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130A -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8130A KR20170098130A KR1020160020816A KR20160020816A KR20170098130A KR 20170098130 A KR20170098130 A KR 20170098130A KR 1020160020816 A KR1020160020816 A KR 1020160020816A KR 20160020816 A KR20160020816 A KR 20160020816A KR 20170098130 A KR20170098130 A KR 201700981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bread
- aged
- dried
- mor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0000001466 Brassica junce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5855 leaf mustard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10 margar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264 marga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813 breadcrumb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evaporation proce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332 Brassica jun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285 flavo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57 Brassica napifor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SCVFZCLFOSHCOH-UHFFFAOYSA-M Potas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K+].CC([O-])=O SCVFZCLFOSHCO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64 analytical calib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984 brauner Sen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QAIPRVGONGVQAS-DUXPYHPUSA-N caffe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DUXPYHPU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TOJFFHGPLIVKC-YAFCTCPESA-L (2E)-3-ethyl-2-[(Z)-(3-ethyl-6-sulfonat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ate Chemical compound 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ZTOJFFHGPLIVKC-YAFCTCPESA-L 0.000 description 1
- OCZVHBZNPVABKX-UHFFFAOYSA-N 1,1-diphenyl-2-(2,4,6-trinitrophenyl)hydrazine;ethanol Chemical compound CCO.[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OCZVHBZNPVAB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OJBYZNEUISWFT-UHFFFAOYSA-N Allyl 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C=CCN=C=S ZOJBYZNEUISW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DSOYXADOWAKB-UHFFFAOYSA-N Aluminium nitrate Chemical compound [Al+3].[O-][N+]([O-])=O.[O-][N+]([O-])=O.[O-][N+]([O-])=O JLDSOYXADOWA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1 Bras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6705 Chlorophyl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371 Sepi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HZOWSSBXJXFOR-PTGZALFTSA-N Sinigrin Chemical compound OC[C@H]1O[C@@H](S\C(CC=C)=N\OS(O)(=O)=O)[C@H](O)[C@@H](O)[C@@H]1O PHZOWSSBXJXFOR-PTGZALFTSA-N 0.000 description 1
- PHZOWSSBXJXFOR-MYMDCHNCSA-N Sinigrin Natural products S(=O)(=O)(O/N=C(\S[C@@H]1[C@H](O)[C@@H](O)[C@@H](O)[C@H](CO)O1)/CC=C)O PHZOWSSBXJXFOR-MYMDCHNC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IWBSHSKHKDKBQ-JLAZNSOCSA-N Vitamin C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20 allyl isothiocya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84 anti-glauco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0 anti-muta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60 caffe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83 caff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6 condens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200 f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90 fresh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383 glucosinol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1 grape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82 gra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05 muta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1 muta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07 mutagenic chemica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77 physiologic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56 potass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344 quercet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91 sinig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40 slow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58651 thiogluc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02—Dough mixes; Baking or bread improvers; Premixes
- A21D10/005—Solid, dry or compact materials; Granules;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66—Tubers, roo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산재료인 갓 전처리공정으로 재료전처리공정, 증제공정,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비빔공정의 단위공정, 다음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인 건조 숙성된 갓 분말 첨가 모닝빵 제조 및 최종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나누어지며 단순 1차 가공된 기능성 빵이 아닌 지역특산재료 활용, 영양가 및 기호성도 부가한 2차 응용 가공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산재료인 갓 전처리공정으로 재료전처리공정, 증제공정,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비빔공정의 단위공정, 다음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인 건조 숙성된 갓 분말 첨가 모닝빵 제조 및 최종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나누어지는 특산재료 활용, 기호성 증대 및 기능성을 부여하는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갓(mustard leaf, mustard greens)은 십자화 과에 속하는 엽경 채소류 중의 하나로 겨자(Brassica juncea, Brown mustard, Indian mustard)의 잎을 말하며 톡 쏘는 독특한 매운맛을 갖고 있어서 그 자체로서 김치를 담그거나 다른 김치의 부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외지의 갓에 비해 전남 여수의 돌산 갓은 섬유질과 매운맛이 적으며 특이한 향이 존재하고 돌산의 기후적 조건 때문에 년 중 재배가 가능하고 방충망사 재배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등 전국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갓은 독특한 매운맛 sinigrin이라는 allyl isothiocyanate의 glucosinolate를 함유하고 있으며 김치로 제조 시 숙성 중에 갓 자체의 myrosinase가 작용하여 여러 가지 함황 성분과 그 관련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함황 물질들은 갓김치 발효시 항균작용을 나타내어 발효를 지연시키고 일반김치에 비해 저장성을 증가시켜 준다. 또한 김치 발효 중에 생성되는 젖산균에 의해서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항암 효과와 면역 계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김치추출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 및 여러 인체 암세포의 성장 지연 효과가 보고된 바 있고, 이 밖에도 항산화성, 항균성, 항곰광이성 및 항혈액응고성 등의 생리활성들이 보고된 바 있다. 현대인들의 질병으로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80-90%가 환경 요인으로 발생하고 이중 식이에 의한 암 발생도가 30-60%를 차지하므로 식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최근에는 식품으로 부터 천연적인 항암 및 항산화, 항균, 항돌변이성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십자화(Brassica)과 채소들은 암을 예방하는 대표적 채소들로 증명되고 있으며 섭취횟수가 많을수록 암 발생의 위험이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갓에서는 돌연 변이성 물질들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의 채소, 과일, 곡류 및 해조류와 그의 발효식품들로부터 생리활성 물질들이 계속 발견되어 지고 있다.
