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750A - 엣지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엣지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750A
KR20170120750A KR1020160048918A KR20160048918A KR20170120750A KR 20170120750 A KR20170120750 A KR 20170120750A KR 1020160048918 A KR1020160048918 A KR 1020160048918A KR 20160048918 A KR20160048918 A KR 20160048918A KR 20170120750 A KR20170120750 A KR 2017012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outer peripheral
heat
illumin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승관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Priority to KR102016004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750A/ko
Publication of KR2017012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7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2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던트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양 측 모두 엣지 방식으로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선택적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를 통해 심미적인 조명효과와 함께, 효과적인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팬던트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엣지형 조명 장치{EDGE TYP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엣지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양 측 모두 엣지 방식으로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선택적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를 통해 심미적인 조명효과와 함께, 효과적인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은 전기 공급에 의해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발광하는 LED를 이용한 조명 장치이다. 현재 LED는 발광 수명이 증가하면서 종래 조명등을 대체하여 광고를 위한 사인, 실내외 인테리어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내 조명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광등을 대체하기 위한 LED 조명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활용되고 있는 LED 조명 장치는 여러 가지 측면에 있어 그 활용에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엣지 조명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LED 엣지(edge) 조명은 일반적으로 광원부(d)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이 아닌 외주부 측으로만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하여 활용의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조명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한 조명을 별도로 설정하는 경우 중앙부 측 조명은 통상적으로 엣지방식이 아닌 직하방식으로 하여 상기 조명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두꺼워져 심미성이 떨어지고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로, 종래의 LED 엣지 조명은 전선에 연결되는 커넥터(c)가 광원부(d)와 방열판(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c)와 접하는 회로기판과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d)가 방열판(b)에 접촉될 수 없어 상기 방열판(b)에 의한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방열 취약부가 발생하여 상기 광원부(ㅇ)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광판(e)의 외주면 측에 상기 도광판(e) 등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는 보호대(d)가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보호대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일반적으로 열에 약한 플라스틱 특성에 의해 LED 조명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12134호는 슬림 팬던트 조명 장치로, 광원부와 전원부를 분리시켜 전원부는 천정에 부착시키고 광원과 도광판은 팬던트 형태로 매달리도록 함으로써 조명등 형태가 더욱 슬림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명등 무게가 가벼워져 안전하게 천정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슬림 팬던트 조명 장치이다.
상기 등록특허의 상기 광원부는 외주부 측으로만 광을 출사하여 활용의 한계 역시 있어 전술한 종래의 LED 조명의 문제점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시공성과 심미성 등을 도모할 수 있는 LED 조명에 대한 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출사하는 발광부를 통해 심미적인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하는 광을 모두 엣지 방식으로 하여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 두께 역시 얇게 형성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별도로 조절하여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어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실 내로 출사되는 광의 색을 달리 조절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며 그 상면에 위치한 안정기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엄폐하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이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1 광원접촉면과, 중앙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2 광원접촉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전도된 열을 수용하고 방출하는 비접촉면을 포함하여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판의 중앙 측에 상기 방열판의 몸체를 이루는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가 그 하측과 접촉된 중앙부 측 광 확산부의 방열을 도모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을 따라 광을 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천정 취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판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되어 향상된 열전도율을 통해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의 상부커버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실 내로 방출하는 제 1 방열공을 형성하여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커버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하여 향상된 열전도율을 통해 안정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용이한 전도에 의한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에 제 1 광 이탈방지면과 제 2 광 이탈방지면을 형성하여 외주부 및/또는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여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광 이탈방지면에 외주부 측 광원부의 제 1 커넥터를 배치하는 제 1 커넥터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에 중앙부 측 광원부의 제 2 커넥터를 배치하는 제 2 커넥터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들이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 제 1 및 제 2 광 이탈방지면 사이에 정렬되는 것을 회피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제 1 및 제 2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비접촉면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방열체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커버에 적외선센서를 수용하는 적외선센서수용부를 형성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회로기판을 FPCB로 형성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도광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 1 