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35A -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35A
KR20170098535A KR1020160020571A KR20160020571A KR20170098535A KR 20170098535 A KR20170098535 A KR 20170098535A KR 1020160020571 A KR1020160020571 A KR 1020160020571A KR 20160020571 A KR20160020571 A KR 20160020571A KR 20170098535 A KR20170098535 A KR 2017009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portable terminal
charging module
spa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945B1 (ko
Inventor
정지연
박우철
이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9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휴대용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진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충전모듈;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에서 스마트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주로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2차전지)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량 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충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시거잭 등을 이용한 유선충전모듈 또는 무선전력송수신기술을 이용한 무선충전모듈 등이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등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무선충전모듈을 이용한 충전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충전장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 내지 홀딩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되지 못하여 차량의 운행 도중에 휴대용 단말기가 그 충전구역에서 이탈될 우려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센터페시아 트레이(center fascia tray)에 충전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충전 시에는 다른 물품을 수납할 수 없으므로 그 수납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수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로서,
차량의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휴대용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진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의 수납공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을 제1수납공간 및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수납공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납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 및 상기 수납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팅 위치를 록킹 내지 언록킹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거치부재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록커(locker)와,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록커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홀(locking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록커를 이동시키는 작동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구조는, 상기 거치부재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귀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록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를 무선충전모듈 측으로 피벗팅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부에 원주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거치부재가 피벗팅될 때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팅속도을 완화하는 완충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구조는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부에 결합된 완충기어와, 상기 완충기어와 치합되는 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기어는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며, 상기 고정기어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기어의 치형들과 상기 고정기어의 치형들이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모듈은 무선충전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은 상기 무선충전모듈의 충전영역 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구조 및 사이즈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를 호환성 있게 거치 내지 홀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센터페시아 트레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 및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이원화함으로써 트레이의 수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피벗 완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장치의 피벗 완충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장치의 회전기어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그외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 12)을 가진 수납부(10)와, 수납부(10)의 일측에 설치된 충전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0)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도중에도 스마트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1) 및 기타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 1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0)는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수납부(10)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주변(예컨대, 대시보드, 콘솔박스, 센터페시아 등)에 설치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차량의 센터페시아 트레이(2, center fascia tray)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0)의 일측 외면에는 충전모듈(20)이 설치되고, 수납부(10)의 타측 내면에는 시거잭(5) 또는 컵 홀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모듈(20)은 수납부(10)의 일측 외면에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충전모듈(20)은 수납부(10)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노출되게 접속된 인디케이터(25)를 가질 수 있다. 인디케이터(25)는 충전모듈(20)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1)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상태의 표시는 인디케이터(25) 이외에도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HUD(Head Up Display),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통해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차량 주행 시에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할 수도 있다.
충전모듈(20)은 전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1)를 충전하는 유선충전모듈 및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1)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2방식이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편의성 증진을 위하여 충전모듈(20)은 무선충전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충전모듈(20)은 코일 간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자기유도방식, 코일 간 자기공진 현상을 이용한 자기공진방식, 전자기파를 이용한 전자기파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의 무선충전모듈(20)은 차량의 사양, 구조 또는 수납부(10)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전자기파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수납부(10)의 수납공간(11, 12)에는 휴대용 단말기(1)가 거치되는 거치부재(3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거치부재(30)에 의해 수납공간(11, 12) 내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30)는 수납부(10)의 수납공간(11, 12)을 제1수납공간(11) 및 제2수납공간(12)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는 제1수납공간(11)에 수납됨으로써 거치부재(30)의 일면에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다.
특히, 거치부재(30)는 수납부(10)의 제1수납공간(11) 및 제2수납공간(12)을 가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수납공간(11)은 거치부재(30)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 내지 형상 등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1)를 가변하여 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를 그 사이즈 내지 형상 등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수납부(10)의 제1수납공간(11)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재(30)는 그 하단부가 수납부(10)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1수납공간(11)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를 더욱 안정되게 거치 내지 홀딩할 수 있다.
