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097A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Google Patents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9097A KR20170099097A KR1020160021046A KR20160021046A KR20170099097A KR 20170099097 A KR20170099097 A KR 20170099097A KR 1020160021046 A KR1020160021046 A KR 1020160021046A KR 20160021046 A KR20160021046 A KR 20160021046A KR 20170099097 A KR20170099097 A KR 20170099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piping
- bathroom
- block
- laye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23—Lost formworks for producing hollow floor screed layers, e.g. for receiving installations, ducts, cabl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욕실의 오수관과 배수관 및 플로우 드레인으로 구성되는 세대지관이 지나가는 배관 경로를 슬라브 바닥과 타일바닥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여 배관되도록 함으로써 배관경로가 이중바닥이 되도록 하여 세대지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히도록 하는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바닥을 구성하기 위하여 세대지관 배관 경로에 설치된 세대지관을 덮는 다수개의 배관 블록들을 제공하고, 그 세대지관을 배관블록으로 덮은 후 후속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공동주택 욕실의 배관이 지나가는 경로가 이중바닥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iping path through which a household branch pipe composed of a sewer pipe, a drain pipe and a drain of a shared-use bathroom passes is formed by forming a cavity between the slab bottom and the tile bottom, A plurality of piping blocks for covering a plurality of piping blocks covering a plurality of branch tub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ranch piping paths for constituting a double bottom are provided and the piping blocks are covered with piping block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tial double bottom floor piping system of a multi-family bathroo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욕실의 바닥에는 방수구조가 필수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며 욕실 시공방법에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분된다.Generally, the waterproof structure should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mmunal bathroom. The bath construction method is divided into wet type and dry type.
상기 습식공법은 사면이 내력벽과 조적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슬라브상에 액체방수공사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바닥타일 공사를 실시하고 벽면에 대해서도 액체방수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표면에 벽타일 공사를 실행하였다.In the wet type metho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lab by a liquid waterproofing work in the state where the slope is formed by a bearing wall and a masonry wall, then a floor tile construction is per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by liquid- The wall til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on the surface.
그러나, 상기 습식공법은 액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건조시키고, 방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물을 채워 방수시험을 해야 하는 등 그 시공방법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서 정밀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et method is not only troublesome to the construction method such as forming a liquid waterproof layer, drying it, and waterproofing it by filling it with water to check whether it is waterproof. Besides, it is not only troublesome but al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and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is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특히, 동절기에 기온이 낮은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며 시공 세대마다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방수층의 균열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in winter,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uniform quality can not be ensured for each genera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eakage may occur due to cracking of the waterproof layer over time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다음에, 건식공법은 일명 '조립식 세면욕실(Unit Bath Room; 이하, UBR이라 함)'이라 칭하며 욕실 바닥 및 천장의 형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한 후,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 시공방법이다.
Next, the dry method is called "Unit Bath Room (UBR)" and is manufactured by the factory in advance for the materials necessary for forming the bathroom floor and ceiling, It is a construction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습식 및 건식 시공방법은 모두 종래의 배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세면대 및 욕조와 하수관에 의해 연결되며 세면대 및 욕조에서 사용한 하수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 장치를 구비하였다.However, the wet and dry methods as described above are all applied to the conventional drainage system. Basically, they are connected by a wash basin, a bathtub and a sewer pipe, and have a drain pipe devic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sewage used in the wash basin and bathtub and bottom drain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에 좌변기 오수관(14)과 세면기 하수관(12), 욕조 하수관(13), 그리고 바닥의 물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플로우 드레인(이하, FD라 함; 11)이 지나갈 통로를 확보하고, 그 통로를 통해 상층의 배관을 하층의 천장에 천장배관(15)을 시공한 후 입상관(16)과 연결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ainage system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the flow of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left-
통상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저층의 천장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는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고,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장치와 배수관 등의 얇은 PVC 막으로 막힌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의 욕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변기의 물내리는 소리, 소변보는 소리, 샤워하는 소리 등)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층의 욕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그 소리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since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sewage is formed in the lower floor ceiling, the noise discharged from the upper layer flows into the lower layer as it is, and since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formed of a thin PVC film such as a drain pipe device and a drain pipe, The noise from the inside (toilet water, urine, shower, etc.)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s it is, so it can infringe the privacy of the person using the bathroom in the upper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give an uncomfortable feeling.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에 UBR을 적용할 경우 상기 배수관 장치의 상부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UBR을 구성하는 방수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고, 방수판 밑의 콘크리트에 배수관 장치 하부와 배수관들이 묻혀 있기 때문에 방수판 밑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방수판을 제거하거나 하층의 천장을 통해 보수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UBR is applied to the drainage system, the waterproof plate holes constituting the UBR must be drilled in order to fasten the upper device of the drain pipe device. Since the concrete under the waterproof plate and the drain pipes are buried in the concrete under the waterproof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a waterproof plate should be removed or a repair work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a lower ceiling when leaks are generated from the botto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많은 건설사에서 층상배관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stratified piping method is applied in many construction companies.