확산판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배면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도광판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을 통해서도 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캡을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며,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이 미비하여 안정성을 도모하고, 실리콘의 탄성을 통해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광을 출사하여 심미적인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하는 광을 모두 엣지 방식으로 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출사하는 광을 별도로 조절하여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실 내로 출사하는 광의 색을 달리 조절하여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외주부 측 광원부와,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중앙부 측 광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통해 광을 출사하기 위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통해 광을 출사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 2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2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며 상면에 위치한 안정기를 엄폐하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방열판은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1 광원접촉면과, 상기 제 1 광원접촉면으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2 광원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방열판은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연결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전도된 열을 수용하고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는 외주부 측 광 확산부와,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는 중앙부 측 광 확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의 중앙 측에 몸체를 이루고, 그 하부면이 상기 중앙부 측 광 확산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에 대한 방열이 가능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을 따라 광을 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시 발생하는 열이 실 내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는 상부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와 외주부 측 광원부 그리고 안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실 내로 방출하는 제 1 방열공을 포함하여 용이한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상부커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방열판은 외주부 측을 향해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1 광 이탈방지면과, 상기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2 광 이탈방지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는 상기 제 1 회로기판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제 1 광 이탈방지면은 상기 제 1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1 커넥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은 상기 제 2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2 커넥터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광원과 제 1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광원 및 제 2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제 2 회로기판은 FPC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 1 광원접촉면 그리고 제 2 광원접촉면과 비접촉면의 하측을 커버하여 방열판으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하부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하부커버는 적외선 센서의 적외선 센싱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센서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적외선센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게 하는 제 1 도광판과, 상기 제 1 도광판 전면에 위치하는 제 1 확산판과,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을 고정하는 엣지캡을 포함하는 외주부 측 광 확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엣지캡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탄성을 통해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는 상기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는 설치되는 제 1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제 1 확산판을 배치할 수 있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출사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는 중앙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출사하는 발광부를 통해 심미적인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하는 광을 모두 엣지 방식으로 하여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 두께 역시 얇게 형성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별도로 조절하여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어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실 내로 출사되는 광의 색을 달리 조절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며 그 상면에 위치한 안정기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엄폐하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이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1 광원접촉면과, 중앙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2 광원접촉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전도된 열을 수용하고 방출하는 비접촉면을 포함하여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판의 중앙 측에 상기 방열판의 몸체를 이루는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가 그 하측과 접촉된 중앙부 측 광 확산부의 방열을 도모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을 따라 광을 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판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되어 향상된 열전도율을 통해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의 상부커버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실 내로 방출하는 제 1 방열공을 형성하여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커버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하여 향상된 열전도율을 통해 안정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용이한 전도에 의한 최적의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에 제 1 광 이탈방지면과 제 2 광 이탈방지면을 형성하여 외주부 및/또는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여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광 이탈방지면에 외주부 측 광원부의 제 1 커넥터를 배치하는 제 1 커넥터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에 중앙부 측 광원부의 제 2 커넥터를 배치하는 제 2 커넥터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들이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 제 1 및 제 2 광 이탈방지면 사이에 정렬되는 것을 회피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제 1 및 제 2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비접촉면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방열체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커버에 