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442A -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442A
KR20170110442A KR1020160034834A KR20160034834A KR20170110442A KR 20170110442 A KR20170110442 A KR 20170110442A KR 1020160034834 A KR1020160034834 A KR 1020160034834A KR 20160034834 A KR20160034834 A KR 20160034834A KR 20170110442 A KR20170110442 A KR 2017011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ugmented reality
light source
central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혁규
Original Assignee
(주)신진스틸
송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스틸, 송혁규 filed Critical (주)신진스틸
Priority to KR102016003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442A/ko
Publication of KR2017011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0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가동용 전원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Battery)(1)와; 상기 전원부(Battery)(1)로부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0)와, 구동자(drive)(24)를 구비하여 연산처리는 수행하는 중앙처리부(CPU)(20), 및 광원을 발생하는 광원부(30)를 구비하는 본체부(Terminal)(3)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카메라부(2)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사물의 일측 및 타측 이미지를 별도로 제공하기 위해 분리 구성되는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 및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위치와, 이동방향, 및 추적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ntrol Computer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Equipped with Augmented Reality Func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 투시(See-through) 광학구성으로 되어 있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별도의 지시용 마커(marker)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지시하는 장소를 지정하여 입체 가상 아이콘 또는 입체 설계 자료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 라고도 함) 또는 FMD(Face Mounted Display) 등의 용어로 지칭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HMD는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군사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그리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 영상 및 통신 기술의 발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점차 민간용으로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개발에 따라서 점차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안경형 모니터의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HMD는 특히 전방투시형(see-through) 형태로 구현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구현에 그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HMD는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데,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marker)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HMD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 별도로 구비하는 마커를 별도의 장치로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HMD는 2개 이상의 손끝 또는 다중 동작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컴퓨터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본체 프레임외에 별도의 마커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자료를 정밀하게 탐색하여 원하는 현실 공간에 가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2개 이상의 손끝 또는 다중 동작을 인식하고 필요한 목표자료를 용이하게 탐색하여 운영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두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이를 사전에 약속된 명령으로 인지하여 그 명령 신호를 해석 운영하는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동작에 의하여 현실 공간에 가상의 정보를 매치되어 어울진 상태를 유지 운영하기 위하여 자장센서, 각속도 센서, 가속센서 등으로 구성된 공간 인지 안경형 모니터를 구비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용 컴퓨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가동용 전원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Battery)(1)와;
상기 전원부(Battery)(1)로부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0)와, 구동자(drive)(24)를 구비하여 연산처리는 수행하는 중앙처리부(CPU)(20), 및 광원을 발생하는 광원부(30)를 구비하는 본체부(Terminal Part)(3)와; 사물의 현상을 촬영하여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부(2)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에 의해 사물의 이미지를 분리 처리하기 위해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을 각각 설치 구성하는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와;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서 각각 광학 빔을 투사하여 망상 이미지(reticular image)를 형성하기 위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제2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8,9); 및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위치와, 이동방향, 및 추적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광원부(30)는 복수개의 광학장치에 별도로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1광원(32)과 제2광원(34)를 구비하고, 이를 각각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구분 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동자(drive)(24)는,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신호에 의한 구동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은, 각각 제1광학소자(44) 및 제2광학소자(54)를 구비하여 이미지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는, 사물의 이동각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각속도계(4a)와, 이동방향 변화를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계(4b), 및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자장센서(Magnetic Sensor)(4c)를 구비하여 각각 3축(x, y, z) 방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외에 별도의 마커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지점을 정밀하게 탐색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2개 이상의 손끝 또는 다중 동작을 인식하고 필요한 목적지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손동작에 의하여 현실 공간에 가상의 정보를 매치된 상태로 유지 운영하기 위하여 자장센서, 각속도 센서, 가속센서 등으로 구성된 공간 인지 안경형 모니터를 구비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착용한 일례를 예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를 착용한 일례를 예시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는, 가동용 전원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Battery)(1)와; 상기 전원부(Battery)(1)로부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0)와, 구동자(drive)(24)를 구비하여 연산처리는 수행하는 중앙처리부(CPU)(20), 및 광원을 발생하는 광원부(30)를 구비하는 본체부(Terminal)(3)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카메라부(2)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사물의 일측 및 타측 이미지를 별도로 제공하기 위해 분리 구성되는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 및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위치와, 이동방향, 및 추적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Battery)(1)는 가동용 전원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휴대용 전원 장치 및 충전이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 무선 통신부(10)는, 상기 전원부(Battery)(1)로부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부호 12는 WiFi/Wibro 통신을 행하며, 부호 14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구동자(drive)(24)는 상기 중앙처리부(CPU)(20)로부터 발행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기구부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장치이다.
