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844A -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844A
KR20170127844A KR1020160058570A KR20160058570A KR20170127844A KR 20170127844 A KR20170127844 A KR 20170127844A KR 1020160058570 A KR1020160058570 A KR 1020160058570A KR 20160058570 A KR20160058570 A KR 20160058570A KR 20170127844 A KR20170127844 A KR 20170127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olar
solar module
clamping plate
shaped st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550B1 (ko
Inventor
박선봉
Original Assignee
박선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봉 filed Critical 박선봉
Priority to KR102016005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01L31/04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이나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프레임들의 내구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설치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굽혀져 C형강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에 걸리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로 이루어져,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고리볼트와;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핑판과; 상기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solar cell module fixing device and assembly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이나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설치함에 따라 프레임들의 내구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의 효율성을 높인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위기를 극복하고, 화석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 물질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연력을 이용한 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는 풍력발전, 조력발전, 태양광발전 등이 있다.
이러한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들 중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여 일반 주택이나 건물에도 시공이 가능한 것이 태양광발전시스템이고,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로는 시공비가 저렴한 조립식건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건물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기둥의 상단에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붕프레임을 설치한 다음에 그 상부에 지붕판넬을 설치하고, 지붕판넬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어레이를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에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태양광어레이를 조립식건물의 지붕에 설치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일예로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을 장치틀 위에 적층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고정구는 장치틀에 부착되는 하부고정체와 태양열 집열판을 압착 지지하는 상부고정체로 분할 구성되고, 하부고정체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 중앙부에 세로보강돌조가 형성되어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돌출편이 형성되며 몸체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돌출편이 형성되어 수평돌출편 끝에서 위로 수직되게 수직절곡편이 형성되고 수평돌출편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볼트가 관통되며, 상부고정체는 하부고정체의 수평돌출편 위에 포개지는 상부고정몸체와 상부고정체몸체 내측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어 상향절곡부에서 내측으로 수평절곡되는 상단부에 압착편이 형성되고 몸체 외측에서 하향으로 절곡되는 안내편이 형성되어 하부고정체의 수직절곡편 내측으로 접촉되며 몸체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고정구에 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태양광전지판이 설치되는 베이스가 결합하는 고정부를 상측에 형성하고, 지붕부재를 기준으로 일측편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측에는 고정부의 저면에 면접하여 결합하는 결합편을 형성하고, 지붕부재를 기준으로 타측편에 위치하는 제2고정부재와, 지붕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측편에 위치하는 제1고정부재 및 타측편에 위치하는 제2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지붕부재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맞물리는 결합방식으로 지붕부재에 고정구가 장착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성이 떨어져 사용이 기피되고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의 저면에 장공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에는 장공에 대응되게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두 구멍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조여 태양광모듈의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일치하게 정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작업의 편의를 위해 다시 별도의 구멍을 뚫어 설치하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위와 같이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지는 태양광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고개를 젖힌 불편한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들에 구멍을 뚫어 고정나사나 볼트를 조여 설치할 경우, 구멍의 틈으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고 수분에 노출된 구멍주변이 부식되어 결합상태가 약해져 태양광모듈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태양광모듈 조립시공의 경우, 태양광모듈들 사이가 벌어져 있어 그 사이로 빗물 등이 그대로 밑으로 흐르게 되어 태양광발전시스템 하부에 넓은 공간이 존재함에도 창고 등 다른 유용한 용도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47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72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이나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태양광모듈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어, 구멍을 형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멍주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보다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들 사이가 방수처리 되어 태양광모듈 조립체의 하부공간을 창고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구는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체의 C형강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단이 굽혀져 C형강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에 걸리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로 이루어져,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고리볼트와;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핑판과; 상기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판의 저면에는 이웃하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에 끼워져 조임너트가 조여질 때 클램핑판이 회전하지 못하게 걸리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태양광모듈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리볼트의 볼트부의 직경의 1.05 내지 1.5 배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는 C형강의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있어서, 고정구는 일단이 굽혀져 C형강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에 걸리는 걸림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로 이루어져,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고리볼트와;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핑판과; 상기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하부에는 백업재가 설치되고, 상기 백업재의 상부에 상온 경화성의 방수재를 도포하여 태양광모듈 사이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시공방법은 C형강의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태양광모듈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리볼트의 볼트부에 클램핑판과 조임너트를 조립하되, 고리볼트의 걸림고리부와 조임너트 사이의 거리가 태양광모듈의 두께와 C형강의 걸림날개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조립하는 고정구 조립단계; 종횡으로 배열된 C형강의 상부에 서로 인접되게 태양광모듈을 배열하는 단계; 조립된 고정구를 태양광모듈의 상부로부터 끼워 넣어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게 한 후, 조입너트를 조여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고정구 조임단계; 고정구를 조임에 의해 C형강에 고정된 태양광모듈들 사이를 방수 처리하는 방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단계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틈 하부에 백업재를 끼워 설치한 후, 틈의 상부에 상온 경화성의 방수재를 채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는 조립체프레임에 별도의 구멍을 뚫지 않고 C형강의 상부에 태양광모듈을 올린 후, 고정구를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끼운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조이는 것만으로 태양광모듈을 C형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체프레임에 구멍을 내는 손상을 가하지 않고 태양광모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들 사이를 메우고 방수처리 하여 태양광모듈 조립체 하부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용 고정구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용 고정구의 일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태양광모듈 조립체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태양광모듈 조립체의 조립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태양광모듈 조립체의 조립부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설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 조립체 자재에 별도의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자재가 부식되어 노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태양광모듈 조립체가 설치된 장소의 하부 공간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고정구는 C형강(200)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에 태양광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볼트(10), 클램핑판(20) 및 조임너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볼트(10)는 일단이 굽혀져 C형강(2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200w)에 걸리는 걸림고리부(10g)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10s)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리볼트(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10g)가 C형강의 걸림날개(200w)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판(20)은 상기 고리볼트(10)와 상호작용하여 태양광모듈(100)을 C형강(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한다.