적외선센서를 수용하는 적외선센서수용부를 형성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회로기판을 FPCB로 형성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도광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 1 확산판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배면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도광판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을 통해서도 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캡을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며,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이 미비하여 안정성을 도모하고, 실리콘의 탄성을 통해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엣지 조명에 대한 참고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발광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발광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상부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방열판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방열판의 저면도
도 9는 도 5에 따른 외주부 측 발광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따른 중앙부 측 발광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따른 하부커버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5에 따른 방열판의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외주주 및 중앙부 측 발광부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 14는 도 5에 따른 외주부 측 광원부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외주부 측 광원부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5에 따른 중앙부 측 광원부의 사시도
도 17은 상부커버를 제외한 방열판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발광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발광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상부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방열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방열판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따른 외주부 측 발광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따른 중앙부 측 발광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따른 하부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5에 따른 방열판의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외주주 및 중앙부 측 발광부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도 5에 따른 외주부 측 광원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외주부 측 광원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5에 따른 중앙부 측 광원부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부커버를 제외한 방열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1)를 포함하여 심미적인 조명효과를 연출하고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시 발생하는 열을 실 내에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효율적인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엣지형 조명 장치는 상기 발광부(1)를 포함한 조명 장치를 행잉 와이어(H)에 의해 실 내 공간에 행잉되도록 하는 팬던트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발광부(1)를 직접 천정 측에 취부하는 천정취부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출사하는 광을 별도로 조절하여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1)는 상기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실 내로 출사하는 광의 색을 달리 조절하여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외주부 측과 마찬가지로 중앙부 측 역시 엣지형 조명을 채택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심미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부(1)는 상부 커버(11), 방열판(12), 외주부 측 광원부(13), 중앙부 측 광원부(14), 하부커버(15),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와, 중앙부 측 광 확산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커버(11)는 상기 발광부(1)의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시 발생하는 열이 실 내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조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는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안정기(S)와 접촉하므로, 상기 안정기(S)에서 발생하는 열을 실 내로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기(S)는 SMPS로서, 220V의 교류전압을 해당 LED의 적정 전압(예를 들면, 5V 미만의 직류전압)으로 낮춰주어 후술할 광원들(131, 141)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11)는 전선수용부(111), 방열공(113), 제 1 와이어수용부(115)와, 방열판고정수단수용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수용부(111)는 천정 측으로부터 들어오는 전선(W)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11)의 중앙부에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이다.
상기 방열공(113)은 상기 조명 장치의 원활한 방열효과를 위해 상기 상부커버(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후술할 광원부들(13, 14)과 안정기(S)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방열공(113) 측으로 전도되고 실 내로 방출되어 상기 조명 장치의 원활한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수용부(115)는 상기 조명 장치를 실 내에 설치하기 위해 일측이 천정에 고정되는 행잉 와이어(H)의 타측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열판고정수단수용공(117)은 상기 상부커버(11)와 후술할 방열판(12)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방열판(12)의 방열판고정수단(128)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열판고정수단수용공(117)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방열판고정수단(128)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판(12)은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며, 예를 들어 후술할 외주부 측 광원부(13)와 중앙부 측광원부(14)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고 상면에 위치한 안정기(S)를 엄폐하는 구성으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어 월등히 뛰어난 열전도율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열판(12)은 제 1 광원접촉면(121), 제 2 광원접촉면(122), 비접촉면(123), 제 1 광 이탈방지면(124), 제 2 광 이탈방지면(125), 제 2 와이어수용부(126), 하부커버고정수단수용공(127)과, 방열판고정수단(1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은 상기 방열판(12)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외주부 측 광원부(13)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외주부 측 광원부(13)가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을 따라 배치되어 후술할 제 1 광원(131) 및 제 1 기판(133)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이 수용한다.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은 상기 방열판(12)의 하부면 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으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중앙부 측 광원부(14)가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을 따라 배치되어 후술할 제 2 광원(141) 및 제 2 기판(143)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이 수용한다.