돌산 갓에는 K, Ca등의 함량이 높아 무기질 급원으로 중요하며, Ascorbic acid, Chlorophyll, 베타 카로틴 등의 항산화성을 갖는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런 측면에서 십자화 과 경엽 채소인 갓(Brassica juncea) 과 갓의 발효식품인 갓김치는 항암성 및 항산화성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질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경제산업적 측면에서 전남특산물인 돌산 갓의 연구활성화로 인하여 갓 제품이 다양화됨에 따라 갓 재배농업인의 안정적인 수익확보 및 수익증대가 가능하다. 갓 제품의 다양화 및 고부가가치의 기능성부여로 인하여 여수지역 관광상품으로 자리 매김이 가능하며 갓의 부위별 기능성이 밝혀지면 각 부위에 맞는 상품(갓 차, 갓 음료, 갓 첨가 조미료)의 개발이 가능하고 갓 김치의 발효방법 및 발효과정에 따른 기능성을 검토하여 각 기능성에 맞는 제조공법으로 갓 김치의 특화가 가능하다.
갓은 다량의 함황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의 기능성을 규명하여 전남식품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다. 따라서 돌산 갓김치의 우수성을 입증함으로써 김치문화에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올 수 있고, 돌산 갓의 우수성을 홍보함으로써 해양에 관련된 문화 외에 여수지역 식품문화에 이바지하여 2010년 해양엑스포의 세계적인 축제에 지역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다(돌산 갓의 생리기능성 탐색 및 응용식품 개발, 여수대학교, 2002년)
한편 갓을 이용한 제과제빵 관련 연구로는 갓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과자, 빵, 떡의 제조방법(특허등록 1010420270000, 2011.06. 9.)이 있으며 이는 반죽 조성물에 갓을 첨가하여 갓 특유의 풍미를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과자, 빵,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갓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은 갓 분말 또는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본 발명의 빵의 제조방법은 곡물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갓 분말 또는 갓 추출물 2 내지 12중량부, 탈지분유 10 내지 17중량부, 생크림 28 내지 38중량부, 베이킹파우더 0.5 내지 2.5중량부, 설탕 75 내지 85중량부, 연유 17 내지 23중량부, 물엿 5 내지 9중량부, 계란 100 내지 140중량부, 우유 100 내지 16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반죽용 조성물을 성형한 후 구워 제조한다고 밝혀졌다. 하지만 이외 제과제빵 관련한 개발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단순 갓 분말 및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반죽 조성물과는 달리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제조하고서 고로케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단순 1차 가공된 기능성 빵이 아닌 지역특산재료 활용, 영양가 및 기호성도 고려한 2차 응용 가공한 고로케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산재료인 갓 전처리공정으로 재료전처리공정, 증제공정,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비빔공정의 단위공정들이 단계별로 최적화되어 구성되어지며, 다음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인 건조 숙성된 갓 분말 첨가 모닝빵 제조 및 최종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순 1차 가공된 기능성 빵이 아닌 지역특산재료 활용, 영양가 및 기호성도 고려한 2차 응용 가공한 고로케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산재료인 갓 전처리공정으로 재료전처리공정, 증제공정,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비빔공정의 단위공정들이 단계별로 최적화되어 구성되어지며, 다음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인 건조 숙성된 갓 분말 첨가 모닝빵 제조 및 최종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공정들을 각각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갓 전처리공정
(1) 특산물 재료전처리
갓은 뿌리부분을 포함한 전체를 사용하며 1cm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하고 세척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어 깨끗하게 처리한다.