상기 본체부(Terminal)(3)는 광원을 발생하는 광원부(30)를 구비하며, 두 개로 분리되어 제1광원(32)과 제2광원(34)을 포함한다. 이들 제1광원(32)과 제2광원(34)은 각각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2)는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연결되며,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는,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사물의 일측 및 타측 이미지를 별도로 제공하기 위해 분리 구성되는 광학처리장치이다.
상기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는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위치와, 이동방향, 및 추적정보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하여 현실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각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이동방향을 감지하며, 자장센서를 구비하여 추적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30)는 복수개의 광학장치에 별도로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1광원(32)과 제2광원(34)를 구비하고, 이를 각각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구분 제공하여 조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구동자(drive)(24)는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동시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발생되는 구동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는 각각 상기 중앙처리장치(CPU)(30)의 제어에 의해 동기화 작동하는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을 별도로 설치하며, 이들 미세전자기계시스템(42, 52)는 각각 제1광학소자(44) 및 제2광학소자(54)를 구비하여 이미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광학소자(44) 및 제2광학소자(54)를 복수개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는, 각각 광학 빔을 투사하여 망상의 이미지(reticular image)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제2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8,9)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예를 들면, 사용자(착용자)의 두 눈처럼 작용하며, 상기 제1광학소자(44)는 제1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8)에 이미지를 송출한다.
또, 상기 제2광학소자(54)는 제2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9)에 이미지를 송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2)에서 촬영되는 현실의 이미지(reality)를 망상 이미지(reticular)화 하여 3d 영상을 보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는, 사물의 이동각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각속도계(4a)와, 이동방향 변화를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계(4b), 및 위치를 추척하기 위한 자장센서(Magnetic Sensor)(4c)를 구비하여 각각 3축(x, y, z) 방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실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망상 이미지(reticular)화 하여 3d 영상을 보는 효과를 발생하는 것에 덧붙여, 현실 사물이 그 위치를 이동하거나 방향을 변경하거나 할때 정확하게 그 것을 감지하여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마커(marker)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구체적으로 목표자료를 탐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마커가 필요없는 가상공간과 실제 물체의 정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마커(marker)를 이용한 가상공간과 물체의 정합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환경에 인위적인 요소를 첨가해야 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증강현실 시스템의 경우의 응용에 제한이 있다. 그래서 제안된 것이 모델 기반 영상 정합 기법이지만, 이 모델 기반 영상정합에서는 객체를 여러 방향과 거리에서 인식하는 것은 현재까지도 해결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특히 인식해야 할 객체 수의 증가, 손으로 가려지는 현상, 주변의 밝기 등에 의해 정확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부착한 마커와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마커를 인식 및 영상 정합하여 실제로 모델(물체)을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 3차원의 인터페이스도 개발되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마커를 위치 인식뿐 아니라 버튼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마커가 동시에 움직이는 환경에서, 그 중 하나가 화면상에서 사라졌을 때 사라진 마커를 버튼이 눌린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무선통신부(3)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외부 장치로 영상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어느 곳에서나 무선통신 또는 카메라를 작동시켜 필요한 위치 정보 및 물체를 탐색할 수 있고,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자유로운 정보 및 영상의 탐색이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멤스(mems)와 홀로그래픽광학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로 구성된 영상 표시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현실과 안경속 가상의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에 2개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다중위치를 지시하는 손끝 및 다중의 동작을 인식하고 작동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안경형 모니터를 구비한 내장 컴퓨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그리고 9개의 축으로 구성된 자장센서, 각속도센서,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헤드(HEAD)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지정된 장소에 원하는 가상의 콘텐츠를 현실의 공간에 표시되도록 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장된 컴퓨터의 영상이 양안(2개의 눈)으로 비춰질 때 각기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영상 표시 방식에 의하여 표시된다.
여기에, 현실의 상황을 직시 할 수 있는 HOE를 이용한 전방 투시형의 안경에 영상이 표시된다.