상기 비접촉면(123)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121, 122) 사이에 상기 접촉면들(121, 122)과 연결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들(121, 122)에 전도된 열을 수용하고 상기 방열판(12)으로부터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광 이탈방지면(124)은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은 후술할 하부커버(15)와 함께 제 1 광원(131)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후술할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광 이탈방지면(124)은 후술할 외주부 측 광원부(13)의 제 1 커넥터(1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1 커넥터수용부(124a)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제 1 커넥터(135)가 제 1 회로기판(133)과 방열판(12)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 1 커넥터수용부(124a) 측을 통해 상기 방열판(12)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제 1 광원(131)과 제 1 회로기판(133)의 전측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125)은 상기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은 후술할 하부 커버(15)와 함께 제 2 광원(141)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후술할 중심부 측 광 확산부(17)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125)은 후술할 중앙부 측 광원부(14)의 제 2 커넥터(14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2 커넥터수용부(125a)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제 2 커넥터(145)가 제 2 회로기판(143)과 방열판(12)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 2 커넥터수용부(125a) 측을 통해 상기 방열판(12)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제 2 광원(141)과 제 2 회로기판(143)의 전측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2 와이어수용부(126)는 상기 조명 장치를 실 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방열판(12)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일측이 천정에 고정되는 행잉 와이어(H)의 타측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와이어수용부(115)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H)가 상기 제 2 와이어수용부(126)를 관통한다.
상기 하부커버고정수단수용공(127)은 상기 방열판(12)과 후술할 하부커버(15)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방열판(12)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15)의 하부커버고정부(151)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하부커버고정수단수용공(127)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하부커버고정수단(151)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방열판고정수단(128)은 상기 방열판(12)과 상부커버(11)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방열판(12)의 상부면에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판고정수단(128)이 상기 방열판고정수단수용공(117)에 삽입된 이후 상기 내측 나사산을 따라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커버(11)와 방열판(12)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상기 상부커버(11)와 방열판(12)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13)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에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13)는 제 1 광원(131), 제 1 회로기판(133)과, 제 1 커넥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131)은 후술할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에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13)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회로기판(133)은 상기 제 1 광원(13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제 1 광원(131)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PCB로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FPC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FPCB는 연쇄회로기판의 한 종류로, 연성재료인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주요 소재로 사용하여 만든 굴곡성을 가지는 PCB로 구부릴 수 있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135)는 플러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로기판(133)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회로기판(133)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커넥터(135)가 제 1 회로기판(133)과 방열판(12)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 1 커넥터수용부(124a) 측을 통해 상기 방열판(12)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제 1 광원(131)과 제 1 회로기판(133)의 전측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12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14)는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14)는 제 2 광원(141), 제 2 회로기판(143)과, 제 2 커넥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광원(141)은 후술할 중앙부 측 광 확산부(17)에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14)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회로기판(143)은 상기 제 2 광원(14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제 2 광원(141)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PCB로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FPC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145)는 플러그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로기판(143)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 2 회로기판(143)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커넥터(145)가 제 2 회로기판(143)과 방열판(12)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 2 커넥터수용부(125a) 측을 통해 상기 방열판(12)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제 2 광원(141)과 제 2 회로기판(143)의 전측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12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커버(15)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121, 122)과 비접촉면(123)의 하측을 커버하여 방열판으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커버(51)와 함께 상기 광원부들(53, 54)에서 출사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커버(15)는 하부커버고정수단(151), 제 3 와이어수용부(153)와, 적외선센서수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고정수단(151)은 상기 하부커버(15)와 방열판(12)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부커버(15)의 상부면에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커버고정부(151)가 상기 하부커버고정수용공(127)에 삽입된 이후 상기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방열판(12)과 하부커버(15)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상기 방열판(12)과 하부커버(15)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 와이어수용부(153)는 상기 조명 장치를 실 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부커버(15)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일측이 천정에 고정되는 행잉 와이어(H)의 타측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와이어수용부(115)와 제 2 와이어수용부(126)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H)가 상기 제 3 와이어수용부(153)를 관통한다.