(2) 증제공정
이 공정은 재료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갈변을 방지함은 물론, 잎을 부드럽게 하고 잎 및 뿌리의 풋내를 제거하기 위해 증기로 뿌리를 쪄내는 공정으로서, 상기 세척된 재료를 보일러와 증제기를 이용하여 120kgf/cm2 압력의 증기로 1-3분 동안 증제한 후 바로 냉풍건조기를 통하여 3분간 식히는 공정이다. 증기압과 증제시간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증제가 제대로 되지 않음에 따라 재료의 조직이 연해지지 않아 차의 형상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음은 물론 차의 색깔이 선명한 녹색이 나오지 않는 문제를 가진다. 증기압과 증제시간이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많은 에너지 소모로 생산비용이 올라감은 물론 재료의 조직이 너무 삶아져서 무르게 되어 차로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본 공정은 120kgf/cm2 압력의 증기로 2분 동안 처리한 후 3분 냉각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이 공정은 상기 증제공정에서 냉풍 건조된 재료를 열풍온도 섭씨 40-60도에서 40-50분간 잎과 뿌리를 탈수시켜 건조시킨다. 이때 잎과 뿌리에 포함된 수분의 약 70중량 %가 제거되도록 하며, 이 건조공정을 통해 잎의 모양이 차처럼 잘 말려 올라가고 잎면적이 적게 쪼개지면서 수분함량이 적절한 차의 형상이 만들어진다. 차로 만들고자 하는 식물잎의 성질에 따라 건조시간 및 온도가 크게 달라진다. 본 재료의 경우는 다른 차의 제조방법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건조시간을 길게 해야 차의 형상이 잘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하여 확인한 바에 의하면, 본 공정은 섭씨 50도에서 45분간 조유를 3회 반복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비빔공정
이 공정은 상기 건조된 갓잎과 뿌리를 비벼 질긴 섬유질을 파괴함으로써, 잎의 맑은 녹색 및 맛과 향이 잘 우러나오게 처리하는 공정이다. 비빔과정 없이 덖음만 하거나 증제 후 바로 건조하는 과정만으로 만들어진 재료는 조직이 파괴되지 않아 재료의 색, 향 및 맛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빔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갓잎은 지금까지 차로 제조된 다른 식물보다 조직이 연하므로 비빔시간을 보통 차 재조시의 절반 정도로 짧게 하여야 하며, 이 공정에서는 자동 유념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5-20분간 고르게 갓잎을 비벼 질긴 섬유질을 적절하게 파괴한다. 본 발명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본 공정은 15분간 비빔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 제조공정
(1) 재료 계량
일반 배합표를 적용하였으며 건조 숙성된 갓 분말과 함께 강력분, 중력분, 생이스트, 이스트푸드, 소금, 마가린, 탈지분유, 계란, 물, 설탕 등을 사용하였다.
(2) 반죽 제조
유지를 제외한 전 재료를 믹싱 볼에 넣고 저속 1분, 중속 2분, 마가린 투입, 저속 2분, 중속 13분으로 반죽 온도 : 섭씨 27도에서 반죽하였다.
(3) 1차 발효
발효 시간 : 50-60분, 발효실 온도 : 섭씨 27도, 발효실 습도 : 75-80% 조건에서 3.5배 팽창시점까지 발효한다.
(4) 분할 및 둥글리기
모닝빵 사이즈로 분할하여 이때 분할 반죽당 무게 편차가 적어야 하며 표피가 매끄럽고 균일하게 하게 둥글리기를 한다.
(5) 중간 발효
10-20분, 표피가 건조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6) 정형
덧가루를 뿌리고 밀대로 밀어 가스를 빼며 직경 4-5cm의(완제품 7cm) 표피가 매끄러운 원반 모양으로 만든다.