도2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욕실의 층상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욕실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한 후, 그 다운 시공된 슬라브(1)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방수층 상부에 욕조 및 좌변기와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22)과, 좌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21)을 시공한 다음, 상기 하수관(22) 및 오수관(21)을 경량 기포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매설한다. 다음에 상기 타설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2)가 양생된 후, 그 경량 기포콘크리트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고, 위생도기들을 안치시키는 순서로 시공되는 욕실 배관 공법이었다.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a layered piping of a bathroom is currently applied. In the layered piping method, after a slab of a bathroom is installed down,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상기 층상배관 공법은 방수층이 형성된 슬라브 상부에 층상배관을 구형하기 위한 세대지관을 설치하고 그 세대지관을 경량 기포콘크리트로 덮은 후 타일과 위생도기들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시공 후 세대지관의 파손이나 누수 또는 막힘이 발생하여 배관을 교체하거나 부분 보수를 하여야 하는 경우 타일은 물론 세대지관을 덮고 있는 모든 부분의 경량기포콘크리트 층을 걷어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layered piping method, a three-dimensional branch pipe for squeezing the layered pip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having the waterproof layer, the tile and the sanitary pottery are installed after covering the three-dimensional branch pipe with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covering all the tiles and all the parts covering the branch tubes must be removed.
또한, 상기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걷어낼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파손이나 누수부분이 확인될 때까지 걷어내야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 전체를 들어낼 수 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is taken off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long time and a lot of cost, and it is necessary to untill the breakage or leaking part is confirmed.
결과적으로 기존 층상배관 시스템에서 세대지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and repair are difficult and costly if a problem occurs in a household branch pipe in a conventional stratified piping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시공되는 욕실의 방수층이 슬라브 상부에 배관 블록들을 설치하여 입상관에 연결되는 세대지관의 경로 부분이 슬라브 바닥과 타일바닥 등 이중바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layer of a bathroom constructed in a multi-storey building, in which a piping block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slab so that a path portion of a three-dimensional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is formed of a slab floor and a tile floor.
또한, 상기와 같이 이중바닥을 형성하여 발생된 누수나 막힘 등에 의해 세대지관 등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바닥 타일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배관을 감싸는 배관 블럭들이 노출되도록 하고, 이를 분리하여 배관을 교체한 후 분리된 배관블록을 설치한 후 타일을 부착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걷어내거나 분리한 자재들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replacement of a household branch pipe or the like is required due to leakage or clogging caused by forming a double botto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expose the piping blocks surrounding the piping by removing the floor til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le to be attached to a piping block which is separated and then to be easily maintained for recycling.
또한, 상기와 같이 배관의 노출이 용이하고 자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piping by facilitating the exposure of the piping and reusing the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 주택 욕실의 방수층이 형성된 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상부에 설치되는 세대지관을 덮으며 일자형 배관을 덮는 직관블록, 90도록 절곡된 엘보를 덮는 곡관블록, 그리고 양변기 엘보 또는 플로우드레인을 덮도록 중앙에 원형 또는 사각의 통공이 형성된 장치블록을 구성된 배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yered piping system for a bathroom comprising a waterproof layer of a multi-family bathroom, comprising: an intuitive block which covers a generic branch pip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proof layer and covers the elongated pipe; And a piping block comprising a device block having a circular or square through-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cover the curtain block, the toilet tube elbow or the flow drain.