거치부재(30)의 일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가 거치되는 거치면(31)이 형성되고, 거치부재(30)의 하단부에는 수납부(10)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벗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수납공간(11)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는 거치부재(30)의 거치면(31)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재(30)의 피벗팅에 의해 제2수납공간(11) 또한 가변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품의 수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가 수납되는 제1수납공간(11)은 충전모듈(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특히 충전모듈(20)이 무선충전모듈일 경우에는 제1수납공간(11)은 무선충전모듈(20)의 충전영역 이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는 무선충전모듈(20)의 충전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그 충전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거치부재(30)의 피벗팅 위치를 록킹 내지 언록킹하는 록킹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유닛(40)은 거치부재(30)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록커(41, locker)와, 수납부(1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록커(41)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홀(42, locking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록커(41)는 거치부재(30)의 양 측면에 마련된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록킹홀(42)은 수납부(10)의 양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록킹홀(42)은 록커(41)의 피벗팅 경로를 따라 원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록킹홀(42)은 원호상으로 형성된 조립부재(45)에 형성될 수 있고, 수납부(10)의 측벽에는 조립부재(45)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조립부재(45)는 수납부(10)의 개구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유닛(40)은 록커(41)를 이동시키는 작동구조(46, 47, 48, 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구조(46, 47, 48, 49)는 거치부재(3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46)와, 누름부재(4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귀부재(47)와, 누름부재(4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연결부재(48)와, 연결부재(4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부재(49)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46)는 거치부재(30)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누름부재(46)의 상단은 거치부재(30)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46)의 상단이 눌려짐에 따라 누름부재(46)는 하향 이동할 수 있다.
제1복귀부재(47)는 누름부재(46)가 외력에 의해 눌려진 이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누름부재(4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복귀부재(47)는 누름부재(46)의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48)는 누름부재(46)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48)의 일단에는 록커(41)가 설치될 수 있고, 록커(41)는 연결부재(48)의 일단에 동일체로 형성되거나 록커(41)가 연결부재(48)의 일단에 조립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록커(41)는 거치부재(30)의 양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48)의 타단에는 가이드슬롯(48a)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슬롯(48a)은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재(46)는 가이드슬롯(48a)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6a)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누름부재(46)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누름부재(46)의 가이드돌기(46a)는 연결부재(48)의 가이드슬롯(48a)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부재(46)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가이드돌기(46a)가 가이드슬롯(48a)의 경사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연결부재(48)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재(48)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록커(41)가 거치부재(30)의 측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록커(41)는 록킹홀(42)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8)는 한 쌍의 록커(4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복귀부재(49)는 한 쌍의 연결부재(48)의 인접한 단부들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부재(46)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재(4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거치부재(30)를 무선충전모듈(20) 측으로 피벗팅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바이어싱 수단(50, biasing mean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싱 수단(50)은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에 원주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5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토션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피벗부(32)가 소정방향(도 2의 화살표 P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거치부재(30)는 무선충전모듈(20)을 향해(도 2의 화살표 P방향) 강제적으로 피벗팅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51)은 수납부(10)의 측벽에 지지되는 제1레그(53)와, 거치부재(30) 측에 연결되는 제2레그(55)를 가질 수 있다. 제1레그(53)와 제2레그(55)는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10)의 일 측벽에는 토션스프링(51)이 설치되는 장착보스(15)가 마련되고, 장착보스(15)의 일측에는 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보스(15)의 개구(16)에는 토션스프링(51)의 제1레그(53)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51)의 비틀림탄성력에 의해 거치부재(30)는 무선충전모듈(20)을 향해 강제적으로 피벗팅될 수 있고(도 2의 화살표 P방향 참조), 이에 거치부재(30)는 휴대용 단말기(1)를 무선충전모듈(20) 측으로 가압한 상태로 홀딩할 수 있다. 요컨대, 제1수납공간(11)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기(1)는 거치부재(30)에 의해 거치 및 홀딩이 안정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운행 도중에 휴대용 단말기(1)가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충전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바이어싱 수단(50)의 토션스프링(51)에 의해 거치부재(30)가 피벗팅될 때 그 피벗팅속도가 급격해짐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구조(52, 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구조는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에 결합된 완충기어(52)와, 완충기어(52)와 치합되는 고정기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기어(52)는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의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완충기어(52)의 이면에는 수납부(10)의 장착보스(15) 및 토션스프링(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52b)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삽입부(52b)의 단부에는 