상기 적외선센서수용부(155)는 상기 발광부(1) 내측의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I)가 적외선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커버(15)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이다. 상기 적외선 센서(I)는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의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감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는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13)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 향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중앙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외주면이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16)는 제 1 도광판(161), 제 1 확산판(163), 제 1 반사면(165), 엣지캡(1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광판(161)은 전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53)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수용하여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 발산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도광판(161)의 재질은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확산판(163)은 상기 제 1 도광판(161)의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161)에서 나오는 광을 산란시켜 상기 도광판(161) 표면 전반에 걸쳐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확산판(163)은 종래의 엣지형 평판조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광판(161)의 전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도광판(161)의 전면 및 배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13)에서 출사하는 광을 전면 및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조립하여 상기 조명 장치를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심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반사면(165)은 제 1 도광판(161)의 전면이 아닌 다른 면으로 광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161) 내로 돌려 보내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도광판(161)의 배면 및/또는 측면에 배치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163)을 도광판(161)의 전면 및 배면 양측에 배치시키는 경우 상기 반사면(165)은 도광판(161)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본 발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집중 조명을 할 때에는 상기 확산판(163)을 도광판(161)의 전면에 배치하고 상기 반사면(165)을 도광판(161)의 배면에 배치하며,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강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반사면(165)을 제외하거나 측면에만 배치하고 도광판(161)의 전면 및 배면에 확산판(163)을 배치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의 활용에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165)은 반사면(165)에 부착되는 마감 시트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엣지캡(167)은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13)의 외측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도광판(161), 확산판(163)과, 반사면(165)을 감싸 고정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엣지캡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표면 경도가 낮아 흠이 나기 쉽고 온도에 의해 변형, 변색 및 노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엣지캡(167)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엣지캡과 달리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받는 영향이 적어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고, 실리콘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외측 광 확산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엣지캡(167)을 제조할 때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변경하여, 상기 엣지캡(167)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상기 엣지캡(167)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서 광을 이용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엣지캡(167)은 외측 광 확산부(13)의 외주면 형상에 상보적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부 측 광 확산부(17)는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14)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2 도광판(171), 제 2 확산판(173), 제 2 반사면(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광판(171)은 상기 내측 광원부(14)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수용하여 전면으로 발산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확산판(173)은 상기 제 2 도광판(171)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도광판(171)에서 나오는 광을 산란시켜 상기 제 2 도광판(171) 표면 전반에 걸쳐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반사면(175)은 상기 제 2 도광판(171)의 전면이 아닌 다른 면이 광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제 2 도광판(171) 내로 돌려 보내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살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광부
11 : 상부커버
111 : 제 3 관통공 113 : 제 1 방열공 115 : 제 1 와이어수용부
117 : 방열판고정수단수용공
12 : 방열판
121 : 제 1 광원접촉면 122 : 제 2 광원접촉면 123 : 비접촉면
124 : 제 1 광 이탈방지면
124a : 제 1 커넥터수용부
125 : 제 2 광 이탈방지면
125a : 제 2 커넥터수용부
126 : 제 2 와이어수용부 127 : 하부커버고정수단수용공
128 : 방열판고정수단
13 : 외주부 측 광원부
131 : 제 1 광원 133 : 제 1 회로기판 135 : 제 1 커넥터
14 : 중앙부 측 광원부
141 : 제 2 광원 143 : 제 2 회로기판 145 : 제 2 커넥터
15 : 하부커버
151 : 하부커버고정수단 153 : 제 2 와이어수용부
155 : 적외선센서수용부
16 : 외주부 측 광 확산부
161 : 제 1 도광판 163 : 제 1 확산판 165 : 제 1 반사면
167 : 엣지캡
17 : 중앙부 측 광 확산부
171 : 제 2 도광판 173 : 제 2 확산판 175 : 제 2 반사면
I : 적외선 센서 S : 안정기 H : 행잉 와이어 W : 전선

Claims (23)