또한, 공동주택 욕실의 방수층이 형성된 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상부에 세대지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세대지관을구성하는 배관들과 플로우드레인 그리고 양변기 엘보 부분에 각각 직관블록, 곡관블록 그리고 장치블록으로 이루어진 배관블록을 덮는 단계와; 상기 배관 블럭의 높이로 나머지 욕실 방수층 위에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layered piping system of a bathroom having a waterproof layer of a multi-family bathroo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household branch pipe on the waterproofing layer; Covering a piping block consisting of an inte- rial block, a curved block and a device block to the piping, the flow drain, and the toilet flap portion constituting the generation branch, respectively; And plac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on the remaining bathroom waterproofing layer with the height of the piping block.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욕실의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층상배관의 파손이나 누수 또는 막힘으로 인해 배관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바닥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건드리지 않고 배관된 부분의 타일만을 걷어내고 배관 블록들을 분리하는 것 만으로 세대지관 전체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iping is replaced or maintenance is required due to breakage, leakage, or clogging of a layered pipe installed on a slab of a bathroom in a multi-family house, only the tiles of the piped portion are removed without touch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on the floor, So as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piping.
또한, 걷어내면서 깨진 타일 이외에 배관 블럭들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자재의 사용을 줄여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use the piping blocks in addition to the broken tile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maintenance process and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by reducing the use of new materials.
도1은 종래의 공동주택 욕실에 층하배관으로 시공된 습식 욕실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공동주택 욕실에 층상배관으로 시공된 습식 욕실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블록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은 본 발명에 도3의 배관 블록을 적용한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piping state of a wet bath constructed by a stratified piping in a conventional multi-family bathroom. FIG.
2 is a view showing a piping state of a wet bath constructed by layered piping in a conventional multi-family bathroom.
3 is a view of an embodiment of a piping block constituting a partially double bottom layered piping system of a multi-family bat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tial double bottom layered piping system to which the piping block of FIG. 3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3은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블록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관 블록은 일직선으로 시공된 배관을 덮을 수 있도록 일직선의 배관홈이 형성된 직관 블록과, 90도록 절곡된 엘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90도의 배관홈이 형성된 곡관 블록과, 양변기 엘보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노출되는 오수관 파이프가 노출되거나 또는 플로우 드레인의 상부기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장치블록 들로 구성된다.3 shows an embodiment of a piping block constituting a partly double bottom layered piping system of a multi-family bathroom. The piping block includes an inner pipe block having a straight piping groove formed to cover a pipeline constructed in a straight line, A tubular block having a 90 ° piping groove formed to cover an elbow portion bent to be 90, and a drain pipe vertically exposed to be connected to the toilet flap elbow, or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so as to install the upper base of the flow drain Device blocks.
이때, 상기 블럭들은 상면에 타일을 부착한 후 밟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튼튼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서로 밀착되어 접촉면이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가 블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blocks are often stepped on after the tiles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they must be made strong and tigh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o ensure the watertightness of the contact surfaces, thereby prevent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eing poured into the block .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배관용 슬리브 또는 배관 블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이중 바닥 층상배관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iddle floor floor piping system by using the sleeve or the piping block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도3의 배관용 블록들을 이용하여 부분 이중바작 층상배관 시스템을 시공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용시ㅎ을 구성하는 슬라브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한 후, 방수층이 경화되면 그 상면에 설계된 형태에 따라 오수관과 배수관 그리고 플로우 드레인 등의 세대지관을 설치한다.FIG. 4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piping system of a partial double bar work using the piping blocks of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fter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slab constituting a part of the slab, According to the designed form, the sewer pipe,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ipe are installed.
다음에, 상기 설치된 세대지관 상면에 배관이 직선인 경우 직관 블록을, 배관이 곡관인 경우 곡관 블록을 덮고, 양변기 엘보 부분과 플로우 드레인 부분에는 장치 블록을 덮는다. 이때 블록들의 연결부와 방수층에 맞닫는 부분에는 고무패킹등을 덧붙이는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한다. 다음에, 상기 블록들의 설치가 완료되면 블록의 높이에 맞추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고 양생된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블록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고 위생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이중바닥을 갖는 층상배관 시스템을 시공하게 된다.