끼움돌기(5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의 단부에는 끼움홈(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기어(52)의 끼움돌기(56)가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의 끼움홈(36)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완충기어(52)는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기어(52)는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에 결합됨으로써 피벗부(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는 완충기어(52)의 끼움돌기(56) 및 피벗부(32)의 끼움홈(36)이 십자형 구조로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충기어(52)의 끼움돌기(56) 및 피벗부(32)의 끼움홈(36)이 상호 대응하는 십자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완충기어(52)는 피벗부(32)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완충기어(52)는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52a)이 형성된 섹터 기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기어(54)는 수납부(10)의 외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기어(54)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치형(54a)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기어(52)의 치형(52a)들이 고정기어(54)의 치형(54a)들이 치합될 수 있고, 바이어싱수단(50)에 의해 거치부재(30)의 피벗부(32)가 회전할 때 완충기어(52)의 치형(52a)들이 고정기어(54)의 치형(54a)들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완충기어(52)에 결합되는 피벗부(32)는 그 회전속도가 완만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거치부재(30)의 피벗팅속도가 대폭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완충기어(52)의 치형(52a)들의 피치 및 고정기어(54)의 치형(54a)들으의 피치 등에 의해 피벗부(32)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거치부재(30)의 피벗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거치부재(30)의 피벗팅위치를 완충기어(52) 및 고정기어(54)의 치형 피치에 맞춰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수납부 11: 제1수납공간
12: 제2수납공간 20: 충전모듈
30: 거치부재 40: 록킹유닛
41: 록커 42: 록킹홈
46: 누름부재 47: 제1복귀부재
48: 연결부재 49: 제2복귀부재
50: 바이어싱수단 51: 토션스프링
52: 완충기어 54: 고정기어

Claims (16)

  1. 차량의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휴대용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진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수납공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을 제1수납공간 및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수납공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납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 및 상기 수납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팅 위치를 록킹 내지 언록킹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거치부재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록커(locker)와,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록커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홀(locking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록커를 이동시키는 작동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조는, 상기 거치부재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귀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록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를 충전모듈 측으로 피벗팅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바이어싱수단(bias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수단은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부에 원주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수단은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피벗팅되는 거치부재의 피벗팅속도를 완화하는 완충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조는 상기 거치부재의 피벗부에 결합된 완충기어와, 상기 완충기어와 치합되는 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어는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며, 상기 고정기어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기어의 치형들과 상기 고정기어의 치형들이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무선충전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은 상기 무선충전모듈의 충전영역 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KR1020160020571A 2016-02-22 2016-02-22 충전장치 KR10190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71A KR101905945B1 (ko) 2016-02-22 2016-02-22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71A KR101905945B1 (ko) 2016-02-22 2016-02-22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35A true KR20170098535A (ko) 2017-08-30
KR101905945B1 KR101905945B1 (ko) 2018-10-10

Family

ID=5976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71A KR101905945B1 (ko) 2016-02-22 2016-02-22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78B1 (ko) * 2017-09-21 2018-07-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콘솔의 스마트폰 무선 충전 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78B1 (ko) * 2017-09-21 2018-07-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콘솔의 스마트폰 무선 충전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945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161B2 (en) Cup holder for vehicle
CN206201976U (zh) 换挡杆装置
CN110871728B (zh) 具有杯架的控制台
US8469246B2 (en) Cup holder for vehicle
US20210206328A1 (en) Tray for a Vehicle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JP5453160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1905945B1 (ko) 충전장치
KR20210065825A (ko) 슬라이딩 가능한 핸드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콘솔 박스
JP2013093973A (ja) 充電式電気機器用ホルダ装置
KR20070031002A (ko)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CN114013356A (zh) 车载容纳装置
KR101693986B1 (ko) 자동차의 휴대기기 수납형 무선충전장치
US7431369B2 (en)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KR101163892B1 (ko) 차량용 전자기기 트레이장치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1189350B1 (ko) 차량의 전동식 컵 홀더
EP2712766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 digital data storage medium
KR20150002639U (ko) 컵홀더
KR101753192B1 (ko) 휴대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JP6202296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及び、車両用カップホルダの収容構造
KR20120016887A (ko) 스토리지 박스
JP7304318B2 (ja) 物品保持装置
CN211229974U (zh) 铰链和冰柜
JP2012011791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