이를 원하는 목표지점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전방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입체의 가상 영상자료를 잡거나 손바닥 등으로 받쳐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는, 별도의 표시장치인 마커(Marker)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손의 동작을 인식하여 컴퓨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에서 내리는 명령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며,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스캔 추적 방식으로 구성되어 공간 인지 및 동작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의 기능은 별도로 구비되는 복수 대(예를 들면, 2대)의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자료의 위치 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은 3개의 감지기(센서)와 9개의 축으로 구성된 상기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Head Tracker)로부터 입력받아 현실 공간에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안경형태의 HMD를 사용할 때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헤드를 돌려서 다른 방향을 보더라도 위치하였던 아이콘이나 가상의 영상 자료는 항상 현실의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그 자리에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며, 다시 그 위치를 보는 경우에도 아이콘 또는 가상의 영상 자료는 그대로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착용하여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운영하는 경우, 공간에 위치한 아이콘 또는 가상의 영상 자료는 운영자의 위치에 따라 보여주는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즉, 정면에서 위치하도록 하고 측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실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 아이콘 또는 가상의 영상 자료의 측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Head Tracker)의 자장 감지기의 위치 기반에서 그 자료를 받아 아이콘 또는 가상의 영상 자료를 회전하도록 하는 증강 현실을 구현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구성, 변형,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원부(Battery)
2: 카메라부
3: 본체부(Terminal Part)
4: 사물추적부(Tracking Part)
4a: 각속도계
4b: 가속도계
4c: 자장센서(Magnetic Sensor)
5, 7: 제1광학부 및 제2광학부
8, 9: 제1, 제2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
10: 무선 통신부
20: 중앙처리부(CPU)
24: 구동자(drive)
30: 광원부
32, 34: 제1광원, 제2광원
100: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Claims (6)

  1.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가동용 전원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Battery)(1)와;
    상기 전원부(Battery)(1)로부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 및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0)와, 구동자(drive)(24)를 구비하여 연산처리는 수행하는 중앙처리부(CPU)(20), 및 광원을 발생하는 광원부(30)를 구비하는 본체부(Terminal Part)(3)와;
    사물의 현상을 촬영하여 상기 중앙처리부(CPU)(20)에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부(2)와;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에 의해 사물의 이미지를 분리 처리하기 위해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을 각각 설치 구성하는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와;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서 각각 광학 빔을 투사하여 망상 이미지(reticular image)를 형성하기 위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제2홀로그램 광학소자(HOE;Hologram Optic Element)(8,9); 및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위치와, 이동방향, 및 추적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30)는 복수개의 광학장치에 별도로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1광원(32)과 제2광원(34)를 구비하고, 이를 각각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구분 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자(drive)(24)는,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광학부(5) 및 제2광학부(7)에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처리부(CPU)(20)의 제어신호에 의한 구동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은, 각각 제1광학소자(44) 및 제2광학소자(54)를 구비하여 이미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추적부(Tracking Part)(4)는, 사물의 이동각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각속도계(4a)와, 이동방향 변화를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계(4b), 및 위치를 추척하기 위한 자장센서(Magnetic Sensor)(4c)를 구비하여 각각 3축(x, y, z) 방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42, 52)는, 별도의 표시장치인 마커(Marker)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손의 동작을 인식하여 컴퓨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에서 내리는 명령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며,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스캔 추적 방식으로 구성되어 공간 인지 및 동작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100).
KR1020160034834A 2016-03-23 2016-03-23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0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34A KR20170110442A (ko) 2016-03-23 2016-03-23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34A KR20170110442A (ko) 2016-03-23 2016-03-23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42A true KR20170110442A (ko) 2017-10-11

Family

ID=6013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34A KR20170110442A (ko) 2016-03-23 2016-03-23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0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026B2 (en) Passive optical and inertial tracking in slim form-factor
EP3469457B1 (en) Modular extension of inertial controller for six dof mixed reality input
US10818092B2 (en) Robust optical disambiguation and tracking of two or more hand-held controllers with passive optical and inertial tracking
EP3469458B1 (en) Six dof mixed reality input by fusing inertial handheld controller with hand tracking
CN110647237B (zh) 在人工现实环境中基于手势的内容共享
US9395543B2 (en) Wearable behavior-based vision system
US20140168261A1 (en) Direct interaction system mixed reality environments
US20140152558A1 (en) Direct hologram manipulation using imu
CN108139805B (zh) 用于在虚拟现实环境中的导航的控制系统
US20140160055A1 (en) Wearable multi-modal input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KR20130034125A (ko)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안경형 모니터
CN113448343B (zh) 用于设定飞行器的目标飞行路径的方法、系统和可读介质
JP6776578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70110442A (ko)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제어용 컴퓨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13463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112752A (ko) 외부 객체에 기반하여 상호작용을 위한 ui를 변경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