상기 클램핑판(20)을 관통한 고리볼트(10)를 당겨 조이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조임너트(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임너트(30)는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10s)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10g)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볼트(1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고리부(10g)가 C형강(200)에 형성된 걸림날개(200w)에 걸리고, 조임너트(30)에 의해 고정되는 클램핑판(20)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클램핑판(20)은 조임너트(30)를 조이는 과정에서 회전하여 방향이 틀어질 수 있다.
또한, 태양광모듈(100)들 사이에 아무런 구속물이 없으므로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판(20)의 저면에는 이웃하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에 끼워져 조임너트가 조여질 때 클램핑판이 회전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걸림부(20t)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0t)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의 프레임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그 폭이 일정함에 따라 두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통상적으로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거리가 넓을 경우, 설치면적 대비 집광효율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거리가 좁은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리볼트(10)가 태양광모듈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태양광모듈들 사이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고리볼트의 볼트부(10s)는 가능한 가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볼트의 볼트부(10s)가 관통하고 태양광모듈들 사이에 끼워지는 클램핑판의 걸림부(20t)는 가능한 폭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20t)는 태양광모듈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고리볼트의 볼트부(10s)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걸림부(20t)의 바람직한 폭은 고리볼트의 볼트부(10s) 직경의 1.05 내지 1.5 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으로, 고정구에 대하여는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조립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태양광모듈을 C형강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며, 상기 태양광모듈(100)들 사이에는 방수구조를 구비하여 태양광모듈들이 태양광을 집광하는 기능 이외에 지붕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태양광모듈이 지붕재의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시설의 하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모듈이 지붕의 역할을 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 들 사이에 방수구조를 설치하였으며, 이 방수구조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하부에 설치된 백업재(40)와, 상기 백업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수재(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백업재(40)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도포되는 방수재(50)가 아래로 흐르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재(50)는 상온에서 경화되는 상온 경화성의 합성수지나 고무유사재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예로 실리콘 방수재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시공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C형강의 상부에 배치된 태양광모듈들 사이로 고리볼트를 통과시켜 걸림고리부(10g)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린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조이는 것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시공방법은 고정구 조립단계, 태양광모듈 배열단계, 고정구 조임단계, 방수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 조립단계는 고리볼트(10), 클램핑판(20) 및 조임너트(30)를 조립하여, 태양광모듈 패널을 고정시킬 때 조임너트 만을 조이는 것으로 태양광모듈의 고정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고리볼트(10)의 볼트부(10s)를 클램핑판(2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시켜 클램핑판을 조립하고, 볼트부(10s)에 조임너트(30)를 조립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고리볼트의 걸림고리부(10g)와 조임너트 사이의 거리가 태양광모듈의 두께와 C형강의 걸림날개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조립한다. 이유는 걸림고리부(10g)와 조임너트 사이의 거리가 태양광모듈의 두께와 C형강의 걸림날개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작을 경우, 태양광모듈의 상부에서 고정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조임너트를 다시 풀어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게 하여야하므로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태양광모듈 배열단계는 종횡으로 배열된 C형강(200)의 상부에 서로 인접되게 태양광모듈(100)을 배치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C형강은 태양광모듈의 적어도 두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 조임단계는 조립된 고정구를 태양광모듈(100)의 상부로부터 끼워 넣어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게 한 후, 조입너트(30)를 조여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10g)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핑판(2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20t)가 태양광모듈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조임너트가 조여져도 클램핑판이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 걸림부에 의해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방수단계는 고정구를 조임에 의해 C형강에 고정된 태양광모듈들 사이를 방수 처리하는 단계로,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틈 하부에 백업재(40)를 끼워 설치한 후, 틈의 상부에 상온 경화성의 방수재(50)를 채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시에는 액상이지만 상온에서 경화되는 것으로, 시공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어 태양광모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10: 고리볼트
10g: 걸림고리부 10s: 볼트부
20: 클램핑판
20t: 걸림부 20w: 지지날개부
20s: 호형경사부
30: 조임너트
40: 백업재
50: 방수재
100: 태양광모듈
200: C형강 200w: 걸림날개

Claims (5)

  1. 태양광모듈 조립체의 C형강(200)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10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단이 굽혀져 C형강(2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200w)에 걸리는 걸림고리부(10g)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10s)로 이루어져,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고리볼트(10)와;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핑판(20)과;
    상기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10s)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10g)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판(20)의 저면에는 이웃하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에 끼워져 조임너트가 조여질 때 클램핑판이 회전하지 못하게 걸리는 걸림부(20t)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0t)는 태양광모듈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리볼트의 볼트부 직경의 1.05 내지 1.5 배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구.
