의 기어부(13)를 도 6의 베벨기어와 같이 구성하여 앞선 설명처럼 사용자의 손아귀 힘에 의해 구동휠(31)이 자전과 공전을 할 때, 그 외주의 기어부(33)가 작동휠(14)의 기어부(13)에 경사접촉으로 그 밀착회전력이 높게 발휘되어 제2칼대(2)에 큰 모멘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른 이유는 통상의 사용자가 전지가위를 파지하였을 때 제1칼대(1)의 손잡이(101) 상부는 엄지손가락과 손바닥 사이 부분에 위치시키고 구동대(3)의 손잡(101)이 하부는 나머지 손가락 마디부분에 위치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을 모아 전지가위를 오므리면 제1칼대(1)의 손잡이(101)를 기준으로 구동대(3)의 손잡이(101)가 사용자의 손바닥 안쪽 부분으로 비스듬히 당겨지면서 약간의 비틀림 현상을 가지게 된다.
하여 본 발명은 상기 손가락의 오므리는 위와 같은 형태를 감안하여 구동대(3)와 구동휠(31)에 전달되는 위 비틀림 현상을 상기 베벨기어의 경사접촉 형태를 통해 제2칼대(2)가 칼대결합구(1')를 중심으로하여 도 7에 도시된 b - b' 방향 지레 작용을 유도하므로 제2칼대(2)의 칼날부(21)가 제1칼대(1)의 칼날부(11)에 보다 큰 힘으로 밀착 작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전지가위의 가 - 가' 선단면도를 참고하였을 때, 사용자가 여러 개의 손가락을 손바닥 안쪽부분(도면상 b방향)으로 오므리면 도면상 구동대(3)가 제2칼대(2)의 연결부(22)측으로 약간의 당김 작용이 일어나고, 이러한 당김 작용은 구동대(3) 일측의 구동휠(31)에 전달되어 구동대결합구(34)로 연결된 제2칼대(2)를 칼대결합구(1')를 중심으로 하여 b - b'방향으로 약간의 지레 작용을 부여하게 된다. 또 상기에 의한 지레 작용은 제2칼대(2)의 칼날부(21)를 제1칼대(1)의 칼날부(11)로 밀착시켜 그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a - a'는 제1,2칼대의 수직방향 지레 작용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에 도시한 b - b'는 제1,2칼대의 수평방향 지레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b - b' 방향의 지레 작용은 전지가위의 장기간 사용이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제1,2칼대의 칼날부 밀착상태가 미세하게 벌어지거나 또는 제1,2칼대를 밀착 고정하는 칼대결합구의 결합력이 미세하게 저하되었을 때, 위 설명한 작용효과를 통해 제1,2칼대의 칼날부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절단작업의 정확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구동대(3)의 연결부(32)를 제2칼대(2)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 절곡형성하여 위 작용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실시 예의 설명중 또 다른 이유에 의한 b - b' 수평방향 지레 작용은 사용자의 오른손 사용 기준에 한정하여 부가된 기능이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손잡이 102 : 탄성스프링
1 : 제1칼대 1' : 칼대결합구
11 : 칼날부 12 : 연결부
13 : 기어부 14 : 작동휠
2 : 제2칼대 21 : 칼날부
22 : 연결부 3 : 구동대
31 ; 구동휠 32 : 연결부
33 : 기어부 34 : 구동대결합구

Claims (3)

  1. 엇갈리게 밀착 교차시켜 그 중심을 칼대결합구(1')로 결합구성하는 제1,2칼대(1)(2)와, 제1칼대(1)와 연결시켜 제2칼대(2)의 지레 작용을 도모하는 구동대(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칼대(1)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1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12)와, 중심부에 하 방향 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외주연에 기어부(13)를 가지게 하는 작동휠(14)로 구성하고,
    상기 제2칼대(2)는 그 일측에 형성하는 칼날부(21)와,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2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대(3)는 일측에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연결하는 구동휠(31)과, 타측에 일정길이 형성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연결부(32))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휠(31)은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대칭되는 호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외주연에 상기 작동휠(14)의 기어부(13)와 물림되는 기어부(33)를 가지게 구성하고, 동시에 구동휠(31) 중심부를 제2칼대(2)의 연결부(22)와 구동대결합구(34)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대(1)의 작동휠(14)과 구동대(3)의 구동휠(31)에 구성하는 기어부(13)(33)를 상호 대칭되는 베벨기어 형태로 구성하여 직선 선상에서 마주보게 치합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대(3)의 연결부(31)를 제2칼대(2)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 절곡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위.
KR1020160069223A 2016-06-03 2016-06-03 전지가위 KR20170137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23A KR20170137296A (ko) 2016-06-03 2016-06-03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23A KR20170137296A (ko) 2016-06-03 2016-06-03 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296A true KR20170137296A (ko) 2017-12-13

Family

ID=6094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23A KR20170137296A (ko) 2016-06-03 2016-06-03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72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133A (ko) 2019-07-10 2021-01-20 남태현 크랭크형 피벗축을 갖는 가위
KR20220098475A (ko) 2021-01-04 2022-07-12 조이혁 과수용 속피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133A (ko) 2019-07-10 2021-01-20 남태현 크랭크형 피벗축을 갖는 가위
KR20220098475A (ko) 2021-01-04 2022-07-12 조이혁 과수용 속피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296A (ko) 전지가위
US407571A (en) Knife for cutting corn
JP2014023530A (ja) 指ハサミ
CN105834509B (zh) 省力断线钳
DE202005001024U1 (de) Gartenschere
CN202035319U (zh) 水平切拿同步剪
CN203122543U (zh) 一种普外科多用手术剪
CN210694961U (zh) 一种便于清洗刀片的农业除草机
CN108575372A (zh) 一种用于葡萄修枝用的修剪刀
US20160193739A1 (en) Novel Hand-Held Shearing Device
CN108055935B (zh) 刀片及修枝机
CN108552563A (zh) 一种高效大蒜挖蒂机
CN204819582U (zh) 一种便捷式圆形刀
JP3242508U (ja)
US776691A (en) Device for grooving or tapping rubber or other sap-yielding trees.
CN204837928U (zh) 一种旋转型西瓜瓤提取工具
CN205630707U (zh) 一种儿童人体工学剪刀
CN108476738A (zh) 机械手旋转式苹果采摘器
KR200276598Y1 (ko) 이미용 가위
CN102145491B (zh) 水平切拿同步剪
CN208821233U (zh) 一种草莓采摘工具
CN210432430U (zh) 一种剪切钳
CN207309984U (zh) 食材料理刀改良结构
CN104907623B (zh) 一种可双手用力的剪钳
CN207681061U (zh) 一种流体泵叶轮清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