(7) 팬닝
간격을 잘 맞추어 철판에 배열 후 계란 노른자 물칠을 한다.
(8) 2차 발효
발효 시간 : 30-40분, 발효실 온도 : 섭씨 35-40도, 발효실 습도 : 85%, 발효 정도 : 시간보다는 상태로 판단하며 가스 포집력이 최대인 상태로 발효시킨다.
(9) 굽기
오븐 온도 : 윗불 섭씨 190도 밑불 섭씨 150도, 굽는 시간 : 10-15분 정도로 철판의 위치를 바꾸어 가며 고른색이 나도록 한다.
3.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
(1) 재료전처리
당근, 양파, 감자 등 야채, 쇠고기 등 육류, 오징어 등 해산물은 잘게 다진다.
(2) 화이트 소스 제조
냄비에 버터와 밀가루를 넣어 볶다가 찬 우유를 재빨리 부어 응어리가 지지 않게 잘 저어주며 소금, 후추를 뿌려 간을 맞춘다.
(3) 재료볶음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준비한 재료를 각각 볶아낸 후에 볶은 재료에 화이트소스를 넣어 잘 섞는다. 반죽하듯 뭉친 후 원통형으로 모양을 빚는다.
(4) 고로케 제조
준비된 특산재료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 속에 (3)의 속재료를 채운 뒤에 모닝빵을 밀가루, 달걀물, 빵가루 순으로 입혀 섭씨 200도의 기름에 노릇하게 튀겨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료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모닝빵 및 고로케 제조방법이나 사용되는 재료 및 기구 등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것을 활용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갓 10,100g을 구입하여 재료 전처리, 증제, 수분탈수 및 조유과정, 비빔공정 등을 통해 숙성건조 갓잎 3,210g을 제조하였으며 제조수율은 31.8%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적인 차류제조 식물원료에 비해 숙성건조 갓잎은 수분함량이 월등히 높아 제조수율이 현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숙성 건조된 갓 분말 5g, 강력분 70g, 중력분 30g, 생이스트 3g, 이스트푸드 0.2g, 소금 1.8g, 마가린 9g, 탈지분유 3g, 계란 8g, 물 48g, 설탕 10g 등 188g 반죽을 사용하여 1차 발효, 분할 및 둥글리기, 중간발효, 정형, 팬닝, 2차발효, 굽기 등 공정을 거쳐 40.5g, 41.0g 및 42.1g의 숙성 건조된 갓 분말이 첨가된 모닝빵 3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특산재료 건조숙성 갓 분말이 첨가된 모닝빵 42g과 함께 볶은재료 40g, 화이트소스 15g, 강력분 5g, 달걀물 5g, 빵가루 5g의 반죽조성물을 사용하여 104.5g의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정량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시료 1g을 100배의 증류수로 희석한 후 희석액 1mL를 취하여, Folin Ciocalteau`s phenol 시약 0.5mL와 10% Na2CO3 용액 0.5mL를 첨가한 후 암실에 1시간동안 방치하여 반응시키고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caffe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작성한 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증류수로 100배 희석한 시료액 1mL를 취하여, 10% aluminum nitrate용액 0.1mL, 1M potassium acetate용액 0.1mL 및 ethanol 4.3mL를 첨가하여 40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반응시키고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quercetin을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곡선으로 함량을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건조숙성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에서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수준있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즉 일정농도로 조정된 시료에 DPPH-ethanol 용액을 가하여 10초간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비(%)로 계산하였다.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능은 7mM ABTs 용액에 potassium persulfate를 2.4 mM이 되도록 용해시켜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약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조정된 ABTs 용액에 일정농도의 시료액을 가하여 10초간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41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한편 기본시료는 재료 5g을 물 50 mL에 추출하여 filter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건조숙성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에서 ABTs 라디컬 소거능이 유의수준있게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희석 배율이 높아질수록 효과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건조숙성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이 유의수준있게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희석 배율이 높아질수록 효과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적 품질평가는 훈련된 인원 20명을 선발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색, 맛, 향, 맛 및 밸런스에 대한 관능항목에 대하여 7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각 실험은 3회 이상 반복하여 얻은 결과를 SPSS 12.0 package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각 시료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예비테스트를 통해 숙성건조 갓잎의 첨가범위를 정했으며 대조군과 함께 숙성건조 갓잎 3% 및 5%의 모닝빵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상 및 전체적 느낌 평가에서 신맛, 쓴맛, 단맛, 떫은맛, 향, 색상 및 전체적 느낌 평가에서 유의적 수준이 차이가 없어 숙성건조 갓 분말 3% 및 5%의 모닝빵을 사용한 고로케 제조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