Next, when the piping is stra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ed household structure pipe, the pipe block is covered, and when the pipe is a bending pipe, the bending block is covered, and the toilet block elbow portion and the flow drain portion are covered with the device block. At this time, additive such as rubber packing is ad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locks and the waterproof layer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o be pushed back. Next,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blocks is completed, a layered piping system having a double bottom is constructed by plac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block, c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cured, attaching tiles to the upper part of the block, It will be construc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층상배관을 시공하는 데 있어 슬라브 바닥과 타일바닥 사이에 부자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공간에 세대지관을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극이 용이하게 구현한 발명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layered pip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lab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tile using a subsidiary material, and a household branch pipe is provided in the formed space,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 : 슬라브
2 : 경량기포콘크리트
11 : 층하배관용 FD
12 : 세면기 하수관
13 : 욕조 하수관
14 : 좌변기 오수관
15 : 천장배관
16 : 입상관
21 : 오수관
22 : 하수관1: slab 2: lightweight foamed concrete
11: Floor Lower Floor FD 12: Wash Basin Sewer
13: Bathtub sewage pipe 14: Lateral sewer pipe
15: Ceiling piping 16: Corrosion
21: sewage pipe 22: sewage pipe
Claims (2)
상기 방수층 상부에 설치되는 세대지관을 덮으며 일자형 배관을 덮는 직관블록, 90도록 절곡된 엘보를 덮는 곡관블록, 그리고 양변기 엘보 또는 플로우드레인을 덮도록 중앙에 원형 또는 사각의 통공이 형성된 장치블록을 구성된 배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CLAIMS 1. A layered piping system for a bathroom comprising a waterproof layer of a communal bathroom,
A tubular block covering the elongated tube to cover the elongated tube, a tubular block covering the elbow bent to 90, and a device block having a circular or square through-hole formed at the center to cover the elbow or the drain of the toilet. Further comprising a piping block. ≪ RTI ID = 0.0 > 11. < / RTI >
상기 방수층 상부에 세대지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세대지관을구성하는 배관들과 플로우드레인 그리고 양변기 엘보 부분에 각각 직관블록, 곡관블록 그리고 장치블록으로 이루어진 배관블록을 덮는 단계와;
상기 배관 블럭의 높이로 나머지 욕실 방수층 위에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욕실의 부분 이중바닥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layered piping system of a bathroom having a waterproof layer of a multi-family bathroom,
Installing a third branch pipe on the waterproof layer;
Covering a piping block consisting of an inte- rial block, a curved block and a device block to the piping, the flow drain, and the toilet flap portion constituting the generation branch, respectively;
And plac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on the remaining bathroom waterproofing layer with the height of the piping block. ≪ RTI ID = 0.0 > 11.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046A KR20170099097A (en) | 2016-02-23 | 2016-02-23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046A KR20170099097A (en) | 2016-02-23 | 2016-02-23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097A true KR20170099097A (en) | 2017-08-31 |
Family
ID=5976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1046A KR20170099097A (en) | 2016-02-23 | 2016-02-23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9097A (en) |
-
2016
- 2016-02-23 KR KR1020160021046A patent/KR2017009909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75701A (en) | A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218810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564993B1 (en) | Drain Assembled Bathroom Floor Board | |
KR101716876B1 (en) | prefabricated Bathroom Floor Board | |
KR101150282B1 (en) | Layered drainage system | |
KR20140049220A (en) | Waterproof plate connection socket of drainage pipe unit bath room | |
KR101219145B1 (en) | Piping System For Bathroom Having Double Pipe Structure | |
KR10108197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of bathroom in multistory building | |
KR20110025712A (en) | System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 |
KR101313848B1 (en) | Drainage System on Floor of Flat Slab Type and Toilet Stool Sleeve Using the Same | |
KR101393529B1 (en) | Lay in state Device for Pipe Laying on Floor | |
KR20160028809A (en) | prefabricated Bathroom Floor Board | |
KR20170099097A (en)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
KR101290817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of discharge apparatus for leachate water | |
KR20110101529A (en) | Drainage device for pipe laying on floor whit stopwater of unit bath room | |
KR20170002282U (en) | Floor drain apparatus | |
KR102104940B1 (en) | Execution Method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 |
KR20170099095A (en) | The bottom portion of the double layered pip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Bathroom | |
KR101236143B1 (en) | Layered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s | |
KR101058940B1 (en) | Drainpipe for layered piping | |
KR20160035876A (en) | Drain Assembled Bathroom Floor Board | |
KR20150127331A (en) |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 |
KR101488639B1 (en) | unit bathroom with recessed waterproof board | |
KR101677028B1 (en) | Drainage System on Floor of Flat Slab Type and Toilet Stool Institution Cast Using the Same | |
KR101130190B1 (en) | Drain Pipe System Laid On Floor of Bath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