  1.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광을 출사하여 심미적인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하는 광을 모두 엣지 방식으로 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출사하는 광을 별도로 조절하여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과 중앙부 측을 통해 실 내로 출사하는 광의 색을 달리 조절하여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외주부 측 광원부와,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중앙부 측 광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통해 광을 출사하기 위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통해 광을 출사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 2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2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조명 장치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며 상면에 위치한 안정기를 엄폐하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심미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1 광원접촉면과, 상기 제 1 광원접촉면으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는 제 2 광원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과 연결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접촉면에 전도된 열을 수용하고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는 외주부 측 광 확산부와,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는 중앙부 측 광 확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의 중앙 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의 몸체를 이루고 그 하부면이 상기 중앙부 측 광 확산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에 대한 방열이 가능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뿐만 아니라 중앙부 측을 따라 광을 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취부형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시 발생하는 열이 실 내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는 상부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와 외주부 측 광원부 그리고 안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실 내로 방출하는 제 1 방열공을 포함하여 용이한 방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외주부 측을 향해 방사형 패턴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외주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1 광 이탈방지면과, 상기 중앙부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중앙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2 광 이탈방지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는 상기 제 1 회로기판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 측 광원부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상부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이탈방지면은 상기 제 1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1 커넥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 이탈방지면은 상기 제 2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개방된 제 2 커넥터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광원과 제 1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1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광원 및 제 2 회로기판의 전측이 상기 제 2 광원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방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제 2 회로기판은 FPC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 1 광원접촉면 그리고 제 2 광원접촉면과 비접촉면의 하측을 커버하여 방열판으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하부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적외선 센서의 적외선 센싱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적외선센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게 하는 제 1 도광판과, 상기 제 1 도광판 전면에 위치하는 제 1 확산판과,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을 고정하는 엣지캡을 포함하는 외주부 측 광 확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탄성을 통해 제 1 도광판과 제 1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는 설치되는 제 1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제 1 확산판을 배치할 수 있어 상기 외주부 측 광원부에서 출사하는 광을 상기 조명 장치의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측 광 확산부는 중앙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 장치.
KR1020160048918A 2016-04-21 2016-04-21 엣지형 조명 장치 Ceased KR20170120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18A KR20170120750A (ko) 2016-04-21 2016-04-21 엣지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18A KR20170120750A (ko) 2016-04-21 2016-04-21 엣지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750A true KR20170120750A (ko) 2017-11-01

Family

ID=6038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18A Ceased KR20170120750A (ko) 2016-04-21 2016-04-21 엣지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7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805A (ko) * 2022-08-19 2024-02-27 주식회사 루메나 스탠드 램프
CN118129913A (zh) * 2024-05-10 2024-06-04 华海智汇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式光纤颜色识别装配设备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805A (ko) * 2022-08-19 2024-02-27 주식회사 루메나 스탠드 램프
CN118129913A (zh) * 2024-05-10 2024-06-04 华海智汇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式光纤颜色识别装配设备及系统
CN118129913B (zh) * 2024-05-10 2024-07-30 华海智汇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式光纤颜色识别装配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6750B2 (ja) 照明装置
US9857069B2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US20120033420A1 (en) Led lamp having broad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KR101604290B1 (ko) 엣지형 조명기구
US10222026B2 (en) Indirect LED lihting apparatus having a reflection configuration
JP5253552B2 (ja) 照明装置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KR101866812B1 (ko) 간접조명 방식의 led 조명장치
JP5918835B2 (ja) 照明装置
JP4902006B2 (ja) 照明装置
KR100740659B1 (ko) 엘이디를 사용한 조명램프
KR20170120750A (ko) 엣지형 조명 장치
KR20170121348A (ko) 천정 취부형 조명 장치
JP5559649B2 (ja) 照明装置
JP5116865B2 (ja) 照明装置
KR20100006046A (ko)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397987B1 (ko) 면조명 장치
JP5853128B2 (ja) 照明器具
KR101633311B1 (ko)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다면 발광 조명등
KR10135732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0396825Y1 (ko) 엘이디를 사용한 조명램프
JP3180295U (ja) 照明装置
KR101778894B1 (ko) 저휘도 고효율 led 조명기구
WO2020106183A1 (ru) Плоски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KR101724544B1 (ko) 비대칭렌즈를 채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