- 갓 전처리공정으로, 갓은 뿌리부분을 포함한 전체를 사용하며 1cm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하고 세척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어 깨끗하게 처리하는 전처리 공정, 120kgf/cm2 압력의 증기로 2분 동안 처리한 후 3분 냉각하는 갓을 증기로 쪄내는 증제공정, 냉풍 건조된 재료를 열풍온도 섭씨 50도에서 45분간 조유를 3회 반복하여 잎과 뿌리를 탈수시켜 건조시키는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자동 유념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고르게 갓잎을 비벼 질긴 섬유질을 적절하게 파괴하는 비빔공정,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 3에서 5 중량 %, 강력분 40에서 38 중량 %, 중력분 15 중량 %, 생이스트 2 중량 %, 이스트푸드 0.1 중량 %, 소금 0.9 ㅈ중량 %, 마가린 4 중량 %, 탈지분유 2 중량 %, 계란 4 중량 %, 물 24 중량 %, 설탕 5 중량 % 등 반죽 조성물을 사용하여 1차 발효, 분할 및 둥글리기, 중간발효, 정형, 팬닝, 2차발효, 굽기 등 공정을 거쳐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이 첨가된 모닝빵 제조공정,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 건조숙성 갓 분말이 첨가된 모닝빵 36에서 38 중량 %와 함께 볶은재료 37에서 35 중량 %, 화이트소스 13 중량 %, 강력분 4 중량 %, 달걀물 4 중량 %, 빵가루 4 중량 %의 반죽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
특산재료인 갓 전처리공정으로 재료전처리공정, 증제공정, 수분탈수 및 조유공정, 비빔공정의 단위공정들이 단계별로 최적화되어 구성되어지며, 다음 모닝빵 제조공정으로 특산재료인 건조 숙성된 갓 분말 첨가 모닝빵 제조 및 최종공정으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고로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로 제조된 건조 숙성된 갓 분말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16A KR20170098130A (ko) | 2016-02-19 | 2016-02-19 |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16A KR20170098130A (ko) | 2016-02-19 | 2016-02-19 |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8130A true KR20170098130A (ko) | 2017-08-29 |
Family
ID=5976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0816A KR20170098130A (ko) | 2016-02-19 | 2016-02-19 |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813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7225A (ko) * | 2018-06-01 | 2019-12-11 | 서연재 | 프로틴이 함유된 모닝빵 제조방법 |
KR20220124856A (ko) | 2021-03-04 | 2022-09-14 | 노현진 | 돌산갓을 이용한 빵과자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02-19 KR KR1020160020816A patent/KR201700981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7225A (ko) * | 2018-06-01 | 2019-12-11 | 서연재 | 프로틴이 함유된 모닝빵 제조방법 |
KR20220124856A (ko) | 2021-03-04 | 2022-09-14 | 노현진 | 돌산갓을 이용한 빵과자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92801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рыба жареная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томатном с овощами"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 |
RU2378946C2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тетерева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81721C2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60483C1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60484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65301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71017C1 (ru) |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55222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соусом красным с луком и огурцами" | |
RU2361451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индей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62451C1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соусом красным с луком и огурцами" | |
RU2292792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рыба жареная с капустой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 |
RU2378954C2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ицы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KR20110042538A (ko) | 곰취 또는 곤달비 전초 및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 |
RU2367253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рябчика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56296C1 (ru) |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тетерева с гарниром и красным основным соусом" | |
RU2361441C1 (ru) |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KR101802181B1 (ko) |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 |
KR20170098130A (ko) | 건조 숙성된 갓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 |
RU2352165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куропатки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79982C2 (ru) |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тетерева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366301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рубленые из рябчика с гарниром и соусом белым с овощами" | |
RU2631700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улинарного изделия "Крокеты картофельно-бататные с клюквой" | |
KR101401646B1 (ko) |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 |
KR102037760B1 (ko) |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 |
KR20150136195A (ko) | 당절임 복분자, 오디, 블루베리를 사용한 c3g 함유 백김치 또는 나박김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