  3. C형강(200)의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100)을 고정시키는 태양광모듈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단이 굽혀져 C형강(2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날개(200w)에 걸리는 걸림고리부(10g)와, 상기 걸림고리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걸림고리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10s)로 이루어져, 두 태양광모듈 사이를 관통한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고리볼트(10)와;
    태양광모듈 사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고리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핑판(20)과;
    상기 클램핑판을 관통한 고리볼트의 볼트부(10s)에 조여져,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10g)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태양광모듈(100)들 사이의 하부에는 백업재(40)가 설치되고, 상기 백업재의 상부에 상온 경화성의 방수재(50)를 도포하여 태양광모듈 사이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4. C형강(200)의 상부에 다수의 태양광모듈(100)을 고정시키는 태양광모듈 시공 방법에 있어서,
    고리볼트(10)의 볼트부(10s)에 클램핑판(20)과 조임너트(30)를 조립하되, 고리볼트의 걸림고리부(10g)와 조임너트 사이의 거리가 태양광모듈의 두께와 C형강의 걸림날개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조립하는 고정구 조립단계;
    종횡으로 배열된 C형강(200)의 상부에 서로 인접되게 태양광모듈(100)을 배열하는 단계;
    조립된 고정구를 태양광모듈(100)의 상부로부터 끼워 넣어 걸림고리부가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게 한 후, 조입너트(30)를 조여 고리볼트부의 걸림고리부(10g)는 C형강의 걸림날개에 걸리고 클램핑판은 태양광모듈 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고정구 조임단계;
    고정구를 조임에 의해 C형강에 고정된 태양광모듈들 사이를 방수 처리하는 방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단계는 태양광모듈들 사이의 틈 하부에 백업재를 끼워 설치한 후, 틈의 상부에 상온 경화성의 방수재(50)를 채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를 이용한 방수형 태양광모듈 시공방법.
KR1020160058570A 2016-05-13 2016-05-13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Active KR10184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570A KR101848550B1 (ko) 2016-05-13 2016-05-13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570A KR101848550B1 (ko) 2016-05-13 2016-05-13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44A true KR20170127844A (ko) 2017-11-22
KR101848550B1 KR101848550B1 (ko) 2018-04-12

Family

ID=6080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570A Active KR101848550B1 (ko) 2016-05-13 2016-05-13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716A (ko) * 2019-07-26 2021-02-03 정찬영 태양광 모듈 프레임용 c형강 고정 클램프
KR102299788B1 (ko) * 2021-03-26 2021-09-09 주식회사 태광이피씨 태양광 구조물을 위한 지붕 위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82Y1 (ko) 2019-07-02 2020-04-13 삼광전기(주) 체결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5683B2 (ja) * 2012-03-12 2016-08-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太陽電池アレイ及び太陽電池アレイの製造方法
JP2014037757A (ja) * 2012-08-16 2014-02-27 Moichi Suematsu 太陽光電池アレイ架台をスレート屋根に設置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716A (ko) * 2019-07-26 2021-02-03 정찬영 태양광 모듈 프레임용 c형강 고정 클램프
KR102299788B1 (ko) * 2021-03-26 2021-09-09 주식회사 태광이피씨 태양광 구조물을 위한 지붕 위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550B1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7895A1 (en) Photovoltaic module installation device
US20080035140A1 (en) Solar Roof Tile
KR101562909B1 (ko) 태양광 모듈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1324500B1 (ko) 지붕형 태양광 모듈 장치
EP2461120B1 (en) Join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weatherproof solar energy collection array as part of a roof
US12009777B2 (en) Solar panel rail
KR101848550B1 (ko) 태양광모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조립구조
KR200467825Y1 (ko) 태양광 모듈 패널이 설치된 지붕구조
JP2014043720A (ja) 太陽エネルギー利用設備取付け架台及び太陽光発電装置
KR101533773B1 (ko) 빔 고정형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KR101597202B1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KR101525108B1 (ko) 지붕용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KR200481087Y1 (ko) 태양광 발전 구조물
JPH08284351A (ja) 太陽電池の屋根上設置方法
KR102257881B1 (ko) 부착식의 태양광발전모듈
KR101457149B1 (ko) 지붕고정형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0465715Y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브라켓
KR20150101202A (ko) 지붕판넬 상의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102260418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0963U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브라켓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JP5893273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下層構造、及び太陽電池パネルを含む外装構造
KR102425939B1 (ko) 태양광 발전 모듈 거치대의 고정 장치
KR102263280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JP6298790B2 (ja) 持出部材の設置構造、その設置施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設部材の取付構造、改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